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162B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162B1
KR100562162B1 KR1020040021341A KR20040021341A KR100562162B1 KR 100562162 B1 KR100562162 B1 KR 100562162B1 KR 1020040021341 A KR1020040021341 A KR 1020040021341A KR 20040021341 A KR20040021341 A KR 20040021341A KR 100562162 B1 KR100562162 B1 KR 10056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ynthetic resin
pipe
plate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073A (ko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102004002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1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로 성형된 시트판의 일측으로 열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시트로 사용하거나 원형으로 말아 수지로 접착하여 관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판에 열선을 올려놓고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시트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원형으로 말아 시트의 양선단을 수지로 연결하여 관으로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시트가 열수축이 가능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수축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도록 하고, 시트의 내부에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열팽창에 대응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시트판(110)의 일측면으로 열선(120, 1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리드선(150)이 돌출된 연결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시트판(110)이 열수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형성된 열선(120, 130)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홈(140)이 형성되어 합성수지관(200, 2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 시트, 열선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A plastic pipe for connecter to us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f the pipe}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시트에 대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 5 에 도시한 시트의 표면에 열선을 입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을 관으로 제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열결시트 110 : 시트판
120, 130 : 열선 140 : 절곡홈
150 : 리드선 170 : 연결선
200, 210 : 합성수지관 300, 310 : 회전기어
400 : 연결관 410 : 접착부
본 발명은 수지로 성형된 시트판의 일측으로 열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시트로 사용하거나 원형으로 말아 수지로 접착하여 관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판에 열선을 올려놓고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시트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원형으로 말아 시트의 양선단을 수지로 연결하여 관으로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시트가 열수축이 가능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수축되어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도록 하고, 시트의 내부에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열팽창에 대응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수지관을 약 6미터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생산한 후 지하에 매설할 때 합성수지관의 사이에서 시트방식과 원형의 소켓을 이용한 연결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방식은 시트판의 일측면으로 망형태를 갖는 금속재료의 메쉬(또는 라스)를 올려놓고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합성수 지관을 시트판이 한바퀴 감도록 한 후 시트판의 외측으로 금속으로 형성된 판을 감싸도록 하여 만나는 부분에서 조임력을 제공하게 된다.
조임력을 제공하면서 외부에서 메쉬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되도록 하면 메쉬가 발열되면서 합성수지관과 시트가 만나는 부분에서 용융이 이루어진다.
용융된 후 냉각시키면 용융된 부분이 냉각되면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므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메쉬는 철망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면에 열원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균일한 융착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융착된 이후에 냉각된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이 온도 변화에 따라 열팽창계수로 인하여 수축 및 팽창작용이 연속해서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수축 및 팽창작용에 의하여 시트가 연결된 부분에서 융착된 부분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됨과 동시에 용융된 사이에 메쉬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링형상의 연결구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체결력으로 내부의 패킹을 이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연결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결구는 양측에서 등각에 설치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시간의 소모가 많고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설치가 종료된 이후에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 및 팽창의 원리에 의하여 체결력이 약화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판의 양측면에 적어도 한줄 이상의 열선을 공급하여 한 쌍의 회전기어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연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판을 원형으로 감아서 양측 선단을 수지로 접착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관을 성형한다.
본 발명의 시트판은 내부에 가열되면 열수축되는 선이 일방향 또는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통상적인 열수축시트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 및 수축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의 내부에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므로 융착연결부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가로방향이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열수축선이 삽입된 통상적인 열수축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0-239705호(2001. 7. 12. 등록.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 시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열수축시트는 조금 얇게 성형되므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께 를 두껍게 성형한 시트판(110)을 가로방향으로 길게 성형하고 세로방향으로 짧게 형성하여 도 5 와 같이 사각형으로 제조한다.
