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89B1 -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89B1
KR102265689B1 KR1020210001586A KR20210001586A KR102265689B1 KR 102265689 B1 KR102265689 B1 KR 102265689B1 KR 1020210001586 A KR1020210001586 A KR 1020210001586A KR 20210001586 A KR20210001586 A KR 20210001586A KR 102265689 B1 KR102265689 B1 KR 10226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ometer
case
cover member
north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689B9 (ko
Inventor
김광희
이영철
전병욱
이진욱
김윤수
서우석
신원철
김도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89B1/ko
Publication of KR10226568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8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01V1/3817Positioning of seism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04Magnetic compasses with north-seeking magnetic elements, e.g. nee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8Deployment of receiver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1/52Structura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ceanograph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지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땅을 파고 지진계를 지중에 위치시키는 지진계 가매립 단계, 상기 지진계를 감싸며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하단이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세팅되는 제 1 케이싱 단계, 나침반을 이용하여 상기 가매립된 지진계를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버 부재로 케이스를 닫는 제 2 케이싱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설하는 지진계 매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계를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로 상면과 측면을 차폐하여 형성된 내부의 공기 형성층에 의하여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 내부로는 수면이 상승하지 않아 빗물에 의한 지진계의 완전 침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method of installing seismometer for inund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기 형성층에 의하여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 지진계의 완전 침수를 방지하는 지진계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진계는 지진의 규모 및 진원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이며 지표면에 설치되는 지진계는 소음, 바람 등과 같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요인이 많으므로 지진 관측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중에 설치되는 것이 지진계 운영에 있어 적합하며 대지진 이후 발생하는 여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근방의 여러 장소에 임시 지진 관측소를 설치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임시 지진 관측소마다 간이 지진계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기존 소형 지진계 혹은 독립형 지오폰 등을 지진 관측을 위하여 설치하는 경우 지진계를 비닐로 동봉하고 입구를 테이프로 막거나 또는 지진계 자체의 방수 능력만으로 우천에 의하여 지표가 침수되는 상황에서 관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진계를 비닐 또는 테이프로 동봉할 경우 비닐이 찢어지거나 파손될 경우 물이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으며 관측 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진계 자체의 방수 능력만으로는 우천에 의한 침수를 막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계절에 따른 토양의 함수비, 온도 변화, 일교차 및 우천 등의 영향으로 설치된 지진계 혹은 독립형 지오폰이 침수되고 그에 따라 종종 기기의 고장, 기능 저하 및 잘못된 지진 관측이 이루어지곤 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48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96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63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기 형성층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여 지진계의 침수를 방지하는 지진계 설치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은, 지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땅을 파고 지진계를 지중에 위치시키는 지진계 가매립 단계, 상기 지진계를 감싸며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하단이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세팅되는 제 1 케이싱 단계, 나침반을 이용하여 상기 가매립된 지진계를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버 부재로 케이스를 닫는 제 2 케이싱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설하는 지진계 매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계를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로 상면과 측면을 차폐하여 형성된 내부의 공기 형성층에 의하여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 내부로는 수면이 상승하지 않아 빗물에 의한 지진계의 완전 침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은, 지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땅을 파고 지진계를 지중에 위치시키는 지진계 가매립 단계, 상기 지진계를 감싸고,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하단이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세팅되는 제 1케이싱 단계, 자침과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된 방향 기구 및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이 구비되는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세팅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는 단계, 상기 가매립된 지진계를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버 부재로 케이스를 닫는 제 2 케이싱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설하는 지진계 매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계를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로 상면과 측면을 차폐하여 형성된 내부의 공기 형성층에 의하여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 내부로는 수면이 상승하지 않아 빗물에 의한 지진계의 완전 침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 단계는, 상기 커버 부재와 케이스 상단부의 접착면을 패킹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닫았을 때 케이스 상단이 완전 기밀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는 지진계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케이스 상단과 회전 결합 또는 뚜껑 형식으로 결합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은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 내부의 공기 형성층이 내부로의 빗물의 침입을 제한하므로 지진계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시 지진 관측소마다 설치되는 간이 지진계는 여러 장소에 이동하면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 없이 상하단이 통공된 케이스 및 커버 부재만으로 지진계의 침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진계가 케이스 및 커버 부재로 감싸지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지진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의 측단면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의 보조 형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에서 보조 형판이 1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에서 보조 형판이 4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침수 방지를 위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은 땅을 파고 지진계를 지중에 위치시키는 지진계 가매립 단계(S100), 상기 지진계를 감싸며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하단이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세팅되는 제 1 케이싱 단계(S200), 자침과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된 방향 기구 및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이 구비되는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세팅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는 단계(S300), 상기 가매립된 지진계를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하는 단계(S400), 상기 커버 부재로 케이스를 닫는 제 2 케이싱 단계(S500),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설하는 지진계 매립 단계(S600)를 포함한다.
