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543B1 -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543B1
KR102577543B1 KR1020210092794A KR20210092794A KR102577543B1 KR 102577543 B1 KR102577543 B1 KR 102577543B1 KR 1020210092794 A KR1020210092794 A KR 1020210092794A KR 20210092794 A KR20210092794 A KR 20210092794A KR 102577543 B1 KR102577543 B1 KR 10257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lectrically fused
plastic sheet
manufacturing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247A (ko
Inventor
박인탁
Original Assignee
한국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피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5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전기 융착 시트는, 버트 융착에 의해 비드를 형성하면서 관 이음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보강하는 전기 융착 시트로서, 상기 합성수지관들을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모양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시트; 및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되고, 전극선을 통한 전력 인가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합성수지관들에 융착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 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는 상기 비드를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Electric welding sheet for reinforcing seams of butt fusional plastic pip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이음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직경 및 형상으로 제조되어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난방용 배관, 하수용 배관 및 각종 유체 이송 배관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시공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길이의 합성수지관을 원하는 길이의 배관으로 만들기 위해,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옮겨진 합성수지관들을 관 이음한다. 관 이음 방식으로는 별도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본드를 이용하는 방식, 버트 융착(맞대기 융착)을 이용하는 방식, 전기 융착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본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PVC 관 이음에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PE 재질로 제작된 합성수지관의 이음에는 버트 융착 방식과 이음관을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버트 융착 방식은 관 이음될 합성수지관의 단부면이 균일해지도록 면취하고, 관 이음될 합성수지관들의 단부면들에 히터(또는 열판)를 가압하여 플라스틱 단부면들을 용융하고, 히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관 이음될 합성수지관들의 단부면들을 서로에 대해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는 압착을 수행한 다음, 융착 부위를 냉각하고, 버트 융착에 의해 이음매 부위에 생긴 돌출물, 즉, 비드의 폭이 적절한지 육안으로 검사하는 작업을 거친다.
그런데, 종래의 버트 융착 방식은 관 이음될 합성수지관의 미세한 정렬 오차 또는 작업자의 작은 실수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서, 이음매 부위에 리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관 이음으로 얻어지는 배관이 위험 물질 이송용 배관으로 이용되는 경우 심각한 산업 재해를 일으킬 우려마저 있다.
따라서 버트 융착에 의해 관 이음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 부위를 보강하여, 유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2672호(2009년 08월 17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버트 융착(butt fusion, 맞대기 융착)에 의해 비드를 형성하면서 관 이음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보강하는 전기 융착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전기 융착 시트는, 상기 합성수지관들을 감싸도록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시트;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되고, 전극선을 통한 전력 인가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합성수지관들에 융착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 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는 상기 비드를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상기 전열선 메쉬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양측 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과,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일측 종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종 전열선 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 사이 중간에서 상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 각각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종 전열선 메쉬와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종 가장자리 부근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버트 융착에 의해 비드를 형성하면서 관 이음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보강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은, 직사각형 모양의 플라스틱 시트와, 전극선을 통한 전력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 메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열선 메쉬를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하여 전기 융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무르게 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시트가 연화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상기 비드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를 성형하는 단계는,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비드 형상부를 중간에 포함하는 내부 형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 형상부를 덮도록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의 둘레에 감는 단계와,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상기 내부 형틀에 감긴 전기 융착 시트의 외부면을 한 쌍의 클램핑 판으로 감싼 후, 한 쌍의 클램프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판을 압박한다.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판은 상기 비드 형상부가 없는 부분에서 상기 전기 융착 시트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무르게 연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원통 형태로 감아 결속 밴드로 결속한 후 히팅 챔버 내에서 가열한다.
상기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원통 형태로 감아 결속하기 전에,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복수개의 가열 롤러를 이용하여 곡면을 갖도록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열선 메쉬를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하기 위해, 전열선 메쉬가 가접합된 플라스틱 시트를 회전하는 가열 롤러와 베드 사이의 틈 사이로 통과시킨다.
