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11B1 -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11B1
KR101843811B1 KR1020160008559A KR20160008559A KR101843811B1 KR 101843811 B1 KR101843811 B1 KR 101843811B1 KR 1020160008559 A KR1020160008559 A KR 1020160008559A KR 20160008559 A KR20160008559 A KR 20160008559A KR 101843811 B1 KR101843811 B1 KR 10184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acrylic copolymer
powder
liquid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555A (ko
Inventor
최정희
김동춘
Original Assignee
최정희
김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희, 김동춘 filed Critical 최정희
Priority to KR102016000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04B41/45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powdery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586Roof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Hybrid water proofing material comprising acrylic copolymer and inorganic powder}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지붕, 지하실 등 각종 구조물 바닥,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빗물 등이 스며들었을 경우, 일부가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각종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지붕, 외벽, 바닥, 저장탱크 등을 방수 시공하고 있다.
상기한 방수 시공공법으로는 아스팔트, 콜타르피치, 우레탄, 에폭시 등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아스팔트나 콜타르피치를 함침한 종이, 펠트, 천 등 방수시트로 시공면을 덮고, 그 위에 모르타르, 레미콘 등을 타설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 방수재로서, 한국등록특허 10-0977160에는 바탕기재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기재의 코너부에 부틸합성고무 밴드를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에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재의 상부에 보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는 제1액과 제2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액은 우레탄 경화제 15∼40중량%, 연화제 10∼40중량%, 무기질 필러 20∼70중량%, 점착부여제 2∼20중량%, 반응 촉매 0.1∼5중량%, 안료 1∼10중량% 및 기타 첨가제 0.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액은 분자쇄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를 가지는 우레탄 프리폴리머 또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틸합성고무 밴드는 부틸합성고무 매스틱 조성물을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는 바형상의 부틸합성고무 밴드로 성형하되, 상기 이등변 삼각형은 등변의 길이가 2∼7cm이고, 꼭지각의 크기가 80∼150°이며, 상기 부틸합성고무 밴드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이형층이 구비되고, 상기 부틸합성고무 매스틱 조성물은 부틸고무 10∼30중량%, 연화제 3∼20중량%, 무기질 필러 20∼70중량%, 점착부여제 8∼25중량%, 개질재 4∼15중량% 및 점도 조정제 4.8∼2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73298에는 기초부재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 바탕조정제로서 폴리우레아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조정제 상부에 방수용으로서 폴리우레아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탕조정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A액 및 폴리올, 폴리아민 및 폴리아스파틱 에스터를 함유하는 B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A액은 NCO%가 8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B액은 폴리올이 5 내지 20중량%이고, 폴리아민이 20 내지 40중량%이고, 폴리아스파틱에스터(polyaspartic ester)가 20 내지 40 중량% 이며, 상기 A액과 B액의 부피비는 1:1이고, 상기 B액에는 실리콘계 소포제, 1.3-BG, 1.4-BD,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가 첨가물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탕조정제로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방수공법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469840에는 MMA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교면 바닥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MMA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방수층의 상부로 택코팅을 실시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교면 포장 방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방수재는 MMA수지와 골재를 포함하되, 상기 MMA수지는 MMA, PMMA, 우레탄(U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P),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배합하여 고분자 물질화 된 수지이며, 상기 골재는 규사, 탄산칼슘, 자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수재는, MMA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골재 100 내지 400중량부, 상기 골재보다 입경이 작은 충진분말 100 내지 30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면서, 증점제로는 메틸셀롤로오즈(MC)에 수용성 고분자를 도입한 것으로 타 조성들과 혼합 시 즉각적인 증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이후에 메틸셀롤로오즈(MC)가 증점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히드록실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계 점성분말 1 내지 3중량부와, 표면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미세균열로의 충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0.5 내지 1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포장 방수재가 공지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50009에는 수용성 아크릴 중합체, 실리콘 EVA 레진 및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멀션으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계 모노머,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관능성 모노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포함하며, 상기 단관능성 불포화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400065에는 변성 아크릴 에멀젼 55∼7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수지 20∼35 중량부; 에폭시수지 5∼1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10 중량부; 실리콘수지 1∼3 중량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유기계 방수재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시공의 열악한 시공시스템으로 인해 방수재료가 충분히 교반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공기지연과 그에 따른 공사비 상승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막이 형성되는 과정 또는 도막이 형성이 된 후 바탕으로부터의 수분 또는 공기등의 팽창에 의해 기포(bubble) 또는 에어포켓(air pocket)이 발생되며, 일단 기포가 발생되면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낮과 밤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 팽창을 거듭하게 되어 기포주변의 도막이 피로 파단되기 때문에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균열 발생시 방수층이 함께 파단이 되는 등 구조물의 거동에 취약하다는 점, 시공 후 경화 또는 건조공정이 요구되어져 공기가 길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부착성능 확보를 위한 시공관리의 부족으로 균열, 누수, 에어포켓에 의한 박리 및 탈락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체공법으로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를 사용하는 공법이 검토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수공법의 경우 대규모 콘크리트 구조체에 적용시 로울 러 및 흙손으로 방수층을 형성시키므로 방수층의 일정한 도막두께 확보(품질확보)가 어렵고, 공사기간의 단축이라는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도리어 공기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신너와 같은 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위험이 높아지고 작업자의 작업환경 악화와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서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특히, 2008년 이천 냉동 창고- 우레탄으로 인한 화재사건, 2009년 부산사격장-우레탄으로 인한 화재로 토목, 건축물의 화재방지차원에서 불연성 재료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더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여서 불연 또는 난연성 무기계 방수재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균열성이 우수한 유기계 액상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를 혼합 사용하여 방수층의 품질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폐연마재 분말과 순환골재분말 등의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부착강도가 0.8N/mm2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N/mm2이상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표면에 잔갈림이 없으며, 투수되지 않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내균열성이 우수한 유기계 액상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를 혼합 사용하여 방수층의 품질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폐연마재 분말과 순환골재분말 등의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의 방수층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종래의 방수재의 교반 및 시공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종래의 방수재의 균열, 탈리, 탈락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의 방수층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부착강도가 0.8N/mm2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N/mm2이상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표면에 잔갈림이 없으며, 투수되지 않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로 형성된 방수층의 일례를 설명하면,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혼합된 무기질계 분체는 콘크리트 미세 셀(cell) 사이로 침투되어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증강시킨다.
