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372A - 전기 융착식 이음관 - Google Patents

전기 융착식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372A
KR20190102372A KR1020180022664A KR20180022664A KR20190102372A KR 20190102372 A KR20190102372 A KR 20190102372A KR 1020180022664 A KR1020180022664 A KR 1020180022664A KR 20180022664 A KR20180022664 A KR 20180022664A KR 20190102372 A KR20190102372 A KR 2019010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joint pipe
main body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962B1 (ko
Inventor
백미진
Original Assignee
미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관 부재가 삽입되는 관형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음관 본체 내에 삽입된 상기 관 부재와 상기 이음관 본체를 서로 융착 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이음관 본체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 및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이음관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이 상기 관 부재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관 부재의 외주 면과 밀착되어 상기 관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되는 기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융착식 이음관{ELECTROFUSION TYPE SOCKET}
본 발명(Disclsoure)은,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관 부재와 이들을 이어붙이는 이음관의 융착 과정에서 이음관과 관 부재의 용융액이 이음관의 길이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나 오수 혹은 배설물 등을 미리 정한 경로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파이프(Pipe)를 지중매설하는 배관공사를 실시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로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내에 정해진 규격의 파이프를 다수 배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이음관(연결소켓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이음(Pipe joint, 이하 "이음작업"이라 함) 작업을 실시한 이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우기 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한다.
여기서, 상기한 이음관 내부로 끼워 맞춤하는 파이프 연결부위의 조립성 및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기밀 유지를 통한 누설방지의 목적을 위해 전기 융착식 이음관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p-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시 발열케 된 코일(Coil, 901)이 상기 이음관(p-1)의 내주연을 따라 권선되고, 상기 코일(901)로 전기를 전도시키게 된 복수의 단자핀(902)이 외면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핀(902)의 조립장착과 더불어 전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된 한 쌍의 커넥터부(p-11)가 상기한 이음관(p-1)의 외면 양측 끝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기장치로부터의 전기 공급에 의해 상기 코일(901)이 발열케 되고, 이로써 이음관(p-1) 내부로 끼워 맞춤한 파이프(p-2) 외면과 상기 이음관(p-1) 내면이 하나로 융합되는 융착 작용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p-1)의 경우, 상기 파이프(p-2)와의 상호 융착 과정에서, 상기한 코일(901)의 발열에 의해 용융된 이음관, 파이프의 용융액이 이음관의 양측으로 누설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 되었으며, 이는 이음작업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융착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3024호는, 용융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자핀과 이음관 사이의 간격을 통해 용융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어서, 이음관의 양측방향으로 용융액이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3024호
본 발명(Discloure)은, 관 부재와 이들을 이어붙이는 이음관의 융착 과정에서 이음관과 관 부재의 용융액이 이음관의 길이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ure)은, 이음관의 내부로 관 부재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음관과 관 부재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관 부재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 수단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관 부재가 삽입되는 관형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음관 본체 내에 삽입된 상기 관 부재와 상기 이음관 본체를 서로 융착 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이음관 본체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 및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이음관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이 상기 관 부재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관 부재의 외주 면과 밀착되어 상기 관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되는 기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말단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직경이 상기 관 부재의 외주에 의해 정의되는 직경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를 지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 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을 따라 중앙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서, 상기 이음관 본체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에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단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기밀부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 대상이 되는 관 부재를 이음관 본체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기밀부가 탄성 변형되어 그 말단이 이음관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발열선에 의해 용융되 용융액이 이음관 본체의 양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 대상이 되는 관 부재를 이음관 본체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기밀부가 탄성 변형되므로 관 부재의 삽입방향(또는 중심선)을 이음관 본체의 길이 방향(또는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안내되어 조립의 정확성 및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기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기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100)은, 이음관 본체(110), 발열선(120), 커넥터 핀(130) 및 기밀부(140)를 포함한다.
이음관 본체(110)는, 연결대상이 되는 관 부재(11,12)가 삽입될 수 있는 관형으로 구비된다.
발열선(120)은, 이음관 본체(110)에 설치되고, 이음관 본체(110) 내에 삽입된 관 부재(11,12)와 이음관 본체(110)를 서로 융착 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코일로 구비되고,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연을 따라 권선 되어 구비된다.
한 쌍의 커넥터 핀(130)은, 발열선(120)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이음관 본체(110)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커넥터 핀(130)은, 외부에서 발열선(120)으로 전기를 전도시키는 구성으로서, 이음관 본체(11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기장치로부터의 전기 공급에 의해 발열선(120)이 발열케 되고, 이로써 이음관 본체(110) 내부로 끼워 맞춤한 관 부재(11,12)의 외면과 이음관 본체(110)의 내면이 하나로 융합되는 융착작용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양측 내주 면으로부터 이음관 본체(1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관 부재(11,12)의 삽입과정에서 관 부재(11,12)의 외주 면과 밀착되어 관 부재(11,12)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된다.
여기서, 기밀부(140)의 변형은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변형으로서, 관 부재(11,12)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는 탄성변형은 물론,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원주방향의 탄성변형도 포함한다.
또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 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직경이 관 부재(11,12)의 외주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이는
또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와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음관 본체(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리브(rib)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커넥터(130)를 지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열선(120)에 의한 열에 의해 기밀부(140)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이음관 본체(110)는, 이음관 본체(110)의 양측 내주 면에 이음관 본체(110)의 양단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110s)을 가지며, 기밀부(140)는 경사면(110s)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음관 본체(110)의 양단에서 이음관 본체(110)의 내경이 관 부재(11,12)의 외경에 비해 크므로 기밀부(140)의 부가에도 불구하고 삽입이 용이하며, 관 부재(11,12)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경사면(110s) 및 기밀부(140)의 탄성변형에 의해 관 부재(11,12)와 이음관 본체(110)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기밀부(140)는, 이음관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앞서 설명한 경사면(110s)과 함께 관 부재(11,12)와 이음관 본체(110)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관 부재(11,12)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기밀부(140)에 의한 밀착성능이 점차 향상되어 용융액과 처음 마주하는 위치에서의 기밀성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식 이음관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기밀부(140)가, 이음관 본체(110)의 양측 내주 면을 따라 중앙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기밀부(140)가 제1 실시형태의 고리형상과 달리,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고리형상에서 원주방향 탄성변형에 대응하는 기밀부(140)의 길이방향 탄성 변형이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밀부(140)의 두께 조절이 자유로운 이점을 가진다.

