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498B1 - 전기 융착식 파이프 - Google Patents

전기 융착식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498B1
KR101163498B1 KR1020110146027A KR20110146027A KR101163498B1 KR 101163498 B1 KR101163498 B1 KR 101163498B1 KR 1020110146027 A KR1020110146027 A KR 1020110146027A KR 20110146027 A KR20110146027 A KR 20110146027A KR 101163498 B1 KR101163498 B1 KR 10116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coil
pipes
joi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우
한용훈
Original Assignee
현대파이프피이케이 주식회사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파이프피이케이 주식회사, (주)폴리텍 filed Critical 현대파이프피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핀으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그 유체 누설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이음을 위한 복수의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로 구분되되, 상기 제1파이프의 일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파이프의 끼워맞춤식 이음결합이 가능토록 된 내경 확장형 이음관부; 상기 이음관부의 내주연부에 설치된 채로, 전기 융착을 위해 발열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음관부에 삽입 장착되는 다수의 단자핀; 및, 상기 단자핀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융착식 파이프{ELECTROFUSION TYPE PIPE}
본 발명은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핀으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그 유체 누설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 공급 및 오수 처리용 상?하수관이나 통신케이블의 이동통로 역할을 위한 파이프(Pipe)를 지중매설(地中埋設 : 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굴삭기(掘削機, Excavator, 포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Cutting / Excavation, 掘鑿)로 파이프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파이프 다수를 배치시켜 놓고 인력에 의한 파이프이음(Pipe joint, 이하 "이음작업"이라 함) 작업의 실시 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우기(Backfilling, 覆土)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한다.
여기서, 상기 이음작업은 파이프 연결부위의 조립성 및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누수방지의 목적을 위한 것인바, 대표적인 방식에는 용접이음과 납땜이음 등의 영구결합방식이 있으며, 이 밖에도 파이프를 서로 플랜지 결합시키는 플랜지이음,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나사이음, 신축관을 이용한 신축이음 등의 분해결합방식이 있다.
한편, 전술한 이음작업이 필요한 파이프 중 누출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높은 가스 등을 이송시키는 파이프 배관의 경우,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전기 융착식 이음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코일(Coil)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 융착으로 연결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한 코일에는 전기 공급을 위한 단자핀이 더 구비된다.
하지만, 상호 간 이음을 필요로 하는 파이프의 유체 압력에 의해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고, 이렇게 누설되는 유체가 인화성 가스인 경우 화재나 폭발 사고의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코일의 단순한 배치로 인해 파이프 상호 간의 완벽한 기밀을 위한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코일과 단자핀 간의 접속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이음관 이용시, 상호 이음의 대상이 되는 파이프 상호 간의 융착을 위한 이음부위 추가 및 그에 따른 누설의 가능성 증가는 물론, 별도 구성품 구비에 따른 작업과정의 번잡성과 함께 공사비용 상승의 주원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시에, 전기 융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조립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융착식 파이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호 이음을 위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 선단에 다른 파이프의 이음작업을 위한 이음관부를 일체화하여, 별도의 이음관 구비에 따른 이음부위의 추가발생 방지와 더불어 그로 인한 파이프 이음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이음을 위한 복수의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로 구분되되, 상기 제1파이프의 일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파이프의 끼워맞춤식 이음결합이 가능토록 된 내경 확장형 이음관부; 상기 이음관부의 내주연부에 설치된 채로, 전기 융착을 위해 발열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음관부에 삽입 장착되는 다수의 단자핀; 및, 상기 단자핀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부에는, 걸림부가 내측에 마련된 다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장착홈이 외주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코일 끝단의 삽입을 위한 접속홈이 바닥면 중심부로부터 내향 형성되며, 상기 접속홈에는, 상기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억지끼움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전기 융착식 파이프는, 단자핀을 통한 유체의 누설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유체의 누설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전기 융착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파이프 이음작업을 위한 별도의 이음관 구성생략을 통해, 파이프 이음작업시의 구성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인한 배관공사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상기 이음관 이용에 따른 이음부위 증가의 문제점 해소는 물론 그로 인한 단일 이음부위의 전기 융착만으로도 복수의 파이프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이음결합할 수 있는 등의 이음작업의 편의성 극대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이음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있어서, 단자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이음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에 있어서, 단자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는, 상호 이음을 위한 복수의 제1파이프(10-1) 및 제2파이프(10-2)로 