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25B1 -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25B1
KR102070825B1 KR1020190059373A KR20190059373A KR102070825B1 KR 102070825 B1 KR102070825 B1 KR 102070825B1 KR 1020190059373 A KR1020190059373 A KR 1020190059373A KR 20190059373 A KR20190059373 A KR 20190059373A KR 102070825 B1 KR102070825 B1 KR 10207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inding
coil
terminal
releas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석 filed Critical 신영석
Priority to KR102019005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2Non-disconnectibl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이형관; 및 상기 제1파이프와 결합되는 상기 이형관의 결합면 상에 배치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코일은, 일 방향을 따라 나선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제1권선부, 상기 제1권선부와 연결되어 타 방향으로 절곡되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와 연결되되 타 방향을 따라 나선방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제2권선부를 포함하여 코일 간의 마찰에 의한 쇼트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이형관을 설치할 수 있는 코일 구조이다.

Description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COIL STRUCTURE AND COIL WINDING METHOD OF ELECTROFUSION TYPE SPECIALS TUBE}
본 발명은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배관에 대한 분기작업 시, 주배관과 전기 융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이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관을 시공하는 경우, 다수의 가스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스관 사이에는 이음관이 연결된다. 이때 이음관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8997호("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2007.03.08. 공고)에서 개시된 일정한 길이의 배관들이 연장되도록 연결하는 직선형태과, 직선형태가 아닌 곡관, T자 관, Y자 관 등의 이형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형관은 최초 가스관 설치 시에는 배관 라인의 분기나 방향전환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기 설치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가스관에 대해서 추가적인 분기작업을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7104호("활관 분기용 천공장치", 2010.03.10. 공고)와 같이 주배관의 측면 상에 이형관을 설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사용되는 이형관은 서비스티(Service Tee)라고 불리는 T자 관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주배관과 이형관 간의 결합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7527호("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2013.03.27. 공고)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이용한 전기 융착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 융착 방식에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파이프(1)에 대한 분기 작업을 위해, 이형관(2)의 체결면에는 코일(3)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코일(3)에는 외부 전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인가된 전력을 통해 발열이 발생되어 상기 파이프(1) 및 이형관(2)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T자형관이나 Y자 형관 등에 내장된 종래의 코일은 권선 구조 상에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현장에서 작업 시에는 절연층이 파손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코일이 서로 접하여 쇼트 등의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688997 B1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2007.03.08. 공고 KR 10-0947104 B1 ("활관 분기용 천공장치") 2010.03.10. 공고 KR 10-1247527 B1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2013.03.27. 공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관의 결합면 상에 내장된 코일이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지점이 없으면서도 넓은 면적상으로 권선될 수 있는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성관인 제1파이프에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가스관용 이형관의 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와 결합되는 상기 이형관의 결합면 상에 배치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코일은, 일단이 제1터미널과 연결되되 일 방향을 따라 나선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제1권선부, 상기 제1권선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타 방향으로 절곡되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와 연결되되 타 방향을 따라 나선방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어, 일단이 제2터미널과 연결되는 제2권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파이프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권선부 및 제2권선부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권회되고, 상기 제1권선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제N차 권회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권선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제N차 또는 제N+1차 권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권선부의 및 제2권선부 각각의 일단측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권선부 및 제2권선부 각각의 일단측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발열코일은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하면에 가공된 그루브 형태의 홈에 삽입 및 내장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은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상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하면이 상기 제1파이프의 일측 외면과 대응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은, 코일 간 서로 접하는 지점이 없으므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절연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합선이나 누전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분기 작업 시에 보다 신뢰성 있는 이형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보다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일 간의 접촉이 없으면서도 케이블을 연결하는 지점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로 장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코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관의 저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코일 구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선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선 구조.