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59B1 -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159B1
KR102071159B1 KR1020187014496A KR20187014496A KR102071159B1 KR 102071159 B1 KR102071159 B1 KR 102071159B1 KR 1020187014496 A KR1020187014496 A KR 1020187014496A KR 20187014496 A KR20187014496 A KR 20187014496A KR 102071159 B1 KR102071159 B1 KR 10207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topper
hook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687A (ko
Inventor
후미히코 이노우에
요시노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3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support rail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25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for cabinets or ra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Abstract

전원 장치(101)는, 전방측에 개구부(8)를 갖고, 자립 가능한 하우징(1)과, 개구부(8)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 가능하도록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된 유닛(10)을 구비하고, 유닛(10)은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좌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과,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우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와,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와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 사이에 배치된 후크부(15)를 구비하고, 후크부(15)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근원부(15a)와, 후크 근원부(15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선단부(15b)를 포함하고, 하우징(1)의 내부에는, 유닛(10)의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레일(13)과, 유닛(10)의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레일(14)과, 좌측 레일(13)의 도중과 우측 레일(14)의 도중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스토퍼(5)가 배치되고, 스토퍼(5)는 전방측으로 갈 수록 낮아지는 경사면(5a)과, 하우징(1) 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유닛(10)의 후크 선단부(15b)의 상단보다 높고 후크 근원부(15a)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스토퍼 후단부 변(5b)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대해서, 일본 특허 공개 소58-11009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유닛이 탑재되어 있고, 각 유닛은 전방측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유닛의 좌우 측면에는, 유닛과 일체로 되어서 전후로 이동하는 안내 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된 고정 레일과, 이 안내 레일 간에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유닛의 전후 방향 이동을 실현하고 있다.
전원 장치에 있어서도,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의 유닛이 탑재된 타입의 것이 있고, 각 유닛은 전방측으로부터 작업자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8-110099호 공보
전원 장치에 있어서는, 작업자는 점검, 수리 등의 작업 시에, 전방측으로부터 유닛을 인출하여 작업을 행한다. 이때, 유닛이 낙하하는 것은 피해야만 한다. 한편, 유닛을 교환할 필요가 발생했을 때에는, 작업자의 의사로 유닛을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야만 한다.
종래, 유닛을 인출한 상태에서 낙하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벽에 레일을 설치하여, 상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유닛측의 레일과 하우징측의 레일 간에 미끄럼 이동을 행하는 구조도 생각되고 있었지만, 그러한 레일의 구조는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부품 개수가 많아져 버려, 설치에 손이 많이 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한 유닛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닛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유닛을 제거할 수 있고, 설치에 손이 많이 가지 않고, 비용 증대를 초래하지 않는 기구를 구비하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원 장치는, 전방측에 개구부를 갖고, 자립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전후 방향에 삽입 발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좌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우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 사이에 배치된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근원부와, 상기 후크 근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닛의 상기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레일과, 상기 유닛의 상기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레일과, 상기 좌측 레일의 도중과 상기 우측 레일의 도중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상기 유닛의 상기 후크 선단부의 상단보다 높고 상기 후크 근원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스토퍼 후단부 변을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로부터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의 거의 프레임만을 남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의 제1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의 제2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에 포함되는 우측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에 포함되는, 후크부와 베이스판이 일체로 된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유닛에 포함되는, 후크부와 베이스판이 일체로 된 부품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로부터 유닛을 도중까지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포함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포함되는 좌측 레일, 우측 레일 및 스토퍼를 조합한 구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구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을 전방으로 가능한 한 인출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의 후크부가 스토퍼에 걸림 결합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새롭게 외부로부터 가져온 유닛을 하우징 내에 탑재하려고 할 때에 스토퍼를 타고 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101)의 외관을 도 1에 도시한다. 