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06B1 -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06B1
KR102321506B1 KR1020210023310A KR20210023310A KR102321506B1 KR 102321506 B1 KR102321506 B1 KR 102321506B1 KR 1020210023310 A KR1020210023310 A KR 1020210023310A KR 20210023310 A KR20210023310 A KR 20210023310A KR 102321506 B1 KR102321506 B1 KR 10232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weight
waterproofing
lay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 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 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21002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는, 보호필름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보호층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복합 시트에 방수 및 방근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Intergrated silicone sheet for waterproof and root iso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방수층의 상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방근 성능을 갖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보호층의 저면에 실리콘계 접착층을 구비하여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보호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의 경우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어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 발생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방수 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크게 침투성 방수 공법과 피막식 방수 공법으로 나누어지는데, 침투성 방수 공법은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피막식 방수 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에 대처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수 공법이다.
피막식 방수 공법은,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시공 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우레탄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막재와 시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복합 방수 시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레탄 방수제나 아스팔트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시공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스프레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방수제 용액을 수 차례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 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간당 작업량이 적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시공비가 증가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레탄 방수제나 아스팔트 방수제에는 유동성 및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유기 용제가 첨가되는데, 이와 같은 유기 용제는 휘발시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 방수제의 경우에는 시공 대상면과 접한 부분에서의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들뜸 현상이 잦고, 크랙 억제력이 약해, 계절이나 날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축이나 팽창이 반복되면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손상이나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제를 포함하여 방수 성능을 갖는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으로, 방수 시트를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부착시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진다. 시트 방수 공법은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융착식으로 시공하거나, 상온 시공 가능한 자착식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 시트에 포함되는 방수제로는 보통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가 사용되는데,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의 경우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함량이 높아 대기 공기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냄새로 인해 주민들에게 불쾌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는 경도에 비해 탄성과 유동성이 낮아 저온 성능 및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저온 환경이나 구조물이 수축, 이완, 진동하는 경우에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이 크랙을 따라 아스팔트 매스틱이 흘러 내리는 누유 문제 및 빗물 등이 흘러 내리는 누수 문제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제 또는 우레탄 방수제를 사용한 방수 시트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이면서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새로운 방수 시트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079572호(2020.02.14. 등록)
본 발명에서는 방수 성능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방수층의 상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방근 성능을 갖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보호층의 저면에 실리콘계 접착층을 구비하여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보호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수층(110); 및 상기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120)는, 보호필름층(122) 및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1~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제는, 실리콘 폴리머 18~35 중량%, 실리콘 오일 10~24 중량%, 충전제 35~62 중량%, 용매 5~12 중량% 및 첨가제 0.01~2.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22)은, PVC 또는 PE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가교제 65~80 중량%, 실란 화합물 19~34 중량% 및 촉매 0.05~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층(121)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보강필러, 유기용매, 실란 가교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1~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시트(120)는, 보호필름층(122) 및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는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과 보호층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실리콘 재질의 방수층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복합 시트에 방수 및 방근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의 시공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 방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는,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를 사용하지 않아, 아스팔트 매스틱 시공시 발생하는 대기오염, 인체 악역향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 토치 사용에 따른 위험성이 저하되므로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탄성과 유동성이 낮은 아스팔트 매스틱계 방수제의 특성으로 인한 크랙 발생과 크랙으로의 누수 및 누유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방근 성능을 갖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옥상, 지하구조물 상부 등과 같은 인공 지반에 식물 등을 이식하여 녹화시키고자 할 때 식물의 뿌리가 인공 지반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의 시공 후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수층(110); 및 상기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층(110)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와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며, 시공 후 실리콘 고분자와 실란 화합물이 반응하여 경화물을 형성하므로, 방수층(110)을 통한 방수 성능이 구현되어 누수 혹은 누유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120)는 방근 성능을 갖는 보호필름층(122)과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시 실리콘 코팅층(121)이 방수층(110)과 맞닿도록 설치됨으로써 상부시트(120)와 방수층(11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리콘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제와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1~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는데, 경화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실리콘 폴리머의 경화 속도가 과도하게 느려져 