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492B1 - 분사압력 저감캡 - Google Patents

분사압력 저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492B1
KR101009492B1 KR1020080120136A KR20080120136A KR101009492B1 KR 101009492 B1 KR101009492 B1 KR 101009492B1 KR 1020080120136 A KR1020080120136 A KR 1020080120136A KR 20080120136 A KR20080120136 A KR 20080120136A KR 101009492 B1 KR101009492 B1 KR 10100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iring
wire drawing
injection pressu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224A (ko
Inventor
이재용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이재용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08012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4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은, 배선관의 끝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관의 끝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배선관의 끝단을 통해 연장되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전선인출홈이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배선관을 통해 분사된 물이 내부공간의 천장면에 부딪힌 후 상기 전선인출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을 이용하면, 배선관을 통해 분출되는 물이 분사압력 저감캡에 부딪혀 분사압력이 저감된 이후 수변전 설비시스템 내부로 유입되므로 수변전기기로 물이 직접 뿌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선관을 통해 부출되는 물이 둘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되므로 물의 분사압력이 한층 더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80120136
수변전기기, 침수, 배선관, 분사, 압력, 저감, 캡

Description

분사압력 저감캡{Cap for reducing squirting-pressure}
본 발명은 일단이 수변전 설비시스템 내부를 향하도록 장착되는 배선관을 통해 역류되는 물의 분사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선관의 일단에 장착되는 분사압력 저감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에 설치된 전주와 전주 상단부에 변압기 및 관련 수변전기기와 공중에 설치된 전선을 도시미관과 안전을 고려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상 또는 지하설치형 변압기, 차단기 등 수변전 시스템은 침수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그리고 침수시 전기 관련 사고를 제외하더라도 수변전 시스템이 침수시 복구에 막대한 인력과 경제적 손실을 동반하는 것은 물론 복구 기간 동안 정전으로 인해 2차 손실은 엄청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변전기기 케이스 주변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수변전기기 케이스 주변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수변전 기기 케이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은, 수변전기기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변전기기 케이스(10)와,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름막(20)과, 상기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및 주름막(20)이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30)과, 상기 주름막(2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40)은, 상기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내부의 수변전기기 손상될 수 있을 만큼 주름막(20)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주름막(2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주름막(2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주름막(20)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주름막(20) 내부로 어느 정도의 물은 유입될 수 있지만, 수변전기기가 손상될 만큼 침수되지는 아니하게 된다.
이때, 수변전기기 케이스(10)에는 각종 전선(50)이 연결되는데, 상기 전선(50)이 그대로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전선(50)은 일단이 주름막(2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우징(30)의 바닥판을 관통하는 배선관(60) 내부를 지나도록 배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차가 있는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상측에 위치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1)의 주름막(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선관(60)의 내부를 따라 흘러 내려가 하측에 위치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1)의 주름막(20) 내부로 분출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물론, 하측에 위치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1)의 주름막(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압축공기 공급수단(40)의 동작에 의해 수변전기기 케이스(10)가 심각하게 침수되지는 아니하지만, 배선관(60)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분사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측면이나 상면으로 직접 물이 뿌려짐으로써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내부의 수변전기기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나의 배선관(60)으로 연결된 두 개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 간의 고도차가 클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1)으로 물이 분사되는 압력은 매우 커지게 되므로,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내부의 수변전기기 손상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선 보호를 위한 배선관을 통해 물이 역류되어 분출되는 경우 물의 분사압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수변전기기로 물이 직접 뿌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사압력 저감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은,
배선관의 끝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관의 끝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배선관의 끝단을 통해 연장되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전선인출홈이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배선관을 통해 분사된 물이 내부공간의 천장면에 부딪힌 후 상기 전선인출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은,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선인출홈은 몸체의 측벽에 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둘 이상의 전선인출홈은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배선관의 끝단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지점 반대편의 몸체에 결합되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을 이용하면, 배선관을 통해 분출되는 물이 분사압력 저감캡에 부딪혀 분사압력이 저감된 이후 수변전 설비시스템 내부로 유입되므로 수변전기기로 물이 직접 뿌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선관을 통해 부출되는 물이 둘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되므로 물의 분사압력이 한층 더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이 적용된 수변전 설비시스템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을 