전원 장치(101)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전방측을 막는 도어(2a, 2b)와, 하우징(1)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을 지지하는 다리(3)를 구비한다. 도어(2a, 2b)는 개폐 가능하다. 전원 장치(101)로부터 도어(2a, 2b)를 제거한 상황을 도 2에 도시한다. 하우징(1)은 전방측에 개구부(8)를 갖는다. 도 2에서는, 개구부(8)를 통하여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장치가 보이고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복수의 유닛(10)이 배치되어 있다. 유닛(10)은, 예를 들어 캐패시터, 냉각 핀, 커넥터 등을 구비하는 변환 유닛이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1개의 하우징(1) 중에 6개의 유닛(10)이 탑재되어 있지만, 유닛(10)의 수는 6에 한하지 않고 다른 수여도 된다. 도 2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몇몇 부품을 제거한 상황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서는, 프레임(4)이 보이고 있다. 하우징(1)의 외형 대부분은 프레임(4)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었던 유닛(10)을 단독으로 취출한 상황을 도 4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유닛(10)은 변환 유닛이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유닛(10)의 구체적인 구조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꼭 이 대로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유닛(10)은 좌측판(17)과 우측판(18)을 구비한다. 유닛(10)은 전방측의 좌우로 손잡이(21)를 구비한다. 유닛(10)은 후방측의 좌우에, 작업원이 유닛(10)을 잡을 때에 손을 넣기 위한 개구부인 손잡이(22)를 갖는다. 유닛(10)을 후방 비스듬히 아래로부터 본 상황을 도 5에 도시한다. 유닛(10)의 일부만을 취출한 상황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는, 좌측판(17)과, 우측판(18)과, 이들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전방측 베이스판(19)이 나타나 있다. 우측판(18)만을 단독으로 취출한 상황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유닛(10)의 후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상황을 도 8에 나타내었다. 좌측판(17)의 건너편에, 후크부(15)와 베이스판(16)이 숨겨져 있다. 이 예에서는, 후크부(15)와 베이스판(16)은 일체적인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별도의 부품에 의해 각각 형성된 후에 서로 조합된 것이어도 된다. 도 8에 있어서는, 후크부(15)와 베이스판(16)은 좌측판(17)의 건너편에 숨겨져 있으므로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후크부(15)와 베이스판(16)이 일체로 된 부품의 후단부 근방의 부분 단면도를 도 9에 나타내었다. 후크부(15)는, 후크부 근원부(15a)와, 후크부 선단부(15b)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15)에서는 판재가 거의 직각으로 2회 구부러져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둥그스름한 형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 선단에 가까운 일정 부분을 후크부 선단부(15b)로 간주할 수 있고, 그 이외의 근원측의 부분을 후크부 근원부(15a)로 간주할 수 있다.
하우징(1) 내에 설치되어 있었던 유닛(10)을 도중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비스듬히 아래로부터 본 모습을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관계되는 부품만을 표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좌측 레일(13) 및 우측 레일(14)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측 레일(13)과 우측 레일(14) 사이를 걸치듯이 스토퍼(5)가 접속되어 있다. 좌측 레일(13)에는, 유닛(10)의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가 얹혀 있다. 우측 레일(14)에는, 유닛(10)의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가 얹혀 있다.
스토퍼(5)를 단독으로 취출한 상황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스토퍼(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금속판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는 화살표(94)의 방향이 전방이다. 스토퍼(5)는 전방측에 경사면(5a)을 갖고, 후방측에 스토퍼 후단부 변(5b)을 갖는다. 이들 사이에는 평탄한 스토퍼 상면(5c)을 갖는다. 또한, 스토퍼(5)는 좌우 양단에 스토퍼 접속부(5d, 5e)를 구비한다.
좌측 레일(13) 및 우측 레일(14)에 스토퍼(5)가 설치된 모습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스토퍼 접속부(5d)는 좌측 레일(13)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스토퍼 접속부(5e)는 우측 레일(14)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스토퍼(5)와 레일 사이의 접속은, 나사 고정에 의해 이루어져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의 화살표(93)의 방향으로 본 상황을 도 14에 도시한다. 스토퍼(5)의 상면은 좌측 레일(13)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스토퍼 후단부 변(5b)의 하단은, 좌측 레일(13)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개구부(8)를 통하여 유닛(10)을 전방으로 가능한 한 인출했을 때의 모습을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의 측면 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유닛(10)을 좌측 레일(13) 및 우측 레일(14)에 따라 평행하게 전방으로 인출했을 때에는 어느 정도 인출한 시점에서 이 상태로 된다. 좌측판(17)의 저쪽 편에서 후크부(15)가 스토퍼(5)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 걸림 결합에 의해 유닛(10)은 이 이상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단면을 도 16에 나타내었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후단부 변(5b)은 후크부(15)에 맞닿아 있다.
유닛(10)을 완전히 인발하여 제거하고 싶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유닛(10)의 전방측 부분에 하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유닛(10)의 안측을 약간 들어올려, 그 상태에서 인발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후크부(15)는 스토퍼(5)에 걸림 결합하지 않고 스토퍼(5)을 타고 넘어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닛(10)은 완전히 인발할 수 있다.