시공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방수층(110)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사 시간이 과도하게 빨라져 시공 대상면에 도포하기 전에 이미 경화가 진행되어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는 실리콘 폴리머 18~35 중량%, 실리콘 오일 10~24 중량%, 충전제 35~62 중량%, 용매 5~12 중량% 및 첨가제 0.01~2.2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하며 방수층(110)의 방수성, 강도, 탄성, 내후성, 내구성 등의 물성을 발현하는 주 성분이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일 수 있으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규소와 산소의 실론산 결합(Si-O-Si)를 기본 골격으로 두 개의 메틸기를 갖는 물질로, 실록산 결합에 의해 낮은 표면장력, 내산화성 및 불휘발성과 같은 무기적 성질과 메틸기에 의한 확산성 등과 같은 유기적 성질을 모두 갖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폴리머로 바람직하게는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HO-PDMS-OH의 구조를 가지며, 경화제와 반응후 양 말단의 하이드록시기에 의해 수소 결합을 형성하며 고분자 사슬이 얽힌 그물상 구조를 형성하여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방수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주제 내에 18~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8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폴리머에 의한 방수층(110)의 방수 성능, 탄성, 내후성, 접착력 등과 같은 물성의 발현이 미미하여 방수층(110)의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감소하여 방수층(110)의 강도나 작업성 등의 저하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로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 15,000~25,000 g/mol인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수평균 분자량 70,000~90,000 g/mol인 제2 실리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리콘 폴리머는 분자량이 높아 방수성, 내후성, 탄성, 접착력, 강도 등의 물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점도가 높아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이 떨어지므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작업성의 저하, 분화구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아 흐름성과 혼합성이 우수한 저분자량의 제1 실리콘 폴리머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양만을 사용하여 실리콘 폴리머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불휘발분이 고함량으로 포함된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분자량이 상이한 저분자량의 제1 실리콘 폴리머와 고분자량의 제2 실리콘 폴리머가 함께 사용됨으로써 방수층(110)의 신축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제2 실리콘 폴리머는 1 : 0.25~0.6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방수층(110)의 신축성 및 인장강도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 제2 실리콘 폴리머가 부족하게 사용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폴리머에 의한 물성 발현이 미미하고, 흐름성이 과도하게 향상되어 오히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제2 실리콘 폴리머가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균일한 혼합이 어려워 방수층(110)의 물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실리콘 폴리머와 충전제 및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실리콘 오일이 첨가되는 경우 이러한 혼화성 향상 효과뿐만 아니라 방수층(110)의 압축 변형에 대한 복원성 향상 효과가 함께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주제 내에 10~2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혼합성 향상, 복원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2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물성을 발현하는 실리콘 폴리머나 충전재 등의 함량이 감소하여 방수층(110)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리콘 오일로 실리콘계 프로세스 오일과 오가노실라잔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헥사메틸디실라잔, 1,4-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라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휘발성 및 가공성을 고려하여 상기 실리콘 오일로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3~700cps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방수층(11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입자상의 물질로, 주제 내에 35~6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3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강도 향상, 치수안정성 확보 효과가 미미하고, 6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없는 충전제의 함량이 과도하고, 상대적으로 접착력을 발휘하는 실리콘 폴리머의 함량이 부족하여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접착력, 방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제로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실리카, 질화붕소, 이산화티타늄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강도 형성과 안료 첨가시 안료에 의한 색상 발현을 위해 충전제로 탄산칼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제는 0.5~50㎛의 평균 입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전제의 입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서 주제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서로 응집되므로, 방수층(110)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전제의 입자 크기가 과도하게 커서 실리콘 방수 조성물 내에서 충분한 접착력이 형성되지 않아 입자의 탈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평균 입도 범위를 갖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주제에 포함되는 각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키고, 주제의 점도를 낮춰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용매로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규제 면제 용매인 아세톤, 디메틸카보네이트, t-부틸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아세톤과 디메틸카보네이트의 경우에는 휘발성이 강해서 작업시 건조가 과도하게 빠르게 진행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용매로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낮아 작업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t-부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매는 주제 내에 5~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용성 확보가 어렵고,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성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도막 형성이 곤란하고, 상대적으로 불휘발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작업성 및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첨가제로 소포제, 분산제, 방향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전체 주제 내에 0.01~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주제 제조시, 혹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할 때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지방산 에스테르계, 알콜계, 인산 에스테르계, 금속비누계, 실리콘계 소포제 등이 있으나,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계 소포제가 경화 반응에 참여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비실리콘계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주제 혹은 실리콘 방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종 성분들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알려진 임의의 분산제가 별다른 제한 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분산제, 우레탄계 분산제, 폴리카보네이트계 분산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및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향제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 특유의 냄새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향료나 방향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에 색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예를 들어 크롬산납염,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황산바륨, 규산알루미늄, 탈크, 흑연, 카본 블랙, 산화철 그린, 산화철 레드 및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로 코팅된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제는 기능향상제 0.5~1.2 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향상제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향상제는 헤스페레틴 라우레이트(Hesperetin laurate)일 수 있다.
