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518B1 -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 Google Patents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518B1
KR101269518B1 KR1020120091320A KR20120091320A KR101269518B1 KR 101269518 B1 KR101269518 B1 KR 101269518B1 KR 1020120091320 A KR1020120091320 A KR 1020120091320A KR 20120091320 A KR20120091320 A KR 20120091320A KR 101269518 B1 KR101269518 B1 KR 10126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sphalt
composite sheet
waterproof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호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2009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표면에 캡스이중 복합시트가 덮혀지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는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가 도포되어지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의 상부에 아스팔트와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이 도포되어지는 방수층 도포단계; 및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보호시트가 덮혀지는 보호시트 시공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이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균일한 방수층을 갖도록 하여 방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방수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Complex asphalt polyurethane dual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and Complex asphalt polyurethane dual composite sheet of the sheet}
본 발명은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진 프라이머의 상부로 아스팔트와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이 도포되어진 후 보호시트가 덮혀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이중복합 방수공법의 대부분은 이중 시트공법이나, 시트위에 도막방수재가 시공되어지는 것으로 우레탄, 우레아, 폼스프레이 등이 주로 사용된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침투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이 발생되어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수명 저하가 초래되므로 방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반드시 방수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방수 시공시 사용되는 재료로는 시트 방수재, 도막 방수재 및 매스틱 방수재가 있으나, 시트 방수재의 경우에는 시공시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고, 시공 후 하자가 발생될 경우 누수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파손 부분과 함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일어나므로 하자 지점을 찾을 수가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스프레이, 롤러 및 스퀴지로 시공함에 따라 시공은 간편하고 시공 속도도 빠르나, 시공 후 경화 또는 건조 공정이 요구되어 공기가 상당히 길어지며, 수성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동절기에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방수 성능은 뛰어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노출 및 특수 부위의 방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레탄 방수재 중에 가장 가격이 저렴한 타르 우레탄 방수재가 건축물의 비노출 방수에 많이 적용되고 있었으나 고유가로 인한 우레탄 원료의 가격상승 및 타르 특유의 악취와 독성 때문에 최근 들어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매스틱 방수재는 방수재를 인력으로 모두 펴 발라서 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시공성이 좋지 못함은 물론 방수층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시공되며, 고체화 되지 않는 매스틱의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 수직 벽 부위의 시공 후 고온으로 인해 방수재가 흘러 내려 상, 하부의 방수층 두께가 균일하지 않고, 보호 시트를 시공할 때도 부착된 시트가 흘러내리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합시트를 시공함에 있어 구조물의 표면으로 방수층과 보호시트가 동시에 시공되어 시공이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방수층이 아스팔트와 우레탄의 액상으로 이루어져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방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호시트에 의하여 방수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표면에 캡스이중 복합시트(A)가 덮혀지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A)는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P)가 도포되어지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와; 상기 프라이머(P)의 상부에 아스팔트와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10)이 도포되어지는 방수층 도포단계(S200); 및 상기 방수층(10)의 상부에 보호시트(20)가 덮혀지는 보호시트 시공단계(S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시트 시공단계(S300) 중 상기 보호시트(20)는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상기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폴레이텔렌필름(23)이 덮혀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구조물의 표면에 덮혀지는 캡스이중 복합시트(A)에 있어서,상기 복합시트(A)는 방수층(10)과, 상기 방수층(10)의 상부에 하부가 맞대어진 보호시트(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방수층(10)은 아스팔트에 우레탄이 혼합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호시트(20)는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상기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폴리에틸렌필름(23)이 덮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층(10)은 경화제와 주제의 2액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화제는 아스팔트 10~50중량%, 가소제 5~20중량%, 접착개선제 1~5중량%, 무기질 필러 15~30중량%, 경량필러 3~10중량%, 우레탄 바인더 20~40중량%, 점도 조절제 1~5중량%, 경화 촉매 0.01~2중량% 및 분산제 0.