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06A -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06A
KR20200029206A KR1020180107724A KR20180107724A KR20200029206A KR 20200029206 A KR20200029206 A KR 20200029206A KR 1020180107724 A KR1020180107724 A KR 1020180107724A KR 20180107724 A KR20180107724 A KR 20180107724A KR 20200029206 A KR20200029206 A KR 2020002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retainer
slider
bent towar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751B1 (ko
Inventor
홍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Priority to KR102018010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고정레일부재; 고정레일부재와 중간레일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리테이너; 제1리테이너를 통해 고정레일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레일부재; 중간레일부재와 이동레일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리테이너; 제2리테이너를 통해 중간레일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중간레일부재의 후방에 제1탄성접촉부재를 설치하고, 중간레일부재의 전방에 제2탄성접촉부재를 설치하여 수납체 및 이동레일부재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 SLIDER FOR KEEPING EQUIPMENT }
본 발명은 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수납기구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수납기구의 인출 및 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수납기구의 인출 및 수납과정에서 이솔레일부재와 중간레일부재, 중간레일부재와 고정레일부재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 적재선반 등의 수납기구가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하게 설치되는 물품에 있어서는 본체와 수납기구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수납기구의 인출 및 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부재와 수납기구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수납기구의 인출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고정레일부재와 이동레일부재의 사이에 중간레일부재를 설치하는 예가 많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볼이 결합되는 제1요입부가 내부 상하로 형성되며 전후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면서 수납공간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대; 제1고정대와 대칭 형성되며 볼이 결합되는 제1요입부가 내부 상하로 형성되고 전후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면서 수납기구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대; 제1, 2고정대의 제1요입부에 결합되는 볼과 대응 결합되는 제2요입부가 상하로 대칭 형성되고 후방 끝단과 전방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볼과 미끄럼접촉을 이루면서 서로 등을 대고 제1, 2고정대를 마주보면서 직선운동을 하는 제1, 2이동대; 제1고정대 및 제1이동대 사이와 제2고정대 및 제2이동대 사이에 설치되어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022호 (2005년 10월 04일 등록)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는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를 수납기구 본체에서 인출하거나 수납할 때에 중간레일부재의 스톱퍼와 중간레일부재의 스톱퍼 사이 또는 중간레일부재의 스톱퍼와 이동레일부재의 스톱퍼 사이에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수납체의 원활한 인출 및 수납을 저해하게 되고,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및 수납기구의 상품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를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인출하거나 수납할 때에 이동레일부재와 중간레일부재, 중간레일부재와 고정레일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는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고정레일부재; 고정레일부재와 중간레일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리테이너; 제1리테이너를 통해 고정레일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레일부재; 중간레일부재와 이동레일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리테이너; 제2리테이너를 통해 중간레일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중간레일부재의 후방에 제1탄성접촉부재를 설치하고, 중간레일부재의 전방에 제2탄성접촉부재를 설치하여 수납체 및 이동레일부재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는 고정레일부재의 선단과 후단에 본체 수납공간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1전방스톱퍼와 제2후방스톱퍼가 마련되고, 이동레일부재의 선단과 후단에 본체 수납공간 반대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2전방스톱퍼와 제2후방스톱퍼가 마련되고, 중간레일부재가 제1리테이너와 조립되는 제1접속부재 및 제2리테이너와 조립되는 제2접속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제1접속부재의 후단에 고정레일부재의 제1후방스톱퍼와 대응되는 후방걸림편이 고정레일부재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1접속부재의 후방걸림편의 전방에 제1리테이너걸림편이 고정레일부재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2접속부재의 선단에 이동레일부재의 제2전방스톱퍼과 대응되는 전방걸림편이 이동레일부재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2접속부재의 전방걸림편의 후방에 제2리테이너걸림편이 이동레일부재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제1탄성접촉부재는 고정부의 후단에 고정레일부재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의 후방걸림편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의 전방에 고정레일부재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의 제1리테이너걸림편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가 마련된 형태이고, 제2탄성접촉부재는 고정부의 선단에 이동레일부재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의 전방걸림편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의 후방에 이동레일부재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의 제2리테이너걸림편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가 마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의하면, 중간레일부재의 후방과 전방에 설치되는 제1탄성접촉부재 및 제2탄성접촉부재를 통해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므로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및 수납기구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정면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횡단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전방부위 좌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이동레일부재 인출상태 및 수납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100)는 고정레일부재(110), 제1리테이너(120), 중간레일부재(130), 제2리테이너(140), 이동레일부재(150), 제1탄성접촉부재(160), 제2탄성접촉부재(170)를 포함한다.