좌측 레일(13) 및 우측 레일(14) 상에 유닛(10)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새롭게 외부로부터 가져온 유닛(10)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부터 유닛(10)을 압입하면, 후크부(15)는 스토퍼(5)의 전방측 경사면(5a)에 따라 압입되어, 스토퍼(5)를 타고 넘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원활하게 유닛(10)을 깊숙히 밀어넣을 수 있다.
도 11, 도 15, 도 17에 나타낸 유닛(10)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유닛(10)과 상이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어느 한쪽 구조여도 된다. 단, 유닛(10)의 구조는 여기에서 도시한 2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의 것이 생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101)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101)는 전방측에 개구부(8)를 갖고, 자립 가능한 하우징(1)과, 개구부(8)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 가능하도록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된 유닛(10)을 구비한다. 유닛(10)은,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좌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와,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우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와,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와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 사이에 배치된 후크부(15)를 구비한다. 후크부(15)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근원부(15a)와, 후크 근원부(15a) 하단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선단부(15b)를 포함한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유닛(10)의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레일(13)과, 유닛(10)의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레일(14)과, 좌측 레일(13)의 도중과 우측 레일(14)의 도중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스토퍼(5)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5)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5a)과, 하우징(1) 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유닛(10)의 후크 선단부(15b)의 상단보다 높고 후크 근원부(15a)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스토퍼 후단부 변(5b)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좌측 레일(13) 및 우측 레일(14)에 의해 유닛(10)의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 및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유닛(10)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5) 및 후크부(1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서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유닛(10)이 더 이상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유닛(1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닛(10)을 제거할 수 있다. 유닛(10)을 설치할 때에도, 스토퍼(5)는 경사면(5a)를 갖고 있으므로, 유닛(10)의 설치 작업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 개수는 그다지 많아지지 않고, 조립 작업도 복잡하지는 않으므로, 비용 증대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후크부(15)는 유닛(10)의 무게 중심보다도 후방측에 있고, 후크부(15)로부터 유닛(10)의 무게 중심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스토퍼(5)로부터 좌측 레일(13)의 전단부 또는 우측 레일(14)의 전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후크부(15)를 스토퍼(5)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닛(10)의 무게 중심은 반드시 좌측 레일(13)의 전단부 또는 우측 레일(14)의 전단부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므로, 유닛(10)은 안정되게 레일에 얹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닛(10)의 원하지 않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5)는 금속판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한 스토퍼(5)는 금속판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절곡함으로써 스토퍼(5)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5)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2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의 것도 생각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5)는 경사면(5a)과 스토퍼 후단부 변(5b) 사이에 평탄한 스토퍼 상면(5c)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 상면(5c)의 존재 자체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이러한 스토퍼 상면(5c)이 존재함으로써,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5)를 타고 넘어 유닛(10)을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킬 때에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유닛(10)은,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보았을 때의 좌측 측면에 좌측판(17)을 구비하고,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보았을 때의 우측 측면에 우측판(18)을 구비하고,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1)는 좌측판(17)의 하단부이고,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12)는 우측판(18)의 하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은 수의 부품으로 견고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10)은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 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1)는 추가적인 부품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손잡이(21)는 예를 들어 금속봉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손잡이(22)는 측판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손잡이(22)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정도의 사이즈의 개구부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의 형태는 각양각색의 것이 생각된다. 손잡이는 유닛(10)의 좌우에 분산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까지, 전원 장치의 하부에 복수개 수용되어 있던 변환 유닛을 유닛(10)으로 간주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원 장치 중에서, 유닛(10)이 될 수 있는 것은 변환 유닛뿐인 것만은 아니다. 하나의 전원 장치 안에서 복수 종류의 장치가 「유닛」이 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전방측으로부터 인출될 가능성이 있는 기타의 장치를 「유닛」이라고 간주하여 당해 장치를 위하여 후크부,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금회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1: 하우징
2a, 2b: 도어
3: 다리
4: 프레임
5: 스토퍼
5a: 경사면
5b: 스토퍼 후단부 변
5c: 스토퍼 상면
5d, 5e: 스토퍼 접속부
8: 개구부
10: 유닛
11: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
12: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
13: 좌측 레일
14: 우측 레일
15: 후크부
15a: 후크부 근원부
15b: 후크부 선단부
16: 베이스판
17: 좌측판
18: 우측판
19: 전방측 베이스판
21, 22, 23: 손잡이
91, 92, 93, 94: 화살표
101: 전원 장치

Claims (6)

  1. 전방측에 개구부를 갖고, 자립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했을 때에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 사이에 배치된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근원부와, 상기 후크 근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닛의 상기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레일과, 상기 유닛의 상기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를 지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레일과, 상기 좌측 레일의 도중과 상기 우측 레일의 도중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상기 유닛의 상기 후크 선단부의 상단보다 높고 상기 후크 근원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스토퍼 후단부 변을 갖고 있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유닛의 무게 중심보다도 후방측에 있고,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기 유닛의 무게 중심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상기 좌측 레일의 전방 단부 또는 상기 우측 레일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전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금속판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스토퍼 후단부 변 사이에 평탄한 스토퍼 상면을 갖는, 전원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보았을 때의 좌측 측면에 좌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전방측을 보았을 때의 우측 측면에 우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는 상기 좌측판의 하단부이고, 상기 우측 하방 미끄럼 이동부는 상기 우측판의 하단부인, 전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전원 장치.
