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024B1 - 전기 융착식 이음관 - Google Patents

전기 융착식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024B1
KR101103024B1 KR1020110005731A KR20110005731A KR101103024B1 KR 101103024 B1 KR101103024 B1 KR 101103024B1 KR 1020110005731 A KR1020110005731 A KR 1020110005731A KR 20110005731 A KR20110005731 A KR 20110005731A KR 101103024 B1 KR101103024 B1 KR 10110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il
terminal pin
terminal pin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우
이정섭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텍 filed Critical (주)폴리텍
Priority to KR102011000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측부에 삽입홀이 관통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삽입홀 내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설치되며, 관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융착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코일과,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되,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코일의 끝단이 접속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자핀과, 단자핀과 삽입홀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단자핀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도록 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융착식 이음관{ELECTROFUSION TYPE JOINTING PIPE}
본 발명은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음은 관들을 서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방식에는 용접이음과 납땜이음 등의 영구결합 방식이 있으며, 이외에도 관을 서로 플랜지 결합시키는 플랜지이음,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나사형이음, 신축관을 이용한 신축이음 등의 분해결합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관이음이 필요한 관 중에서 누출시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가스 등을 이송시키는 관의 경우,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전기 융착식 이음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코일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 융착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코일에 전기 공급을 위한 단자핀이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이음을 필요로 하는 관의 유체 압력에 의해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고, 누설되는 유체가 인화성 또는 폭발성 가스인 경우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코일의 단순한 배치로 인해 관의 완벽한 기밀을 위한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코일과 단자핀간의 접속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고,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이며,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있어서,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측부에 삽입홀이 관통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 내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관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융착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코일과,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의 끝단이 접속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자핀과, 상기 단자핀과 상기 삽입홀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단자핀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링부재을 포함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의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각각에 상기 단자핀이 장착되며, 상기 코일이 상기 삽입홀의 쌍에 각각 대응하도록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장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각각에 상기 실링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은, 상기 코일의 끝단이 접속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접속홈이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홈에 상기 코일을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억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의하면,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단자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100)은 관(pipe; 10)이 내측에 끼워지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코일(120)과, 코일(120)에 접속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단자핀(130)과, 단자핀(130)에 설치되는 실링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10)이 본 실시예에서처럼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거나 이와 달리 일측으로 끼워지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측부에 삽입홀(111)이 관통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삽입홀(111) 내에 걸림부(112)가 형성된다. 걸림부(112)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삽입홀(111) 내에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 걸리도록 직경의 축소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삽입홀(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일렬을 이루도록 다수의 쌍으로 형성되고, 삽입홀(111) 각각에 단자핀(130)이 삽입 장착되며, 코일(120)이 삽입홀(111)의 쌍에 각각 대응하도록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삽입홀(111)은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쌍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120)은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설치되고, 본체(110)와 관(10)의 사이에서 발열하도록 관(10)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융착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단자핀(130)의 쌍에 대응하는 개수, 본 실시예에서처럼 두 개로 이루어져서 본체(110)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코일(120)은 본체(110)의 내주면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례로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홈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본체(110)의 사출 성형시 내주면에 권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11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단자핀(130)은 다수, 예컨대, 코일(120)의 개수에 대응하는 쌍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홀(111)에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삽입되되, 본체(110)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걸림부(112)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131)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관(10)을 통해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본체(1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코일(120)의 끝단이 접속되고, 코일(120)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황동 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단자핀(130)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장착홈(132)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고, 장착홈(132) 각각에 실링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단자핀(130)과 삽입홀(111)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단자핀(130) 외측의 장착홈(132)에 장착되고, 일례로 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기밀유지를 위한 밀착력을 높이도록 탄성을 가진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단자핀(130) 중에서 유체의 누설 우려가 있는 부분에 위치한 일부의 단자핀(130)에 장착되거나, 본 실시예와 달리 모든 단자핀(1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핀(130)은 코일(120)의 끝단이 접속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접속홈(133)이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접속홈(133)에 코일(120)을 고정시키는 쐐기 등과 같은 고정편(134)이 억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단자핀(130)은 본 실시예와 달리, 코일(120)의 끝단이 스팟 용접, 솔더링 등에 의하여 접속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10)의 내측에 이음을 필요로 하는 관(10)을 삽입한 다음, 단자핀(130)에 전기케이블의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고, 전기케이블을 통해 단자핀(130)으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코일(120)로부터 열이 발산되도록 하여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된 관(10)이 전기 융착되어 본체(110)에 결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코일(120) 각각이 본체(110)의 내주면을 분담하여 가열함으로써 관(10)의 전기 융착 효율을 높이고, 이로 인해 관(10)의 기밀 유지력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단자핀(130)이 본체(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코일(120)의 권선 및 접속에 유리함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코일(120)과 단자핀(130)간의 접속 및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자핀(130)에 실링부재(140)가 설치되고, 나아가서, 이러한 실링부재(140)가 단자핀(1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장착홈(132)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단자핀(130)의 설치부위를 통해서 관(10)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화성 및 폭발성 가스 등의 유체 누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 111 : 삽입홀
112 : 걸림부 120 : 코일
130 : 단자핀 131 : 걸림턱
132 : 장착홈 133 : 접속홈
134 : 고정편 140 : 실링부재

