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419B1 - 지진계 정향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계 정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419B1
KR101949419B1 KR1020180083013A KR20180083013A KR101949419B1 KR 101949419 B1 KR101949419 B1 KR 101949419B1 KR 1020180083013 A KR1020180083013 A KR 1020180083013A KR 20180083013 A KR20180083013 A KR 20180083013A KR 101949419 B1 KR101949419 B1 KR 10194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eismometer
closure device
intermediate portion
seism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to KR102018008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1/52Structur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시추공에 배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진계 정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추공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에 상기 지진계가 위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진계와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지면에 배치되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지진계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로드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매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진계 정향 장치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SEISMOMETER}
본 발명은 지진계 정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시추공에 배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진계 정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란 탄성 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되어 발생되는 지구의 진동이다. 지진의 규모는 민감한 지진계로만 검출되는 아주 작은 규모의 지진부터 광범위한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대규모의 지진까지 다양하다.
전 세계적으로 매일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수천 개에 이르며,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된다.
최근 50년간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규모 7이상의 천발 지진은 약 500회에 이르며 지진에 대한 피해는 점점 그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2007.08.15에는 리히터 8.0 규모의 '페루 대지진'이 발생되었고, 2008.05.12에는 리히터 8.0 규모의 '중국 쓰촨 대지진'이 발생되었으며, 2010.02.27에는 리히터 8.8 규모의 '칠레 대지진'이 발생되었고, 2011.03.11에는 리히터 9.1 규모의 '일본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되었으며, 2015.04.25에는 리히터 7.8 규모의 '네팔 대지진'이 발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래부토 대규모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었지만, 최근, 2016.09.12에 리히터 5.8 규모의 '한국 경주 지진'과 2017.11.15에 리히터 5.4 규모의 '한국 포항 지진'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 감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고품질의 지진 관측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 지진 감지를 위한 지진계는 매우 조용한 곳의 암반에 지진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우 조용한 곳에 지진 관측소를 설치하는 것은 전기선이나 통신선의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부지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시추공형 지진계를 지하에 형성된 시추공에 설치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시추공 지진 감지 방식이 고품질의 지진 관측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이유는 지표에서 발생되는 잡음이 지하로 내려갈수록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다만, 시추공 지진 감지 방식은 지하에 설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추공에 설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지진계 정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시추공에 배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진계 정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추공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에 상기 지진계가 위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진계와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지면에 배치되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지진계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로드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매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미리 정해진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 기구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매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매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상기 매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매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매개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상기 매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매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매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매개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로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지진계와 연결되는 방향조정부 및 상기 방향조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매개부와 연결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방향조정부와 결합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매개부와 연결되는 제2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진계 정향 장치는,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진계 정향 장치에 따르면, 지진계는 희망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지형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전후 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높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로드부가 구비하는 제3 로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시추공(G10, 도 3 참조)에 배치되는 지진계(10, 도 3 참조)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진계 정향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시추공(G10)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S10, 도 3 참조)에 상기 지진계(10)가 위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진계(10)와 연결되는 로드부(110), 상기 지면에 배치되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이동부(120) 및 상기 지진계(10)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120) 및 상기 로드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12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로드부(110)를 위치 이동시키는 매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진계(10)는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계측부(11, 도 3 참조) 및 상기 지지계측부에서 계측한 지진 정보를 임의의 장소로 전송하는 케이블(16, 도 3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진계측부(11)는 지진 가속도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지진계측부(11)가 계측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16)은 상기 지진계측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지진계측부(11)에서 계측한 지진과 관련된 데이터를 임의의 장소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드부(110)는 상기 지진계(10)와 연결되는 방향조정부(111) 및 상기 방향조정부(111)와 결합되며 상기 매개부(130)와 연결되는 로드(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112)는 상기 방향조정부(111)와 결합되는 제1 로드(112a) 및 상기 제1 로드(112a)와 상기 매개부(130)와 연결되는 제2 로드(112b)를 구비할 수 있다.
방향조정부(111)는 상기 지진계측부(11)와 연결되는 방향연결부(111a) 및 상기 로드(112)와 연결되는 방향체결부(111b)를 구비할 수 잇다.