KR1020187014496A 2015-10-30 2015-10-30 전원 장치 KR102071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718 WO2017072946A1 (ja) 2015-10-30 2015-10-30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87A KR20180070687A (ko) 2018-06-26
KR102071159B1 true KR102071159B1 (ko) 2020-01-29

Family

ID=5863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496A KR102071159B1 (ko) 2015-10-30 2015-10-30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2300B2 (ko)
JP (1) JP6496038B2 (ko)
KR (1) KR102071159B1 (ko)
CN (1) CN108353515B (ko)
WO (1) WO2017072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2347B (zh) * 2020-09-10 2023-09-01 濮阳市立圆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汽车逆变器
JP7067647B2 (ja) * 2021-03-12 2022-05-16 オムロン株式会社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20230073519A1 (en) * 2021-09-08 2023-03-09 Vertiv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with enhanced mounting flexibi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528B1 (ko) 1997-01-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공급장치
JP2004249584A (ja) 2003-02-20 2004-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699764B1 (ko) 2005-06-24 2007-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32Y2 (ja) * 1978-02-03 1983-04-01 日本電気株式会社 重量パネル用簡易引出ストツパ機構
JPS58110099A (ja) 1981-12-23 1983-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の転倒防止装置
US6601713B2 (en) * 2001-12-10 2003-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ack assembly that does not require tools for coupling slides together
CN2762497Y (zh) * 2004-12-22 2006-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蓄电池仓
KR101287223B1 (ko) * 2007-03-14 2013-07-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멀티단자 메인보드 고정장치
CN201182042Y (zh) * 2008-01-29 2009-01-14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模块的竖直限位插拔卡接装置
US8335080B2 (en) * 2009-04-20 2012-12-18 Infortrend Technology, Inc. Sliding rail having anti-tilting mechanism
US9313914B2 (en) * 2013-03-13 2016-04-12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Slide assembly
TWI565397B (zh) * 2015-12-03 2017-01-01 碩天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跌落機構的懸吊式滑軌支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528B1 (ko) 1997-01-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공급장치
JP2004249584A (ja) 2003-02-20 2004-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699764B1 (ko) 2005-06-24 2007-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87A (ko) 2018-06-26
CN108353515A (zh) 2018-07-31
JP6496038B2 (ja) 2019-04-03
US20180295740A1 (en) 2018-10-11
WO2017072946A1 (ja) 2017-05-04
CN108353515B (zh) 2020-06-05
US10292300B2 (en) 2019-05-14
JPWO2017072946A1 (ja)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159B1 (ko) 전원 장치
EP3310138A1 (en) Bracket device
US10588409B2 (en) Rack system and slide rail assembly thereof
JP6745931B2 (ja) ケーブル管理アセンブリ
US8820314B1 (en) Extendible oven rack apparatus
EP3197252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guiding mechanism thereof
JP4854535B2 (ja)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JP5470584B2 (ja) 遊技機の筐体構造
DE102006062070B4 (de) Gargerätevorrichtung und Gargerät
JP2011155145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収納体
JP5851203B2 (ja) 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ト装置
JP3232094U (ja) 陳列棚
JP6241221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ンダートレー配設構造
US10791833B2 (en) Slide rail assembly
JP4409648B2 (ja) 陳列棚におけるストッカーの格納装置
EP2359715A2 (en) Drawer unit for vans and method for its assembly
KR20200029206A (ko)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JP6422121B2 (ja) 棚板の装着構造
JP5999422B2 (ja) 収納装置付ベッド
JP6691997B1 (ja) ラック
CN218085326U (zh) 一种固定连接装置及平台式自行车架
JP5060989B2 (ja) 電子基板収容ケース
JP6598647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
JPH10179289A (ja) 多段引き出し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同時引き出し防止装置
CN111692819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