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507B1 - 전기융착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전기융착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507B1
KR101353507B1 KR1020120144619A KR20120144619A KR101353507B1 KR 101353507 B1 KR101353507 B1 KR 101353507B1 KR 1020120144619 A KR1020120144619 A KR 1020120144619A KR 20120144619 A KR20120144619 A KR 20120144619A KR 101353507 B1 KR101353507 B1 KR 10135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heating element
main body
electro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국
김정수
강승훈
박재성
김현대
김승용
곽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
Priority to KR102012014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 B29C65/34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ribbon, band or strip forming a sleeve, e.g. a wrap-around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supplying heat to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 e.g. special electrical connector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8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non-metallic
    • B29C65/348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non-metallic be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lapped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4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butt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1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 B29C66/52292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said stop being inter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내주에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관 형태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용 본체 ;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전기 공급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태의 발열본체와,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전극용 돌출부와, 상기 전극용 돌출부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수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 ; 상기 융착용 본체와 함께 상기 발열체를 포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융착용 본체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이 원통 형태를 가지는 외주 커버부와,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와, 상기 외주 커버부의 외주면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용 본체 ;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전극 수용홈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용 본체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전기 접속단자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융착용 이음관{CONNECTING PIPE FOR ELECTIRC FUSION}
본 발명은 가스관, 상수도관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융착을 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017986호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의 기술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의 발열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전기융착하는 이음관 등의 배관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별도의 설명없이도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보며, 상기 종래 기술에 이미 언급된 사항은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7986호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종래 기술에 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음관은 기본적으로 연결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보다 관 내경이 증가하며, 아울러 관 내경의 증가와 함께 관의 두께가 증가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관의 외경 또한 상당히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소형 합성수지관의 연결보다 대형 합성수지관의 연결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한편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사용되는 금속성의 전기 접속단자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과 일체화된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따라서 이음관 내부에 강력한 압력이 걸리거나 혹은 무수히 많은 회수의 응력이 증가 및 감소가 반복될 때 가장 취약 부위는 전기 접속단자가 위치한 부분부터 크랙이 생성되어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속단자가 위치한 부위에 대한 크랙의 생성 자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발열체로서 전도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플라스틱이 주변 플라스틱 재질과 효과적으로 융착되기 위하여는 가급적 높은 압력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문제는 이음관이 대형화될 수록 더욱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형 이음관의 설계에 더욱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전기융착용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내주에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관 형태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용 본체 ;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전기 공급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태의 발열본체와,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전극용 돌출부와, 상기 전극용 돌출부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수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 ; 상기 융착용 본체와 함께 상기 발열체를 포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융착용 본체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이 원통 형태를 가지는 외주 커버부와,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와, 상기 외주 커버부의 외주면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용 본체 ;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전극 수용홈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용 본체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전기 접속단자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발열체는 발열본체가 균등한 두께를 가지면서 실린더 형태로 제조된 것이므로 전기 접속단자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모든 부위가 균등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용 본체 또한 전기 접속단자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모든 부위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음관 내부에 강력한 압력이 걸리거나 혹은 무수히 많은 회수의 응력의 증가 및 감소가 반복될 때에도 전기 접속단자가 위치한 부위부터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용 본체의 재질을 융착용 본체의 재질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이음관의 크기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착용 본체의 재질은 합성수지관에 대한 융착 적합성을 가지므로 융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전기융착용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기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융착용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전기융착용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기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2개의 합성수지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전기융착용 이음관(100)은 크게 융착용 본체(110), 발열체(120), 커버용 본체(130), 전기 접속단자(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융착용 본체(110)는 내주에 다른 합성수지관(10)이 삽입되는 관 형태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융착용 본체(110)의 재질은 합성수지관(10)의 재질과의 융착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을 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융착용 본체(110)의 외주면에 2개의 발열체(120)가 마련된다.
각각의 발열체(120)는 융착용 본체(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발열체(120)는 전기 공급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발열체(120)의 형태는 융착용 본체(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태의 발열본체(121)와, 발열본체(121)의 외주면에 발열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전극용 돌출부(122)와, 전극용 돌출부(122)에 전극용 돌출부(12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수용홈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발열체(120)에는 2개의 전극용 돌출부(122)가 형성되며, 아울러 각각의 전극용 돌출부(122)에는 하나씩 전극 수용홈부(12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발열체(120)는 융착용 본체(110)와 커버용 본체(130)에 의하여 포위된다.
커버용 본체(130)는 융착용 본체(110)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융착용 본체(110)의 재질은 합성수지관(10)과의 융착 적합성에 따라 결정되며, 커버용 본체(130)의 재지은 합성수지관(10)과의 융착 적합성과는 무관하게 전기융착용 이음관(100)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선정된다.
커버용 본체(130)의 형태는 발열체(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주 커버부(131)와, 발열체(12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는 커버용 본체(130)가 융착용 본체(110)와 함께 발열체(120)를 포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이다.
아울러 외주 커버부(131)는 그 외주면이 원통 형태를 가지며, 외주 커버부(131)의 외주면에 전극용 돌출부(122)와 나란하게 보강리브(134)가 돌출 형성된다.
발열체(1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접속단자(140)가 마련된다.
하나의 발열체(120)에 한 쌍의 전기 접속단자(14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된다.
아울러 전기 접속단자(140)의 일단부는 전극 수용홈부(123)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커버용 본체(130)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기 접속단자(140)를 배치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132)에는 접속단자용 관통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기융착용 이음관(100)은 인서트 몰드 사출성형기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융착용 본체(110)와, 발열체(120)를 각각 사출성형한 후, 융착용 본체(110), 발열체(120), 전기 접속단자(140)를 인서트 몰드한 상태에서 커버용 본체(130)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
혹은 융착용 본체(110)를 사출성형한 후 융착용 본체(110)를 인서트 몰드한 상태에서 발열체(120)를 사출성형하며, 발열체(120)에 전기 접속단자(140)를 조립한 후 이를 인서트 몰드한 상태에서 커버용 본체(130)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발열체(120)는 발열본체(121)가 균등한 두께를 가지면서 실린더 형태로 제조된 것이므로 전기 접속단자(140)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모든 부위가 균등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용 본체(130) 또한 전기 접속단자(140)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모든 부위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음관 내부에 강력한 압력이 걸리거나 혹은 무수히 많은 회수의 응력의 증가 및 감소가 반복될 때에도 전기 접속단자(140)가 위치한 부위부터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버용 본체(130)의 재질을 융착용 본체(120)의 재질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이음관의 크기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착용 본체(120)의 재질은 합성수지관(10)에 대한 융착 적합성을 가지므로 융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기융착용 이음관 110 : 융착용 본체
120 : 발열체 121 : 발열본체
122 : 전극용 돌출부 123 : 전극 수용홈부
130 : 커버용 본체 131 : 외주 커버부
132 :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 133 : 접속단자용 관통구
134 : 보강리브
140 : 전기 접속단자