상기 방향연결부(111a)는 상기 지진계측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연결부(111a)는 상기 지진계측부(11)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진계측부(11)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연결부(111a)는 상기 방향체결부(111b)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방향연결부(111a) 및 제2 방향연결부(111a)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연결부(111a)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향연결부(11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방향연결부(111a)는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향체결부(111b) 및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연결되는 로드(112)는 상기 케이블(16)과 저촉되지 않을 수 있다.
방향체결부(111b)와 상기 제1 로드(112a)가 체결 수단(P1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체결부(111b)는 상기 체결 수단(P10)이 삽입될 수 있는 방향체결홀(h11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수단(P10)은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방향체결부(111b)에는 상기 방향체결홀(h111b)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상기 제1 로드(112a)는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체결부(111b)의 일면은 상기 제1 로드(112a)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방향체결부(111b)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방향체결부(111b)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드(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진계(10)가 상기 시추공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방향조정부(111) 및 상기 지진계(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로드(112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 로드본체부(112a-1) 및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로드연결부(112a-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로드본체부(112a-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는 상기 방향조정부(111) 및 상기 지진계(10)가 상기 배치 공간 상에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조정부(111) 및 상기 지진계(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일단부는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와 상기 방향체결부(111b)가 체결 수단(P1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일단부는 상기 체결 수단(P1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로드체결홀(h112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방향체결부(111b)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는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와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와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와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는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2 로드(112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로드(112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로드(112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로드삽입홀(h112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은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은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 측면에서부터 함입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면인 상기 제2 로드(112b)의 타 측면에는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로드(112a)와 상기 제2 로드(112b)가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제1 로드(112a)와 상기 제2 로드(112b)는 손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는 상기 제2 로드(112b)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본체부(112a-1)는 상기 제2 로드(112b)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로드(112b)로부터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로드(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로드(112a)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로드(112b)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100)는 상기 제1 로드(112a)가 상기 제2 로드(112b)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로드(112a)와 상기 제2 로드(112b)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와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단부(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와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단부에 외삽되어,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와 상기 제2 로드(112b)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압부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상기 매개부(130)가 위치되도록, 상기 매개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21) 및 상기 지지부(121)와 연결되며 상기 매개부(130)가 삽입되는 공간이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매개부(13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121)는 상기 연결부(122)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121a) 및 상기 길이조절부(121a)와 연결되며 상기 길이조절부(121a)와 상기 연결부(122)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부(121b)를 구비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1a)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122)와 연결되며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타단부는 상기 롤러부(121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21a)는 길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매개부(130)가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21b)는 상기 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상기 길이조절부(121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매개부(130)에 외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122) 내면의 형상은 상기 매개부(130) 외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2)의 측면에는 고정 수단(P20)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고정홀(h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수단(P20)은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수단(P2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122)가 상기 매개부(130)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홀(h131)에 상기 고정 수단(P20)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매개부(13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매개부(130) 상에서 위치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연결부(122)가 상기 매개부(130)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홀(h131)에 상기 고정 수단(P20)이 삽입되었지만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매개부(13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혹은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연결고정홀(h13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매개부(13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122)와 상기 길이조절부(121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길이조절부(121a)와 연결부(122)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길이조절부(121a)는 상기 연결부(122)와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매개부(130)는 상기 위치이동부(120)와 연결되는 매개본체부(131) 및 상기 로드부(110)와 연결되는 매개연결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미리 정해진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 기구(20)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매개본체부(131)의 상면에 상기 방향 기구(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 기구(20)는 나침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비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방향 기구(20)가 상기 매개본체부(13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매개본체부(131)의 물질적 특징에 의해 상기 방향 기구(20)의 방향 안내 과정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향 기구(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방향은 상기 지진계(10)가 지진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진계(10)가 위치되어야 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진계(10)의 방향은 상기 지진계(10)의 Y축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은 진북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상기 연결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매개본체부(131)의 일 단부에는 상기 매개연결부(13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로드부(110)에 외삽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제2 로드(112b)에 외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개연결부(132) 내면의 형상은 상기 제2 로드(112b) 외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배치 공간에 위치되지 않는 상기 제2 로드(112b)의 타단부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매개연결부(132)의 측면에는 고정 수단(P20)이 삽입될 수 있는 매개고정홀(h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수단(P20)은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수단(P2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매개연결부(132)가 상기 로드(112)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고정홀(h132)에 상기 고정 