고정레일부재(110)는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고정레일부재(110)는 상단과 하단이 본체 수납공간 쪽으로 절곡된 "ㄷ" 형태를 가진다.
고정레일부재(110)의 선단과 후단에는 본체 수납공간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1전방스톱퍼(111)와 제2후방스톱퍼(112)가 마련된다.
제1리테이너(120)는 중간레일부재(130)의 원활한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레일부재(110)와 중간레일부재(13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리테이너(120)는 고정레일부재(110)과 마찬가지로 상단과 하단이 본체 수납공간 쪽으로 절곡된 "ㄷ" 형태이다.
제1리테이너(120)는 상단과 하단에 고정레일부재(110)의 내부 상단면과 내부 하단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볼(121)이 길이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이다.
제1리테이너(120)의 길이는 고정레일부재(110)의 길이의 1/2 이하이다.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중간레일부재의 전방부위 좌측면도이다.
중간레일부재(130)는 고정레일부재(110)와 이동레일부재(150)에 사이에 설치되어 수납체의 인출길이를 연장하는 부분으로, 제1리테이너(120)를 통해 고정레일부재(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간레일부재(130)는 제1리테이너(120)와 조립되는 제1접속부재(130a) 및 제2리테이너(140)와 조립되는 제2접속부재(130b)로 이루어진다.
제1접속부재(130a)는 상단과 하단이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수직 절곡된 "ㄷ" 형태이고, 제2접속부재(130b)는 상단과 하단이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수직 절곡된 "ㄷ" 형태이고, 제1접속부재(130a)와 제2접속부재(130b)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어 일체화된다.
제1접속부재(130a)의 후단에는 고정레일부재(110)의 제1후방스톱퍼(112)와 대응되는 후방걸림편(131a)이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걸림편(131a)의 전방에는 제1리테이너걸림편(132a)이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다.
제1접속부재(130a)의 상단과 하단은 제1리테이너(120)의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접촉볼(121)에 접촉된다.
제2접속부재(130b)의 선단에는 이동레일부재(150)의 제2전방스톱퍼(151)과 대응되는 전방걸림편(131b)이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걸림편(131b)의 후방에는 제2리테이너걸림편(132b)가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다.
제2접속부재(130b)의 상단과 하단은 제2리테이너(140)의 상단과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접촉볼(141)에 접촉된다.
제2리테이너(140)는 이동레일부재(150)의 원활한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간레일부재(130)와 이동레일부재(15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리테이너(140)는 상단과 하단이 중간레일부재(130) 쪽으로 수직 절곡된 "ㄷ" 형태이다.
제2리테이너(140)는 상단과 하단에 이동레일부재(150)의 내부 상단면과 내부 하단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볼이 길이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이다.
이동레일부재(150)는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체의 양측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2리테이너(140)를 통해 중간레일부재(13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레일부재(150)는 상단과 하단이 본체 수납공간 반대쪽으로 수직 절곡된 "ㄷ" 형태를 가진다.
이동레일부재(150)의 선단과 후단에는 본체 수납공간 반대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2전방스톱퍼(151)와 제2후방스톱퍼(152)가 마련된다.
제1탄성접촉부재(160) 및 제2탄성접촉부재(170)는 수납체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제1탄성접촉부재(160)는 중간레일부재(130)의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2탄성접촉부재(170)는 중간레일부재(130)의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에 설치된다.