Claims (1)

  1.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에 있어서 :
    내주에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관 형태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용 본체 ;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전기 공급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융착용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태의 발열본체와,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전극용 돌출부와, 상기 전극용 돌출부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수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 ;
    상기 융착용 본체와 함께 상기 발열체를 포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융착용 본체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이 원통 형태를 가지는 외주 커버부와,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길이방향 단부 커버부와, 상기 외주 커버부의 외주면에 상기 전극용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용 본체 ;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전극 수용홈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용 본체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전기 접속단자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융착용 이음관.
KR1020120144619A 2012-12-12 2012-12-12 전기융착용 이음관 KR10135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19A KR101353507B1 (ko) 2012-12-12 2012-12-12 전기융착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19A KR101353507B1 (ko) 2012-12-12 2012-12-12 전기융착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507B1 true KR101353507B1 (ko) 2014-01-24

Family

ID=5014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19A KR101353507B1 (ko) 2012-12-12 2012-12-12 전기융착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2694B2 (en) * 2018-05-29 2020-10-15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Electrofusion ta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18A (ko) * 2001-02-06 2002-08-13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40096757A (ko) * 2003-05-10 2004-11-17 이화성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7-03-08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KR101017986B1 (ko) 2008-07-03 2011-03-02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18A (ko) * 2001-02-06 2002-08-13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40096757A (ko) * 2003-05-10 2004-11-17 이화성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KR100688997B1 (ko) 2006-02-06 2007-03-08 주식회사 태일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KR101017986B1 (ko) 2008-07-03 2011-03-02 주식회사 태일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2694B2 (en) * 2018-05-29 2020-10-15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Electrofusion tape
IL266007B (en) * 2018-05-29 2022-11-01 Fischer G Rohrleitungssysteme Ag An electrifying strip
IL266007B2 (en) * 2018-05-29 2023-03-01 Fischer G Rohrleitungssysteme Ag An electrifying str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7727B (zh) 电磁流量计
US20100291394A1 (en) Injection molded plastic component having an insert
KR101353507B1 (ko) 전기융착용 이음관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102211294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CN110220064A (zh) 一种管连接结构
KR102193936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110072969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335602Y1 (ko) 전열용융결합 조인트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101818324B1 (ko)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송관용 전기융착기구
KR101103030B1 (ko) 이종 재질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2604197B1 (ko) Pvc 계통 파이프 연결용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
JP6001373B2 (ja) 電気融着継手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JPH10169879A (ja) 合成樹脂管用継手
KR100550826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JP2021001618A (ja) 電気融着プラグ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20030049281A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03129194A (ja) 融着継手
KR200330150Y1 (ko) 파이프 용융결합구의 열선피복구조
KR20080087421A (ko) 연결구에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는 수밀 패킹을 설치한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