또한,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지진계 장치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진계(10),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 커버 부재(30)를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2에서 도시된 지진계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1. 지진계 가매립 단계(S100)
지진계 가매립 단계(S100)는 지진계(10)를 임시로 지중에 설치시키는 단계이다.
먼저, 땅 속에 지진계(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토굴을 한다.
이 때, 토굴되는 깊이는 작업자가 손을 넣어 간이 지진계(10) 설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진계(10) 표면에 공기 중 수분의 응축에 의한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진계(10) 전면을 부틸 방수 테이프와 같은 방수재로 동봉할 수 있다.
또한 하면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지진계(10)를 지중에 커플링 시키거나 설치될 위치에 평평한 타일을 놓아 지진계(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2. 제 1 케이싱 단계(S200)
제 1 케이싱 단계는 지진계(10)를 감싸는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로 케이스(20) 하단이 지중에 소정 깊이 매립되도록 세팅하는 단계(S200)이다.
이 때, 우천에 의하여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20)가 부력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20) 외면과 내면을 흙으로 설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 하측면에는 지진계(1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관통홀(30)이 형성될 수 있다.
3.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세팅하여 레이저 모듈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는 단계(S300)
일반적으로 간이 지진계(10)의 센서에는 3축 성분, 즉 남북 및 동서 방향에 해당하는 수평 방향의 2성분 및 수직 방향의 1성분이 존재한다.
이 때, 정확한 지진 관측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의 2성분 중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이 지진계(10)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진북 방향과 일치될 필요가 있다.
이 때,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센서가 가리킬 진북 방향을 찾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나침반을 이용하여 찾은 진북 방향과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센서가 가리키는 대략적인 방향이 눈대중으로 일치되도록 어림잡아 지진계(10)를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방향 지시 장치(50)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지진계(10)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자침(310)과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포함된 방향 기구(300) 및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400)이 구비되는 방향 지시 장치(50)를 이용하여 진북 방향을 찾아 정확한 지진계(10)의 설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S300)이다.
지진계(10)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이 진북 방향과 정확히 일치되게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지진파의 방위각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진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지진계(10)의 성능과도 직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나침반을 지진계(10)에 근접시켜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를 하는데 지진계(10) 내부의 코일과 영구자석이 나침반의 방향 설정에 영향을 줄 경우 지진계(10)를 통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에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지시 장치(50)를 통해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작업자가 지진계(10)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가 가리키는 방향과 정확히 일치시킬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의 구성 및 다양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는 회전 형판(100), 고정 플랜지(200), 자침(310)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포함되는 방향 기구(300), 레이저 모듈(400), 전력 공급 모듈(500), 수평계(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회전 형판(100)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자침(310)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회전 형판(100)에는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지중의 지진계(10) 설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에 회전 형판(100)을 안착시킨 후 지중의 케이스(20) 내부로 손을 넣기 용이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1001)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형판(100)의 둘레의 형상은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천공된 개구부(1001)의 형태 역시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플랜지(200)는 회전 형판(100)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랜지(20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은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 상단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고정 플랜지(200)는 원호(圓弧) 형상 또는 회전 가능한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북 방향을 찾을 때 방향 지시 장치(5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300)는 자침(310)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향 기구(300)는 나침반일 수 있다.
