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124B1 -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124B1
KR102224124B1 KR1020210001573A KR20210001573A KR102224124B1 KR 102224124 B1 KR102224124 B1 KR 102224124B1 KR 1020210001573 A KR1020210001573 A KR 1020210001573A KR 20210001573 A KR20210001573 A KR 20210001573A KR 102224124 B1 KR102224124 B1 KR 10222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seismometer
auxiliary
true north
indic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124B9 (ko
Inventor
김광희
이영철
전병욱
이진욱
김도영
신원철
김윤수
서우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124B1/ko
Publication of KR10222412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12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04Magnetic compasses with north-seeking magnetic elements, e.g. nee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4Artificial horiz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1/52Structur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더 자세히는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회전 형판, 상기 형판의 하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플랜지, 자침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되며, 상기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 상기 형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일직선으로 형성되게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형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수평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형판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direction indicating device for installing simple seismometer installed true north direction}
본 발명은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이 지진계 매설시 지진계 수평 방향의 2성분의 센서 중 남북 방향 센서의 방향이 진북 방향과 일치될 수 있도록 설치함에 있어 정확한 진북 방향을 지시해주는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계는 지진의 규모 및 진원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로 지표면에 설치되는 지진계는 소음, 바람 등과 같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요인이 많으므로 지진 관측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중에 설치되는 것이 지진계 운영에 있어 적합하며 대지진 이후 발생하는 여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근방의 여러 장소에 임시 지진 관측소를 설치하여 간이 지진계를 매설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지진계는 센서와 기록계가 포함되어 있는데 센서는 지반의 운동을 감지하는 장치이며 기록계는 지진계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간이 지진계의 센서에는 3축 성분, 즉 남북 및 동서 방향에 해당하는 수평 방향의 2성분 및 수직 방향의 1성분이 존재한다.
이 때, 정확한 지진 관측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의 2성분 중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이 지진계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진북 방향과 일치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나침반을 지진계에 근접시켜 진북 방향에 맞게 설치를 하는 경우 지진계 내부의 코일과 영구자석이 나침반의 방향 설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일정거리를 두고 나침반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진북 방향과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대략적인 방향이 눈대중으로 일치되도록 어림잡아 지진계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통상적이므로 정확한 진북 방향에 맞춰 지진계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지진계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자침이 내재된 방향 기구를 이용하여 진북 방향을 찾아 지진계의 설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임시 지진 관측소에 설치될 간이 지진계의 경우 고가의 진북 방향 설정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를 진북에 맞춰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남북 방향 성분 센서가 진북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지진파의 방위각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진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지진계의 성능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을 통한 단일 동작으로 간이 지진계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을 진북 방향에 맞춰 지진계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정확한 진북 방향을 찾고 이에 일치시켜 지진계를 설치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94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01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25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향 기구가 구비된 형판 및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에 의하여 진북 방향을 지시하게 하고, 이후 지중에 매설된 지진계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남북 방향 성분 센서를 진북 방향과 일치시켜 지진 관측을 용이하게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는,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회전 형판, 상기 회전 형판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플랜지, 자침 및 움직임 없이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나란하게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수평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형판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원호(圓弧) 형상 또는 회전 가능한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듈은 스위치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지진계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고정 플랜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이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은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끼움부,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 및 중앙이 천공된 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형판은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의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상기 케이스 상단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형판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 중 최상단의 보조 형판에 형성된 플랜지 끼움부는 상기 고정 플랜지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이고, 최하단의 보조 형판에 형성된 보조 플랜지는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상단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는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 회전 동작만으로 정확한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으므로 지진계의 운영에 용이하다.
또한, 회전 형판, 레이저 모듈, 고정 플랜지를 갖춘 간편한 구성으로 세팅에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지진계 세팅시 진북 방향을 찾을 때만 케이스 상단에 안착되는 형태로 지진계 내의 코일이 나침반 자석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지진계의 방향을 정향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지진 데이터의 관측 및 수집이 가능하다.
또한, 세팅이 끝난 후에는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므로 지진계와 함께 매설되지 않아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케이스 및 지진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측단면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보조 형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서 보조 형판이 1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서 보조 형판이 4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1, 이하 “방향 지시 장치(1)”이라 함)는 회전 형판(100), 고정 플랜지(200), 자침(310)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포함되는 방향 기구(300), 레이저 모듈(400), 전력 공급 모듈(500), 수평계(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회전 형판(100)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자침(310)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회전 형판(100)에는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지중의 지진계(10) 설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단이 통공된 케이스(20)에 회전 형판(100)을 안착시킨 후 지중의 케이스(20) 내부로 손을 넣기 용이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1001)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형판(100) 둘레의 형상은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천공된 개구부(1001)의 형태 역시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플랜지(200)는 회전 형판(100)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랜지(20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은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 상단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고정 플랜지(200)는 원호(圓弧) 형상 또는 회전 가능한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북 방향을 찾을 때 방향 지시 장치(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300)는 자침(310)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향 기구(300)는 나침반일 수 있다.
