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997B1 -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 Google Patents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97B1
KR100688997B1 KR1020060011190A KR20060011190A KR100688997B1 KR 100688997 B1 KR100688997 B1 KR 100688997B1 KR 1020060011190 A KR1020060011190 A KR 1020060011190A KR 20060011190 A KR20060011190 A KR 20060011190A KR 100688997 B1 KR100688997 B1 KR 10068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element
fusion
fitt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
Priority to KR102006001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997B1/ko
Priority to CA002641086A priority patent/CA2641086A1/en
Priority to PCT/KR2007/000540 priority patent/WO2007091799A1/en
Priority to JP2008553159A priority patent/JP2009526171A/ja
Priority to BRPI0707507-3A priority patent/BRPI0707507A2/pt
Priority to US12/223,447 priority patent/US7798531B2/en
Priority to CN200780004097A priority patent/CN100590341C/zh
Priority to EP07708693A priority patent/EP1982102A1/en
Priority to RU2008135954/06A priority patent/RU2008135954A/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4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fork-shaped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 B29C66/5224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fork-shaped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with two right angles, e.g. for making T-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 B29C65/34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forming a sleeve, e.g. a wrap-around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supplying heat to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 e.g. special electrical connector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8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non-metallic
    • B29C65/348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non-metallic be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using screw-threads being integral at least to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lapped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4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butt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1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 B29C66/52292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said stop being inter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8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being composed by sever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관, 상수도관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융착을 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을 나사산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전기 융착용 이음관의 내주면에서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를 가압하여 융착에 필요한 압력을 얻을 뿐만 아니라 불순물로 인한 경계층을 파괴하여 융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기융착용 이음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면에 전기 융착을 위하여 마련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속단자, 및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열체의 전기 발열에 의한 용융부의 용융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과 융착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상기 이음관 본체의 단부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 상기 이음관 본체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용융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부가 형성되는 가압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관, 전기융착, 이음관, 가압부재, 나사산

Description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FITTING FOR ELECTRIC FUSION WITH PRESSING DEVICE USING SCRE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전원공급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9은 도 8의 이음관 외측 본체와 이음관 내측 본체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이음관 본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이음관 본체의 전기 접속단자용 홈을 표현하기 위한 이음관 본체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음관 본체 110 : 단턱
120 : 보조관
130 : 이음관 외측 본체 140 : 이음관 내측 본체
200 : 가압부재 210 : 가압부
220 : 나사결합부
300 : 발열체 310 : 링형 발열체
400 : 전기 접속단자 410 : 전원공급링
500 : 링형 용접살
본 발명은 가스관, 상수도관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융착을 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가스관, 상수도관 기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칠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료로 된 파이프를 접합하는 데 있어서 완전한 기밀성을 얻기 위하여는 기본적으로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왔다.
종래의 열융착 방식으로는 버트퓨젼방식(Butt Fusion Welding), 일반 소켓 열융착 방식(Heat Fusion Socket Welding), 그리고 전자식 소켓융착 방식(Electro Fusion Socket Welding) 등이 있다.
버트퓨젼 방식은 일명 맞대기 융착방식으로 별도의 연결용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파이프 단면과 단면을 서로 맞대어 면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것으로, 유압 또는 공압이 장착된 클램프에 접합하고자 하는 파이프 끝부분을 마주보고 고정 안착시키고 용융 접합할 면을 평활하게 면 처리를 한 다음, 가열판을 그 사이에 놓고 유압 또는 공압으로 파이프 접합 단면을 가압 밀착시켜 적절한 용융 온도(예 : 폴리에칠렌 재료는 210℃전후)로 가열 용융시킨 후 신속히 가열판을 제거하고 용융된 파이프의 양 단면을 가압 밀착시켜 일정 시간을 유지한 후 냉각하면, 응고되어 접합이 된다.