구분되되, 상기 제1파이프(Pipe; 10-1)의 일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제2파이프(10-1)의 끼워맞춤식 이음결합이 가능토록 된 내경 확장형 이음관부(110)와,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주연부에 설치된 채로 전기 융착을 위해 발열되는 코일(120)과, 상기 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음관부(110)에 삽입 장착되는 다수의 단자핀(130)과, 상기 단자핀(130)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관부(110)는, 상기 제2파이프(10-2)의 일 선단을 내부로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상기한 제2파이프(10-2)의 외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내경 크기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핀(130)을 장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홀(111)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1) 내에는 상기한 단자핀(130)의 분리방지를 위한 걸림부(1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12)는, 상기한 삽입홀(111) 내로 상기 단자핀(130)을 장착하되,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경 측으로부터 외경 측 방향으로 끼움장착할 경우의 최대 삽입위치 선정을 위한 단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홀(111)은, 상기 이음관부(110)의 일 부위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20)은,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주연을 따라 권선(捲線, Winding wire)되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이음관부(110)와 상기 제2파이프(10-2) 사이에서 발열토록 상기 제2파이프(10-2)의 외주연(外周緣)에 위치하여 전기의 공급에 의해 융착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며, 상기 단자핀(130)의 각 쌍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주연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20)은 이음관부(110)의 내주연에 설치하기 위해, 일 예로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주연을 따라 장착홈(13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이음관부(110)의 사출성형시 내주연에 일체로 권선될 수 있다.
단자핀(130)은, 다수, 예컨대 코일(120) 개수에 대응하는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홀(111) 각각에 이음관부(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삽입되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한 상기 걸림부(112)에 대응하는 걸림턱(131)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2파이프(10-2)을 통해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도 상기 이음관부(110) 외측으로의 분리이탈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단자핀(130)은, 상기 코일(120)의 그 끝단과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황동 등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단자핀(130)의 둘레에는, 다수의 장착홈(132)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32) 각각에는 상기한 실링부재(14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한 장착홈(13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홀(111)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단자핀(130)과 삽입홀(111)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일례로 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기밀유지를 위한 밀착력을 높이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혹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단자핀(130)은, 상기 코일(120) 끝단의 삽입을 위한 접속홈(133)이 바닥면 중심부로부터 내향 형성되고, 상기 접속홈(133)으로부터 코일(1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쐐기형 고정편(1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코일(120)의 끝단은 스팟용접, 솔더링 등에 의하여 접속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110-1)은 상기 제1파이프(10-1)의 이음관부(110) 내측으로 끼워맞춤되는 상기 제2파이프(10-2)의 끝단을 간섭하여 더 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관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파이프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음관부(110)의 내측으로 이음을 필요로 하는 상기 제2파이프(10-2)을 삽입한 다음, 단자핀(130)에 전기케이블의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고, 전기케이블을 통해 상기 단자핀(130)으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코일(120)로부터 열이 발산되도록 하여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된 상기 제2파이프(10-2)가 전기 융착되어 이음관부(110)에 결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일(120) 각각이 이음관부(110)의 내주연을 분담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한 제1,2파이프(10-1)(10-2) 상호 간의 전기 융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한 제1,2파이프(10-1)(10-2) 사이의 기밀 유지력이 크게 증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핀(130)이 이음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상기한 코일(120)의 권선 및 접속 효율성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코일(120)과 단자핀(130) 간의 접속 및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단자핀(130) 장착홈(132)마다 다수의 실링부재(140)가 각각 장착됨에 따라, 상기한 단자핀(130)의 설치부위를 통해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화성 및 폭발성 가스 등의 유체 누설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나 폭발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하여, 상기 제1파이프(10-1)의 일측에 상기한 이음관부(11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구성품으로 된 기존 이음관의 그 양측 방향으로 각각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끼워맞춤해야만 했던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작업기간 단축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 제1파이프, 10-2 : 제2파이프
110 : 이음관부, 110-1 : 관턱
111 : 삽입홀, 112 : 걸림부
120 : 코일, 130 : 단자핀
131 : 걸림턱, 132 : 장착홈
133 : 접속홈, 134 : 고정편
140 : 실링부재

