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816B1 -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 Google Patents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816B1
KR101054816B1 KR1020090003528A KR20090003528A KR101054816B1 KR 101054816 B1 KR101054816 B1 KR 101054816B1 KR 1020090003528 A KR1020090003528 A KR 1020090003528A KR 20090003528 A KR20090003528 A KR 20090003528A KR 101054816 B1 KR101054816 B1 KR 10105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ment
water
submerged
compressed ai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085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엔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전기 filed Critical (주)엔티전기
Priority to KR102009000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하측에 관통공 형상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지하실; 및 상기 지하실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압축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배전기기가 내부에 장착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유입된 물을 지하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전기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통풍용 갤러리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배전기기로 튀지 아니하므로 배전기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03528
전기 및 기계설비, 침수, 지하, 매설, 압축공기, 배출

Description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Basement for preventing submersion}
본 발명은 내부에 배전기기가 설치된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배전기기가 침수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지하실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지하실 내부의 물을 지하실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배전기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에 설치된 전주와 전주 상단부에 변압기 및 관련 배전기기와 공중에 설치된 전선을 도시미관과 안전을 고려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때, 배전기기가 건축물의 지하실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지하실은 외부로부터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밀폐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내부에 전기 및 기 계설비(10)가 장착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하실(20)과, 일단이 지하실(2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에 연결되는 전선(30)과, 상기 전선(30)이 지하실(20)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 및 배관 출입구(40)와, 지하실(2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지하실(20)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통풍용 갤러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하실(20)의 측벽에는 환기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용 갤러리(50)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통풍구(52)와 상기 환기구(22)와 연통되는 내측통풍구(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통풍구(52)로 유입된 외기는 통풍용 갤러리(50) 내부를 지나 내측통풍구(54)를 통해 지하실(20) 내부로 전달되고, 지하실(20) 내부의 탁한 공기는 환기구(22), 내측통풍구(54), 외측통풍구(52)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감으로써, 지하실(20) 내부가 환기된다.
또한 상기 지하실(20)은,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유지 및 보수 시 개방되는 도어(24)가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안착되는 베이스(26)가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24)는 지하실(20)에 밀폐구조로 장착되며, 상기 통풍용 갤러리(50)는 지하실(10)에 형성된 환기구(22)를 덮도록 지하실(10)에 밀착 형성되는바, 지하에 존재하던 물은 상기 지하실(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는 지하에 매설되더라도 침수의 우려가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비가 오거나 홍수가 나는 경우 통풍용 갤러리(50)에 형성된 외측통풍구(52)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내측통풍구(54)와 환기구(22)를 통해 지하실(20) 내부에 고이게 됨으로써,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침수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하실(20)은 환기구(22)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밀폐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지하실(20)의 내부로 한번 유입된 물은 지하실(2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하실(20) 내부에는 점점 많은 양의 물이 채워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하매설용 배전기기 침수방지구조는, 통풍용 갤러리(50)와 연통되는 환기구(22)가 지하실(20)의 측벽 상부에 위치되는바, 통풍용 갤러리(5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통풍용 갤러리(50)의 바닥면에 튀어 환기구(22)를 통해 지하실(20) 내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지하실(2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물에 젖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전기기가 내부에 장착되는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유입된 물을 지하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전기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통풍용 갤러리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배전기기로 튀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하측에 관통공 형상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지하실; 및
상기 지하실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압축공기 공급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지하실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상기 지하실은 측벽에 환기구가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통풍구와, 상기 환기구와 연통되는 내측통풍구를 구비하는 통풍용 갤러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기구와 내측통풍구는,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배전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지하실을 관통하여 상기 지하실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 및 배관 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의 일단은,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는, 인접시설로의 전선공급을 위하여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하실은,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었을 때 상면이 상기 지하실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배전기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배전기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유입된 물을 지하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전기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통풍용 갤러리를 통해 지하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배전기기로 튀지 아니하므로 배전기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가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전기 및 기계설비(10)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하측에 관통공 형상의 배수구(110)가 형성되고 일측 벽에 도어(140)가 형성되며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내부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하실(100)과,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구(110)로 배출시키는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하실(100)에는 관통공 형상의 배수구(110)가 형성되면 상기 배수구(110)를 통해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나,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침수 될 우려가 있을 만큼 지하실(100) 내부에 물이 차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압축공기를 지하실(100) 내부로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이 지하실(100)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지하실(100) 내부의 물은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수구(110)를 통해 지하실(100) 밖으로 밀려나게 되는바, 전기 및 기계설비(10)는 침수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침수될 