KR101478307B1 -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307B1
KR101478307B1 KR20140075925A KR20140075925A KR101478307B1 KR 101478307 B1 KR101478307 B1 KR 101478307B1 KR 20140075925 A KR20140075925 A KR 20140075925A KR 20140075925 A KR20140075925 A KR 20140075925A KR 101478307 B1 KR101478307 B1 KR 10147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weight
concrete structure
concrete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석
Original Assignee
(주)석엔지니어링
배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엔지니어링, 배정석 filed Critical (주)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07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고르지 못하거나 핀홀, 패인홈 등의 구멍이 형성된 바탕면을 매끄럽게 보수하고 메워주는 등의 바탕조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와 이를 바람직하게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와 이러한 프라이머와 함께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는, 바이오 폴리올 10~60중량%, 쇄연장제 0.1~10중량%, 충전제 10~70중량%, 소포제 0.1~1중량%, 가소제 0.1~1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구성되되, 주제와 경화제가 1:1~8: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단계; 프라이머 위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Concrete Surface Preparation Material Using the Bio-Polyol and Polyurea Waterproof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고르지 못하거나 핀홀, 패인홈 등의 구멍이 형성된 바탕면을 매끄럽게 보수하고 메워주는 등의 바탕조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와 이를 바람직하게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와 이러한 프라이머와 함께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내구성 및 압축강도가 우수하여 반영구적인 구조재이나, 노후화되면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영향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구조성능이 떨어진다. 특히 누수에 의한 내구성 저하는 문제가 큰데,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이나 바닥, 내외벽에는 방수공사를 실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한다.
방수공사는 방수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폴리우레아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도포하는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은 내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화학성, 신축성, 방수/방식성 등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고 접착력이 뛰어나며 이음새 없는 연속 도막 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복잡한 구조에도 시공이 간편하여 적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폴리우레아 수지를 콘크리트에 직접 살포할 시에는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핀홀이 발생되고 표면이 평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핀홀 발생에 따른 종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바탕조정제를 도포한 후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바탕조정제를 도포하여 고르지 못하거나 핀홀, 패인홈 등의 구멍이 형성된 바탕면을 매끄럽게 보수하고 메워준 다음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특허출원 제2005-0052926호는 시멘트계 바탕조정제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제안하고, 특허출원 제2007-0126719호는 폴리우레아계 바탕조정제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제안하며, 특허 제10-922850호는 시멘트계 모르타르와 수용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바탕조정제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바탕조정제를 제안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바탕조정제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면서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수지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와, 이러한 프라이머를 바람직하게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로서, 바이오 폴리올 10~60중량%, 쇄연장제 0.1~10중량%, 충전제 10~70중량%, 소포제 0.1~1중량%, 가소제 0.1~1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구성되되, 주제와 경화제가 1:1~8: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바람직하게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단계; 프라이머 위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는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하기 때문에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하면서도 가사시간, 경화시간, 부착력, 핀홀개수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로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는 고르지 못하거나 핀홀, 패인홈 등의 구멍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을 매끄럽게 보수하고 메워주는 등의 바탕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방수공사를 실시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패인홈 메꿈작업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사비를 절감함은 물론 방수층 시공 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대한 우수한 코팅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는 우레탄 결합을 가지기 때문에 프라이머 도포 후 폴리우레아 방수재로 방수층을 형성시키면 프라이머층과 방수층이 효과적으로 일체화되어 방수성능이 향상된 방수구조로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고르지 못하거나 핀홀, 패인홈 등의 구멍이 형성된 바탕면을 매끄럽게 보수하고 메워주는 등의 바탕조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 폴리올, 쇄연장제, 충전제, 소포제, 가소제를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주제는 바이오 폴리올 10~60중량%, 쇄연장제 0.1~10중량%, 충전제 10~70중량%, 소포제 0.1~1중량%, 가소제 0.1~10중량%로 조성하거나, 안료,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침강 방지제, 수분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0.1~10중량% 더 포함하도록 조성하며, 이러한 주제는 경화제와 1:1~8:1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이와 같은 조성범위와 혼합비는 반응성, 반응속도, 성능발현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주제에서 바이오 폴리올은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구성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 폴리올을 채택함으로써 우레탄 결합 과정에서 유해물질 발생을 방지한다. 바이오 폴리올은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식물유에서 생산된 식물유 바이오 폴리올과,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branched polyether-polyester) 바이오 폴리올을 함께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물유 바이오 폴리올은 식물유의 이중결합에 과산화수소로 산화하여 에폭시기를 도입 후 알코올로 개환하거나 무기산이나 수소첨가로 개환한 폴리올을 의미하며, 특히 피마자오일에서 유도된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바이오 폴리올이 유리하다.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branched polyether-polyester) 바이오 폴리올은 안정적인 점도 확보와, UV저항성, 내약품성 향상에 기여하며,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서 Cognis사의 Sovermol 815 제품을 바람직하게 이용하였다.