따라서 이 방식은 파이프를 접합할 시 파이프 모재를 녹여서 붙이는 것으로서 별도의 연결용 소켓이 필요하지 않고 단지 작업현장에 운반하기에는 무게가 무 겁고 사용하기에 구조가 복잡한 열융착기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일반 연결용 소켓으로서 연결용 소켓의 내경면과 파이프의 외경면이 동시에 녹아서 붙어야 한다. 이 부분이 융착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외경면과 연결용 소켓의 내경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각각의 면이 동시에 용융되도록 하고, 가열이 완료되면 파이프 외경면에 연결용 소켓의 내경면을 신속히 밀착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냉각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전자식 소켓 융착으로서, 연결용 소켓의 내부에 가열 코일과 같은 발열체를 삽입시켜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이다. 가열 코일로서는 어느 정도 전기 저항이 유지되는 동선 또는 동합금선이나 니크롬선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자식 연결용 소켓을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한 전기 저항선 또는 전기저항선 나선을 코일형태로 권선하여 끝단에 전기 접속단자를 연결한 후 이것을 사출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출하여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전자식 연결용 소켓을 융착하고자 하는 파이프에 끼운 다음에 간단한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일정시간 통전을 하면 파이프 외경면과 전자식 연결용 소켓의 내경면이 동시에 용융되어 접합된다.
상기 및 이하에서는 전자식 연결용 소켓을 전기 융착용 이음관이라 칭한다.
이음관은 직관 2개를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3개 또는 4개의 직관을 연결하도록 Tee 형태나 십자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현재 전기 융착용 이음관은 그 작업의 간편성때문에 사용자들로부터 선호받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융착용 이음관의 발열체로서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2809호 "프린팅(코팅)된 가열 회로에 의한 열가소성수지(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등) 파이프의 전자식 융착시트",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069622호 "합성수지관 융착용 발열 부싱",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096757호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5-0003231호 "융착링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융착구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전기 융착용 이음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융착에 의한 접합의 경우 그 기밀성 내지 수밀성을 얻기 위하여는 용융 접합할 면에 불순물이 없어야 하며, 불순물이 존재할 경우 그 불순물은 일종의 경계층으로 작용하며, 경계층을 사이에 둔 용융물들은 서로 접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효율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융착에 의한 접합 전에 용융 접합할 면에 대하여 청소 작업을 하지만 미세한 박막 형태의 불순물의 경우에는 완전한 청소가 곤란하다.
(2) 융착에 의한 접합은 기본적으로 적정한 압력이 가하여지는 상태에서 압착 연결되는 것이 작업상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예컨데, 버트퓨젼 방식의 경우에는 그 융착 부위를 가압 밀착하여 접합하며, 이를 위한 가압 작업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이루어짐.) 전기 융착의 경우 발열체가 이음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에 의한 자연 팽창으로 인한 압력만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인위적인 가 압을 고려할 수 없었다.
(3) 또한 자연 팽창으로 인한 압력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전기 융착용 이음관의 내주면과 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의 오차가 작아야 하며, 이를 위한 정밀가공시 생산단가가 올라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을 나사산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전기 융착용 이음관의 내주면에서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를 가압하여 융착에 필요한 압력을 얻을 뿐만 아니라 불순물로 인한 경계층을 파괴하여 융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기융착용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면에 전기 융착을 위하여 마련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속단자, 및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열체의 전기 발열에 의한 용융부의 용융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과 융착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상기 이음관 본체의 단부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 상기 이음관 본체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용융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 부가 형성되는 가압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및 이하에서 용융부란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를 말한다.
상기에 있어서,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면에는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용융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속단자가 상기 가압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용융부 사이에 전원공급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 본체는, 이음관 외측 본체와,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의 홈에 코일 형태로 감기는 발열체가 장착되어 상기 이음관 외측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음관 내측 본체로 구분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이음관 본체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마련되는 링형 발열체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이상의 링형 발열체이며, 상기 한 쌍의 링형 발열체 사이에 용융을 위한 링형 용접살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두 개의 합성수지 직관(10,2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본 이음관이 이용되고 있다.
이음관 본체(100)는 두 개의 합성수지 직관(10,2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음관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나선형 코일로 이루어진 발열체(30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음관 본체(100)에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전기 접속단자(400)가 마련되어 나선형 코일로 이루어진 발열체(300)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접속단자(40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체(300)가 발열되어 그 주변부가 용융된다.
상기의 기술들은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이음관들이 채택될 수 있다.
이음관 본체(100)의 외주면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음관 본체(100)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삽입되는 합성수지 직관(10,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단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링 형태의 단턱(110)은 본 이음관의 조작 도중 이음관 본체(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이음관 본체(100)의 양단에 가압부재(200)가 나사결합된다.
가압부재(200)는 외측에 이음관 본체(10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압부재(200)는 그 내측에 이음관 본체(10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용융부와 접하게 되는 가압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재(200)는 그 외부가 전체적으로 육각너트의 형상을 취하여 가압부재(200)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하였다.