수단(P20)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로드(11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로드(112) 상에서 위치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매개연결부(132)가 상기 로드(112)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고정홀(h132)에 상기 고정 수단(P20)이 삽입되었지만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로드(112)를 가압하지 않은 경우 혹은 상기 고정 수단(P20)이 상기 매개고정홀(h132)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로드(11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매개연결부(132)와 상기 매개본체부(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매개본체부(131)에 용접 또는 접착 물질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지진계 정향 장치(100)를 통해 지진계(10)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이동부(12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매개부(13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0)가 위치 이동이 되면, 상기 로드부(110)도 위치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지진계(10, 도 3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개부(13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30)가 위치 이동이 되면, 상기 로드부(110)도 위치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지진계(10)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롤러부(121b)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감쇠시켜, 상기 매개부(130), 상기 길이조절부(121a) 및 상기 연결부(122)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위치이동부(120) 및/또는 상기 매개부(130)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지진계(10)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시추공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지면에서 용이하게 상기 지진계(10)의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전후 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매개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130)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매개부(1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130) 상에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매개본체부(131)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고정 수단(P20, 도 2 참조)이 상기 매개본체부(131)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매개본체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본체부(131)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상기 지면에 장애물들이 위치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위치이동부(120)를 지면이 고르거나 장애물이 위치 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기 지진계(10, 도 3 참조)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높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매개부(130)는 상기 지지부(121)의 길이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작업자는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길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매개부(130)는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110)는 상기 로드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130)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작업자는 상기 로드부(11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로드부(1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정 수단(P20, 도 2 참조)이 상기 매개고정홀(h132, 도 2 참조)에 삽입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고정 수단(P20)은 상기 로드부(110)(구체적인 일례로, 제2 로드(112b))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로드부(1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제2 로드(112b)는 상기 매개연결부(13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매개부(130)는 위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작업자는 다양한 깊이의 시추공에 상기 지진계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매개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로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작업자는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부(121a)의 길이가 조절될 경우, 상기 매개연결부(132)는 상기 로드부(110)(구체적인 일례로, 제2 로드(112b))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수단(P20, 도 2 참조)은 상기 매개고정홀(h132, 도 2 참조)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고 혹은 상기 고정 수단(P20)은 상기 로드부(110)(구체적인 일례로, 제2 로드(112b))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 작업자는 상기 로드부(110)가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부(110)을 지탱할 수 있고, 다른 작업하는 상술한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상기 지진계의 위치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지면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는 상기 매개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 정향 장치의 로드부가 구비하는 제3 로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로드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 로드(112a, 도 2 참조)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로드(112b, 도 2 참조)와 연결되는 제3 로드(11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로드(112c)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3 로드본체부(112c-1) 및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 및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3 로드연결부(112c-2)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로드본체부(112c-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와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와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와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 도 2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 도 2 참조)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제3 로드본체부(112c-1)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로드삽입홀(h112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삽입홀(h112c)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 수개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가 상기 제3 로드삽입홀(h112c)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로드연결부(112a-2)와 상기 제3 로드본체부(112c-1)의 일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는 상기 제2 로드삽입홀(h112b)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3 로드연결부(112c-2)와 상기 제2 로드(112b)의 일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3 로드(112c)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로드(112a) 및 상기 제2 로드(112b)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제3 로드(112c)를 복수 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작업자는 상기 시추공의 깊이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제1 로드(112a), 상기 제2 로드(112b) 및 상기 제3 로드(112c)를 설치하여, 어느 시추공 에서도 상기 지진계 정향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지진계 11 : 지진계측부
16 : 케이블 20 : 방향 기구
100 : 지진계 정향 장치 110 : 로드부
120 : 위치이동부 130 : 매개부
140 : 가압부

Claims (6)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시추공에 배치되는 지진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진계 정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추공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에 상기 지진계가 위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진계와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지면에 배치되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지진계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로드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지진계 정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미리 정해진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 기구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지진계 정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매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매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지진계 정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상기 매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매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매개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지진계 정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상기 매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매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매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매개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로드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진계 정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지진계와 연결되는 방향조정부 및 상기 방향조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매개부와 연결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방향조정부와 결합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매개부와 연결되는 제2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진계 정향 장치는,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지진계 정향 장치.