연결하는 배선관(60)의 양 끝단 중 낮은 지점에 위치되는 끝단(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수변전 설비시스템(1)에 결합된 끝단)에 장착되어, 분사되는 물이 부딪힘으로써 분사압력이 저감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이 장착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1)은, 수변전기기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변전기기 케이스(10)와,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름막(20)과, 상기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및 주름막(20)이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30)과, 상기 주름막(2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40)과, 일단이 하우징(3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주름막(20)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배선관(60)과, 상기 배선관(60) 내부를 통해 양단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더 정확하게는 수변전기기 케이스(10))에 연결되는 전선(5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변전기기 케이스(10), 주름막(20), 하우징(30), 압축공기 공급수단(40), 배선관(60), 전선(50) 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1)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관(60)의 끝단 주변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는 연장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배선관(60)의 끝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관(60)의 끝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도 4에서는 하측)에 개구부를 갖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며, 배선관(60)의 끝단을 통해 연장되는 전선(5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전선인출홈(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몸체(110)가 배선관(60)의 끝단을 감싸도록 장착되면, 상기 배선관(60)의 끝단으로부터 상향 분 사되는 물은 몸체(110) 내부공간(112)의 천장면에 부딪혀 아래로 떨어진 후, 측벽에 형성된 전선인출홈(114)을 몸체(110) 외부로 흘러 나가게 된다. 몸체(110) 외부로 흘러 나간 물은 주름막(20) 내부에 고이게 되고, 주름막(20) 내부에 고인 물의 양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 공급수단(40)의 동작에 의해 주름막(2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은, 배선관(60)을 통해 상향으로 분사되는 물을 가로막음으로써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측면이나 상면으로 물이 뿌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선관(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급격하게 저감시킨 후 몸체(11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물이 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을 이용하면, 수변전기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 수변전기기가 물에 젖음으로써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배선관(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몸체(110)의 내부공간(112) 천장면에 부딪힘으로써 물의 분사압력이 저감된다 하더라도, 유량이 많고 분사압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물이 전선인출홈(114)을 통해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위로 튀어 올라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측면이나 상면에 뿌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은, 상기 배선관(60)의 끝단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지점 반대편의 몸체(110) 즉,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연장부 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에 연장부재(120)가 결합되면, 배선관(6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매우 높아 전선인출홈(114)을 통해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상향으로 튀게 되더라도 연장부재(120)의 가장자리 부위에 막혀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바, 수변전기기 케이스(10)의 측면이나 상면에 물이 뿌려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전선인출홈(114)의 외측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편(125)을 구비하여 상기 연장부재(120)에 의해서 발생되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110)의 하단면에 형성된다.
또한, 배선관(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내부공간(112)의 천장면에 부딪힐 때, 몸체(110)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최소화시키고 내부공간(112)의 천장면에 부딪힌 물이 내부공간(112)의 벽면을 타고 부드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내부공간(112)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벽에는 전선인출홈(114)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전선(50)을 인출할 수 있는 방향이 하나로 한정되므로 전선(50)인출 방향을 변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선인출홈(114)이 측벽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면, 배선관(60)을 통해 분사된 물이 한쪽으로만 배출되므로 상기 몸체(110)는 전선인출홈(114)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인 힘(물이 배출되는 힘의 반력)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이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몸체(110)가 최초 결합위치에서 벗어나 전선인출홈(114)이 형 성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전선인출홈(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벽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인출홈(114)이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면, 몸체(110)의 내부공간(112)에 부딪힌 물이 몸체(110)의 양 방향으로 배출되는바, 상기 몸체(110)가 이동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선인출홈(114)이 2개 형성된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전선인출홈(114)은 셋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전선인출홈(114)으로 물이 배출될 때 발생되는 반력이 상호 상쇄됨으로써 상기 몸체(110)가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각각의 전선인출홈(114)은 방사형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연장부재(1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선(50)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향으로 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100)이 몸체(110)로만 구성되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변전 설비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이 적용된 수변전 설비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압력 저감캡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변전 설비시스템 10 : 수변전기기 케이스
20 : 주름막 30 : 하우징
40 : 압축공기 공급수단 50 : 전선
60 : 배선관 100 : 분사압력 저감캡
110 : 몸체 112 : 내부공간
114 : 전선인출홈 120 : 연장부재