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5~15중량% 프리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가지고 있는 프리폴리머 60~90중량%, 가소제 5~20중량%, 점도 조절제 1~10중량%, 반응 속도 조절제 0.1~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분자 쇄 말단에 알콜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릴기,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와 주제의 혼합비가 3:1~9 중량비로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와 주제의 혼합비가 3:1~9 중량비로 혼합한 후 과잉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층(10)은 1~4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부로운 아스팔트 및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에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의 상부로 부직포와 아스팔트층 및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시트가 덮혀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갖도록 하여 방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수층과 보호시트가 동시에 시공됨으로써, 시공이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보호시트에 의하여 방수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고, 방수층의 수명을 더 연장시킨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스이중 복합시트(A)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10) 및 상기 방수층(10)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시트(20)로 이루어져 구조물(F)의 표면이 덮혀지도록 함으로써, 방수층(1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층(10)은 구조물(F)의 표면에 미리 도포된 프라이머(P)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수분이 구조물(F) 표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구조물(F)의 표면에 시공이 용이하도록 굽힘 또는 부착력이 좋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방수층(10)은 아스팔트에 우레탄이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수층(11)은 경화제와 주제의 2액형으로 이루어지며, 배합비율은 각 100중량%를 기준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스팔트, 가소제, 접착개선제, 무기질 필러, 경량필러, 우레탄 바인더, 점도조절제, 경화 촉매 및 분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스팔트는 방수재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로서 방수성능 및 도막의 치밀 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부로운 아스팔트, 천연 아스팔트및 용제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는 침입도 등급을 기준으로 AP-00, AP-0, AP-3, AP-5, AP-7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부로운 아스팔트는 침입도 등급을 기준으로 BA 0-5, BA 5-10, BA 10-20, BA 20-30, BA 30-40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천연 아스팔트로는 트리니다드 레이크 아스팔트(TLA), 길소나이트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경화제 내에서 10~50중량%로 배합되는 바, 상기 아스팔트 배합비가 10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치밀성이 떨어지고 아스팔트 특유의 방수 효과도 부족하여 우수한 방수 도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아스팔트와 우레탄 수지와의 상호 상용성 밸런스가 맞지 않아 상 분리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는 방수재의 유동성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방수 도막의우레탄이 경화할 때 경화된 우레탄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프탈산 에스테르, 프로세스 오일, 팜오일, 고비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탈산 에스테르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 오일로는 아로마틱계, 나프텐계, 파라핀계 등을 사용될 수 있다. 고비점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계에는 탄소수가 13~20개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경화제 내에서 5~20중량%로 배합되는 바, 상기 가소제의 배합비가 5중량% 미만이면 유연성 증가 및 유동성 향상 효과가 거의 없어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없고, 경화제의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점도가 높아져 시공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우레탄 방수도막이 너무 물러져 방수 도막에 요구되는 물리적, 기계적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가소제의 과량 사용으로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가격경 쟁력을 갖출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개선제는 아스팔트 우레탄 도막의 점탄성, 내구성 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로는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코폴리머(SBS), 스티렌-이소프렌고무(SIS),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SB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석유수지(C5, C9, C5-C9공중합), 천연 수지(로진, 에스테르), 쿠마론 수지, 폐타이어 분말(30 120매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접착개선제는 경화제 내에서 1~5중량%로 배합되는 바, 상기 접착개선제의 배합비가 1중량% 미만이면 접착개선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미약하여 방수 도막의 내구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우레탄 아스팔트 방수재의 점도가 높게 되어 시공성이 악화되고 과량의 접착개선제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가 상승한다. 상기 무기질 필러는 아스팔트우레탄 방수재의 원가절감 및 물리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탄산칼슘(중탄, 경탄), 탈크, 마이카, 클레이, 침상형 무기질 분말(wallastonite, pangel 이상 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질 필러는 경화제 내에 15~30중량%로 배합되는 바, 무기질 필러의 배합비가 15중량% 미만이면 원가절감 및 강도 증가 효과가 매우 낮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점도가 높아지고 점착력이 약화되며 방수 도막의 탄성이 줄어들어 우수한 물성의 제품을 제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경량필러는 아스팔트우레탄 방수재의 원가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중공(속이 빈)세라믹, 발포퍼라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량필러는 경화제 내에서 3~10중량%로 배합되는 바, 경량필러의 배합비가 3중량% 미만이면 경량화 및 원가절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도막 조직의 치밀성을 해치고,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켜 역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주제의 프리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말단에 가지고있는 프리폴리머와 반응하여 아스팔트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능기의 종류와 수 그리고 분자의 구조 및 중량 분자량에 따라 도막의 물성이 결정된다.
