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91B1 -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691B1
KR102492691B1 KR1020200162991A KR20200162991A KR102492691B1 KR 102492691 B1 KR102492691 B1 KR 102492691B1 KR 1020200162991 A KR1020200162991 A KR 1020200162991A KR 20200162991 A KR20200162991 A KR 20200162991A KR 102492691 B1 KR102492691 B1 KR 10249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distribution housing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461A (ko
Inventor
오기대
신부현
김상봉
김승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6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6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 하우징; 및 상기 분전 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전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침수 발생 시,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INUNDATION PREVENTION DISTRIBUTION BOARD AND DISTRIBUTION BOARD INUNDATION 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수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밀도 증가에 따른 지상공간 부족 및 미관상 이유로 지상배전기기의 지하화에 대한 요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지하형 지상배전기기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설비의 지하화 구조물은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와 같은 침수를 대비한 기기의 완전 방수가 필요한데, 구조물은 관로 인입, 출입구, 구조물 접합부 등 방수개소가 너무 많아 국내 및 유럽, 북미와 같은 국외에서도 구조물에 대한 방수가 어려워 기기 방수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저압분전반은 운영시 수시로 전선이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이고, 전선의 가닥수도 많아 처음 시공시에는 완전방수가 가능하나, 장기적으로 운영시 완전방수를 유지하는데는 문제가 있어 현장적용을 못 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저압분전반의 방수함에 적용하는 고무패킹, 실링을 이용하여 개별 전선을 방수 하는 방식은, 장기간 운영 시 수시로 전선 교체 및 신설공사가 수행될 경우 방수상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장기간 운영 시에도 방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봉 위치지시기는,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 하우징; 및 상기 분전 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전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침수 발생 시,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서로 연통하는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는,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하나의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커트부는, 하측 일단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하측 일단부 중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침수 발생 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침수 방지 분전반은,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하측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앵글부; 및 상기 앵글부와 체결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앵글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커트부의 측면 중 일부는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침수 방지 분전반은,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측면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1 체적은 및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2 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침수 방지 분전반은, 침수 발생 시, 상기 분전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상측 일단부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은,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 하우징; 상기 분전 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전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스커트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침수 발생 시,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위 감지 센싱부; 침수 발생 시,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스커트부 내부의 수위를 낮추도록 이루어지는 펌프부;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싱부로부터 전달받는 물의 수위에 대한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펌프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침수 발생 시,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커트부의 하측 일단부를 통해 침수 시 물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고, 물이 유입됨에 따라 스커트부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전 하우징이 위치하는 높이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침수 발생 시 분전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기와 같은 동력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분전 하우징의 방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분전 하우징과 스커트부는 상하 배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하나의 일직선상에 내부 공간이 놓이도록 형성되어, 예상치 못한 급격한 수위 상승이 발생하여 일부 분전 하우징 내부로 물이 유입된 경우에도, 침수 현상이 해소됨에 따라, 분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물이 남아 있지 않고, 분전 하우징 내부의 수위도 함께 내려가도록 이루어지므로, 분전 하우징 내부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 내부에 에어포켓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분전 하우징 및 스커트부의 측면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침수 방지 분전반이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방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방지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의 침수 발생 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방지 분전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수 방지 분전반(100)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수 방지 분전반(100)을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10)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침수 방지 분전반(100)은 분전 하우징(110) 및 스커트부(120)를 포함한다.
분전 하우징(110)은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110a)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분전장치(110a)는 전기 기기들에 전기를 각각 분배시키는 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장치들을 의미한다.
스커트부(120)는 분전 하우징(110)이 지면(G)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분전 하우징(110)의 하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스커트부(120)의 상측은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스커트부(120)의 하측은 스커트부(12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스커트부(120)는,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분전 하우징(110) 및 스커트부(120)의 구성에 의하면,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 내부에 일종의 에어포켓(air pocket)이 형성되어 스커트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포켓 형성되는 원리는 보일의 법칙(Boyle's law)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보일의 법칙은, 일정온도에서 기체의 압력과 체적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법칙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의 내부의 상기 밀폐된 공간의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지는 압력은 증가하여, 수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와 스커트부(120)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서로 연통하는 분전 하우징(110)과 스커트부(120)의 내부는 지면(G)에 대하여 수직한 하나의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전 하우징(110)의 측면 중 일부는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측면 중 일부를 필요에 따라 덮도록 형성되는 방수 덮개(112)가 마련될 수 있다. 분전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분전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120)는,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가 지면(G)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 중 지면(G)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침수 발생 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커트부(120)에서 지면(G)과 마주하는 일면은, 케이블 설치 후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부가 가로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침수 방지 분전반(100)는 앵커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앵커부(130)는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지면(G)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앵커부(130)는, 앵글부(131) 및 베이스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앵글부(131)는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앵글부(131)는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앵글부(131)는 스커트부(120)의 하측 일단부와 함께 'ㄱ' 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2)는 앵글부(131)와 체결 고정되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앵글부(131)와 지면(G) 사이에 배치되어, 앵글부(131)를 지면(G)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앵글부(131)와 베이스 플레이트(132)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앵커부(130)의 구성에 의하면,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저항하여, 분전 하우징(110) 및 스커트부(120)를 침수 발생 전 설치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침수 방지 분전함(100)은 덮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120)의 측면 중 일부는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덮개부(140)는,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스커트부(120)의 측면상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케이블의 결선 등과 같은 작업들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1 체적(V1)은 스커트부(120)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2 체적(V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공간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전 하우징(110)의 높이를 형성하는 제1 길이(h1)는 스커트부(120)의 높이를 형성하는 제2 길이(h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체적(V1)은 제2 체적(V2)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침수 방지 분전반(100)은 필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침수 발생 시, 분전 하우징(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상측 일단부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50)의 일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개구부(150a)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개구부(150a)를 통해 분전장치(110a)들에 대한 케이블 결선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스커트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터부(150)의 구성에 의하면, 침수 발생 시, 급격한 수위 상승으로 외부의 이물질들이 물과 함께 유입되어 분전장치(110a)들에 충격을 가하거나 걸려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 침수 방지 시스템(10)은, 분전 하우징(110), 스커트부(120), 수위 감지 센싱부(11), 펌프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분전 하우징(110)과 상기 스커트부(120)는 위에서 설명한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싱부(11)는,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스커트부(120)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부(12)는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스커트부(120) 내부의 수위를 낮추어, 분전 하우징(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펌프부(12)는, 펌프 몸체(12a)와 펌프 배관(12b)을 구비할 수 있다.
펌프 몸체(12a)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펌프 배관(12b)은, 스커트부(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켜 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펌프부(12)의 동작 시 펌프 배관(12b)의 스커트부(120) 내부에 배치되는 일단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펌프 배관(12b)의 스커트부(120) 외부에 배치되는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위 감지 센싱부(11)로부터 전달받는 물의 수위에 대한 측정값을 근거로 펌프부(12)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10)의 구성에 의하면, 침수 발생 시 스커트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에 의해, 분전 하우징(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수위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스커트부(12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이 최초 예상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추가적으로 펌프부(12)가 동작됨에 따라 분전 하우징(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11 : 수위 감지 센싱부
12 : 펌프부
12a : 펌프 몸체
12b : 펌프 배관
13 : 제어부
100 : 침수 방지 분전반
110 : 분전 하우징
110a : 분전장치
111 : 방열 플레이트
112 : 방수 덮개
120 : 스커트부
130 : 앵커부
131 : 앵글부
132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덮개부
150 : 필터부
150a : 필터 개구부

