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211B1 -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211B1
KR102301211B1 KR1020210010208A KR20210010208A KR102301211B1 KR 102301211 B1 KR102301211 B1 KR 102301211B1 KR 1020210010208 A KR1020210010208 A KR 1020210010208A KR 20210010208 A KR20210010208 A KR 20210010208A KR 102301211 B1 KR102301211 B1 KR 10230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layer
weight
waterproof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 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 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21001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여, 일부만 경화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상부시트(120)는, 부직포층(121), 아스팔트층(122) 및 보호필름층(123)이 차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은 시공 후 일부만 경화된 반경화 상태로 유지되어, 시공면과 상부시트(120) 사이의 접착력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유연성이 유지되어 계절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자체의 크랙이 방지되어 이중 복합 방수 시트에 의한 방수 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Dual complex waterproof sheet including semi-hardening urethane waterproof layer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반경화 상태가 유지되는 우레탄 방수층 및 우레탄 방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여, 우레탄 방수층의 크랙이나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하여 장기간 우수한 방수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의 경우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어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 발생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방수 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크게 침투성 방수 공법과 피막식 방수 공법으로 나누어지는데, 침투성 방수 공법은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피막식 방수 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에 대처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수 공법이다.
피막식 방수 공법은,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시공 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우레탄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막재와 시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복합 방수 시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레탄 방수제나 아스팔트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시공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스프레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방수제 용액을 수 차례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 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간당 작업량이 적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시공비가 증가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레탄 방수제나 아스팔트 방수제에는 유동성 및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유기 용제가 첨가되는데, 이와 같은 유기 용제는 휘발시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 방수제의 경우에는 시공 대상면과 접한 부분에서의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들뜸 현상이 잦고, 크랙 억제력이 약해, 계절이나 날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축이나 팽창이 반복되면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손상이나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제를 포함하여 방수 성능을 갖는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으로, 방수 시트를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부착시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진다. 시트 방수 공법은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융착식으로 시공하거나, 상온 시공 가능한 자착식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 시트에 포함되는 방수제로는 보통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가 사용되는데,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의 경우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함량이 높아 대기 공기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냄새로 인해 주민들에게 불쾌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는 경도에 비해 탄성과 유동성이 낮아 저온 성능 및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저온 환경이나 구조물이 수축, 이완, 진동하는 경우에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이 크랙을 따라 아스팔트 매스틱이 흘러 내리는 누유 문제 및 빗물 등이 흘러 내리는 누수 문제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 또는 우레탄 방수제를 사용한 방수 시트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이면서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새로운 방수 시트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079572호(2020.02.14. 등록)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반경화 상태가 유지되는 우레탄 방수층 및 우레탄 방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여, 우레탄 방수층의 크랙이나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우수한 방수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여, 일부만 경화(부분 경화)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상부시트(120)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위로 부직포층(121), 아스팔트층(122) 및 보호필름층(123)이 차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수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가 1 : 1~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36~52 중량부, 충전제 60~95 중량부, 촉매 0.1~3.5 중량부 및 첨가제 12~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및 지방산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시공하는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우레탄 방수층 및 우레탄 방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방수층이 형성되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우레탄 방수층으로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여 장기간 반경화 상태가 유지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적용함으로써 완전 경화 우레탄의 크랙 발생, 접착력 저하에 의한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방수 성능이 장기간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 대상면에 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시트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식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며, 고온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 및 작업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 방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는,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를 사용하지 않아, 아스팔트 매스틱 시공시 발생하는 대기오염, 인체 악역향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 토치 사용에 따른 위험성이 저하되므로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탄성과 유동성이 낮은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의 특성으로 인한 크랙 발생과 크랙으로의 누수 및 누유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여, 우레탄의 완전 경화에 따른 크랙 발생, 접착력 저하에 의한 층간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방수 성능이 장기간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의 시공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는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에 따라 경화가 이루어지되, 시공 완료 후 수년, 약 3~5년이 경과하여도 완전히 경화 되지 않고 일부만 경화되는 반경화 상태로 유지되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시공 대상면 및 상부시트(120)와의 접착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완전 경화 우레탄 수지와는 달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자체의 층 분리 및 박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연성이 우수하여 환경 변화나 방수 시공이 이루어진 토목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크랙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어, 이중 복합 방수 시트에 의한 방수 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120)는 부직포층(121), 아스팔트층(122) 및 보호필름층(123)을 포함하는 적층체로, 부직포층(121)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에 접하도록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시트(120)에 포함된 아스팔트층(122)은 방수 성능을 나타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과 함께 이중 복합 방수 성능을 구현하므로, 본 발명의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의 방수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21)은, 상부시트(120)의 유연성, 접착력 부족, 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물과의 거동 차이에 의한 상부시트(120)의 탈리, 접합부 파단 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배치된다.