주제에서 쇄연장제는 각 성분들의 결합도를 증가시켜 내마모성이나 경도 등 우수한 물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50~300정도인 지방족 디올 또는 디아민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3-펜탄디올, 1,2-헥산디올, 3-메틸렌펜탄-1,5-디올, 1,9-노난디올, 2-메틸옥탄-1,8-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류, 이소포론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N-메틸프로필렌-1,3-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 디아민,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이소부틸-3,5-디아미노-4-클로로벤조에인트, 트리메틸렌글리콜-디-P-아미노벤조에이트,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 3,5-디메틸시오-2,4-톨루엔디아민, 3,5-디에틸톨루엔-2,4-디아민 등의 디아민류를 사용한다. 특히 반응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아민류 쇄연장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제에서 충전제(filler)는 충전효과를 통한 비용 절감, 물성 개선 등을 위해 사용하는데, 탄산칼슘, 규사를 채택하면 적당하다. 탄산칼슘은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의 경도 증대를 통해 바탕조정용 프라이머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도포되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더불어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위로 도막방수재(폴리우레아 수지)가 도포되면 폴리우레아 수지와의 부착력 향상에 효과를 발휘한다. 규사는 콘크리트 바탕면의 핀홀을 막아줌으로써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위로 도포되는 도막방수재(폴리우레아 수지)의 핀홀 방지에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부에 적용한다면 흐름 방지작용을 하는 요변성 강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무정형 이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또는 디메틸디옥타데실 암모늄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체물을 사용하거나 지방산 금속염으로 코팅 처리된 탄산칼슘을 사용하며, 지방산 금속염으로 코팅 처리된 탄산칼슘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제에서 소포제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함인데, 폴리우레탄에 적합한 실리콘계의 소포제가 바람직하다. 실리콘계의 소포제에는 Airex931(Tego chemie사), BYK-066N(BYK chemie사), EFKA2020(EFKA사) 등이 있다.
주제에서 가소제는 유연성 및 탄성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며, 가소제로는 DOP(디옥틸프탈레이트),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DOA(디옥틸아디페이트), TOTM(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 DBP(디부틸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OM (디옥틸멜레이트), DINA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환경 친화적인 TPA(tere phthalic acid)계 가소제가 바람직하며, 가령 NEO-T(애경유화), GL100(LG화학) 등이 있다.