상기 기능향상제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을 저하시켜 방수층(110)의 방수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주제에 포함되어 있는 실리콘 폴리머와 반응하여 물성을 향상시키고 경화를 일으키는 성분으로, 가교제 65~80 중량%, 실란 화합물 19~34 중량% 및 촉매 0.05~1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제는 실리콘 폴리머를 경화시키고,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경화제 내에 65~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6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느려져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고, 가교도가 저하되어 경화 후 우수한 물성의 확보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경화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져 도막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경화 속도 조절 및 도막의 물성 확보를 위해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실리콘 폴리머와 반응하여 실리콘 폴리머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경화제 내에 19~3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9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성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3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도 특성이 저하되어 도막에 공극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인장강도와 같은 물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화합물로 예를 들어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는 실리콘 폴리머와 가교제 및 실란 화합물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경화제 내에 0.05~1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촉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촉매에 의한 반응 촉진 효율이 떨어지거나, 잉여 촉매에 의해 경화 후 도막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촉매로 공지의 다양한 촉매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금 촉매나 주석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주석 촉매로는 예를 들어, 옥토산 주석,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또는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시트(120)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에 방근 성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부시트(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수층(110)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상부시트(120)는 보호필름층(122) 및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층(122)은 방근 성능을 갖는 필름으로,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B(Polybuten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yrene copolymer),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FRP(fiber reinforced plastic),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동박 또는 알루미늄박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VC, PET, PP, PE, PB, PS, ABS, PVA, PVB, FRP 또는 HDPE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VC나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층(121)은 방수층(110)과 동종 재질인 실리콘 고분자를 포함하여, 상부시트(120)와 방수층(11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코팅층(121)은 실리콘 코팅 조성물을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 조성물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42~63 중량%, 보강필러 8~16 중량%, 유기용매 20~45 중량%, 실란 가교제 1~8 중량% 및 촉매 1~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실란 가교제와 반응하여 경화됨으로써 실리콘 코팅층(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 메톡시기, 디메틸비닐실록시기 및 트리메틸실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일 예로,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양 말단의 하이드록시기에 의해 수소 결합을 형성하며 고분자 사슬이 얽힌 그물상 구조를 형성하여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실리콘 코팅층(121)의 형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다른 예로, 양 말단이 메톡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상온 경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 코팅층(121)에 높은 유연성, 내화학성 및 내산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š, 실리콘 코팅층(121)의 충분한 물성 및 작업성 확보를 위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수평균 분자량은 8,000~35,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실리콘 코팅 조성물 내에 42~6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화 후 실리콘 코팅층(121)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에 과도한 시간이 요구되거나 실리콘 코팅층(121)의 강도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필러는 실리콘 코팅층(121)의 강도 향상 및 치수안정성 확보를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실리콘 코팅 조성물 내에 8~16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8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의 확보가 곤란하고, 16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경도 상승, 실리콘 코팅층(121)의 유연성 부족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필러로,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실리카, 질화붕소, 이산화티타늄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표면 개질된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카의 소수성이 높아져 실리콘 코팅 조성물 내에서 보다 균일한 분산이 가능해지며, 실리콘 코팅층(121) 수분 및 산소투과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실리콘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실리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전체 조성물 내에 20~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4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 저하에 의해 오히려 작업성이 불량해지므로, 상술한 중량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용매로 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에틸에테르, 1,4-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t-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프로필 