상기 우레탄 바인더로는 1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이하 폴리올), 폴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 및 아민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으나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알코올은 3000이하, 아민은 1000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경화제 내에서 20~40중량%로 배합되는 바, 이는 상기한 배합비가 가장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경화제의 점도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탄화수소류와 기타 용제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유계 탄화수소는 톨루엔, 자이렌, 공업용 제 1호~5호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경화제 내에서 1~5중량%로 배합되는 바, 상기 점도 조절제의 배합비가 1중량% 미만이면 투입량이 너무 적어 점도 조절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중량%를 초과하면 방수재의 점도가 너무 묽어 무기질 필러 및 경량필러의 층분리가 발생하므로 방수재로서 사용할 수가 없고, 가격도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경화 촉매는 상기 우레탄 경화제와 하기에서 설명되는 주제의 프리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말단에 가지고있는 프리폴리머의 반응을 촉진하여 경화시켜주는 물질로 방수재의 가사시간과 방수 도막의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주석계 촉매, 납계 촉매, 코발트계 촉매, 아연계 촉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촉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경화 촉매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경화 촉매는 경화제 내에서 0.01~2중량%로 배합되는 바, 경화촉매의 배합비가 0.01중량% 미만이면 그 함량이 너무 적어 가사시간 및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없고, 경화 촉매의 배합비가 2중량%를 초과하면 경화 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가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방수재를 시공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분산제는 아스팔트에 무기질 필러, 수분 흡수제, 우레탄 바인더, 점도 조절제, 경화 촉매 등이 균일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비극성인 아스팔트와 극성의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바인더의 상용성 향상 및 균일분산을 주목적으로 하고 그 외 다른 구성물질의 균일 분산을 2차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 분산제는 1종으로 제한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적절히 사용하여 상분리 및 무기질 필러 등의 침강을 방지하는 것으로 저분자 불포화 폴리 카르복실릭 산폴리머계, 폴리실릭산 공중합체류, 고분자 블록 공중합물류, 폴리 카르복실릭 산 아민염계, 아민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경화제 내에서 0.1~5중량%로 배합되는 바, 분산제의 배합비가 0.1중량% 미만이면 분산제의 분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여 방수재의 상 분리와 무기질 필러의 침강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균일한 조직의 방수도막을 형성하기 어려워 물성이 우수한 방수재를 생산하기 어렵고, 5중량%를 초과 하면 필요 이상의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고가의 분산제로 인하여 방수재의 가격이 높아져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 가소제, 점도 조절제, 반응 속도 조절제가 포함된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는 경화된 방수 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결정하는 주요 재료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프리폴리머의 관능기 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당량, 사용된 쇄 연장제의 종류에 따라 그 물성이 결정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에 요구되는 조건으로서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수는 2~4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6000인 것, 당량은 500~ 2000g/eq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관능기의 수는 2~3개인 것이다. 이때 쇄 연장제는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그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는 주제 내에서 60~90중량%로 배합되는 바, 배합비가 60중량% 미만이면 프리폴리머의 함량이 너무 적어 방수 도막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성이 매우 약해져 방수 기능이 떨어지고, 90중량%를 초과하면 프리폴리머의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상에 문제가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는 경화제에 사용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에 적정한 유연성 및 유동성을 부여하고, 방수 도막의 우레탄이 경화할 때 경화된 우레탄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소제는 주제 내에서 5~20중량%로 배합되는 바, 상기 가소제의 배합비가 5중량% 미만이면 유연성 증가 및 유동성 향상 효과가 거의 없어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없고, 