시트판(110)의 일측면은 약간 부드럽게 성형하고 반대편은 긁힘이나 외력에 쉽게 견딜 수 있도록 통상적인 화학가교방법을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시트판(100)의 부드러운 부분에 ∪형과 ∩형이 연속에서 형성된 열선(120, 130)을 양측면에 적어도 한줄 이상씩(본 발명에서는 2줄을 도시하고 설명함)올려놓고 열선(120, 130)이 올려져 있는 시트판(110)의 표면을 30∼150℃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때 열선(120, 130)을 올려놓기 이전에 시트판(110)의 표면을 먼저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판(110)에 열선(120, 13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 사이에 공급하여 통과시키면 시트판(110)에 올려있는 열선(120, 130)을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가 눌러 열선(120, 130)이 시트판(110)에 박혀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시트판(110)의 표면을 미리 가열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기어(300, 310)를 160∼250℃의 온도로 가열하고, 열선(120, 130)은 연결선(17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며, 양측으로 +, - 단자를 갖는 리드선(150)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판(110)안쪽으로 열선(120, 130)이 설치된 부분(시트와 열선판이 만나는 곳)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절곡홈(140)이 적어도 2∼4개의 범위에서 일정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연결시트(1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절곡홈(140)은 시트판(110)을 성형할 때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를 통과할 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시트(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절곡홈(140)은 합성수지관(200, 2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성형된 연결시트(100)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200, 210)을 한바퀴 감고 일부분에서 겹치도록 한 후 리드선(15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리드선(150)을 통하여 연결선(170)과 열선(120, 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된다.
발열되는 부분에 의하여 그 주변이 서서히 용융되므로 합성수지관(200, 210)과 연결시트(100)의 일부분이 용융된다.
용융이 진행되면서 공급되는 열원으로 시트판(110)은 열수축시트 이므로 서서히 수축이 진행된다.
시트판(110)은 통상적으로 30% 정도 수축이 가능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 수축이 이루어지면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어 그대로 냉각되도록 하여 연결시트(100)를 이용한 합성수지관(200, 210)의 연결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결시트(100)와 같이 시트형으로 성형할 수 있지만, 도 7 과 같이 연결관(400)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연결시트(100)를 성형한 후에는 정해진 규격을 갖는 원통형의 금형 외측으로 연결시트(100)를 감아 양선단이 만나도록 한 후 만나는 부분에서 시트판(110)과 동 일한 재질의 수지를 접착부(410)에 공급하여 관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관으로 제조된 연결관(400)은 양측으로 합성수지관(200, 210)이 삽입되도록 한 후 리드선(150)에 전원을 공급하면 열선(120, 130)이 발열되면서 시트판(110)과 합성수지관(200, 210)의 외경이 용융되는 동시에 시트판(110)의 특성이 열수축 작용에 의하여 열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열결관(400)을 이루는 시트판(110)은 통상적으로 30% 정도의 수축이 가능하므로 합성수지관(200, 210)과 연결관(400)의 오차가 크게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수축작용으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수축되어 합성수지관(200, 21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시트(100)와 연결관(400)의 열선(120, 130)이 설치된 부분에는 절곡홈(1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합성수지관(200, 210)을 연결시킨 후에도 합성수지관(200, 210)이 기온차이에 의한 열팽창계수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절곡홈(140)이 변형되면서 다른 부분에서의 영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열팽창계수에 따른 영향이 전혀 없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선(120, 130)에 의하여 한번 융착된 후에는 합성수지관(200, 210)에 작용되는 열팽창계수나 토압 및 윤압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어 연결부분에서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400)은 도 7 과 같이 접착부(410)를 미리 성형하여 관과 같이 제조하는 경우에는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관으로 성형하지 않고 연결시트(100)를 합성수지관(200, 210)에 감은 후 연결부분을 맞대기하고 그 외측 에서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관(400)과 같이 성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접착부(410)가 냉각되도록 한 후 리드선(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120, 130)에 의한 열수축 방법으로 합성수지관(200, 210)을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1) 열수축 시트판의 성형과정
내부에 가로방향이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열수축선이 삽입되는 시트판(110)을 연속적으로 생산한다.