부직포층(121)으로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스터 부직포, PET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온 섬유,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합성섬유를 카딩, 열융착법, 니들펀치법, 수류결합법, 스티치법 등의 방법으로 부직포화 함으로써 얻어진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는 함수율이 높아, 상부시트(121) 제조시 아스팔트층(122)에 대한 함침력 및 시공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에 대한 대한 함침력이 우수하여 이웃한 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내구성, 가공성, 내후성, 인장 및 인열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아스팔트층(122)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g/m2 이상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는 보다 향상된 내구성과 인장력을 갖기 때문에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아스팔트층(122)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층(122)은 아스팔트를 포함하여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층으로, 접착력, 물성, 내구성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해 바인더, 가소제, 필러, 점도 조절제, 촉매, 분산제 등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23)은 보호시트(120)의 충격 완화, 수분에 대한 저항, 아스팔트층(122)의 파단 방지, 열변형에 대한 저항 및 방음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써모플라스틱올레핀(TP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구성하는 방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이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각각 개별 포장되었다가, 시공 단계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1 : 1~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방수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의 반응을 통해 우레탄기를 갖는 중합체가 형성되나, 여기에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이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경화 반응 종료 후에도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은 연성이 유지되는 반경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주제는 경화제의 폴리올과 우레탄 중합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는 경화된 방수 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결정하는 주요 재료로, 경화제와 반응하여 가장 우수한 물성을 갖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형성하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6,000 g/mol, 당량은 500~2000 g/eq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반경화 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접착력 및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1 : 0.5~2의 비율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36~52 중량부, 충전제 60~95 중량부, 촉매 0.1~3.5 중량부 및 첨가제 12~28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은 주제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와 우레탄 반응하여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도막을 형성하는 성분으로, 폴리올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 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 에테르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5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올이 상기와 같이 높은 분자량을 갖는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중합체의 연성이 높아져, 경화 도막의 깨짐이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일부만 경화된 반경화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6~5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량 범위로 포함될 때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반경화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키면서도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이와 접촉하고 있는 다른 층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고,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자체의 응집력을 높이므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일부만 경화된 상태에서도 소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6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우레탄 특성이 과도하게 발현되어 층 분리나 도막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반경화 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시공 완료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52 중량부를 초과하도록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연성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반응으로 얻어진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30~80 중량% 및 용제 2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제로는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및 디메틸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톨루엔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디메틸카보네이트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이 적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으나, 용해력이 약하기 때문에 용해력이 높은 톨루엔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톨루엔에 의한 용해력 증가 및 디메틸카보네이트 사용에 따른 VOC 방출량 저감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š문에, 용제로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톨루엔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반응으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반응으로 얻어진 알키드 수지를 지방산 화합물을 이용하여 변성시킨 것으로, 이와 같이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반경화 상태를 유도하고, 이러한 반경화 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과 접착되는 다른 접착면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연성을 높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반응으로 얻어진 알키드 수지를 지방산 화합물을 이용하여 변성시킨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내용제성, 내후성 및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높아 반경화 상태의 우레탄 방수층(110)이 반경화 상태로 존재하더라도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반응으로 얻어진 알키드 수지의 변성을 유도하기 위한 지방산 화합물로는 대두유지방산, 톨유지방산, 피마자유지방산, 미강유지방산, 아마인유지방산 및 코코넛유지방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케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 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말레익산, 이타콘산,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 올라크릴 아마이드, 디아세톤 아크릴 아마이드,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로 니트릴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와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춤으로써 향상된 유연성 및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로 베타카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베타카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는 1 : 0.3~0.7의 중량 비율을 갖도록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 비율보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충분한 유연성 확보가 곤란하고, 베타카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응집력 감소로 인해 도막의 형태 변형이 쉽게 일어나 결과적으로 도막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를 만족하도록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가 1 : 0.3~0.7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변성 아크릴 수지 제조시 상기 혼합 비율을 