주제의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점도가 높아져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경화된 우레탄 방수 도막이 너무 물러져 방수 도막에 요구되는 물리적, 기계적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주제의 점도를 조절하여 시공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 역시 경화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주제 내에서 1~10중량%로 배합되는바, 점도 조절제의 배합비가 1중량% 미만이면 투입량이 너무 적어 점도 조절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점도 조절제의 배합비가 10중량%를 초과하면 경화된 우레탄 아스팔트 방수도막의 기계적성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10중량%를 초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반응 속도 조절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의 자가경화를 방지하고, 경화제와 혼합되어 우레탄 반응이 진행될 때 너무 급격하거나 느리게 반응하지 않도록 반응 속도를 적절히 조절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로는 유, 무기산류 및 각종 알칼리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반응 속도 조절제는 주제 내에서 0.1~10중량%로 배합되는 바, 반응속도 조절제의 배합비가 0.1중량% 미만이면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우레탄의 반응 경화 속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반응 속도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과 별 차이가 없어 가사시간 및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없고, 반응 속도 조절제의 배합비가 10중량%를 초과하면 그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방수 도막의 물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배합비가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경화제와 주제의 혼합은 3:1~9의 중량비로 혼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1~9의 중량비로 혼합되어진 후 과잉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1~1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 주제 배합표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고






경화제
아스팔트 21.8 23.8 25.8 38.8 AP-3
가소제 6 6 6 6 팜오일
접착개선제 2 2 2 2 석유수지
무기질필러 25 25 25 25 탄산칼슘
경량필러 5 7 8 0 중공세라믹
우레탄바인더 37 33 30 25 Amine Adduct PPG
점도조절제 2 2 2 2 탄화수수계용제
경화촉매 1 1 1 1 Pb-Octoate 24%
분산제 0.2 0.2 0.2 0.2 폴리실록산계
합계 100 100 100 100




주제

프리폴리머 88
(12%)
88
(11%)
88
(10%)
88
(9%)
5~15%
프리이소시아네이트
가소제 8.9 8.9 8.9 8.9 DOP
점도조절제 3 3 3 3 탄화수소계용제
반응속도조절제 0.1 0.1 0.1 0.1 H3PO4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주제의 혼합비, 과잉 이소시아네이트 함량, 혼합비중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고
혼합비 경화제:주제 2.5:1 2.5:1 2.5:1 3.0:1 무게비
과잉 이소시아네이트(%) 6.5% 6.5% 6.5% 8.0%
혼합비중 1.00 0.95 0.90 1.18 경화제+주제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물성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고
인장강도(MPa) 1.0 1.2 1.3 1.7 KS M 6518
인열강도(N/mm) 5.8 5.3 5.2 5.5 KS M 6518
신율(%) 215 250 250 200 KS M 6518
실시예에 따른 부착성능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고
소지면과의 부착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프라이머 처리
보호시트와의 부착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이러한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수층(10)은 1~4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호시트(20)는 방수층(1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상기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폴리에틸렌필름(23)이 덮혀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부직포(21)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구조물(F)의 표면에 도포된 방수층(1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아스팔트층(22)과 폴리에틸렌필름(23)에 의하여 누수가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시트(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로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F)의 표면에 프라이머(P)가 도포되어지도록 한 후 도포되어진 프라이머(P)의 상부에 아스팔트와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10)이 로울러나 밀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어지도록 한다(방수층 시공단계(S200)).
다음, 방수층(10)의 상부에 보호시트(20)가 덮혀지는 보호시트 시공단계(S300)로 이루어져 구조물(F)의 표면에 시공되어지게 된다. 이때, 보호시트(20)는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우레탄필름(23)이 덮혀진 것이 사용되어지도록 한다.