이외에도 주제에는 안료,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침강 방지제, 수분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부가하여, 바탕조정용 프라이머의 특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경화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ure-MDI, modified-MDI, polymer-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이 있으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성 등을 고려할 때,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ure-MDI, modified-MDI, polymer-MD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는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앞서 살펴본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단계; 프라이머 위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를 통해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에서 제3단계는 특허 제10-1052919호에 제안하는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폴리아민 혼합물 20~8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는 고온 고압 스프레이 도막실행시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지며, 온도와 습도에 대한 내성이 있어 주변 분위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경화성능이 우수하고 경화속도가 신속할 뿐 아니라, 스프레이 적용시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프라이머 도포면에 미세 엠보싱을 제공함으로써 미끄럼 저항과 마찰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폴리아민 혼합물은 통상 폴리우레아 방수에 사용하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나아가 제3단계는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에 가소제, 점착증진제 중 하나 이상 더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소제는 신축성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방수층의 크랙 또는 파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프탈레이트, 다이프로필렌 및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 또는 그 혼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족 다이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에서 채택하면 적당하다. 가소제는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 총량의 10~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 미만이면 신율 및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 초과하면 과도한 신율로 인해 밀림현상이 초래되거나 도포의 불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다.
점착증진제는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도포면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할로겐 실란, 알콕시 실란, 아세톡시 실란 등과 같은 실란계 점착증진제, 티탄 에스테르, 티탄 아실레이트, 티탄 키레이트와 같은 유기 티타늄계 점착증진제, 인산 모노알킬, 알킬포스포네이트, 아인산 디알킬과 같은 유기 인계 점착증진제 중에서 하나 이상 채택하여 사용(단독 사용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한다. 점착증진제는 대하여 전체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 총량의 8~18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중량% 미만이면 점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18중량% 초과하면 경화속도 저하와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평부용 바탕조정 프라이머
1. 프라이머 배합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부에 도포하기 위한 수평부용 바탕조정 프라이머를 아래 [표 1]과 같이 조성으로 준비하였다. 특히 주제는 각 재료들을 혼합한 후 고속 분산장비를 이용하여 1200rpm 속도로 30분간 균일하게 분산시켜 준비하였다.
프라이머 조성
구분 조성1 조성2 조성3
경화제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 Polymeric MDI
100
NCO : 31%
100
NCO : 31%
100
NCO : 31%
주제
(중량%)
식물유 바이오 폴리올
: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30 20 20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 바이오 폴리올
: sovermol 815
24.7 34.7 34.7
쇄연장제
: DETA
5 5 5
소포제
: Airex931
0.3 0.3 0.3
충전제
: 무코팅 탄산칼슘
35 25 15
충전제
: 규사 6호사
- 10 20
가소제
: NEO-T
5 5 5
혼합비율(중량비)
(주제/경화제)
5/1 5/1 5/1
2. 프라이머 특성
[표 1]의 프라이머에 대해 가사시간, 경화시간, 표면핀홀, 부착력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프라이머 특성
구분 조성1 조성2 조성3
가사시간(분) 20 30 30
경화시간(분) 120 150 150
표면핀홀(개/m2) 16 8 0
부착강도(N/mm2) 3.8 4.2 4.1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가사시간, 경화시간, 표면핀홀, 부착강도 시험결과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표면핀홀 시험결과는 조성1보다 조성2,3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충전제로 무코팅 탄산칼슘과 함께 규사를 혼합 사용할 때 규사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표면핀홀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수직부용 바탕조정 프라이머
1. 프라이머 배합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부에 도포하기 위한 수직부용 바탕조정 프라이머를 아래 [표 3]과 같이 조성으로 준비하였으며, 특히 수평부용에 비해 요변성 향상을 위해 지방산 코팅 탄산칼슘을 추가하여 조성하였다.
