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225B1 -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225B1
KR100663225B1 KR1020030078187A KR20030078187A KR100663225B1 KR 100663225 B1 KR100663225 B1 KR 100663225B1 KR 1020030078187 A KR1020030078187 A KR 1020030078187A KR 20030078187 A KR20030078187 A KR 20030078187A KR 100663225 B1 KR100663225 B1 KR 10066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sheet
thermoplastic synthetic
sheet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335A (ko
Inventor
정직한
Original Assignee
정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직한 filed Critical 정직한
Priority to KR102003007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2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layer of a multilayer part to be joined, e.g. for joining plastic-met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supplying heat to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 e.g. special electrical connector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29C66/0242Heating, or preheating, e.g.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 대형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층 구조의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전기-융착 접합시트는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발열체(23);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를 개재(介在)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접착되며,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 및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의 연장된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의 두께를 가진다.
전기-융착, 접합시트, 이중벽관, 합성수지, 폴리에틸렌, 발열체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electro-fusion connecting sheet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분해사시도.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A-A'선 횡단면도.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B-B'선 종단면도.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 대형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층구조(Multi-layer)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수지관 등의 합성수지관은 관 자체에서 용출되는 물질이 거의 없고, 부식될 우려가 없으며, 인위적인 손상을 가하지 않는 한 수명이 반영구적일 뿐만 아니라, 자재비 및 시공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접합은 합성수지관 자체를 열로 용융(fusion)시켜 접합(weld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열융착 방법으로서 맞대기(Butt) 융착법, 소켓 융착법, 전기-융착(Electro-fusion: E/F) 접합시트 융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맞대기 융착법은 합성 수지관의 양 말단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이중벽 하수관과 같이 관벽의 내부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융착시 수지가 고르게 용융되지 않고, 융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대구경 관의 경우, 관의 융착에 필요한 장비의 크기가 커지고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소켓 융착법은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소켓을 합성수지관의 이음부에 끼우고, 이를 전기 용융하여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외경이 400mm 이상인 대형 합성수지관 연결용 소켓의 경우에는 사출성 형에 의한 소켓 제작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대형 금형의 제작이 요구되는 등 제조 단가가 높아져 실제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소켓 융착법은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소켓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므로, 시공 상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외경 치수가 일정하지 않은 관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는 소켓과 관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기-융착 접합시트 융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융착 접합시트 융착법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융착 접합시트 융착법에 있어서는, 합성수지관(10)이 접합되는 부분에 전기-융착 접합시트(20)를 둘러싸고,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발열체(23) 말단에 형성된 접속단자(50)와 E/F(Electro-Fusion) 융착기(40)의 전원공급선(50a)을 서로 연결한다. 그 후, E/F융착기(40)로부터 발열체(23)로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체(23)가 가열됨으로서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내면 및 합성수지관(10)의 외면이 용융되어, 합성수지관(10)이 서로 접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20)는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열전도 계수를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시트(21)에, 전기저항이 큰 물질, 예를 들면 메쉬 형태의 금속, 라스(lath) 등으로 이루어진 발열체(23)가 삽입, 부착되어 있으며, 발열체(23)의 단부에는 접속단자(5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2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각각의 합성수지관(10)을 둘러싸서 용융시키며, 합성수지제 시트(21)의 중앙부는 발열체(23)가 배치되어 않은 '공백부'이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20)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쉬 등의 발열체(23)의 열팽창 계수와 합성수지시트(21) 및 합성수지관(10)의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르므로, 관 융착시 발열체(23)가 과열되면, 발열체(23)가 합성수지시트(21) 및 합성수지관(10)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와 같은 발열체(23)의 이탈에 의하여 발생한 틈 또는 공극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 만 아니라, 합성수지관(10)을 용융하면서 결합시키는 전기-융착 접합시트(20)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특히 합성수지관(10)의 내부가 폴리에틸렌이 아닌 다른 합성수지로 채워진 삼중벽관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시트(21)의 한쪽 면에만 발열체(23)가 부착된 접합시트(20)는 충분한 융착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발열체(23)가 합성수지시트(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3,732호는 금속 메쉬와 수지판을 한 쌍의 톱니형 성형 로울러로 성형하여, 금속 메쉬와 수지판에 톱니형의 요철면을 형성함으로서, 금속메쉬와 수지판을 일체화시킨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13,729호는 전기-융착 접합시트로 수지관을 둘러쌀 경우,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겹쳐지는 부분에서 과도하게 발열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겹쳐지는 부분에 별도의 저항조정 