A:복합시트 S100:프라이머 도포단계
S200:방수층 시공단계 S300:보호시트 시공단계
10:방수층 20:보호시트
21:부직포 22:아스팔트층
23:폴리에틸렌필름

Claims (8)

  1. 구조물의 표면에 캡스이중 복합시트(A)가 덮혀지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A)는 이물질이 제거된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P)가 도포되어지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와; 상기 프라이머(P)의 상부에 아스팔트와 우레탄이 혼합된 방수층(10)이 도포되어지는 방수층 도포단계(S200); 및 상기 방수층(10)의 상부에 보호시트(20)가 덮혀지는 보호시트 시공단계(S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시트 시공단계(S300) 중 상기 보호시트(20)는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상기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폴리에틸렌필름(23)이 덮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시공방법.
  2. 삭제
  3. 구조물의 표면에 덮혀지는 캡스이중 복합시트(A)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A)는 방수층(10)과, 상기 방수층(10)의 상부에 하부가 맞대어진 보호시트(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방수층(10)은 아스팔트에 우레탄이 혼합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호시트(20)는 부직포(21)의 상부에 아스팔트층(22)이 도포되어지고, 상기 아스팔트층(22)의 상부에 폴리에틸렌필름(23)이 덮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10)은 경화제와 주제의 2액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화제는 아스팔트 10~50중량%, 가소제 5~20중량%, 접착개선제 1~5중량%, 무기질 필러 15~30중량%, 경량필러 3~10중량%, 우레탄 바인더 20~40중량%, 점도 조절제 1~5중량%, 경화 촉매 0.01~2중량% 및 분산제 0.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5~15중량% 프리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가지고 있는 프리폴리머 60~90중량%, 가소제 5~20중량%, 점도 조절제 1~10중량%, 반응 속도 조절제 0.1~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분자 쇄 말단에 알콜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릴기,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와 주제의 혼합비가 3:1~9 중량비로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와 주제의 혼합비가 3:1~9 중량비로 혼합한 후 과잉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10)은 1~4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부로운 아스팔트 및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이중 복합시트.
KR1020120091320A 2012-08-21 2012-08-21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KR10126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20A KR101269518B1 (ko) 2012-08-21 2012-08-21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20A KR101269518B1 (ko) 2012-08-21 2012-08-21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518B1 true KR101269518B1 (ko) 2013-05-31

Family

ID=4866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20A KR101269518B1 (ko) 2012-08-21 2012-08-21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24B1 (ko) * 2013-12-09 2014-07-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156640B1 (ko) 2020-02-05 2020-09-16 (주)페트로산업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시공방법 및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747B1 (ko) * 2000-03-02 2002-11-13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변성우레탄-아스팔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747B1 (ko) * 2000-03-02 2002-11-13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변성우레탄-아스팔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24B1 (ko) * 2013-12-09 2014-07-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9572B1 (ko) 2019-08-06 2020-02-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156640B1 (ko) 2020-02-05 2020-09-16 (주)페트로산업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의 시공방법 및 에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23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CN107033611B (zh) 具有防水功能的高等级沥青组合物及利用其的施工方法
KR100585225B1 (ko) 스프레이식 고무화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재 및 그제조방법.
KR101792539B1 (ko)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CN107268434B (zh) 一种适用于湿热高温地区钢桥面柔性铺装结构及施工方法
JP6077932B2 (ja) ノンブリード高強度・高伸張形手塗ウレタン塗膜防水材組成物
KR102119728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아스팔트(lma)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657927B1 (ko) 점착성을 가지는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와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1784950B1 (ko)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WO2014189141A1 (ja) アスファルト・ウレタン組成物
MXPA05009451A (es) Composicion y metodo para la instalacion de material de techado.
KR100938923B1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1638620B1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988801B1 (ko) 교면용 가열 복합방수공법
KR101600072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JP6465762B2 (ja) 舗装用補修材及び舗装補修方法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187346B1 (ko) 콘크리트 교면방수재,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방법
KR101269518B1 (ko) 캡스이중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및 캡스이중 복합시트
KR100977160B1 (ko)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525908B1 (ko) 일체화 복합방수층 및 일체화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977164B1 (ko)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CN105002794A (zh) 复合材料及采用复合材料进行无砟轨道防水维修的方法
JP2008297338A (ja) ウレタンゴム系塗膜防水材施工用二液型ウレタン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ウレタンゴム系塗膜防水材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