제1탄성접촉부재(160)는 판상의 고정부(163)의 후단에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걸림편(131a)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161)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161)의 전방에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130a)의 제1리테이너걸림편(132a)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162)가 마련된 형태이다.
제1탄성접촉부재(160)의 제1접촉부(161)는 고정부(16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고, 제2접촉부(162)는 고정부(16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고, 제1접촉부(161) 및 제2접촉부(162)의 의 절곡 각도는 60°~ 85° 범위에서 설정된다.
제2탄성접촉부재(170)는 판상의 고정부(173)의 선단에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걸림편(131b)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171)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171)의 후방에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130b)의 제2리테이너걸림편(132a)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172)가 마련된 형태이다.
제2탄성접촉부재(170)의 제1접촉부(171)는 고정부(173)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고, 제2접촉부(172)는 고정부(173)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절곡되고, 제1접촉부(171)의 절곡 각도 및 제2접촉부(172)의 절곡 각도는 60°~ 85° 범위에서 설정된다.
제1탄성접촉부재(160)의 고정부(163) 및 제2탄성접촉부재(170)의 고정부(173)은 중간레일부재(130)의 제1접속부재(130a)와 제2접속부재(130b) 사이에 삽입되고, 제1접속부재(130a)와 제2접속부재(130b)에 용접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100)는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의 인출 및 수납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제1탄성접촉부재(160) 및 제2탄성접촉부재(170)를 통해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의 이동레일부재 인출상태 및 수납상태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가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는 도 6a와 같이 제2리테이너(140)의 후단부가 이동레일부재(150)의 제2후방스톱퍼(152)에 접촉되고, 제2리테이너(140)의 선단부가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에 설치된 제2탄성접촉부재(170)의 제2접촉부(17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가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는 제1리테이너(120)의 선단부가 고정레일부재(110)의 제1전방스톱퍼(111)에 접촉되고, 제1리테이너(120)의 후단부가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에 설치된 제1탄성접촉부재(160)의 제2접촉부(16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 인출된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가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과정에서는 도 6b와 같이 이동레일부재(150)의 제2전방스톱퍼(151)가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에 설치된 제2탄성접촉부재(170)의 제1접촉부(17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에 설치된 제1탄성접촉부재(160)의 제1접촉부(161)가 고정레일부재(110)의 제1후방스톱퍼(11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수납체 수납 과정에서의 충격 및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납기구용 슬라이더(100)는 중간레일부재(130)의 후방과 전방에 설치되는 제1탄성접촉부재(160) 및 제2탄성접촉부재(170)를 통해 수납체 및 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110 : 고정레일부재
120 : 제1리테이너
130 : 중간레일부재
140 : 제2리테이너
150 : 이동레일부재
160 : 제1탄성접촉부재
170 : 제2탄성접촉부재

Claims (3)

  1. 수납기구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고정레일부재(110);
    고정레일부재(110)와 중간레일부재(13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리테이너(120);
    제1리테이너(120)를 통해 고정레일부재(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레일부재(130);
    중간레일부재(130)와 이동레일부재(15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리테이너(140);
    제2리테이너(140)를 통해 중간레일부재(13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부재(150);를 포함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중간레일부재(130)의 후방에 제1탄성접촉부재(160)를 설치하고, 중간레일부재(130)의 전방에 제2탄성접촉부재(170)를 설치하여 수납체 및 이동레일부재(150)의 인출과정 및 수납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레일부재(110)의 선단과 후단에 본체 수납공간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1전방스톱퍼(111)와 제2후방스톱퍼(112)가 마련되고,
    이동레일부재(150)의 선단과 후단에 본체 수납공간 반대쪽으로 수직 절곡된 제2전방스톱퍼(151)와 제2후방스톱퍼(152)가 마련되고,
    중간레일부재(130)가 제1리테이너(120)와 조립되는 제1접속부재(130a) 및 제2리테이너(140)와 조립되는 제2접속부재(130b)로 이루어지고,