금속을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 은 방법들도 합성수지시트로부터 발열체가 이탈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20)에 있어서는, 압출기에서 토출된 수지가 T-다이를 통해 판상으로 성형되고, 3-롤(ROLL) 장치를 통과하면서 합성수지시트(21)의 두께가 조절되며, 그 후 합성수지시트(21)의 양쪽 면(Edge)을 절단하여, 원하는 규격의 전기-융착 접합시트(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시트(21)의 양쪽 면(Edge)을 절단하여 규격을 조절하므로, 별도의 에지 커터(edge cutter) 설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20)는 합성수지시트(21) 상단에 금속 메쉬 등의 발열체(23)를 위치시키고, 톱니 또는 돌기 모양의 롤러(Roller)로 압착하여, 합성수지시트(21)와 발열체(23)를 일체화시키는 선 접촉(line contact)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합성수지시트(21)와 발열체(23)에 국부적인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합성수지시트(21)와 발열체(23)의 결합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시공 시 과열에 따른 결합성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가 합성수지시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multi-layer) 전기-융착 접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시트와 발열체를 면 접촉(surface contact)에 의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합성수지시트와 발열체가 국부적인 스트레스의 발생 없이 균일하게 접합된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설비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발열체;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를 개재(介在)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에 접착되며,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및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의 연장된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수지판을 절단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및 전기 전도성 발열체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를 각각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상단에,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를 안착하는 과정;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가 안착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상단에,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를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a 내지 3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평면도, 분해사시도, A-A'선 횡단면도 및 B-B'선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융착 접합시트(20)는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전기전도성 발열체(23),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 및 접속단자(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는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기 위한 것으로서(도 1 참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충분히 둘러쌀 수 있으면 그 크기 또는 모양에 특히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장방향(長方向, 가로변)이 합성수지관을 둘러싼 후, 일부 중첩될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단방향(短方向, 세로변)은 합성수지관의 연결 과정 중, 또는 연결 후 합성수지관을 충분히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두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 과정 중, 또는 연결 후 합성수지관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두께도 두꺼워진다.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결하는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이면,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융착 접합시트(20)에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발열체(23)는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에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발열체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다양한 발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기 저항 및 열전도 계수가 큰 물질, 예를 들면 메쉬 형태의 금속, 라스(lath)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ㄷ"자 형상의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평행한 연장부(23b, 23c)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부착되어,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을 각각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3b, 23c)를 연결하는 세로 부분(23a)은 접합되는 각각의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상기 평행한 연장부(23b, 23c)가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23b, 23c)들을 이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장부(23b, 23c) 및 세로 부분(23a)은 각각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50) 역시 통상적인 전기-융착 접합시트(20)에 사용되는 접속단자로서,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연장부(23b, 23c)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23)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50)는 상기 발열체(23)의 평행한 연장부(23b, 23c) 말단에 통상의 구리 전선, 단자, 리드와이어 등을 위치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 사이에는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 및 접속단자(50)가 개재(介在)된다.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 시,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 발열체(23)가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 사이에 전기전도성 발열체(23)를 삽입함으로서, 전기전도성 발열체(23)가 과열되더라도,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로부터 전기전도성 발열체(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성수지관을 견고히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의 용융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합성수지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합성수지관이 잘 용융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배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의 두께가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두께에 대하여 0.9배를 초과하면,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시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고,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전체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전기-융착 접합시트(20)로 합성수지관을 감싸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0.3배 미만이면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가 전기전도성 발열체(23)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는 T-다이 및 롤러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프레스를 이용한 면 접촉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 접촉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수지판을 절단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각각 제조한다. 