벗어나는 범위로 반응시키는 경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반경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접착성이나 흐름성이 불량해져 도막으로써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를 상술한 중량 범위로 반응시킨 변성 아크릴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제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입자상의 물질로,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9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충전제의 함량이 6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및 치수안정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없는 충전제의 특성으로 인해 충전제가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으로부터 탈리되거나, 나아가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접착력 및 탄성이 저하되어 층간 박리,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손상 및 이에 따른 방수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제로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클레이,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실리카, 질화붕소, 이산화티타늄, 중공 세라믹, 발포 퍼라이트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는 0.5~50㎛의 평균 입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전제의 입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서 경화제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서로 응집되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전제의 입자 크기가 과도하게 커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내에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고분자 성분들과의 충분한 접착력이 형성되지 않아, 입자가 탈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평균 입도 범위를 갖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경화제와 주제가 혼합되었을 때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 사이의 우레탄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촉매에 의해 우레탄 경화 반응 속도가 조절되어 도막의 가사 시간 및 경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촉매에 의해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의 증발 시간과 우레탄 경화 반응 속도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도막 내부의 기포 발생 없이 고품질의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제조할 수 있다.
촉매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촉매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촉매에 의한 반응 촉진 효과가 미미하여 가사 시간 및 경화 시간 단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촉매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사 시간 및 경화 시간이 과도하게 단축되어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에 의해 도막 내 기포가 형성되어 도막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로는 아민계 촉매 또는 금속 착물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물리적 성질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첨가제로 가소제, 소포제, 분산제 및 내구성증진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2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한 성능 및 작업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첨가제 함량에 의해 도막의 강도나 접착성과 같은 기본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경화제의 유동성을 높이며, 도막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프탈산 에스테르, 프로세스 오일, 팜오일, 고비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 중 프탈산 에스테르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스 오일로는 아로마틱계, 나프텐계, 파라핀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비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는 탄소수가 13~20개인 탄소 화합물일 수 있다.
소포제는 도막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여 균일한 두께 및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지방산 에스테르계, 알콜계, 인산 에스테르계, 금속비누계, 실리콘계 소포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경화제 내에 포함되는 각종 성분들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분산제로 저분자 불포화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계, 폴리실릭산 공중합체류, 고분자 블록 공중합물류, 폴리카르복실릭산 아민염계, 아민계 등의 분산제가 단독 사용되거나 혹은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구성증진제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강도를 향상시켜 장기적인 내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상기 내구성증진제는 헤스페레틴 라우레이트(Hesperetin laurate)일 수 있다.
이러한 내구성증진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내구성증진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부착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를 시공하는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구조물(F)의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라이머층(P)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치핑 공정이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는, 시공 대상면과 이중 복합 방수 시트(1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수분이 구조물(F)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를 시공 대상면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프라이머로는 아크릴계 프라이머, 에폭시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형성 단계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여기서 사용되는 방수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시트 설치 단계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상부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부시트(120)의 부직포층(121)과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과 동시에 혹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나중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시트(120)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설치되어, 미경화된 방수 조성물이 부직포층(121)에 침투된 후 경화되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과 상부시트(120) 사이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먼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방수 조성물을 형성한 뒤, 이를 바탕면에 도포하고 일주일간 양생하여 반경화 상태의 실시예 1의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주제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0~3,000 g/mol, 당량 800~1,200 g/eq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1 : 0.7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경화제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 12,000~1,4000 g/mol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38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평균 입도 5~20㎛) 75 중량부, 촉매인 트리에틸렌디아민 1.2 중량부, 첨가제 1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로 무수프탈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 52 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45 중량부 대두유지방산 178 중량부를 톨루엔과 디메틸카보네이트가 1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 하에 반응시켜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아크릴 단량체와 반응시켜 얻어진 고형분 65 중량%의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이때 아크릴 단량체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베타카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1 : 0.5의 중량 비율로 함께 사용하였다.