또한, 방향 기구(300)는 자침(310) 및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레이저 모듈(400)은 라인 레이저빔이 수평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레이저 모듈(400)은 발사되는 라인 레이저빔이 북방 지시 화살표(320)와 일직선으로 형성되도록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레이저 모듈(400)은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포인터일 수 있다.
레이저 모듈(4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기구(300)의 정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북방 지시 화살표(320)와 나란하게 직사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모듈(40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500)은 회전 형판(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듈(500)은 스위치(510) 및 배터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510) 이외에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520)는 건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레이저 모듈(400)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진북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방향 지시 장치(1)가 수평 상태에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회전 형판(100)의 상면에는 수평계(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방향 지시 장치(1)를 사용하여 진북 방향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향 지시 장치(1)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때, 케이스(20) 상단의 내주면이 고정 플랜지(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 형판(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방향 기구(300)의 자침(310)이 가리키는 자북 방향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편각만큼 편차를 두어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진북 방향을 찾는다.
이후, 레이저 모듈(400)을 작동시켜 라인 레이저빔이 직사된다면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진북 방향과 라인 레이저빔이 형성되는 방향은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이후,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회전 형판(100)에 형성된 개구부(1001)에 손을 넣어 지진계(10)의 수평 방향 센서 중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과 레이저빔 라인의 방향이 나란할 수 있도록 지진계(10)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지진계(10)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는 진북 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보조 형판(110) 1개를 케이스(20)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방향 지시 장치(1)를 제 1 플랜지 끼움부(111)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제 1 플랜지 끼움부(1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은 고정 플랜지(2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에서 보조 형판(110)(120)(130)(140)이 4개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지진계(10)를 감싸는 케이스(20)와 상기 고정 플랜지(2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은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끼움부(111)(121)(131)(141),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112)(122)(132)(142) 및 중앙이 천공된 끼움홀(1101)(1201)(1301)(14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형판(110)(120)(130)(140)은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케이스(20) 상단의 크기에 대응하여 회전 형판(1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4개의 보조 형판(110)(120)(130)(140)이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므로, 안착되는 케이스(20) 상단의 둘레에 따라 사용되는 보조 형판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 중 최상단의 보조 형판(110)에 형성된 플랜지 끼움부(111)는 고정 플랜지(200)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최하단의 보조 형판(140)에 형성된 보조 플랜지(142)는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20) 상단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체결되는 제 4 보조 형판(140)의 제 4 끼움홀(1301)에 제 3 보조 형판(130)의 제 3 보조 플랜지(132)가 끼워진다.
이후, 제 3 보조 형판(130)의 제 3 끼움홀(1301)에 제 2 보조 형판(120)의 제 2 보조 플랜지(122)가 끼워진다.
이후, 제 2 보조 형판(120)의 제 2 끼움홀(1201)에 제 1 보조 형판(110)의 제 1 보조 플랜지(112)가 끼워진다.
이후, 고정 플랜지(200)에 제 1 보조 형판(110)의 제 1 플랜지 끼움부(111)가 끼워진다.
따라서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의 보조 플랜지 외경과 내경의 차이만큼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에 형성된 끼움홀의 직경이 커진다.
