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191Y1 -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191Y1
KR200181191Y1 KR2019980004304U KR19980004304U KR200181191Y1 KR 200181191 Y1 KR200181191 Y1 KR 200181191Y1 KR 2019980004304 U KR2019980004304 U KR 2019980004304U KR 19980004304 U KR19980004304 U KR 19980004304U KR 200181191 Y1 KR200181191 Y1 KR 20018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over body
protective
fusion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302U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19980004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19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하는 가스관이나 전선관을 연결결합하는 용융결합구의 융착부를 보호하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덮개를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에 밀착보호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융착부가 손상이 되거나,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관을 융착결합하는 용융결합구의 보호덮개에 있어서,
용융결합구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보호덮개 본체와,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 상,하부에 상기 보호링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며, 상, 하부요홈의 간격은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의 길이만큼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요입되어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보호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하는 가스관이나 전선관을 연결결합하는 용융결합구의 융착부를 보호하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덮개를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에 밀착보호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융착부가 손상이 되거나,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나 전화선 등은 가스관이나 전선관을 통해 지중에 매설하여 각 가정까지 연결되었다.
상기한 파이프관을 지중에 매설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 소정길이의 파이프관과, 각 파이프관을 연결결합하도록 한 용융결합구 등을 운반하여 파이프관과 용융결합구를 융착결합하여 파이프관 연결작업을 하였다.
상기한 용융결합부의 고열이 발생되도록 발열체 저항코일이 형성된 융착부는, 운반이나 보관중에 불의하게 손상이 발생되거나, 이물질이 묻어서 파이프관의융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결합구(1)의 개방된 상부에 보호덮개(3)로 용융결합부의 내부를 밀폐하여, 용융결합부(1)내의 융착부(2)가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보호덮개는 덮개가 용융결합부의 상단 외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운반도중에 보호덮개가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용융결합구의 융착부가 효과적으로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호덮개를 용융결합구내의 융착부에 밀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용융결합구내의 융착부에 이물질이나 손상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호덮개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덮개 본체. 11 : 걸림턱.
12,12' : 요홈. 13,13' : 보호링.
본 고안은 파이프관을 융착결합하는 용융결합구의 보호덮개에 있어서,
용융결합구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보호덮개 본체와,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 상,하부에 상기 보호링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며, 상, 하부요홈의 간격은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의 길이만큼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요입되어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보호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을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덮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요홈(12,12')과, 상기 요홈(12,12')에 요입되어 돌출형성된 보호링(1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덮개 본체(10)는 단면형상이 형으로, 용융결합구(1)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보호덮개 본체(10)의 상단에 절곡되어 형성하며, 다수개의 장공(11a)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요홈(12,12')은 상기 보호덮개 본체(10)의 외주면 상,하부에 상기 보호링(13,13')이 요입되도록 형성하며, 상, 하부요홈(12,12')의 간격은 용융결합구(1)의 융착부(2)의 길이만큼 형성한다.
상기 보호링(13,13')은 상기 요홈에(12,12') 요입되어 상기 보호덮개 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용융결합구이고, 2는 융착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결합구(1)내에 상기 보호덮개(10)를 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턱(11)까지 누르면 상기 보호링(13,13')이 용융결합구(1)내의 요홈에 요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보호링(13,13')사이에 융착부(2)가 밀착보호되고, 작업시 보호덮개(10)를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턱(11)의 장공을(11a)이용하여 용융결합구(1)내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용융결합구(1)내에 밀착결합되기 때문에, 운반중 융착부(2)가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보호덮개를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에 밀착보호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운반도중에 보호덮개가 용융결합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융착부가 손상이 되거나, 이물질 등이 묻는 등의 융착불량원인을 방지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관을 융착결합하는 용융결합구의 보호덮개에 있어서,
    용융결합구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보호덮개 본체와,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탈착용 장공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 상,하부에 상기 보호링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며, 상, 하부요홈의 간격은 용융결합구의 융착부의 길이만큼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요입되어 보호덮개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보호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2019980004304U 1998-03-23 1998-03-23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200181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04U KR200181191Y1 (ko) 1998-03-23 1998-03-23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04U KR200181191Y1 (ko) 1998-03-23 1998-03-23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302U KR19990038302U (ko) 1999-10-25
KR200181191Y1 true KR200181191Y1 (ko) 2000-05-15

Family

ID=1953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304U KR200181191Y1 (ko) 1998-03-23 1998-03-23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92B1 (ko) 2008-11-28 2011-01-19 김영훈 분사압력 저감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92B1 (ko) 2008-11-28 2011-01-19 김영훈 분사압력 저감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302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47373A (ja) 受口部材および管接続用部材
US20090097910A1 (en) Coupling construction for high-pressure pipe
KR100438990B1 (ko) 전기융착식접속장치
KR200181191Y1 (ko)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US20030178842A1 (en) Pipe assembly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JP2007051733A (ja) 管継手、該管継手の形成方法及び該管継手を用いた配管接続方法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JPH06265082A (ja) 電気融着継手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200211583Y1 (ko)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JP2003097784A (ja) 融着継手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H08334195A (ja) 栓体を内蔵した電気融着継手
KR101664309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파이프 클램핑 장치
JPH04171392A (ja) 電気融着管継手
JP3164783B2 (ja) 電気融着継手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JP6001373B2 (ja) 電気融着継手
CN219413827U (zh) 一种焊接式密封管接头
CN210510693U (zh) 一种rtp管道连接接头结构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