    제1접속부재(130a)와 제2접속부재(130b)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제1접속부재(130a)의 후단에 고정레일부재(110)의 제1후방스톱퍼(112)와 대응되는 후방걸림편(131a)이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걸림편(131a)의 전방에 제1리테이너걸림편(132a)이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2접속부재(130b)의 선단에 이동레일부재(150)의 제2전방스톱퍼(151)과 대응되는 전방걸림편(131b)이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걸림편(131b)의 후방에 제2리테이너걸림편(132b)이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3. 제2항에 있어서,
    제1탄성접촉부재(160)는 고정부(163)의 후단에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130a)의 후방걸림편(131a)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161)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161)의 전방에 고정레일부재(110) 쪽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부재(130a)의 제1리테이너걸림편(132a)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162)가 마련된 형태이고,
    제2탄성접촉부재(170)는 고정부(173)의 선단에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130b)의 전방걸림편(131b)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접촉부(171)가 마련되고, 제1접촉부(171)의 후방에 이동레일부재(150) 쪽으로 절곡되어 제2접속부재(130b)의 제2리테이너걸림편(132a)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접촉부(172)가 마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KR1020180107724A 2018-09-10 2018-09-10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KR10216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24A KR102160751B1 (ko) 2018-09-10 2018-09-10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24A KR102160751B1 (ko) 2018-09-10 2018-09-10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06A true KR20200029206A (ko) 2020-03-18
KR102160751B1 KR102160751B1 (ko) 2020-09-28

Family

ID=6999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724A KR102160751B1 (ko) 2018-09-10 2018-09-10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73A1 (ko) * 2022-03-14 2023-09-21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146U (ja) * 1982-10-14 1984-04-18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装置
KR200398022Y1 (ko) 2005-07-06 2005-11-03 (주) 에이원에스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JP3909180B2 (ja) * 2000-01-31 2007-04-25 日本アキュライド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の消音装置
KR20120101778A (ko) * 2011-03-07 2012-09-17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양면 개폐형 서랍 슬라이딩 장치
KR20120129407A (ko) *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146U (ja) * 1982-10-14 1984-04-18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装置
JP3909180B2 (ja) * 2000-01-31 2007-04-25 日本アキュライド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の消音装置
KR200398022Y1 (ko) 2005-07-06 2005-11-03 (주) 에이원에스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KR20120101778A (ko) * 2011-03-07 2012-09-17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양면 개폐형 서랍 슬라이딩 장치
KR20120129407A (ko) *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73A1 (ko) * 2022-03-14 2023-09-21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751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820B2 (en) Slide rail assembly and driving mechanism thereof
US9545153B2 (en) Slide rail assembly
US3588198A (en) Suspension system for filing cabinet
US10159343B2 (en) Slide rail assembly
JP6669797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スライドレールのための取り付け方法
US20100123378A1 (en) Self-closing rail system
US10736422B2 (en) Slide rail assembly
CN104720390B (zh) 滑轨总成
EP3352547B1 (en) Slide rail assembly
US20200077793A1 (en) Slide Rail Assembly
US6682158B2 (en) Cabinet assembly and drawer limiting device therefore
JP3191407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20160065725A (ko) 슬라이딩 레일 고정장치
KR20200029206A (ko)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CN103220945B (zh) 用于抽屉容器的容器导轨
JP6322677B2 (ja) 引き出しスライドレール
KR102071159B1 (ko) 전원 장치
US11266239B1 (en) Slide rail assembly
CN106043071B (zh) 拉出装置
US11067290B2 (en) Cabinet and slide rail kit thereof
JP6241221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ンダートレー配設構造
KR20200145306A (ko) 고정 어셈블리
JP2021083754A (ja)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JP2022507348A (ja) 少なくとも1つの折戸をガイドするための装置
JP2003334122A (ja) スラ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