상기 그루브를 성형한 후,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공냉 또는 수냉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그 이음매에 형성된 비드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전기 융착 시트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버트 융착에 의해 관 이음된 두 개의 합성수지관를 포함하고 전기 융착 시트에 의해 이음매가 보강된 배관을 보인 정면도로서, 전기 융착 시트에 구비된 전열선 메쉬가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그루브가 형성된 전기 융착 시트를 길게 펼쳐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버트 융착에 의해 관 이음된 두 개의 합성수지관를 포함하고 전기 융착 시트에 의해 이음매가 보강된 배관을 보인 정면도로서, 전기 융착 시트에 구비된 전열선 메쉬가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합성수지관들(2)(2), 보다 구체적으로는 PE 재질의 합성수지관들(2)(2)(이하 'PE 합성수지관'이라 한다)이 버트 융착에 의해 관 이음되어 있으며,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를 덮도록 접합된 전기 융착 시트(100)가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를 보강하고 있다. 버트 융착 방식으로 인해,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즉, 비드(21)가 형성된다. 또한, 전기 융착 시트(100)는 상기 비드(21)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 융착 시트(100)는 PE 재질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120)와 상기 플라스틱 시트(120)에 접합된 전열선 메쉬(140)와 상기 전열선 메쉬(140)로부터 연장된 전극선들(160A)(160B)을 포함한다.
상기 전열선 메쉬(140)는 합성수지관들(2)(2)과 전기 융착 시트(100) 사이 및 전기 융착 시트(10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들 사이를 융착시키도록 상기 전극선들(160A)(160B)을 통한 전력 인가시 플라스틱 시트(120)를 가열 및 용융시키는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열선 메쉬(140)는 두 PE 합성수지관들(2)(2) 각각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두 PE 합성수지관들(2)(2)의 둘레를 감싸도록 플라스틱 시트(120)의 양측 횡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과, 상기 플라스틱 시트(2)의 일측 종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채 상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 사이를 연결하는 종 전열선 메쉬(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횡'이란 직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시트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을 의미하고, '종'이란 직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시트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방향을 의미한다.
전극선들(160A)(160B)들을 통한 전력 인가에 의해,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142)(142) 및 종 전열선 메쉬(144)가 가열되어, 두 PE 합성수지관들(2)(2)의 둘레를 따라 전기 융착 시트(100)가 융착되며, 두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 둘레를 감싼 후 서로 겹쳐지는 전기 융착 시트(100)의 두 부분 사이가 융착된다. 그리고 두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에 형성된 비드(21)는 전기 융착 시트(100)에 형성된 그루브(122) 내에 수용된다. 전기 융착 시트(100)로 서로 관 이음된 PE 합성수지관들(2)(2)을 감쌀 때, 강한 힘으로 압박하는 바이스, 지그 등의 기구를 이용하므로, 전기 융착 시트(100)와 PE 합성수지관들(2)(2) 사이에는 거의 틈이 존재하지 않고 강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PE 플라스틱 시트(120)와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 및 하나의 종 전열선 메쉬(144)를 포함하고 전극선들(160A)(160B)들이 연결되어 있는, 대략 "ㄷ" 형의 전열선 메쉬(140)가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선 메쉬(140)는,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이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양측 횡 가장자리들과 인접한 채 평행하고, 종 전열선 메쉬(144)가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일측 종 가장자리와 인접한 채 평행하도록, 상기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상면에 배치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열선 메쉬(140)를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일면에 가접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가접합 공정은 이하 설명되는 롤러를 이용한 열접합 공정 중 전열선 메쉬(140)가 흐트러져 의도한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수행된다. 가접합 공정에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하는 인두팁(12)으로 전열선 메쉬(140)를 PE 플라스틱 시트(120)에 가압하는 열융착기 또는 인두기(1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접합 공정에 의해, 원형 또는 선형을 갖는 다수개의 가접합부(4)가 전열선 메쉬(140)가 적층된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영역에 형성되며, 이 다수개의 가접합부(4)에 의해, 이하 설명되는 열접합 공정 중에도 전열선 메쉬(140)는 PE 플라스틱 시트(12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롤러(24)와 베드(22)를 포함하는 가열 접합기(20)를 이용하여, 전열선 메쉬(140)를 PE 플라스틱 시트(120)에 열접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베드(22)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 작업 표면을 포함하며, 가열 롤러(24)는 히터가 내장되어 가열될 수 있다. 베드(22)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브라켓들(23)(23)에 상기 가열 롤러(24)가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열 롤러(24)와 상기 베드(22)의 상면 사이에는 전열선 메쉬(140)가 가접합되어 있는 PE 플라스틱 시트(120)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틈의 최소 크기는 상기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두께보다 같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열선 메쉬(140)가 가접합된 PE 플라스틱 시트(120)가 상기 틈을 통과하면서 상기 전열선 메쉬(140)는 PE 플라스틱 시트(120)에 묻히면서(부분 매립되면서) 접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열선 메쉬(140)가 PE 플라스틱 시트(120)에 열접합되어 전기 융착 시트가 형성된다.