Claims (4)

  1.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있어서,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을 끼워넣을 수 있게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다수의 삽입홀이 측부에 관통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며, 상기 관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융착열을 제공하는 코일;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춤시 또는 상기 관을 통한 유체압력의 전달시에도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의 끝단이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핀; 및 상기 단자핀의 외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단자핀과 상기 삽입홀 사이의 기밀을 유지토록 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삽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상기 삽입홀의 쌍에 각각 대응하도록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장착홈이 외주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코일 끝단의 삽입을 위한 접속홈이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홈에 상기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억지끼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05731A 2011-01-20 2011-01-20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10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731A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1-01-20 전기 융착식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731A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1-01-20 전기 융착식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024B1 true KR101103024B1 (ko) 2012-01-05

Family

ID=4561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731A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1-01-20 전기 융착식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0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372A (ko) 2018-02-26 2019-09-04 미르산업 주식회사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190136795A (ko) 2018-05-31 2019-12-10 신영석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KR102063978B1 (ko) 2019-07-04 2020-01-08 (주)폴리텍 전기 융착식 이음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110A (ja) * 1991-11-06 1993-05-21 Sekisui Chem Co Ltd 溶着継手用のターミナルピン
JPH0619912A (ja) * 1992-06-25 1994-01-28 Toshiba Corp 多方向出入管理システム
JPH0619912Y2 (ja) * 1988-07-11 1994-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溶着継手
JP2000161580A (ja) * 1998-11-27 2000-06-16 Hitachi Metals Ltd 電気融着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12Y2 (ja) * 1988-07-11 1994-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溶着継手
JPH05124110A (ja) * 1991-11-06 1993-05-21 Sekisui Chem Co Ltd 溶着継手用のターミナルピン
JPH0619912A (ja) * 1992-06-25 1994-01-28 Toshiba Corp 多方向出入管理システム
JP2000161580A (ja) * 1998-11-27 2000-06-16 Hitachi Metals Ltd 電気融着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372A (ko) 2018-02-26 2019-09-04 미르산업 주식회사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190136795A (ko) 2018-05-31 2019-12-10 신영석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KR102063978B1 (ko) 2019-07-04 2020-01-08 (주)폴리텍 전기 융착식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5514B (zh) 光纤接续盒方法和装置
ES2794649T3 (es) Tenazas con bobina de inducción electromagnética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CN105849522A (zh) 允许密封完整性的无损压力检测的管道配件
KR101103026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AU2011288891C1 (en) Internal electrofusion ring coupler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20140005001U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101103030B1 (ko) 이종 재질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100745185B1 (ko) 연결구와 연결링 융착형 연결용 합성수지관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818324B1 (ko)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송관용 전기융착기구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20200049077A (ko) 파이프의 전기융착이음관
KR200246835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KR20120110676A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0299410Y1 (ko) 절연 조인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81191Y1 (ko)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200341400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