케톤, 메틸 이소아밀 케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n-부탄올,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콜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규제 면제 용매인 아세톤,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t-부틸 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아세톤과 디메틸카보네이트의 경우에는 휘발성이 강해서 작업시 건조가 과도하게 빠르게 진행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용매로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낮아 작업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t-부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가교제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반응하여 그물구조를 형성하며 경화됨으로써 경화체인 실리콘 코팅층(121)의 강도, 내구성, 내후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실란 가교제는 실리콘 코팅 조성물 내에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실란 가교제 첨가에 의한 물성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 상승에 의한 작업성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 가교제로 예를 들어,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실란 가교제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실리콘 코팅 조성물 내에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실리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촉매로 공지의 다양한 촉매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금 촉매, 주석 촉매 또는 티타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코팅층(121)의 내수성 확보를 위해 티타늄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티타늄 촉매로 예를 들어, 티탄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탄옥틸렌 글리콜레이트, 티탄테트라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탄에틸 아세토 아세테이트, 디프로폭시티탄-비스(에틸아세토 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 아세테이트)티타늄 또는 디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톤)티타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티탄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탄에틸 아세토 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리콘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층(121)은 방수층(110)과 동종 재질인 실리콘 고분자를 포함하여, 상부시트(120)와 방수층(11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리콘 코팅층(121)의 내수성, 내후성, 내화학성,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를 시공하는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구조물(F)의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라이머층(P)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치핑 공정이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는, 시공 대상면과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1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수분이 구조물(F)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를 시공 대상면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프라이머로는 아크릴계 프라이머, 에폭시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 형성 단계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여기서 사용되는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시트 설치 단계는, 방수층(110) 상부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부시트(120)의 실리콘 코팅층(121)과 방수층(110)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방수층(110)과 동시에 혹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나중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시트(120)는 방수층(110)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경우, 미경화된 방수층(110)이 갖는 점착력으로 인해 상부시트(120)가 방수층(110)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주제 제조
먼저, 실리콘 오일인 디메틸실리콘 오일과 용매인 t-부틸 아세테이트를 교반하여 혼합하고, 계속해서 교반하며 실리콘 폴리머를 서서히 투입하여 균일한 분산액을 제조한 뒤, 첨가제인 소포제, 분산제, 안료 및 방향제를 투입하고, 충전제인 탄산칼슘 분말(평균 입도 1~25㎛)을 첨가하고 고속 교반하여 분산시켜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주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로는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실리콘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약 20,000 g/mol인 제1 실리콘 폴리머와 80,000 g/mol인 제2 실리콘 폴리머가 1 : 0.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첨가제인 소포제로는 비실리콘계 소포제 BYK-A535를 사용하였고, 분산제로는 모노랄 M-500을 사용하였으며, 안료로는 카본블랙 안료를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리콘 폴리머 25.700
실리콘 오일 15.085
충전제 50.250
용매 8.215
소포제 0.315
분산제 0.225
안료 0.205
방향제 0.005
합계 100.000
경화제 제조
먼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D-90, 소켄화학)와 실란 화합물인 XIAMETER™ OFS-6020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한 뒤, 계속해서 교반하며 촉매를 투입하여, 가교제 74.65 중량%, 실란 화합물 25.28 중량% 및 촉매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7 중량%의 조성을 갖는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실리콘 방수 조성물 제조
앞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비가 100 : 1.25가 되도록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상기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실시예 1의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인장강도, 파단신장률, 항장적, 인열강도, 가열신축성상 및 부착성능을 KS F 3211에 의거하여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인장강도(N/mm2) 1.2
파단신장률(%) 268
항장적(N/mm) 175.8
인열강도(N/mm) 4.1
가열신축성상(%) -1~1
부착성능(N/mm2) 0.6
[ 실험예 2]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제조하되, 사용되는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제2 실리콘 폴리머의 중량비를 하기 표 3과 같이 변화시켜가며 제조한 뒤, 각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인장강도, 파단신장률 및 부착성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기재하였다.