제조된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단에,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전기전도성 발열체(23)를 안착한다. 다음으로, 전기전도성 발열체(23)가 안착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단에 얇은 두께 및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위치시키고, 전열기가 삽입된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일체화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융착 접합시트(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의 접촉하는 면을 일련의 발열체 (히타 또는 열풍기)로 예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프레스로 눌러 면접촉의 방법으로 일체화하면,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와 전기전도성 발열체(23)가 균일한 압력을 받아, 국부적인 하중없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전기전도성 발열체(23) 전체를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가 둘러싸게 되므로, 합성수지관 융착 작업 시,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열이 전기-융착 접합시트(20) 및 합성수지관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합성수지관과 전기-융착 접합시트(20)의 열융착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는 전기전도성 발열체가 합성수지시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전기전도성 발열체의 열이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합성수지관에 균일하게 전달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시트와 발열체를 면 접촉(surface contact)에 의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합성수지시트와 발열체가 국부적인 스트레스의 발생없이 균일하게 접합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발열체(23);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를 개재(介在)하여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에 접착되며,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 및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의 연장된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전도성 발열체(23)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3. 삭제
  4.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수지판을 절단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전기 전도성 발열체(23)의 발열에 따라 용융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각각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단에,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의 장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연장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발열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를 안착하는 과정;
    상기 전기 전도성 발열체(23)가 안착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상단에,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는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두께에 대하여 0.3 내지 0.9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를 프레스로 압착하기 전에, 상기 상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1) 및 하부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25)의 접촉면을 예열시키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030078187A 2003-11-06 2003-11-06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KR10066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87A KR100663225B1 (ko) 2003-11-06 2003-11-06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87A KR100663225B1 (ko) 2003-11-06 2003-11-06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335A KR20050043335A (ko) 2005-05-11
KR100663225B1 true KR100663225B1 (ko) 2007-01-02

Family

ID=3724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87A KR100663225B1 (ko) 2003-11-06 2003-11-06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99B1 (ko) * 2022-10-17 2023-03-30 주식회사 씨피에스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시트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335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97B1 (ko) 나사산에 의한 용융부의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이음관
US7798531B2 (en) Electric fusion piping materials with screw pressing device
JP2582886B2 (ja) 物品の接合方法
KR100663225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US5743989A (en) Method of welding plastics sheets together and a joint used therein
US10449727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CN105364282A (zh) 功能元件和辅助元件的一体式电阻焊接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US20150156821A1 (en) Heating element for a plastic-tube butt-welding machin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type radiator, and plastic-tube butt-welding machine
KR101017986B1 (ko)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100334049B1 (ko)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의 가스 매니폴드에의 라이닝 부착 방법
EP3065932A1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KR100746980B1 (ko) 나사산에 의한 가압구조를 가진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JP2006099970A (ja) 引出端子部の封口方法および封口装置
CN215824592U (zh) 用于焊接组合三通外护套层的组合焊具
JP3594936B2 (ja) 熱融着機能性資材
JP5153472B2 (ja) 発熱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熱シート
KR100474093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체결형 발포소켓, 및 그 제조방법과제조장치
KR102577543B1 (ko)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736805B2 (ja) 合成樹脂管継手
KR100525747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체결형 발포소켓 및 그 제조방법과제조장치
JP4309169B2 (ja) 熱可塑性シートの接合方法及び接合シート
JP2887191B2 (ja) 面状ヒータの製造方法
JP2721449B2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
US6627028B2 (en) Method for welding thermoplastic f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