우려가 있을 만큼 지하실(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만 동작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전기 및 기계설비(10)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300)은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즉,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침수 우려가 발생되는 높이만큼 올라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으로 동작신호를 보내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수위감지수단(300)으로부터 동작신호를 받아 지하실(10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지하실(100) 내부의 물을 지하실(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수위감지수단(300)이 구비되면,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침수가 우려될 만큼 지하실(100)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에만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운전으로 인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침수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수위감지수단(300)의 동작신호 발생이 시작되는 물의 수위(즉, 설정높이)는,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특성 및 각종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조금이라도 물과 접촉하였을 때 손상의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높이는 낮게 세팅되고,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하측 일부가 침수되더라도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손상 우려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높이는 보다 높게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실(100) 내부의 환기를 위해 상기 지하실(100)의 측벽에는 통 풍용 갤러리(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하실(100)의 측벽에는 환기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통풍용 갤러리(50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통풍구(510)와, 상기 환기구(120)와 연통되는 내측통풍구(520)가 형성된다. 상기 통풍용 갤러리(500)를 통해 지하실(100) 내부가 환기되는 원리 및 구조는 종래의 지하매설용 전기 및 기계설비(10)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환기구(120) 및 내측통풍구(520)가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침수 우려가 발생되는 때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즉,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이 동작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에 의해 지하실(100)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환기구(120) 및 내측통풍구(520)를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므로, 지하실(100) 내부의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지하실(100) 외부로 밀려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환기구(120)와 내측통풍구(520)를 통해 새어나가지 아니하도록, 상기 환기구(120)와 내측통풍구(520)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전기 및 기계설비(10)에 연결되는 전선 및 배관(400)은 지하실(100)을 관통하는 부위에 틈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전선 및 배관 출입 구(41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지하실(100) 내부로 인입되는데, 이때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의 하측 끝단이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이 동작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면 압축공기가 상기 전선 및 배관(400) 및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가 상기 전선 및 배관(400) 및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게 되면, 환기구(120) 및 내측통풍구(520)의 형성위치를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하실(100) 내부의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지하실(100) 외부로 밀려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의 일단은,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지하실(100)은 필요에 따라 배전실, 기계실 등과 같은 독립된 공간으로 제작되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별도의 공간 사이에는 계단이나 복도 등과 같은 이동통로가 마련된다. 이때 각각의 독립된 공간 간에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는 상부 측면에 인접시설로의 전선공급을 위한 연통공(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412)은 배수구(110)보다 높은 위치의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는, 통풍용 갤러리(500)와 마찬가지로 하단끝단을 통해서 지하실 내부와 연결되므로, 침수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하단끝단이 물 에 잠기게 되면, 단독시설일 때와 마찬가지로 지하실내부를 채운 압축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배수구(110)가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아니하고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지하실(100)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배수구(11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그대로 지하실(100) 외부로 새어 나가게 되므로,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110)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완전히 잠기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전기 및 기계설비(10)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지하실(100)에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하실(100) 내부로 어느 정도의 물이 유입될 수 밖에 없는데,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약간의 침수에 의해서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면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의 동작이 시작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더라도 침수되지 아니하도록 지하실(10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하실(100)의 바닥면에는,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 위가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의 동작이 시작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더라도 상면이 물에 잠기지 아니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설치되는 베이스(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하실(100)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130)가 구비되면, 지하실(100) 내부로 어느 정도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전기 및 기계설비(10)는 전혀 침수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가 침수되었을 때 침수 수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가 침수되면, 통풍용 갤러리(500)를 통해 외부의 물이 지하실(100)로 유입되고, 두 개의 지하실(10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복도나 계단이 마련되는 공간) 또한 물로 가득 차게 되어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의 연통공(412)을 통해 지하실(100) 측으로 유입된다.
지하실(100) 측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구(110)를 통해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되는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올라가게 되면 수위감지수단(300)이 작동되어 압축공기 공기수단(200)이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 공기수단(200)이 동작되면, 지하실(100) 내부는 고압의 공기로 가득 채워지게 되고, 지하실(100) 내부의 물은 배수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 지하실(100) 내부의 물은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를 통해 두 개의 지하실(10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으로도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낮아져서 수위감지수단(300)의 작동이 해제되면, 압축공기 공기수단(200)은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및 기계설비(10)가 내부에 설치된 배전실 및 기계실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배전실 및 기계실 이외에 각종 지하실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하매설용 배전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가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방지용 지하구조가 침수되었을 때 침수 수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및 기계설비 100 : 지하실
110 : 배수구 120 : 환기구
130 : 베이스 200 : 압축공기 공급수단
300 : 수위감지수단 400 : 전선 및 배관설비
410 : 전선 및 배관 출입구 500 : 통풍용 갤러리
510 : 외측통풍구 520 : 내측통풍구