KR1020180083013A 2018-07-17 2018-07-17 지진계 정향 장치 KR10194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13A KR101949419B1 (ko) 2018-07-17 2018-07-17 지진계 정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13A KR101949419B1 (ko) 2018-07-17 2018-07-17 지진계 정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961A Division KR20200008933A (ko) 2018-12-21 2018-12-21 지진계 정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419B1 true KR101949419B1 (ko) 2019-02-18

Family

ID=6556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13A KR101949419B1 (ko) 2018-07-17 2018-07-17 지진계 정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24B1 (ko) 2021-01-06 2021-03-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KR20230085310A (ko) 2021-12-07 2023-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동 장주기 표면파를 활용한 시추공 지진계 센서의 방위각 결정방법 및 결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916U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방기
KR101591045B1 (ko) * 2015-07-07 2016-02-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계측기 설치 장치
KR101631139B1 (ko) * 2015-09-21 2016-06-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계측기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707676B1 (ko) * 2016-02-26 2017-02-20 (주)희송지오텍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916U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방기
KR101591045B1 (ko) * 2015-07-07 2016-02-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형 계측기 설치 장치
KR101631139B1 (ko) * 2015-09-21 2016-06-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계측기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707676B1 (ko) * 2016-02-26 2017-02-20 (주)희송지오텍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24B1 (ko) 2021-01-06 2021-03-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이 지진계의 진북 방향 설치를 위한 방향 지시 장치
KR20230085310A (ko) 2021-12-07 2023-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동 장주기 표면파를 활용한 시추공 지진계 센서의 방위각 결정방법 및 결정시스템
US11822029B2 (en) 2021-12-07 2023-11-21 Uif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the azimuthal orientation of borehole seismometer sensor using long period surface waves in microse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419B1 (ko) 지진계 정향 장치
CN103443654B (zh) 应力和应变检测装置
EP3452663B1 (en) Monitoring apparatus
US7254999B2 (en) Permanently installed in-well fiber optic accelerometer-based seismic sens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CA2465743C (en) Adjustable deployment apparatus for an actively clamped tubing-conveyed in-well seismic station
US20030226662A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sensor to a tubing string
US20150308864A1 (en) Vector Sensor for Seismic Application
JP2011517478A (ja) 震源及び震動受信機を用いた坑井位置決定方法
US60026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ing seismic sensors
KR20180077560A (ko) 수압측정 겸용 경사계
EP1420236A1 (en) Pressure converter
JP2003149044A (ja) 斜面の安定性評価方法
KR20200008933A (ko) 지진계 정향 장치
KR101707676B1 (ko) 시추공 가속도 지진계의 진북방향 설치를 위한 정향장치
US4898237A (en) Probe and its multidirectional anchoring device in a well
US7325647B2 (en) Mobile system for seismic emission with fixed coupling devices, and method therefor
KR101949418B1 (ko) 지진계 정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진 감지 시스템
Bakulin et al. Making seismic monitoring work in a desert environment with complex near surface
JP2001166060A (ja) 重層地震計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3147260B2 (ja) 地殻変動測定装置における方位設定方法
KR101150819B1 (ko) 변위감지 센서
JP3157496B2 (ja) 三次元多方向地盤内応力計測システム
KR20240010870A (ko) 지반의 심도별 수평변위 실시간 측정 시스템
KR20220118721A (ko) 내진시험 토조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30017521A (ko) 지중 경사계용 센싱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지중 경사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