Claims (2)

  1. 상호 이음을 위한 복수의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로 구분되되,
    상기 제1파이프의 일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파이프의 끼워맞춤식 이음결합이 가능토록 된 내경 확장형 이음관부; 상기 이음관부의 내주연부에 설치된 채로, 전기 융착을 위해 발열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음관부에 삽입 장착되는 다수의 단자핀; 및, 상기 단자핀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음관부에는, 걸림부가 내측에 마련된 다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장착홈이 외주면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코일 끝단의 삽입을 위한 접속홈이 바닥면 중심부로부터 내향 형성되며,
    상기 접속홈에는, 상기 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억지끼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2. 삭제
KR1020110146027A 2011-12-29 2011-12-29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116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27A KR101163498B1 (ko) 2011-12-29 2011-12-29 전기 융착식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27A KR101163498B1 (ko) 2011-12-29 2011-12-29 전기 융착식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498B1 true KR101163498B1 (ko) 2012-07-18

Family

ID=4671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27A KR101163498B1 (ko) 2011-12-29 2011-12-29 전기 융착식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10B1 (ko) * 2012-08-29 2013-10-15 (주)폴리텍 배관용 가변식 엘보
KR101863459B1 (ko) * 2016-12-12 2018-05-31 노갑덕 Scw 기반 파이프의 필라멘트 연결구조체
CN109944999A (zh) * 2017-12-20 2019-06-28 惠州海卓科赛医疗有限公司 一种密封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12Y2 (ja) * 1988-07-11 1994-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溶着継手
KR200313859Y1 (ko) * 2003-01-14 2003-05-22 김정환 융착 칼라 피이 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12Y2 (ja) * 1988-07-11 1994-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溶着継手
KR200313859Y1 (ko) * 2003-01-14 2003-05-22 김정환 융착 칼라 피이 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10B1 (ko) * 2012-08-29 2013-10-15 (주)폴리텍 배관용 가변식 엘보
KR101863459B1 (ko) * 2016-12-12 2018-05-31 노갑덕 Scw 기반 파이프의 필라멘트 연결구조체
CN109944999A (zh) * 2017-12-20 2019-06-28 惠州海卓科赛医疗有限公司 一种密封结构
CN109944999B (zh) * 2017-12-20 2024-03-26 惠州海卓科赛医疗有限公司 一种密封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2723B1 (en) Connections and terminations for cables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BR112013021673B1 (pt) encaixe de solda de fusão
GB2355775A (en) Electrofusion coupling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CN219575948U (zh) 一种电缆熔接头
EP2390698B1 (en) Sealed optoelectronic isolation connection device and sealed cabin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103026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1442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CN108808615B (zh) 接线盒及使用所述接线盒的海上发电系统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CN111525490A (zh) 一种电缆接头防护装置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CN210838762U (zh) 一种电动机专用防爆穿线管
CN215645986U (zh) 一种能快速拆装的电线接管
KR101247527B1 (ko)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0900214B1 (ko) 관로 연결장치
CN214506506U (zh) 一种埋地式高压电力用hppm电力波纹管
US9088109B2 (en) Quick disconnect connector with integral suppression diode
JP2013148147A (ja) 分岐栓付きサドル継手及び仮設配管用管継手
CN215646126U (zh) 一种密封组件、电缆连接结构及振冲桩施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