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이형관의 사시도를, 도 3은 이형관의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형관(100)은,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파이프(10)는 가스가 흐르는 활성관으로 이루어지고 제2파이프(20)는 제1파이프(10)로부터 가스가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에 가스가 유동되지 않는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이형관(100)을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에는 가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체가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형관(100) 또한 "T"자 형, "Y"자 형, "十"자 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곡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관(100)은 형상에 따라 다른 파이프(미도시)들과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커버(200)를 통해 개구 영역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형관(100)은, 제1파이프(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파이프(10)는 상기 이형관(100)이 배치된 외측의 일부가 관통되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관(100)은, 상기 제1파이프(10)의 관통부분과 연통되는 메인관(110), 상기 메인관(110)과 상기 제2파이프(20)를 연결하는 분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관(100)은 상기 메인관(110)과 상기 제1파이프(1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판(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판(130)의 내면은 상기 제1파이프(10)의 외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130)에는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을 포함하는 전기연결 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과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결합판(130) 내부에 배치된 발열코일이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열코일을 통해 상기 메인관(110)과 일체로 구성된 결합판(130)과 상기 제1파이프(10)가 서로 전기 융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판(130) 내부의 발열코일(300)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열코일(300)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터미널(T1)과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터미널(T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130)은 내측에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H)을 통해 상술한 제1파이프(10)의 외측의 관통부분과 상기 메인관(110)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코일(300)은 상기 관통홀(H)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회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코일(300)이 배치된 결합판(130)의 저면은 상술한 제1파이프(10)의 외측면과 접하여 전열에 의해 융착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 구조와, 도 4-(b)는 본 발명의 코일구조를 각각 도시하여 대조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발열코일(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터미널과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관통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권선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선부(31)는 나선형으로 권회되고 나선반경이 권회될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선부(31)의 타단은 절연층으로 피복된 절연부(3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부(32)는 일단이 상기 권선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32)는 상기 권선부(31)와 일부 중첩되는 지점이 발생되지만, 절연층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코일구조는 현장에서 파이프에 이형관을 가압시켜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연부(32)가 파손되어 내부의 코일이 노출됨으로써 상기 권선부(31)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권선부(31) 및 절연부(32)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 전력이 인가된 경우, 합선이나 누전 등으로 인하여 전기가 흐르지 않아 체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없도록 코일이 권선되면서도 보다 촘촘한 형태로 회로가 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코일(300)은 제1터미널(T1)과 연결되는 제1권선부(310), 제2터미널(T2)과 연결되는 제2권선부(330) 및 상기 권선부(310)와 제2권선부(330)를 연결하는 선회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권선부(310)는 일단이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T1)과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권선부(31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나선형으로 권회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선반경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선회부(320)는 일단이 상기 제1권선부(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권선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자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여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권선부(330)는 일단이 상기 선회부(3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미널(T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권선부(33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나선형으로 권회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선반경이 커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은 코일 권선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 권선 방법은 상기 코일부(300)의 일단을 제1터미널(T1)에 연결하고, 타단을 나선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결합면(130) 관통홀(H)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회하여 제1권선부(310)를 형성하는 제1권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H)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가상의 직선과 접하는 복수의 코일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코일을 C1, 가장 내측에 배치된 코일을 CN(여기서, N>2)이라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C1~CN) 각각과 상기 관통홀(H)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를 Dx(x = 1, 2, ..., N-1, N)라 가정하면, 상기 DN-1는 DN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들은 그 사이가 이격 배치되며, 내측으로 향할수록 그 이격간격이 변경되거나 서로 동일한 이격간격(DN-1-DN=D1-D2)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 간의 이격간격은 상기 코일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 권선 방법은 상기 제1권회단계 이후, 상기 제1권선부(310)를 고정하고, 상기 코일부(300)를 상기 결합면(130) 관통홀(H)의 원주방향의 타측으로 방향을 변경한 뒤 고정하여 선회부(320)를 형성하는 선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회부(320)는 "U"자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부(300)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토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 권선 방법은 상기 선회단계 이후, 상기 코일부(300)를 상기 결합면(130) 관통홀(H)의 원주방향을 따라 타 방향으로 권회하여 제2권선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제2권선부(330)를 제2터미널(T2)에 연결하는 제2권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권회단계에서는, 상기 제2권선부(330)를 상기 제1권회단계에서 형성된 제1권선부(310)의 복수의 코일 사이의 이격간격이 형성하는 이격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권선부(330)는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H)의 중심부와의 거리가 크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권회단계 이전, 본 발명의 결합면 상에 코일이 내장될 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권회단계 및 제2권회단계에서 코일이 배치될 지점을 미리 산출하여 결합면에 홈(Groove)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은 