이때, 표 1에서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제2 실리콘 폴리머 각각의 함량은 전체 주제 내에서의 각 실리콘 폴리머가 차지하는 중량비를 의미하며, 샘플 4는 실시예 1의 실리콘 방수 조성물이다.
  실리콘 폴리머 함량 실험 결과
A: 제1 실리콘
폴리머(중량%)
B: 제2 실리콘
폴리머(중량%)
B/A
(중량비)
인장강도
(N/mm2)
파단신장률
(%)
부착성능
(N/mm2)
샘플1 25.7 - - 0.6 152 0.3
샘플2 21.0 4.7 0.23 0.8 183 0.3
샘플3 20.2 5.5 0.27 1.1 249 0.6
샘플4 18.2 7.5 0.41 1.2 268 0.6
샘플5 16.9 8.8 0.52 1.4 251 0.6
샘플6 15.9 9.8 0.62 1.3 255 0.6
샘플7 15.3 10.4 0.68 0.7 168 0.6
샘플8 - 25.7 - 0.7 143 0.6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샘플 3 내지 샘플 6은 다른 샘플들에 비해 인장강도 및 파단신장률이 현저히 우수하여 도막 물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특히, 샘플 1 내지 샘플 3의 실험 결과를 함께 살펴보면, 샘플 3의 경우 샘플 1이나 샘플 2보다 전체 물성이 현저히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샘플 6 내지 샘플 8의 실험 결과를 함께 살펴보면, 세 종류의 샘플 모두 부착성능은 동일하게 나타나나, 샘플 6의 인장강도 및 파단신장률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실리콘 방수 조성물의 주제로 사용되는 실리콘 폴리머로써 상대적으로 저분자량인 수평균 분자량 15,000~25,000 g/mol의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상대적으로 고분자량인 수평균 분자량 70,000~90,000 g/mol의 제2 실리콘 폴리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 파단신장률 및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제1 실리콘 폴리머와 제2 실리콘 폴리머가 1 : 0.25~0.65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물성 향상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제조하되, 실시예 1의 주제에 기능향상제인 헤스페레틴 라우레이트를 추가로 더 첨가하여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조성물의 인장강도 및 부착성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주제 함량(중량%)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주제 기능향상제 인장강도
(N/mm2)
파단신장률
(%)
부착성능
(N/mm2)
실시예 1 100.0 0 1.2 268 0.6
실시예 2 99.7 0.3 1.3 260 0.6
실시예 3 99.3 0.7 1.8 252 0.7
실시예 4 99.0 1.0 1.9 248 0.8
실시예 5 98.5 1.5 1.4 157 0.7
상기 표 4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기능향상제가 첨가되는 경우 기능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능향상제가 실리콘 폴리머 경화시 가교도를 높여 그물 구조를 더욱 치밀하게 형성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특히, 기능향상제가 주제 내에 0.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인장강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1.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장강도와 파단신장률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리콘 방수 조성물 제조시 주제에 기능향상제를 추가로 더 포함시키되, 주제 내에 0.5~1.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먼저, 두께 1mm의 보호필름층으로 PVC 필름 및 PET 필름을 준비하고, 각 보호필름의 저면에 실리콘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뒤 경화시켜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부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의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PVC 필름 및 PET 필름을 별도로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기재에 실시예 1의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도포한 뒤, 상부시트를 설치하고, 일주일간 양생하여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를 설치하였다.