한편, 전기 융착 시트(100)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므로 PE 합성수지관들(2)(2)의 이음매를 감싸도록 변형시키는데 큰 힘이 들어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융착 시트(100)를 합성수지관의 원통형 표면에 잘 말릴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미리 변형시키는 3D 벤딩 공정을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삼각형을 이루면서 회전하는 세 개의 롤러(32A)(32B)(33)를 포함하는 벤딩 롤러 세트를 이용하여 전기 융착 시트(100)를 원통형에 잘 말릴 수 있는 곡면 구조로 변형시킨다. 벤딩 롤러 세트는 두 개의 받침 회전 롤러(32A)(32B)와 그 두 개의 받침 회전 롤러(32A)(32B) 상측에 위치한 주 회전 롤러(33)를 포함한다. 두 개의 받침 회전 롤러(32A)(32B)와 주 회전 롤러(33) 사이로 전기 융착 시트(100)를 통과시키면, 전기 융착 시트(100)는 원통에 잘 감길 수 있는 형태, 즉, 중간이 끊긴 원 또는 타원 형태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세 개의 롤러들(32A)(32B)(33) 또한 가열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된 전기 융착 시트(100)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 형태로 감아 결속 밴드(40)로 단단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결속 밴드(40)에 의해 원통 형태로 감겨 유지된 전기 융착 시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챔버(50) 내에서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 유지되어, 일정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무른 상태로 연화 된다.
전기 융착 시트(100)를 히팅 챔버(50) 내에서 가열하여 무르게 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드(21; 도 1 참조)를 수용하는 그루브(122)를 전기 융착 시트(100)의 플라스틱 시트(120)에 성형하기 위한 전 단계의 작업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융착 시트(100)에 그루브(122)를 성형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비드 형상부(62)를 포함하는 관 형태의 내부 형틀(60)과, 한 쌍의 클램핑 판들(72)(72)이 준비된다.
히팅 챔버(50; 도 10 참조)에서 가열되어 무른 상태로 연화된 전기 융착 시트(100)를 꺼내고, 결속 밴드를 풀어낸 후, 전기 융착 시트(100)가 상기 비드 형상부(6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상기 전기 융착 시트(100)를 상기 내부 형틀(60)의 외주면에 감는다. 다음, 한 쌍의 클램핑 판(72)(72)을 상기 비드 형상부(52)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내부 형틀(60)에 감긴 전기 융착 시트(100)를 감싼다. 다음으로, 바이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클램프(74)(74)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판(72)(72)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에 의해, 비드 형상부(62)가 없는 영역에서 압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비드 형상부(62)에 대응되는 부분에 그루브(122)가 형성된 전기 융착 시트(100)가 성형될 수 있다.
도 12는 그루브가 형성된 전기 융착 시트(100)를 길게 펼쳐 나타낸 도면이다.