시트판(110)은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시트를 핫코일과 같이 로울로 성형한 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2) 열선 성형과정
구리, 텅스텐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선을 공급하여 ∪형과 ∩형이 연속해서 연결되는 열선(120, 130)을 성형한다.
(3) 시트판 가열과정
시트판(110)의 일측면에 30∼150℃의 온도를 공급하여 표면을 가열한 후 열선(120, 130)을 올려놓는다.
(4) 열선 성형과정
열선(120, 130)이 올려진 시트판(110)을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를 통과시켜 열선(120, 130)이 시트판(110)의 일측에 박혀 일체형으로 고정된 후 연결시트(100)를 제조한다.
[실시예2]
(1) 열수축 시트판의 성형과정
내부에 가로방향이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열수축선이 삽입되는 시트판(110)을 연속적으로 생산한다.
시트판(110)은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시트를 핫코일과 같이 로울로 성형한 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2) 열선 성형과정
구리, 텅스텐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선을 공급하여 ∪형과 ∩형이 연속해서 연결되는 열선(120, 130)을 성형한다.
(3) 시트판 가열과 열선 성형과정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를 160∼25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열선(120, 130)이 올려진 시트판(110)을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기어(300, 310)를 통과시켜 열선(120, 130)이 시트판(110)의 일측에 박혀 일체형으로 고정된 후 연결시트(100)를 제조한다.
[실시예3]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과정 후 금형에 연결시트(100)를 감아놓고 양측 선단을 맞대기 하여 접착부(410)에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관(400)을 성형한다.
[실시예4]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과정 후 연결시트(100)를 합성수지관(200, 210)에 감아놓은 후 그 양측 선단을 맞대기 하여 접착부(410)에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관(400)을 성형한 후 리드선(15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시켜 열수축에 의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였다.
본 발명은 시트판의 양측면에 적어도 한줄 이상의 열선을 공급하여 한 쌍의 회전기어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연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판을 원형으로 감아서 양측 선단을 수지로 접착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관을 성형한다.
본 발명의 시트판은 내부에 가열되면 열수축되는 선이 일 방향 또는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통상적인 열수축시트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 및 수축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원만 공급되면 30% 정도 수축되는 작용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의 내부에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므로 융착연결부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1. 사각형으로 형성된 시트판(110)의 일측면으로 열선(120, 1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리드선(150)이 돌출된 연결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시트판(110)의 안쪽으로 열선(120, 130)이 설치된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홈(140)이 형성되어 합성수지관(200, 2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판(110)은 열수축시트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3. (삭제)
  4. (삭제)
KR1020040021341A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KR10056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41A KR100562162B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41A KR100562162B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095A Division KR100562164B1 (ko) 2005-11-28 2005-11-28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73A KR20050096073A (ko) 2005-10-05
KR100562162B1 true KR100562162B1 (ko) 2006-03-22

Family

ID=3727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41A KR100562162B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43B1 (ko) * 2021-07-15 2023-09-12 한국피엔씨 주식회사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73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96995A1 (en) Conduit, Manufacture Thereof and Fusion Process Therefor
JPS5913189A (ja) 熱絶縁パイプの接合方法とその装置
KR10173734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US4514241A (en) Reinsulation of pipe joints
JPH01500452A (ja) 電気溶接による接続用の一体化された加熱抵抗体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パイプ
KR100625895B1 (ko) 열수축성관
KR10056216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KR101457110B1 (ko) 롤러 회전판을 갖는 확관기, 그 확관기를 이용한 확관방법 및 그 확관방법에 의해 확관된 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EP0110705B1 (en) Branch-off clip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3542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0562164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101655315B1 (ko)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KR200220089Y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관의 안전 연결구조
KR100572017B1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8039A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071596A (ko) 열손실을 최소화한 보온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연결방법
KR101089621B1 (ko) 상하수용 이음관 제조용 금형,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음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78645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시트
KR100261765B1 (ko) 지중 매설관의 연결방법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4156106B2 (ja) 管路接続工法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50082120A (ko) 열수축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