상기 첨가제로는 가소제인 파라핀 오일 7 중량부, 소포제인 BYK®-011 3 중량부, 분산제인 DisperBYK®-112 5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제조하되, 경화제에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대신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변성 아크릴 수지 대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2 중량%, 아크릴산 23 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1 중량% 및 베타카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4 중량%를 반응시켜 얻어진 아크릴 수지(고형분 52 중량%)를 사용한 비교예 3의 방수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방수 조성물의 상온 양생 및 가속 노화 조건에서의 부착강도, 신율 및 내수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상온 양생은 24±2℃의 온도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수행되었고, 가속 노화는 가속 노화 조건(60±5℃)에서 12주간 수행되었다.
부착강도 및 신율은 KS F 321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내수성은 각 방수 조성물 시료를 10×15 cm의 철판에 70 g/mm2 의 양으로 도포하고 상온에서 2주간 건조하여 방수 도막이 형성된 시편을 제조한 뒤, 각 시편을 상온(24℃)의 물에 7일간 수침시킨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막 부풀음, 크랙, 박리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내수성이 불량한 것으로, 수침 전과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도 없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온양생 가속노화
부착강도(N/mm2) 신율(%) 내수성 부착강도(N/mm2) 신율(%) 내수성
실시예 1 0.29 534 양호 0.23 458 양호
비교예 1 0.18 220 양호 0.08 128 불량
비교예 2 0.21 214 양호 0.11 221 양호
비교예 3 0.23 268 양호 0.13 211 양호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해 상온양생 및 가속노화 후 부착강도 및 신율이 현저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 1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상온양생 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도막의 일부만 경화된 반경화 상태로 양생되었으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은 완전 경화되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반경화된 상태가 가속노화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도막이 완전히 경화되어 가속노화를 통해 도막의 노후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부착강도와 신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반경화된 상태가 유지되어 부착강도 및 신율 저하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우레탄 수지를 기반으로 한 방수 도막 제조시, 반경화된 방수 도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방수 도막의 상태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경화제에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를 반응시켜 얻어진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제조하되, 경화제에 사용되는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제조하고, 각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의 상온양생 및 가속노화 후의 부착강도 및 신율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한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중량부)
상온양생 가속노화
부착강도(N/mm2) 신율(%) 부착강도(N/mm2) 신율(%)
비교예 4 35 0.21 452 0.13 146
실시예 1 38 0.29 534 0.23 458
실시예 2 44 0.30 556 0.24 443
실시예 3 49 0.30 577 0.24 455
실시예 4 51 0.32 578 0.23 431
비교예 5 54 0.31 581 0.15 256
먼저, 각 도막의 상온양생 및 가속노화 후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양생 조건에 관계 없이 전체 도막 모두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반경화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한편, 전체 시편 모두 상온양생 후 부착강도 및 신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시편의 경우 가속노화 후 부착강도 및 신율의 저하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에는 가속노화 후에도 부착강도 및 신율 저하폭이 적어, 우수한 부착강도 및 신율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경우 가속노화 후 부착강도 및 신율이 약 절반 혹은 그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화제에 포함되는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어, 도막의 우레탄 특성이 강화되어 장기적인 도막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비교예 5의 경우에는 반대로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기 때문에 도막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의 장기적인 접착 강도, 연성 유지 및 이에 따른 장기적인 도막의 형태와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제조하기 위한 방수 조성물의 경화제에 포함되는 변성 아크릴 수지의 함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6~5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제조하되, 방수 조성물에 첨가제로 내구성증진제인 헤스페레틴 라우레이트를 추가로 더 첨가하여 제조한 뒤, 실험예 2와 동일한 상온양생 및 가속노화 조건에서의 부착강도와 신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에서 내구성증진제의 함량은 사용된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내구성증진제
(중량부)
상온양생 가속노화
부착강도(N/mm2) 신율(%) 부착강도(N/mm2) 신율(%)
실시예 1 - 0.29 534 0.23 458
실시예 5 1 0.28 539 0.27 492
실시예 6 2 0.28 554 0.27 518
실시예 7 3 0.30 545 0.28 506
실시예 8 4 0.29 557 0.29 527
실시예 9 5 0.28 560 0.27 544
실시예 10 6 0.22 548 0.20 511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내구성증진제가 첨가되는 경우에는 가속노화 조건에서 부착강도 및 신율이 상온양생일 때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 내구성증진제를 사용함으로써 노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 속도가 늦춰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러나, 실시예 10과 같이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상온양생시의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수 조성물에 내구성증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인 경우에는 부착강도를 포함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내구성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중 복합 방수 시트 110: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120: 상부시트 121: 부직포층