프라이머 조성
구분 조성1 조성2 조성3
경화제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 Polymeric MDI
100
NCO : 31%
100
NCO : 31%
100
NCO : 31%
주제
(중량%)
식물유 바이오 폴리올
: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30 20 20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 바이오 폴리올
: sovermol 815
24.7 24.7 24.7
쇄연장제
: DETA
5 5 5
소포제
: Airex931
0.3 0.3 0.3
충전제
: 무코팅 탄산칼슘
15 10 10
충전제
: 지방산 금속염 코팅 탄산칼슘
20 25 20
충전제
: 규사 6호사
- 10 15
가소제
: NEO-T
5 5 5
혼합비율(중량비)
(주제/경화제)
5/1 5/1 5/1
2. 프라이머 특성
[표 3]의 프라이머에 대해 가사시간, 경화시간, 표면핀홀, 부착강도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프라이머 특성
구분 조성1 조성2 조성3
가사시간(분) 20 30 30
경화시간(분) 120 150 150
표면핀홀(개/m2) 16 8 0
부착강도(N/mm2) 4.1 3.9 4.0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가사시간, 경화시간, 표면핀홀, 부착강도 시험결과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폴리우레아 방수구조
1. 방수구조
[실시예 1]의 조성3에 따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부에 도포한 후 아래 [표 5]와 같은 조성의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수구조를 완성하였다.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중량%)
구분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폴리아민 혼합물 가소제 점착증진제
조성1 55 30 15 -
조성2 42 30 15 13
2. 방수 특성
위와 같은 방수구조는 KS F 4922에 의거 표준상태에서 시편을 제작한 다음 물성 및 특성을 측정하고 더불어 외부에 방치하여 변형상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방수 특성
구분 인장강도(N/mm2) 신장율(%) 부착강도(N/mm2) 핀홀(개수/1m2) 내균열성
조성1 23.8 391 3.9 0
조성2 25.2 365 4.0 0
위의 [표 6]에서와 같이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방수구조는 인장강도, 신장율, 부착강도, 핀홀개수, 내균열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에 따라 시공후 콘크리트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방수구조의 균열 또는 크랙의 발생이 방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삭제
  2.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로서,
    바이오 폴리올 10~60중량%, 쇄연장제 0.1~10중량%, 충전제 10~70중량%, 소포제 0.1~1중량%, 가소제 0.1~10중량%를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로 구성되면서 주제와 경화제가 1:1~8:1의 중량비로 혼합되되,
    상기 주제는,
    바이오 폴리올이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식물유에서 생산된 식물유 바이오 폴리올과, 가지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branched polyether-polyester) 바이오 폴리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충전제가 탄산칼슘, 규사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 구성되며,
    쇄연장제가 분자량이 50~300인 지방족 디올 또는 디아민 계열의 쇄연장제로 구성되며,
    소포제가 실리콘계 소포제로 구성되며,
    가소제가 TPA(tere phthalic acid)계 가소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3. 제2항에서,
    상기 주제의 충전제는,
    탄산칼슘이 무코팅 탄산칼슘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무코팅 탄산칼슘과 지방산 금속염 코팅 탄산칼슘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주제는,
    안료,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침강 방지제, 수분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0.1~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5.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2단계;
    프라이머 위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3단계는,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폴리아민 혼합물 20~8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로 폴리우레아 방수층을 형성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7. 제6항에서,
    상기 초속 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는, 가소제 10~20중량%, 점착증진제 8~18중량% 중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140075925A 2014-06-20 2014-06-20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47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925A KR101478307B1 (ko) 2014-06-20 2014-06-20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925A KR101478307B1 (ko) 2014-06-20 2014-06-20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307B1 true KR101478307B1 (ko) 2014-12-31

Family

ID=5268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5925A KR101478307B1 (ko) 2014-06-20 2014-06-20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3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42B1 (ko) 2015-07-01 2015-10-29 서상준 비스코스 연질 변성우레탄 도막방수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62711B1 (ko) 2016-02-04 2016-10-18 숌부르크코리아(유) 콘크리트 방수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미네랄계 습윤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755528B1 (ko) 2016-12-06 2017-07-10 현대건업 (주) 방수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용 코팅방법
CN107162637A (zh) * 2017-06-29 2017-09-15 陈春阳 一种环保型混凝土养护剂及其制备方法
US9948493B2 (en) 2014-04-03 2018-04-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terconnection gateway
KR101838528B1 (ko) * 2017-09-04 2018-04-27 콘스타주식회사 토목구조물 유간(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탄성력과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 및 시공방법