그루브(122) 성형 후 원통 형태로 말려 있던 전기 융착 시트(100)를 길게 펼치면, 상기 전기 융착 시트(100)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기 융착 시트(1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PE 플라스틱 시트(120)와, 상기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양측 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142)(142)와, 상기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일측 종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종 전열선 메쉬(144)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122)는 상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 사이 중간에서 상기 한 쌍의 횡 전열선 메쉬들(142)(142)들 각각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종 전열선 메쉬(144)와는 PE 플라스틱 시트(120)의 종 가장자리 부근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합성수지관 100: 전기 융착 시트
120: 플라스틱 시트 140: 전열선 메쉬
142: 횡 전열선 메쉬 144: 종 전열선 메쉬
122: 그루브 21: 비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버트 융착에 의해 비드를 형성하면서 관 이음된 합성수지관들의 이음매를 보강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직사각형을 모양의 플라스틱 시트와, 전극선을 통한 전력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 메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열선 메쉬를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하여 전기 융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무르게 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시트가 연화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상기 비드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무르게 연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원통 형태로 감아 결속 밴드로 결속한 후 히팅 챔버 내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를 성형하는 단계는,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비드 형상부를 중간에 포함하는 내부 형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 형상부를 덮도록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의 둘레에 감는 단계와,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상기 내부 형틀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상기 내부 형틀에 감긴 전기 융착 시트의 외부면을 한 쌍의 클램핑 판으로 감싼 후,
    한 쌍의 클램프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판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판은 상기 비드 형상부가 없는 부분에서 상기 전기 융착 시트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원통 형태로 감아 결속하기 전에,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복수개의 가열 롤러를 이용하여 곡면을 갖도록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 메쉬를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하기 위해, 전열선 메쉬가 가접합된 플라스틱 시트를 회전하는 가열 롤러와 베드 사이의 틈 사이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를 성형한 후, 상기 전기 융착 시트를 공냉 또는 수냉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융착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092794A 2021-07-15 2021-07-15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7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94A KR102577543B1 (ko) 2021-07-15 2021-07-15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94A KR102577543B1 (ko) 2021-07-15 2021-07-15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47A KR20230012247A (ko) 2023-01-26
KR102577543B1 true KR102577543B1 (ko) 2023-09-12

Family

ID=8511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94A KR102577543B1 (ko) 2021-07-15 2021-07-15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5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71A (ja) * 1999-03-26 2000-12-15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の接合方法
KR100912672B1 (ko) * 2008-03-06 2009-08-17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162B1 (ko) * 2004-03-29 2006-03-22 김학건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71A (ja) * 1999-03-26 2000-12-15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の接合方法
KR100912672B1 (ko) * 2008-03-06 2009-08-17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47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335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라인의 전기융합을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4365144A (en)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JP2719583B2 (ja) 強化熱可塑性パイプを接合する方法
CN103057115B (zh) 超高分子量聚乙烯膜片带热熔焊接管材的方法及其焊接机
RU2341717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ющаяся муфта
SG192008A1 (en) A conveying pipe part of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method for forming a pipe joint
KR102577543B1 (ko)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069880A (ja) 溶着装置および樹脂継手
AU2011288891B2 (en) Internal electrofusion ring coupler
JP6386320B2 (ja) 樹脂製保温材付き曲管の製造方法
JP2001522026A (ja) 熱溶接可能な材料からなる導管のための溶接可能なクランプ
KR101382415B1 (ko)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655315B1 (ko)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JP5798818B2 (ja) 管壁穴部の被覆方法、加圧加熱治具、及び管体の接続方法
FI120824B (fi) Menetelmä ja hitsauspeili putkien liittämiseksi
JP4600819B2 (ja) エルボ型ef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830874U (zh) 一种螺旋波纹管连接结构
KR102627163B1 (ko) 열수축 케이싱 자동 시공 장치
TW201706530A (zh) 管體接頭製法
US20180104906A1 (en) A Strip Assembly Helically Windable to Form a Pipe
KR20040268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1305482B1 (ko) 마찰열을 이용한 플랜지 융착기 및 이를 이용한 융착방법
KR100523175B1 (ko) 플랜지가 부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422B1 (ko) 이음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63225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다층구조 전기-융착 접합시트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