따라서 가압부재(200)를 회전시키면, 이음관 본체(100)와 나사결합된 나사결합부(220)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며, 상기 나사결합부(220)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재(200)가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전기융착용 이음관 및 합성수지 직관(10,20)을 배치한 후, 전기 접속단자(400)를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하여 일정시간 통전을 하면, 발열체(300)인 나선형 코일의 발열에 의하여 이음관의 내경면과 합성수지 직관(10,20)의 외경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용융된다.
이때 이음관의 내경면과 합성수지 직관의 외경면은 그 온도가 상승하면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s Temperature)를 거쳐 연화점(Softening Temperature)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융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연화점에 도달하면 상기 가압부재(200) 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가압부재(200)가 전진하여 용융부를 가압하게 되며, 용융부가 가압되는 압력은 나사결합부(220)의 회전정도에 따라 조절되며, 나사결합부(220)의 회전이 멈추면 그 가압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용융부는 소정의 압력을 받은 상태로 용융되어 이음관의 내경면과 합성수지 직관의 외경면이 융착된다.
실시례에 따라서는 용융부의 온도가 연화점 아래나 혹은 그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게 한 후 가압부재(200)를 회전시켜 용융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면서 접합되고 냉각된 부위는 그 융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용융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는 도중에 융착부위(즉, 이음관의 내주면 혹은 이음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직관 외주면)의 불순물로 인한 경계층이 고온과 전단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불순물의 경계층으로 인한 접합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2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전원공급링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의 경우 전기 접속단자(400)가 이음관 본체(100)에 마련되었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전기 접속단자(400)가 가압부재(200)에 마련된다.
따라서 전기 접속단자(400)는 가압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와 같이 회전되는 전기 접속단자(400)와 발열체(300)의 전기 접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열체(300)와 가압부(210) 사이에 전원공급링(410)을 삽입하였다.
또한 가열 코일 형태의 발열체(300)는 그 끝단이 전원공급링(410) 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 접속단자(400)가 가압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도, 전기 접속단자(400)와 발열체(300)는 전원공급링(410)을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례는 오직 한 쌍의 전기 접속단자(400)를 통하여 2부분의 융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단턱(110)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발열체(300)와 우측에 있는 발열체(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전기 접속단자(400)의 배치는 그 사이에 발열체(300)를 분리하여 배치할 것인지, 혹은 연결하여 배치할 것인지, 연결하여 배치한다면 병렬로 연결할 것인지 직렬로 연결할 것인지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3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제2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발열체로서 두 쌍의 링형 발열체를 마련하였다.
상기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진 링형 발열체(310)는 링형으로 형성되며, 전기 접속단자(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된다.
또한 한 쌍의 링형 발열체(310) 사이에는 용융을 위한 합성수지재의 링형 용접살(500)이 마련된다.
링형 용접살(500)은 양측에 위치한 링형 발열체(3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내부에 연선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링형 발열체(310)와 그 사이에 마련되는 링형 용접살(50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링형 용접살(500)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삽입홈에 링형 발열체(310)가 삽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음관 본체(100)의 단턱(110)이 형성된 중간 부위에는 양측에 위치한 발열체(3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내부에 연선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이음관은 오직 두개의 전기 접속단자(400)에 의하여 4개의 링형 발열체(310)에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링형 발열체(310)가 발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4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제3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음관 본체(100)가 내부에 보조관(120)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이중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제3실시례에서는 링형 용접살(500)의 매개에 의하여 이음관 본체(100)와 합성수지 직관(10,20)이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반면에, 본 실시례에서는 링형 용접살(500)이 용융되면서 링형 용접살(500)과 링형 발열체(310) 주변의 이음관 본체(100)가 용융되며, 특히 보조관(120)과 보조관(120) 내측의 합성수지 직관(10,20)이 용융되어, 보조관(120)과 합성수지 직관(10,20)의 외주가 융착된다.
이는 제3실시례에서는 금속재질 등의 링형 발열체(310)의 주변에 기포가 형성될 수 있어 접합면에 기포가 형성될 수 있음에 반하여, 본 실시례에서는 링형 발열체(310)가 이음관 본체(100)와 합성수지 직관(10,20)의 접합면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그 접합면에는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5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9은 도 8의 이음관 외측 본체와 이음관 내측 본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제2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음관 본체(100)가 이음관 외측 본체(130)와 이음관 내측 본체(140)로 분리되어 제작된다.
이음관 외측 본체(130)는 가압부재(2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그 외면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직관 구조이다.