Claims (7)

  1. 관 부재가 삽입되는 관형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음관 본체 내에 삽입된 상기 관 부재와 상기 이음관 본체를 서로 융착 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이음관 본체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 및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이음관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이 상기 관 부재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관 부재의 외주 면과 밀착되어 상기 관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되는 기밀부;를 포함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말단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직경이 상기 관 부재의 외주에 의해 정의되는 직경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를 지난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내주 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을 따라 중앙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 본체는,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측 내주 면에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단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기밀부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20180022664A 2018-02-26 2018-02-26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202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64A KR102029962B1 (ko) 2018-02-26 2018-02-26 전기 융착식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64A KR102029962B1 (ko) 2018-02-26 2018-02-26 전기 융착식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72A true KR20190102372A (ko) 2019-09-04
KR102029962B1 KR102029962B1 (ko) 2019-10-08

Family

ID=6795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664A KR102029962B1 (ko) 2018-02-26 2018-02-26 전기 융착식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775A (ja) * 1991-10-21 1993-04-27 Osaka Gas Co Ltd 電熱体入り管継手
KR100750044B1 (ko) * 2006-04-04 2007-08-16 이동열 파이프 이음관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2-01-05 (주)폴리텍 전기 융착식 이음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775A (ja) * 1991-10-21 1993-04-27 Osaka Gas Co Ltd 電熱体入り管継手
KR100750044B1 (ko) * 2006-04-04 2007-08-16 이동열 파이프 이음관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2-01-05 (주)폴리텍 전기 융착식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62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502B1 (en) Electrofusion coupler
WO1992018322A1 (en) Pipe joint member
EP1214545B1 (en) Improved welding socket
EP3225896B1 (en) Electroweldable saddle-type fitting and relative welding method
EP0975911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in plastic pipes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140005001U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103026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H09144977A (ja) 電気融着管継手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JP2017198261A (ja) 電気融着受け口付き継手及び電気融着受け口付き継手を用いた配管接続方法
KR20190102366A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5854809B2 (ja) 配管の更新方法、配管更新キット、管継手、及び配管更新構造
KR101247527B1 (ko)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2018096419A (ja) 電気融着継手
KR101317710B1 (ko) 배관용 가변식 엘보
KR200211583Y1 (ko)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KR20240045432A (ko) 배관 연결 구조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3069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