별도의 단자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케이블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합면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코일 권선 방법은 상기 제2권회단계 이후, 상기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을 상기 결합면의 상측에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이형관 내 코일 권선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2권선부(330)를 상기 제1권선부(310)의 최외곽에 배치된 코일의 테두리를 따라 0회전 ~ 1회전 사이(1회전은 관통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 회전)로 추가 배치가 가능하므로, 상기 제2터미널(T2)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권선부(330)를 0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제1권선부(310)의 일단과 나란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권선부(330)를 1회전하는 경우에도 위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제1터미널(T1) 및 제2터미널(T2)이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권선부(330)가 0.5회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터미널(T1)과 제2터미널(T2)이 상기 관통홀(H)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상반된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1 : 제1터미널 T2 : 제2터미널
10 : 제1파이프 20 : 제2파이프
100 : 이형관
110 : 메인관 120 : 분기관
130 : 결합판
200 : 커버
300 : 발열코일
310 : 제1권선부 320 : 선회부
330 : 제2권선부

Claims (7)

  1. 활성관인 제1파이프에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가스관용 이형관의 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와 결합되는 상기 이형관의 결합면 상에 배치되는 발열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코일은,
    일단이 제1터미널과 연결되되 일 방향을 따라 나선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제1권선부, 상기 제1권선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타 방향으로 절곡되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와 연결되되 타 방향을 따라 나선방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나선형으로 권회되어, 일단이 제2터미널과 연결되는 제2권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파이프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권선부 및 제2권선부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권회되고,
    상기 제1권선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제N차 권회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권선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제N차 또는 제N+1차 권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권선부의 및 제2권선부 각각의 일단측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권선부 및 제2권선부 각각의 일단측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코일은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하면에 가공된 그루브 형태의 홈에 삽입 및 내장되며,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은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상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의 코일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관 결합면의 하면이 상기 제1파이프의 일측 외면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관의 코일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9373A 2019-05-21 2019-05-21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KR10207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3A KR102070825B1 (ko) 2019-05-21 2019-05-21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3A KR102070825B1 (ko) 2019-05-21 2019-05-21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825B1 true KR102070825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73A KR102070825B1 (ko) 2019-05-21 2019-05-21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85A (ja) * 1993-07-16 1995-02-03 Toa Koukiyuu Keishiyu Valve Seizo Kk 熱可塑性樹脂製品の溶融着用発熱体
KR950701571A (ko) * 1992-04-14 1995-04-28 게리 존스 파이프-피팅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pipe-fitt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7-03-08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KR20090018395A (ko) * 2007-08-17 2009-02-20 (주)대덕화학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KR100947104B1 (ko) 2009-08-28 2010-03-10 (주)폴리텍 활관 분기용 천공장치
KR101247527B1 (ko) 2012-07-06 2013-03-27 (주)폴리텍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1571A (ko) * 1992-04-14 1995-04-28 게리 존스 파이프-피팅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pipe-fitt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732485A (ja) * 1993-07-16 1995-02-03 Toa Koukiyuu Keishiyu Valve Seizo Kk 熱可塑性樹脂製品の溶融着用発熱体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7-03-08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KR20090018395A (ko) * 2007-08-17 2009-02-20 (주)대덕화학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KR100947104B1 (ko) 2009-08-28 2010-03-10 (주)폴리텍 활관 분기용 천공장치
KR101247527B1 (ko) 2012-07-06 2013-03-27 (주)폴리텍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716B2 (en) Heated windable rigid duct for transporting fluids, particularly hydrocarbons
EP3084282B1 (en) A pip trace heating connection assembly
CN1627602B (zh) 用于电动机的高压槽绝缘衬
CN103718382A (zh) 超导电缆的中间连接部
KR102070825B1 (ko)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TW202023123A (zh)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JP4203361B2 (ja) 電気溶接スリーブ
JP2010020970A (ja) 超電導ケーブルコアの接続構造
CH708026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âble chauffant et câble chauffant réalisé selon ce procédé.
JP7186052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中間接続部、超電導ケーブル線路及び超電導ケーブルの中間接続方法
JP7146652B2 (ja) フォーマの中間接続体、超電導ケーブル線路およびフォーマの中間接続方法
KR20230024996A (ko) 코일 보빈 및 코일
KR200373614Y1 (ko) 열선을 내장한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 부재
CN214505218U (zh) 800kV阀侧直流出线装置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CN113251193B (zh) 一种电磁阀双线圈固定方法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2018162858A (ja) 電気融着継手
KR100490566B1 (ko) 파이프관 접합용 융착시트 및 파이프관 연결 시공방법
JP2009228835A (ja) 絶縁パイプ
KR101086109B1 (ko)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
KR101086167B1 (ko)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CN113418076A (zh) 一种地埋管防漏修补方法
KR20170077544A (ko)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JPH11270759A (ja) 絶縁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