Claims (8)

  1.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 하우징; 및
    상기 분전 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전 하우징의 하부로부터연장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침수 발생 시,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1 체적은,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2 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연통하는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는,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하나의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하측 일단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하측 일단부 중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침수 발생 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하측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앵글부; 및
    상기 앵글부와 체결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앵글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측면 중 일부는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측면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침수 발생 시, 상기 분전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상측 일단부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침수 방지 분전반.
  8. 전기를 배분하는 분전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 하우징;
    상기 분전 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전 하우징의 하부로부터연장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스커트부;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침수 발생 시, 상기 스커트부의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이루어지는 수위 감지 센싱부;
    침수 발생 시,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스커트부 내부의 수위를 낮추도록 이루어지는 펌프부;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싱부로부터 전달받는 물의 수위에 대한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펌프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침수 발생 시, 개구된 하측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전 하우징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1 체적은,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를 형성하는 제2 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KR1020200162991A 2020-11-27 2020-11-27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KR10249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91A KR102492691B1 (ko) 2020-11-27 2020-11-27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91A KR102492691B1 (ko) 2020-11-27 2020-11-27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61A KR20220074461A (ko) 2022-06-03
KR102492691B1 true KR102492691B1 (ko) 2023-01-30

Family

ID=8198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991A KR102492691B1 (ko) 2020-11-27 2020-11-27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6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78B1 (ko) 2006-12-15 2007-01-24 변석훈 침수 방지용 배전함
KR101775527B1 (ko) * 2017-03-10 2017-09-06 이영수 전장품용 침수방지 외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312B1 (ko) * 2001-12-12 2006-06-13 김구환 상부 밀폐형 전력용 제어함
KR101986308B1 (ko) * 2017-05-29 2019-06-07 (주)에스엠테크 침수 방지기능이 구현된 전기설비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78B1 (ko) 2006-12-15 2007-01-24 변석훈 침수 방지용 배전함
KR101775527B1 (ko) * 2017-03-10 2017-09-06 이영수 전장품용 침수방지 외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61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19480B1 (pt) Electrical component with refrigeration circuit for underwater operation
TWI490405B (zh) The construction of hydroelectric power plant
KR102492691B1 (ko)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CN113884622B (zh) 一种矿用传感器敏感元件防护气室结构
KR101956015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소용 메인 정션박스
JP6095841B1 (ja) 電気機器用エアシェルター
CN207816388U (zh) 一种防碰撞水表壳体结构
EP0605118A2 (en) Underground electronics closure
CN211316510U (zh) 多功能防触电式热水器
KR20230138136A (ko) 다중 밀폐 구조를 갖는 전자 부품 보관 함체
CN215939342U (zh) 一种矿用传感器敏感元件防护气室结构
CN115126342B (zh) 防水装置以及电力安全围栏
CN213460725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船舶电气控制箱
CN207231844U (zh) 取水装置
CN215343791U (zh) 一种阻锈防凝露高压电力电缆接地箱
CN219434096U (zh) 探测器防水安装结构及电站
CN220107942U (zh) 防护装置
KR200190901Y1 (ko) 선박의 전기용 콘트롤박스
CN116995346B (zh) 一种海上风电系统储能装置
CN216209867U (zh) 防护罩及激光雷达
CN211011764U (zh) 加湿器及防水组件
CN219499342U (zh) 光伏接线盒及光伏组件
CN215119112U (zh) 云母板结构与电池包
CN212106292U (zh) 一种潜水泵专用控制器
CN210985204U (zh) 一种便于防腐防潮的港口码头岸电系统控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