또한, 방향 기구(300)는 자침(310) 및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레이저 모듈(400)은 라인 레이저빔이 수평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레이저 모듈(400)은 발사되는 라인 레이저빔이 북방 지시 화살표(320)와 일직선으로 형성되도록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레이저 모듈(400)은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포인터일 수 있다.
레이저 모듈(40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기구(300)의 정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북방 지시 화살표(320)와 나란하게 직사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모듈(40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500)은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듈(500)은 스위치(510) 및 배터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510) 이외에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520)는 건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레이저 모듈(400)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진북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방향 지시 장치(50)가 수평 상태에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는 수평계(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20) 상단 내주면이 고정 플랜지(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 형판(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보조 형판(110) 1개를 케이스(20)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방향 지시 장치(50)를 제 1 플랜지 끼움부(111)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제 1 플랜지 끼움부(1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은 고정 플랜지(2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에서 보조형판(110)(120)(130)(140)이 4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지진계(10)를 감싸는 케이스(20)와 상기 고정 플랜지(2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은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끼움부(111)(121)(131)(141),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112)(122)(132)(142) 및 중앙이 천공된 끼움홀(1101)(1201)(1301)(14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형판(110)(120)(130)(140)은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의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의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케이스(20) 상단의 크기에 대응하여 회전 형판(1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4개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이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므로, 안착되는 케이스(20) 상단의 둘레에 따라 사용되는 보조 형판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 중 최상단의 보조 형판(110)에 형성된 플랜지 끼움부(111)는 고정 플랜지(200)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최하단의 보조 형판(140)에 형성된 보조 플랜지(142)는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 상단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체결되는 제 4 보조 형판(140)의 제 4 끼움홀(1301)에 제 3 보조 형판(130)의 제 3 보조 플랜지(132)가 끼워진다.
이후, 제 3 보조 형판(130)의 제 3 끼움홀(1301)에 제 2 보조 형판(120)의 제 2 보조 플랜지(122)가 끼워진다.
이후, 제 2 보조 형판(120)의 제 2 끼움홀(1201)에 제 1 보조 형판(110)의 제 1 보조 플랜지(112)가 끼워진다.
이후, 고정 플랜지(200)에 제 1 보조 형판(110)의 제 1 플랜지 끼움부(111)가 끼워진다.
따라서,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의 보조 플랜지 외경과 내경의 차이만큼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에 형성된 끼움홀의 직경이 커진다.
그러므로, 안착되는 케이스(20) 상단의 직경에 대응하여 필요한 보조 형판의 개수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케이스(20)의 크기에 대응해 단일 크기의 방향 지시 장치(5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는, 방향 지시 장치(50)를 케이스(20)에 안착시킨 이후 방향 기구(300)의 자침(310)과 북방 지시 화살표(320) 사이의 각도가 작업자가 위치한 지역의 편각만큼 차이가 나도록 회전 형판(100)을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 모듈(400)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과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방향이 일직선으로 형성된다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개구부(1001)에 손을 넣어 지진계(10)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이 레이저빔 라인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지진계(10)를 회전시키는 단일 동작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고 작업효율 역시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의 방향 지시 장치(50)는 진북 방향을 찾을 때만 케이스(20)에 결착되며 지진계(10)가 진북 방향으로 설치된 이후에는 케이스(20)로부터 제거되므로 지진계(10)와 함께 매설되지 않아 추후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세팅하여 레이저 모듈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는 단계(S300)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케이싱 단계(S200)가 수행된 이후에 방향 지시 장치(50)를 케이스(20)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후, 방향 기구(300)의 자침(310)이 가리키는 자북에서 작업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편각만큼 편차를 둘 때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진북을 찾는다.
이후, 레이저 모듈(400)을 작동시켜 라인 레이저빔이 직사된다면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진북 방향과 라인 레이저빔이 형성되는 방향은 일자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4. 지진계 설치 위치 보정 단계(S400)
지진계 설치 위치 보정 단계(S400)는 가매립된 지진계(10)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가 진북 방향과 일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레이저 모듈(400)에서 발사되는 라인 레이저빔이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과 나란하게 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지진계(10)의 설치 위치를 보정한다.