이때, 상부시트로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된 PVC 필름과 PET 필름,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PVC 필름 및 PET 필름을 각각 사용하여 4개의 시편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리콘 코팅층은,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 54 중량%, 보강필러인 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표면 개질된 실리카 10 중량%, t-부틸 아세테이트 28 중량%, 실란 가교제인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 중량% 및 촉매인 티탄에틸 아세토 아세테이트 2 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과 동일한 부착성능 시험을 수행하여 방수층과 상부시트 사이의 부착성능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상부시트 부착성능(N/mm2)
보호필름층 실리콘 코팅층
시편 1 PVC 0.9
시편 2 PVC 0.4
시편 3 PET 1.0
시편 4 PET 0.6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부시트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 실리콘 방수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층과의 접착력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상부시트에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층과의 접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110: 방수층
120: 상부시트 121: 실리콘 코팅층
122: 보호필름층

Claims (8)

  1.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수층(110); 및
    상기 방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120)는, 보호필름층(122) 및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1~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고,
    상기 주제는, 실리콘 폴리머 18~35 중량%, 실리콘 오일 10~24 중량%, 충전제 35~62 중량%, 용매 5~12 중량% 및 첨가제 0.01~2.2 중량%를 포함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말단이 하이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가교제 65~80 중량%, 실란 화합물 19~34 중량% 및 촉매 0.05~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122)은,
    PVC, PET, PP, PE, PB, PS, ABS, PVA, PVB, FRP 또는 HDPE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코팅층(121)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보강필러, 유기용매, 실란 가교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8.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를 시공하는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 대상면에 실리콘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11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방수층 상에 상부시트(120)를 설치하는 상부시트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방수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1~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주제는, 실리콘 폴리머 18~35 중량%, 실리콘 오일 10~24 중량%, 충전제 35~62 중량%, 용매 5~12 중량% 및 첨가제 0.01~2.2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120)는, 보호필름층(122) 및 상기 보호필름층(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KR1020210023310A 2021-02-22 2021-02-22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KR102321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310A KR102321506B1 (ko) 2021-02-22 2021-02-22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310A KR102321506B1 (ko) 2021-02-22 2021-02-22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06B1 true KR102321506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310A KR102321506B1 (ko) 2021-02-22 2021-02-22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78B1 (ko) * 2015-03-10 2015-09-11 (주) 우리이엔씨 고탄성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유무기 복합 표면보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KR20160075489A (ko) * 2016-06-23 2016-06-29 대흥특수화학(주)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0185A (ko) * 2014-10-22 2017-06-2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수 시트 및 방수 시공 방법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81265B1 (ko) * 2019-07-05 2020-02-25 이태희 친환경의 수용성 방수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185A (ko) * 2014-10-22 2017-06-2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수 시트 및 방수 시공 방법
KR101551278B1 (ko) * 2015-03-10 2015-09-11 (주) 우리이엔씨 고탄성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유무기 복합 표면보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KR20160075489A (ko) * 2016-06-23 2016-06-29 대흥특수화학(주)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81265B1 (ko) * 2019-07-05 2020-02-25 이태희 친환경의 수용성 방수 도료 조성물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6201B2 (ja) 空気−水バリアシリコーン被膜
KR101787129B1 (ko) 실리콘 레진 조성물 및 실리콘 레진 조성물을 이용한 보호 피복 공법
CN108603075A (zh) 抗沾污性有机硅涂料组合物
KR101789514B1 (ko) 친환경 표면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코팅 방법
EP3256535A1 (en) Elastomeric silicone emulsion for coating applications
KR101530572B1 (ko) 친환경 세라믹계 방수 방식 시공공법
CN103649428A (zh) 建筑用外装材料
EP3994223B1 (en) Silicone-based barrier compositions
KR101719962B1 (ko)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JP2012241100A (ja) 土木建築材料用吸水防止材
CN109135460B (zh) 一种高强高耐水聚合物乳液建筑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CN111607358A (zh) 基于烷氧基硅改性聚合物的免砸砖堵漏防水组合物
KR20150036883A (ko) 친환경 가소제를 이용한 피씨엠 강판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강판
KR101722753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친환경 표면보호·강화공법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21506B1 (ko)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JP2004307723A (ja) 室温速硬化性飽和炭化水素系重合体組成物及び複層ガラス
JP5999463B1 (ja) 目地構造を有する壁、目地施工方法、及び一液常温湿気硬化型シーリング材組成物
KR102177102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코팅제 조성물
KR102300388B1 (ko) 탄소섬유 복합재를 포함하는 내구성, 내열성 및 차열성능이 향상된 우레탄 도막 방수재
WO2020239334A1 (en) Method for forming moisture curing-type coating material
KR102379431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09320A (ja) 塗膜形成方法
JP7410710B2 (ja) 水性外装用木材塗料
CN111925748B (zh) 防水功能助剂和应用以及保温装饰一体板用硅酮密封胶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