122: 아스팔트층 123: 보호필름층

Claims (7)

  1.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고, 부분 경화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상부시트(120)는, 부직포층(121), 아스팔트층(122) 및 보호필름층(123)이 차례로 적층되는 것이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36~52 중량부, 충전제 60~95 중량부, 촉매 0.1~3.5 중량부 및 첨가제 12~2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및 지방산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가 1 : 1~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7.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시공하는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분 경화된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올 및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1 : 1~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경화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36~52 중량부, 충전제 60~95 중량부, 촉매 0.1~3.5 중량부 및 첨가제 12~2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무수프탈산,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및 지방산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210010208A 2021-01-25 2021-01-25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0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08A KR102301211B1 (ko) 2021-01-25 2021-01-25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08A KR102301211B1 (ko) 2021-01-25 2021-01-25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211B1 true KR102301211B1 (ko) 2021-09-13

Family

ID=7779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08A KR102301211B1 (ko) 2021-01-25 2021-01-25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999B1 (ko) * 2022-12-06 2023-03-03 안동수 하이브리드 방수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이중복합방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509A (ko) * 2007-12-31 2009-07-03 (주)디피아이 홀딩스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JP2014080548A (ja) * 2012-10-18 2014-05-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防錆剤組成物及び防錆剤被覆鋼材
KR101420131B1 (ko) * 2013-12-31 2014-07-17 설태윤 우수한 셀프레벨링성 및 작업성을 갖는 2액형 우레탄 바닥방수용 도장재 조성물 및 시공공법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156640B1 (ko) * 2020-02-05 2020-09-16 (주)페트로산업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시공방법 및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509A (ko) * 2007-12-31 2009-07-03 (주)디피아이 홀딩스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JP2014080548A (ja) * 2012-10-18 2014-05-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防錆剤組成物及び防錆剤被覆鋼材
KR101420131B1 (ko) * 2013-12-31 2014-07-17 설태윤 우수한 셀프레벨링성 및 작업성을 갖는 2액형 우레탄 바닥방수용 도장재 조성물 및 시공공법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156640B1 (ko) * 2020-02-05 2020-09-16 (주)페트로산업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시공방법 및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999B1 (ko) * 2022-12-06 2023-03-03 안동수 하이브리드 방수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이중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4320B2 (en) Composite fiber cement article with radiation curable component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EP3533809B1 (en) Radical-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KR102260136B1 (ko) 차열/단열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KR102113548B1 (ko)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671467B1 (ko) 폴리우레탄 발포 지수제, 그 제조방법 및 그 지수제를 이용한 지수공법
KR19980071870A (ko) 구조물의 보강 방법
KR102301211B1 (ko) 반경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957621B1 (ko)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KR102392315B1 (ko)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KR102156640B1 (ko)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시공방법 및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978686B1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2066006B1 (ko) 건물 외벽 균열 보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 균열 보수 시공방법
JPH093855A (ja) 遮水シート工法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H08311805A (ja) 床版防水材料、床版防水舗装構造体及び床版施工方法
KR102178499B1 (ko) 보강 및 변형 억제부재 모듈,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단면 복구 공법
JP2580829B2 (ja) 複合被覆構造体、土木建築物及び複合被覆構造体施工法
JP2021095822A (ja) 床版防水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材料
JP3278001B2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接着工法
JP2021122825A (ja) 被膜形成方法、及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