이 때,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는 회전 형판(100)에 형성된 개구부(1001)에 손을 넣어 지진계(10)의 수평 방향 센서 중 남북 방향 성분 센서가 가리키는 방향과 레이저빔 라인의 방향이 나란할 수 있도록 지진계(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계 설치 위치 보정 단계(S400)를 수행한 이후에, 레이저빔 라인 상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5. 제 2 케이싱 단계(S500)
제 2 케이싱 단계(S500)는 케이스(20) 상단을 커버 부재(30)로 차폐하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케이스(20) 상단을 기밀하여 상단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커버 부재(30)를 개폐시켜 케이스(20) 내부의 지진계(10) 설치 및 관측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와 케이스(20) 상단부의 접착면을 패킹하여 상기 커버 부재(30)를 닫았을 때 케이스(20) 상단이 완전 기밀될 수 있다.
또한, 접착면은 고무 패킹면으로 형성되거나 구리스(grease)와 같은 반고체 상태의 밀폐용 윤활유를 접착하여 기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는 회전시켜 케이스(20)를 개폐하는 형태 또는 눌리거나 당겨서 케이스(20)를 개폐하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회전시켜 개폐하는 형태일 경우, 커버 부재(30) 결합시 케이스(20)가 지중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20)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인 고정구를 이용하여 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하여 커버 부재(30)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끼움홈과 대응되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케이싱 단계(S500)를 수행함으로써 지진계(10)는 케이스(20) 및 커버 부재(30)에 의해 상면과 측면이 차폐되어 내부에는 공기 형성층(60)이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는 이상 케이스(20) 내부의 공기 형성층(60)은 유지된다.
6. 지진계 매립 단계(S600)
지진계 매립 단계(S600)는 케이스(20) 상단이 커버 부재(30)로 차폐된 이후, 지진계(10)를 덮고 있는 케이스(20) 및 커버 부재(30)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립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케이스(20) 표면과 흙 사이의 마찰력과 커버 부재(30)를 누르는 흙의 하중으로 인해 케이스(20) 및 커버 부재(30)가 고정됨으로써 우천에 의해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케이스(20) 및 커버 부재(3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들을 통하여,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지진계(10)를 케이스(20) 및 커버 부재(30)로 상면과 측면을 차폐하여 형성된 내부의 공기 형성층(60)에 의하여 케이스 내부로는 수면이 상승하지 않아 빗물에 의한 지진계(10)의 완전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 외부에서는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20) 내부에서의 지하 수면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아 지진계 완전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진계(10)를 설치해 장기간동안 관측을 할 때에도 우천에 의한 침수를 방지할 수 있어 지진계 운영에 있어 용이함이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의 설치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진계
20 : 케이스
30 : 커버 부재
40 : 케이블 관통홀
50 : 방향 지시 장치
100 : 회전 형판
1001 : 개구부
110 : 제 1 보조 형판
111 : 제 1 플랜지 끼움부
112 : 제 1 보조 플랜지
1101 : 제 1 끼움홀
120 : 제 2 보조 형판
121 : 제 2 플랜지 끼움부
122 : 제 2 보조 플랜지
1201 : 제 2 끼움홀
130 : 제 3보조형판
131 : 제 3 플랜지 끼움부
132 : 제 3 보조 플랜지
1301 : 제 3 끼움홀
140 : 제 4 보조형판
141 : 제 4 플랜지 끼움부
142 : 제 4 보조 플랜지
1401 : 제 4 끼움홀
200 : 고정 플랜지
300 : 방향 기구
310 : 자침
320 : 북방 지시 화살표
400 : 레이저 모듈
500 : 전력 공급 모듈
510 : 스위치
520 : 배터리
600 : 수평계
60 : 공기 형성층

Claims (5)

  1. 삭제
  2. 지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땅을 파고 지진계를 지중에 위치시키는 지진계 가매립 단계;
    상기 지진계를 감싸며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하단이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세팅되는 제 1케이싱 단계;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회전 형판과, 상기 회전 형판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플랜지와, 자침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와,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일직선으로 형성되게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수평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형판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는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세팅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는 단계;
    상기 가매립된 지진계를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하는 단계;
    커버 부재로 케이스를 닫는 제 2케이싱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외부 전면을 흙으로 매설하는 지진계 매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계를 상기 케이스 및 커버 부재로 상면과 측면을 차폐하여 형성된 내부의 공기 형성층에 의하여 우천시 지하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케이스 내부로는 수면이 상승하지 않아 빗물에 의한 지진계의 완전 침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 단계는,