Claims (4)

  1. 배선관(60)의 끝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관(60)의 끝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며, 배선관(60)의 끝단을 통해 연장되는 전선(5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측벽에 전선인출홈(114)이 형성되는 몸체(110);
    를 포함하여, 상기 배선관(60)을 통해 분사된 물이 상기 내부공간(112)의 천장면에 부딪힌 후 상기 전선인출홈(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선관(60)의 끝단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지점 반대편의 몸체(110)에 결합되는 연장부재(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전선인출홈(114)의 외측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편(125)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110)의 하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압력 저감캡(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공간(112)은,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압력 저감캡(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인출홈(114)은 몸체(110)의 측벽에 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둘 이상의 전선인출홈(114)은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압력 저감캡(100).
  4. 삭제
KR1020080120136A 2008-11-28 2008-11-28 분사압력 저감캡 KR10100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36A KR101009492B1 (ko) 2008-11-28 2008-11-28 분사압력 저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36A KR101009492B1 (ko) 2008-11-28 2008-11-28 분사압력 저감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24A KR20100061224A (ko) 2010-06-07
KR101009492B1 true KR101009492B1 (ko) 2011-01-19

Family

ID=4236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36A KR101009492B1 (ko) 2008-11-28 2008-11-28 분사압력 저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4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649U (ko) * 1993-05-10 1994-12-10 엄현자 나선형 전선관의 보호캡
KR200181191Y1 (ko) 1998-03-23 2000-05-15 김영식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20010020893A (ko) * 1999-08-30 2001-03-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81191A (ko) * 2000-02-10 2001-08-29 양방열 축산물 인터넷경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649U (ko) * 1993-05-10 1994-12-10 엄현자 나선형 전선관의 보호캡
KR200181191Y1 (ko) 1998-03-23 2000-05-15 김영식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KR20010020893A (ko) * 1999-08-30 2001-03-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81191A (ko) * 2000-02-10 2001-08-29 양방열 축산물 인터넷경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24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6741B (zh) 一种溢水浮子盒及具有该溢水浮子盒的洗碗机
KR101247348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KR101009492B1 (ko) 분사압력 저감캡
KR100788167B1 (ko) 침수방지용 수변전 설비 시스템
CN101619716B (zh) 电动压缩机的端子保护构件
KR100516440B1 (ko)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101054816B1 (ko)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KR102211871B1 (ko) 접지선 가이드관이 매립된 전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66620A (ja) 液送配管のガス抜き装置
CN210797732U (zh) 一种防撞地下升降式室外消防栓
KR100957534B1 (ko) 콘센트의 접지홀 구조
KR101009493B1 (ko) 공기흡입호스 부유수단을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KR20210044613A (ko) 누설전류 측정 장치
CN208892494U (zh) 洗碗机主控板盒安装结构
KR102492691B1 (ko)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KR200451913Y1 (ko) 오일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CN204494680U (zh) 电极加湿器喷管组件和组合式空调机组
CN215185164U (zh) 一种户外高压柜保护壳
CN112562971B (zh) 防水浸的变压器防护柜
KR200450999Y1 (ko) 보호용 캡을 갖는 전선관 접속장치
JP5732650B2 (ja) 車両用充電装置
CN112429395B (zh) 一种试剂盒运输保护盖
CN219045733U (zh) 一种集成隔离变压器的进近灯
CN208637859U (zh) 一种户外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