이음관 내측 본체(140)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141)이 형성되며, 그 나선형의 홈(141)에 가열 코일 형태의 발열체(300)가 장착되어 있다.
이음관 내측 본체(140)의 외주면 중간 부위에는 이음관 내측 본체(140)의 양측에 감긴 발열체(3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이 배치되며 이를 위하여, 이음관 내측 본체(140)의 외주면 중간 부위에는 연결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음관 외측 본체(130)와 이음관 내측 본체(140)가 제작되면, 도 9와 같이 이음관 내측 본체(140)를 이음관 외측 본체(130)의 중공에 삽입한 후 전원공급링(410)을 장착하고 가압부재(200)를 장착하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6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제1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음관 본체(100)의 용융부의 외측에, 그 외주면에 원통형의 분리홈(105)이 형성된 가압 매개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200)의 가압부(210)는 직접적으로 용융부를 가압하지 않고, 가압부(210)와 용융부 사이에 위치한 가압 매개부(106)를 가압하여 간접적으로 용융부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 매개부(106)는 가압부(210)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음관 본체(10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원통형의 분리홈(105)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열체(300)에 의하여 용융부가 용융되며, 가압부(210)가 가압 매개부(106)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융부는 가압 매개부(106)의 가압력에 의하여 고온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면서 접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제7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례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의 사용상태 개념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이음관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이음관 본체의 전기 접속단자용 홈을 표현하기 위한 이음관 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제2실시례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전기 접속단자(400)는 이음관 본체(100)에 마련된다. 또한 이음관 본체(100)에는 전기 접속단자(400)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 접속단자용 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기 접속단자용 홈(107)은 전원공급링(410)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음관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지나게 되도록 형성되며, 그 전기 접속단자용 홈(107)에 전기 접속단자(400)가 배치되어, 전기 접속단자(400)의 일단이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접속단자(400)의 배치 구조는 특히 대형 이음관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발열체와 용융부는 전혀 별개인 것으로 서술되어 있지만, 발열체 자체가 용융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예컨데, 전도성 플라스틱을 발열체로서 이음관에 마련하고, 그 전도성 플라스틱에 전기 접속단자를 연결하면, 전도성 플라스틱이 발열체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전도성 플라스틱 자체 및 그 주변의 합성수지가 용융되도록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음관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을 나사산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전기 융착용 이음관의 내주면에서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를 가압하여 융착에 필요한 압력을 얻을 뿐만 아니라 불순물로 인한 경계층을 파괴하여 융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기융착용 이음관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접합 부위가 고온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면서 융착되고 냉각되었기 때문에 접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되는 도중에 융착부위의 불순물로 인한 경계층이 고온과 전단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불순물의 경계층으로 인한 접합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합성수지관 직관의 외경과 이음관 내경의 오차허용 범위도 넓게 할 수 있어 합성수지관 직관과 이음관의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어 고품질의 전기 융착을 경제적으로 제공한다.

Claims (7)

  1. 이음관 본체(100),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면에 전기 융착을 위하여 마련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용융되는 용융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열체의 전기 발열에 의한 용융부의 용융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과 융착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상기 이음관 본체(100)의 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20) 및 상기 나사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용융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부(210)가 형성되는 가압부재(200)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이음관 본체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마련되는 링형 발열체(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면에는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단턱(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속단자(400)가 상기 가압부재(200)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210)와 상기 용융부 사이에 전원공급링(4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이 마련되며,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발열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발열체 사이에 용융을 위한 링형 용접살(50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이음관.