그러므로, 안착되는 케이스(20) 상단의 직경에 대응하여 필요한 보조 형판의 개수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케이스(20)의 크기에 대응해 단일 크기의 방향 지시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는, 방향 지시 장치(1)를 케이스(20)에 안착시킨 이후 방향 기구(300)의 자침(310)과 북방 지시 화살표(320) 사이의 각도가 작업자가 위치한 지역의 편각만큼 차이가 나도록 회전 형판(100)을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 모듈(400)이 발사하는 레이저빔 라인과 북방 지시 화살표(320)가 가리키는 방향이 일직선으로 형성된다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개구부(1001)에 손을 넣어 지진계(10)의 남북 방향 성분 센서의 방향이 레이저빔 라인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지진계(10)를 회전시키는 단일 동작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고 작업효율 역시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는 진북 방향을 찾을 때만 케이스(20)에 결착되며 지진계(10)가 진북 방향으로 설치된 이후에는 케이스(20)로부터 제거되므로 지진계(10)와 함께 매설되지 않아 추후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방향 지시 장치
10 : 지진계
20 : 케이스
30 : 커버 부재
40 : 케이블 관통홀
100 : 회전 형판
1001 : 개구부
110 : 제 1 보조 형판
111 : 제 1 플랜지 끼움부
112 : 제 1 보조 플랜지
1101 : 제 1 끼움홀
120 : 제 2 보조 형판
121 : 제 2 플랜지 끼움부
122 : 제 2 보조 플랜지
1201 : 제 2 끼움홀
130 : 제 3 보조 형판
131 : 제 3 플랜지 끼움부
132 : 제 3 보조 플랜지
1301 : 제 3 끼움홀
140 : 제 4 보조 형판
141 : 제 4 플랜지 끼움부
142 : 제 4 보조 플랜지
1401 : 제 4 끼움홀
200 : 고정 플랜지
300 : 방향 기구
310 : 자침
320 : 북방 지시 화살표
400 : 레이저 모듈
500 : 전력 공급 모듈
510 : 스위치
520 : 배터리
600 : 수평계

Claims (5)

  1. 중앙이 천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회전 형판;
    상기 회전 형판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플랜지;
    자침 및 움직임 없이 정위치 고정되는 북방 지시 화살표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 기구;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일직선으로 형성되게 라인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회전 형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회전 형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수평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형판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이 가변되는 한편 상기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 편각만큼 차이가 나는 상기 북방 지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레이저빔 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진북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원호(圓弧) 형상 또는 회전 가능한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특징으로 하는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듈은 스위치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지진계를 감싸는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와 고정 플랜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형판은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끼움부,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 및 중앙이 천공된 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형판은 체결 순서에 따라, 후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이 선 체결되는 보조 형판 끼움홀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상기 케이스 상단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형판을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형판 중 최상단의 보조 형판에 형성된 플랜지 끼움부는 상기 고정 플랜지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이고, 최하단의 보조 형판에 형성된 보조 플랜지는 상하단이 통공된 관체 형상의 케이스 상단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KR1020210001573A 2021-01-06 2021-01-06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KR10222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73A KR102224124B1 (ko) 2021-01-06 2021-01-06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73A KR102224124B1 (ko) 2021-01-06 2021-01-06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124B1 true KR102224124B1 (ko) 2021-03-05
KR102224124B9 KR102224124B9 (ko) 2022-06-10

Family

ID=7516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73A KR102224124B1 (ko) 2021-01-06 2021-01-06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1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522B1 (ko) 1998-12-26 2001-11-15 구자홍 리니어압축기의누설가스배출구조
KR100470147B1 (ko) 2002-07-13 2005-02-05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기준좌표계와 레이저를 이용한 3차원 측량 및 암반 절리면의 방향성 추출방법
KR101185875B1 (ko) * 2010-11-10 2012-09-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26413A (ko) *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49419B1 (ko) 2018-07-17 2019-02-18 주식회사 두잇 지진계 정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522B1 (ko) 1998-12-26 2001-11-15 구자홍 리니어압축기의누설가스배출구조
KR100470147B1 (ko) 2002-07-13 2005-02-05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기준좌표계와 레이저를 이용한 3차원 측량 및 암반 절리면의 방향성 추출방법
KR101185875B1 (ko) * 2010-11-10 2012-09-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26413A (ko) *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49419B1 (ko) 2018-07-17 2019-02-18 주식회사 두잇 지진계 정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124B9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CN1127666C (zh) 探测器
US6496008B1 (en) Flux plane locating in an underground drilling system
CN100595516C (zh) 激光对准装置
ES2321507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ocalizar objetos no visibles.
KR101185875B1 (ko)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5021122B (zh) 旋转角度检测器及旋转机械
US5790075A (en) Beam antenna direction measuring method, direction measuring device and antenna direction controller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CN109073380A (zh) 自校准且自主的地磁观测台
KR102224124B1 (ko)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US4250626A (en) Electronic compass
WO2017203215A1 (en) Levelling systems and methods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EP3324191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error of a wind sensor
KR102265689B1 (ko) 침수 방지를 위한 지진계 설치 방법
JP2022533675A (ja) リアルタイムキネマティックとグローバル衛星測位を備えた地下ライン測位システム
CN107870367B (zh) 井下检波器测向系统及方法
JP5815266B2 (ja) 埋設物探査方法および埋設物探査装置
KR102225117B1 (ko) 드론 측량 및 작업자 안전용 말뚝캡
KR101631139B1 (ko) 계측기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349387B1 (ko) 지표면의 기준점별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실시간 영상도화보정장치
KR101921460B1 (ko) 국가지점 지반침하측정시스템
RU2607848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на местности сейсмического зонда
JP3147260B2 (ja) 地殻変動測定装置における方位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