    상기 커버 부재와 케이스 상단부의 접착면을 패킹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닫았을 때 케이스 상단이 완전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는 지진계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회전시켜 케이스를 개폐하는 형태 또는 눌리거나 당겨서 케이스를 개폐하는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KR1020210001586A 2021-01-06 2021-01-06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KR10226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86A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1-06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86A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1-06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89B1 true KR102265689B1 (ko) 2021-06-15
KR102265689B9 KR102265689B9 (ko) 2022-06-10

Family

ID=7641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86A KR102265689B1 (ko) 2021-01-06 2021-01-06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16B1 (ko) 2009-01-15 2011-08-05 (주)엔티전기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JP2012149990A (ja) * 2011-01-19 2012-08-09 Kenichi Matsunaga 地震予知装置
KR101185875B1 (ko) * 2010-11-10 2012-09-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322243B1 (ko) * 2013-07-09 2013-10-28 대한민국 플라스틱 원통을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 센서를 매설하는 방법
KR101707676B1 (ko) * 2016-02-26 2017-02-20 (주)희송지오텍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KR20180043709A (ko) * 2016-10-20 2018-04-30 송홍준 전력선의 누설전류를 이용한 지진감지장치
KR20200006301A (ko) 2018-07-10 2020-01-2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09655A (ko) 2019-03-14 2020-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16B1 (ko) 2009-01-15 2011-08-05 (주)엔티전기 침수방지용 지하 구조
KR101185875B1 (ko) * 2010-11-10 2012-09-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12149990A (ja) * 2011-01-19 2012-08-09 Kenichi Matsunaga 地震予知装置
KR101322243B1 (ko) * 2013-07-09 2013-10-28 대한민국 플라스틱 원통을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 센서를 매설하는 방법
KR101707676B1 (ko) * 2016-02-26 2017-02-20 (주)희송지오텍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KR20180043709A (ko) * 2016-10-20 2018-04-30 송홍준 전력선의 누설전류를 이용한 지진감지장치
KR20200006301A (ko) 2018-07-10 2020-01-2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수륙 양용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09655A (ko) 2019-03-14 2020-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침수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89B9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nkoczy et al. Site selection,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seismic stations
KR101184382B1 (ko) 지진계측 장치 및 이 장치의 설치방법
US8459096B2 (en) Radon monitoring system for earthquake prediction
Seigel et al. A guide to high precision land gravimeter surveys
KR102265689B1 (ko)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KR101967584B1 (ko) 드론을 이용한 시료 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채취 방법
WO2020127302A1 (en) Arrangement and process for locating and/or characterising fracture events in the earth crust, particularly suitable to monitor fracking
CA32065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undation monitoring
Forbriger Recommendations for seismometer deployment and shielding
KR101586067B1 (ko) 단지내 전력 지중케이블 방호구조
Anthony et al.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of the Albuquerque Seismological Laboratory small‐aperture posthole array
KR100837261B1 (ko) 지형변화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방식의 기준점 보정시스템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US10969295B2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nd water leakage detector
KR102224124B1 (ko)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US20230393293A1 (en) Drone geophone installation arrangement
Chromčák et al. Validation of sensitivity and reliability of GPR and microgravity detection of underground cavities in complex urban settings: Test case of a cellar
CN206400718U (zh) 一种埋地式周界入侵探测系统
KR101631139B1 (ko) 계측기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707676B1 (ko)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Marinaro et al. GMM—a gas monitoring module for long-term detection of methane leakage from the seafloor
JP3147260B2 (ja) 地殻変動測定装置における方位設定方法
Uko et al. Comparison of Compressional wave Velocity depth Profiles from Surface and Downhole Detectors in the Near Surface in the Southeast Niger Delta, Nigeria
KR102293677B1 (ko) 지진탐지장치 설치용 관정의 굴착 및 차수장치
KR102073985B1 (ko) 지진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