이때, 무기질계 분체는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는 내균열성이 우수한 유기계 액상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부착강도가 0.8N/mm2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N/mm2이상으로서, 균열 및 탈리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고, 표면에 잔갈림이 없으며, 투수되지 않으므로 내수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방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게 발현되는 이유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COOH기가 고분자 말단에 존재하여 분체의 무기질 재료에 존재하는 양이온(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등)과 매우 강력한 이온결합을 형성하므로 강한 부착강도와 인장강도를 발현시키게 되고, 상기 무기질 분체로 인하여 에어포켓이 발생되지 않으며, 표면조도가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과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공중합시키므로써 내균열성 뿐만 아니라 부타디엔고무 라텍스의 접착성 및 탄성을 부가하여 우수한 방수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다.
부틸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와 부타디엔고무 라텍스 20중량부, 탈이온수 100중량부, 유화제 2중량부, 중합개시제 1중량부, 중합촉진제 0.5중량부, 중화제 1중량부를 5시간 동안 혼합, 중합하여 액상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및 시멘트분말을 상기 액상수지에 중량비로 100 : 20으로 균질하게 교반하여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뿜칠재로 하여 바닥면에 도포하고 도막을 형성한 후, 경화하여 부착강도, 인장강도, 균열성 및 투수성을 KS F 4919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부착강도 인장강도 투수성 균열성
실시예 1 1.8N/mm2 1.2N/mm2 투수안됨 잔균열없음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는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내균열성 및 내투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도포한 경우에는 표면평탄도 및 표면조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및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로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포함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COO-기는 상기 무기질계 분체에 존재하는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양이온과 이온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의 부착강도와 인장강도를 발현시키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포함된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의 접착성과 탄성을 발현시키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혼합된 무기질계 분체는 콘크리트 미세 셀(cell) 사이로 침투되어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8559A 2016-01-25 2016-01-25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Expired - Fee Related KR10184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59A KR101843811B1 (ko) 2016-01-25 2016-01-25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59A KR101843811B1 (ko) 2016-01-25 2016-01-25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55A KR20170088555A (ko) 2017-08-02
KR101843811B1 true KR101843811B1 (ko) 2018-04-02

Family

ID=5965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3811B1 (ko) 2016-01-25 2016-01-25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434B1 (ko) * 2021-03-05 2021-12-06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친환경 초속경 유.무기질계 탄성도막 방수재 및 이를 활용한 탄성도막 방수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79B1 (ko) * 2018-03-19 2018-07-25 (주)세움특수건설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KR101971587B1 (ko) * 2018-12-03 2019-04-24 주식회사 유광씨앤씨 바탕면의 중성화 방지와 강도증강용 바탕조정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2135871B1 (ko) * 2018-12-20 2020-07-20 주식회사 엔페이브 단면복원이 가능한 구스계 라텍스팔트 및 이를 이용하는 초속경 수경화성 복합 적층식 방수포장 보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32B1 (ko) * 2011-04-04 2011-08-16 주식회사 새솔건설화학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32B1 (ko) * 2011-04-04 2011-08-16 주식회사 새솔건설화학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434B1 (ko) * 2021-03-05 2021-12-06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친환경 초속경 유.무기질계 탄성도막 방수재 및 이를 활용한 탄성도막 방수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55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174476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JP5071630B2 (ja) 複合防水工法
KR101778261B1 (ko) 건축물의 복합 방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2460723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5076584B2 (ja) 通気性複合防水工法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WO2022255145A1 (ja) 構造物保護シート及び補強された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70108616A (ko)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589046B1 (ko) 수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용 경화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476592B1 (ko)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0996660B1 (ko) 방수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2280015B1 (ko)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