  6. 삭제
  7. 삭제
KR1020060011190A 2006-02-06 2006-02-06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KR10068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90A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6-02-06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CA002641086A CA2641086A1 (en) 2006-02-06 2007-02-01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PCT/KR2007/000540 WO2007091799A1 (en) 2006-02-06 2007-02-01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JP2008553159A JP2009526171A (ja) 2006-02-06 2007-02-01 ネジ山による加圧構造を有する電気融着用配管装置
BRPI0707507-3A BRPI0707507A2 (pt) 2006-02-06 2007-02-01 materiais de tubulaÇço de fusço elÉtrica
US12/223,447 US7798531B2 (en) 2006-02-06 2007-02-01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CN200780004097A CN100590341C (zh) 2006-02-06 2007-02-01 具有螺纹施压装置的电熔接管道材料
EP07708693A EP1982102A1 (en) 2006-02-06 2007-02-01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RU2008135954/06A RU2008135954A (ru) 2006-02-06 2007-02-01 Детал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ыполненные электической сваркой плавлением, с винтовым прессующи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90A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6-02-06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997B1 true KR100688997B1 (ko) 2007-03-08

Family

ID=3810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90A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6-02-06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8997B1 (ko)
CN (1) CN100590341C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80B1 (ko) * 2007-01-29 2007-08-07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WO2010002204A2 (ko) * 2008-07-03 2010-01-07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0963219B1 (ko) 2009-09-09 2010-06-10 민 우 전 연결부재를 이용한 관 연결공법
KR101017986B1 (ko) * 2008-07-03 2011-03-02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1353507B1 (ko) 2012-12-12 2014-01-24 주식회사 태일 전기융착용 이음관
KR101431160B1 (ko) * 2012-10-18 2014-08-18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발열체로 하는 합성수지관 전기융착 이음관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0825B1 (ko) 2019-05-21 2020-01-29 신영석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KR102181687B1 (ko) 2019-05-20 2020-11-23 신영석 천공탭이 내장된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KR102212530B1 (ko) * 2020-02-12 2021-02-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1588B (zh) * 2015-06-24 2017-02-21 Ian Larsen 大口徑沉水管的結合裝置及其結合方法
CN112856084B (zh) * 2021-01-07 2022-07-12 公元管道(江苏)有限公司 一种工业集尘用塑料管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177A (ja) * 1993-04-08 1994-10-28 Hitachi Metals Ltd パイプ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JPH08152090A (ja) * 1994-11-29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JPH1113982A (ja) * 1997-06-26 1999-01-22 Kitz Corp 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KR0180893B1 (ko) * 1990-03-30 1999-02-18 미츠노 시게가즈 전기융착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893B1 (ko) * 1990-03-30 1999-02-18 미츠노 시게가즈 전기융착 연결구
JPH06300177A (ja) * 1993-04-08 1994-10-28 Hitachi Metals Ltd パイプ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JPH08152090A (ja) * 1994-11-29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JPH1113982A (ja) * 1997-06-26 1999-01-22 Kitz Corp 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80B1 (ko) * 2007-01-29 2007-08-07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WO2010002204A2 (ko) * 2008-07-03 2010-01-07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WO2010002204A3 (ko) * 2008-07-03 2010-03-25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1017986B1 (ko) * 2008-07-03 2011-03-02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0963219B1 (ko) 2009-09-09 2010-06-10 민 우 전 연결부재를 이용한 관 연결공법
WO2011031013A3 (ko) * 2009-09-09 2011-08-04 Jun Min Woo 연결부재를 이용한 관 연결공법
KR101431160B1 (ko) * 2012-10-18 2014-08-18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발열체로 하는 합성수지관 전기융착 이음관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3507B1 (ko) 2012-12-12 2014-01-24 주식회사 태일 전기융착용 이음관
KR102181687B1 (ko) 2019-05-20 2020-11-23 신영석 천공탭이 내장된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US11009168B2 (en) 2019-05-20 2021-05-18 Young Suk Shin Boring system having boring tap embedded therein and b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70825B1 (ko) 2019-05-21 2020-01-29 신영석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KR102212530B1 (ko) * 2020-02-12 2021-02-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90341C (zh) 2010-02-17
CN101379338A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97B1 (ko)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US7798531B2 (en)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KR100415748B1 (ko) 플라스틱파이프의용접방법및그방법을실시하는전기소켓
DK159722B (da) Fremgangsmaade til sammensvejsning af ledningselementer af termoplastisk materiale samt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egnet indretning
KR102211294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KR101797719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기구
KR102193936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KR101017986B1 (ko)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0746980B1 (ko) 나사산에 의한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JP2010216512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KR20070080244A (ko) 나사산에 의한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1818324B1 (ko)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송관용 전기융착기구
KR0124493Y1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JPH1113980A (ja) 合成樹脂管用継手
MX2008009799A (es) Materiales de tuberia de fusion electrica con dispositivo de presion de rosca
JPH079559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の製造方法
JP4482868B2 (ja) 電気融着式樹脂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0943A (ko) 금속오링 제작방법
JP2022175112A (ja) 電気融着継手
KR100663225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JP2000055283A (ja) ジョイント用スリーブ
KR200219024Y1 (ko) 수지관 융착접합시트
JP2022142286A (ja) 接続方法および配管構造
JPH10274379A (ja) 電気溶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