Claims (7)

  1. 침수수위 하측에는 관통공 형상의 배수구(110)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환기구(120)가 형성되는 지하실(100); 및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구(110)로 배출시키는 압축공기 공급수단(200);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300);
    전기 및 기계설비(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 및 배관(40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지하실(100)을 관통하여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통풍구(510)와, 상기 환기구(120)와 연통되는 내측통풍구(520)를 구비하는 통풍용 갤러리(500);
    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구(120), 상기 내측통풍구(520),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 일단, 상기 배수구(110)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및 배관 출입구(410)는, 인접시설로의 전선공급을 위하여 상기 배수구(110)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4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실(100)는,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었을 때 상면이 상기 지하실(10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잠기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130)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및 기계설비(10)는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용 지하구조.
KR1020090003528A 2009-01-15 2009-01-15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KR10105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528A KR101054816B1 (ko) 2009-01-15 2009-01-15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528A KR101054816B1 (ko) 2009-01-15 2009-01-15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85A KR20100084085A (ko) 2010-07-23
KR101054816B1 true KR101054816B1 (ko) 2011-08-05

Family

ID=4264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528A KR101054816B1 (ko) 2009-01-15 2009-01-15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07B1 (ko) * 2010-10-15 2012-03-27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2596466B1 (ko) * 2021-11-18 2023-11-02 한국전력공사 침수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형 배전스테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514A (ja) * 1998-06-09 1999-12-21 Toshiba Eng Co Ltd 建屋への地下水侵入防止方法
KR20090057850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514A (ja) * 1998-06-09 1999-12-21 Toshiba Eng Co Ltd 建屋への地下水侵入防止方法
KR20090057850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85A (ko) 201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632B2 (en) Sump liner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16739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CN106400839B (zh) 一种综合管廊的天然气舱
KR101054816B1 (ko)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CN100547868C (zh) 埋入式非晶合金预装变电站
KR20180130278A (ko) 침수 감지 및 방지기능이 구현된 제어함
US20050034383A1 (en) Sump overflow protection system
JP5056343B2 (ja) 発電装置の地下埋設構造
KR20110019633A (ko) 수중펌프의 방수구조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454188B1 (ko)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US10208747B2 (en) Trap for pump testing and monitoring systems
KR101763771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KR200470198Y1 (ko)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KR101884288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와 환풍 시스템
JP3306461B2 (ja) 下水ポンプシステム
JP2021155115A (ja) タンク
KR20120053105A (ko) 배수구조를 갖는 맨홀장치
AU2002311399A1 (en) High voltage power transformer oil spill fire extinguishment and drainage
KR101009493B1 (ko) 공기흡입호스 부유수단을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JP2001304163A (ja) ポンプ設備
KR200345566Y1 (ko) 지하수 심정 침수방지용 동력판넬장치
KR102474410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KR100788124B1 (ko) 통신장비 지하 수용함체의 공기순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