US10225327B2 (en) 2014-08-13 2019-03-0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Remoting application servers
US10250525B2 (en) 2015-09-28 2019-04-0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nt-based services orchestration
KR102297261B1 (ko) 2021-07-07 2021-09-03 삼성포리머 주식회사 습윤 프라이머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3436A (ko) * 1997-06-05 2001-02-26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기질에 대한 부착력이 개선된 폴리우레아 엘라스토머 시스템
JP3920500B2 (ja) * 1999-05-21 2007-05-30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 ウレタン樹脂組成物、塗料、シーリング材及び硬化物の製法
JP2008082009A (ja) * 2006-09-27 2008-04-10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水シートの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3436A (ko) * 1997-06-05 2001-02-26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기질에 대한 부착력이 개선된 폴리우레아 엘라스토머 시스템
JP3920500B2 (ja) * 1999-05-21 2007-05-30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 ウレタン樹脂組成物、塗料、シーリング材及び硬化物の製法
JP2008082009A (ja) * 2006-09-27 2008-04-10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水シートの補修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493B2 (en) 2014-04-03 2018-04-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terconnection gateway
US11212159B2 (en) 2014-04-03 2021-12-2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terconnection gateway
US10992734B2 (en) 2014-08-13 2021-04-2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Remoting application servers
US10225327B2 (en) 2014-08-13 2019-03-0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Remoting application servers
KR101564242B1 (ko) 2015-07-01 2015-10-29 서상준 비스코스 연질 변성우레탄 도막방수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0250525B2 (en) 2015-09-28 2019-04-0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nt-based services orchestration
US10673777B2 (en) 2015-09-28 2020-06-0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nt-based services orchestration
KR101662711B1 (ko) 2016-02-04 2016-10-18 숌부르크코리아(유) 콘크리트 방수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미네랄계 습윤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755528B1 (ko) 2016-12-06 2017-07-10 현대건업 (주) 방수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용 코팅방법
CN107162637A (zh) * 2017-06-29 2017-09-15 陈春阳 一种环保型混凝土养护剂及其制备方法
CN107162637B (zh) * 2017-06-29 2020-10-09 陈春阳 一种环保型混凝土养护剂及其制备方法
KR101838528B1 (ko) * 2017-09-04 2018-04-27 콘스타주식회사 토목구조물 유간(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탄성력과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 및 시공방법
KR102297261B1 (ko) 2021-07-07 2021-09-03 삼성포리머 주식회사 습윤 프라이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307B1 (ko)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탕조정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US9080087B2 (en) Reduction in modulus of polyurethane sealants and adhesives
KR101310615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JP6706887B2 (ja) 高強度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0896503B1 (ko) 무기도막탄성 방수제의 무용제 우레탄 상도 코팅제
KR102043961B1 (ko) 경화 반응 시간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방수용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28103B1 (ko)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JP6799390B2 (ja) 高抗張積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1595041B1 (ko) 난연성 폴리우레아, 그 폴리우레아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 공법
AU2010304271B2 (en) Coating material for hand application
KR101888556B1 (ko) 친환경 탄성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KR20140146359A (ko) 타일 접착 공법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101420131B1 (ko) 우수한 셀프레벨링성 및 작업성을 갖는 2액형 우레탄 바닥방수용 도장재 조성물 및 시공공법
JP6939699B2 (ja) 土木建築用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土木建築構造物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017200970A (ja) 速硬化性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キットおよび施工方法
JP2017137207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床構造
JP7398208B2 (ja) コンクリート片の剥落防止工法
JP7123004B2 (ja) 土木建築用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土木建築構造物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018172518A (ja) 2液型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
JP7075813B2 (ja) 土木建築用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土木建築構造物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6939698B2 (ja) 土木建築用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土木建築構造物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021087918A (ja) 構造物の保護方法
KR100965548B1 (ko) 무용제 폴리우레탄 도막재용 폴리올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무용제 폴리우레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