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544A -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544A
KR20170077544A KR1020150187508A KR20150187508A KR20170077544A KR 20170077544 A KR20170077544 A KR 20170077544A KR 1020150187508 A KR1020150187508 A KR 1020150187508A KR 20150187508 A KR20150187508 A KR 20150187508A KR 20170077544 A KR20170077544 A KR 2017007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ction
present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엠피
Priority to KR102015018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544A/ko
Publication of KR2017007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화학물질의 외부 누수 또는 누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융착기{Hybrid 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어 역시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가스관 또는 수도관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기융착이음관은 원통형의 소켓형태로 제작되고 소켓의 내면에 근접하여 전열선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결하고자 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를 이음관 소켓의 내부로 삽입한 후 전기를 가하면 전열선의 발열에 의해 이음관 소켓의 내면과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외면이 용융되고, 용융된 폴리에틸렌 수지의 계면이 서로 섞이면서 연결되고 냉각에 의해 완전히 연결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30562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두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이음관 소켓(10)으로 구성되고, 이음관 소켓(10)의 내면에는 이에 근접하여 다수회 권취된 전열선(12)이 매입되며, 이음관 소켓(10)의 내면에 근접하여 이음관 소켓(10)의 내부에 배치된 전열선(12)의 외측에 온도센서(20)가 배치되고, 전열선(12)이 이음관 소켓(10)의 외면 양측에 배치된 전기연결단자(14a)(14b)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은, 한쪽 파이프의 단부와 다른쪽 파이프의 단부를 각각 융착시키기 위해 이음관 소켓(10)의 내면에 매입된 전열선(12)이 계속 연결된 구조로 이뤄져서, 두 파이프의 융착 이음이 끝난 후에도 두 파이프 사이의 전열선(12)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전열선(12)의 피복이 화학물질에 의해 부식되면서 전열선(12)을 통해 외부로 화학물질이 누수 또는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종래 구조의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방식의 융착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화학물질의 외부 누수 또는 누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하이브리드 융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주면 일측에 제1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1구간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제2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2구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부; 및 제1구간 또는 제2구간 중 어느 한쪽 내주면에 매입되며, 본체부에 형성된 전기연결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화학물질의 외부 누수 또는 누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융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융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융착기(201)는, 내주면 일측에 제1파이프(203)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1구간(L1)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제2파이프(205)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2구간(L2)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부(207); 및 제1구간(L1) 또는 제2구간(L2) 중 어느 한쪽 내주면에 매입되며, 본체부(207)에 형성된 전기연결단자(209, 211)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열선(3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207)는 일예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체부(207)는 내주면 일측에 제1파이프(203)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1구간(L1)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제2파이프(205)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2구간(L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07)는 전기연결단자(209, 211)를 포함하는데, 전기연결단자(209, 211)는 후술할 전열선(3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전열선(301)으로 인가하는 터미널 역할을 하게 된다.
더불어, 본체부(207)는 제1구간(L1)과 제2구간(L2)를 구획하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부(303)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체부(207)의 내주면에 제1구간(L1)과 제2구간(L2)을 구획하는 스토퍼부(303)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전열선(301)에 의한 전기융착 방식(제2구간(L2))과 가열에 의한 열융착 방식(제1구간(L1))이 모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201)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열에 의한 열융착 방식이란 파이프 단부의 외주면 또는 본체부의 내주면이 히터와 같은 외부기기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된 후 융착되는 방식이다.
한편, 스토퍼부(303)는 본체부(207)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처럼 스토퍼부(303)가 본체부(207)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파이프(203)와 제2파이프(205) 사이의 전열선(301)이 스토퍼부(303)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에서와 같이 두 파이프 사이로 전열선이 노출되어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종래의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이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부(303)는 제1파이프(203)의 단부 또는 제2파이프(205)의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지지홈부(501)를 포함한다.
이처럼 스토퍼부(303)에 지지홈부(501)가 형성됨으로써, 제1파이프(203) 또는 제2파이프(205)가 본체부(207)에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된다.
한편, 도면들에서는 지지홈부(501)가 스토퍼부(303)의 양측면 중 제2구간(L2) 쪽의 측면에만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양측면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스토퍼부(303)는 본체부(207)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본체부(207)의 중심을 향하는 면이 볼록한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전열선(301)은 제1구간(L1) 또는 제2구간(L2) 중 어느 한쪽 내주면에 매입되며, 본체부(207)에 형성된 전기연결단자(209, 211)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이러한 전열선(301)은 피복된 저항선으로 제공된다.
물론, 전열선(301)은 나사산이 형성되는 예와 같이 제1구간(L1) 또는 제2구간(L2) 중 어느 한쪽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매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화학물질의 외부 누수 또는 누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 하이브리드 융착기
203 : 제1파이프
205 : 제2파이프
207 : 본체부
209, 211 : 전기연결단자
301 : 전열선
303 : 스토퍼부
501 : 지지홈부

Claims (4)

  1. 내주면 일측에 제1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1구간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제2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제2구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부; 및
    상기 제1구간 또는 제2구간 중 어느 한쪽 내주면에 매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전기연결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열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을 구획하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 또는 제2파이프의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융착기.
KR1020150187508A 2015-12-28 2015-12-28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KR2017007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08A KR20170077544A (ko) 2015-12-28 2015-12-28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08A KR20170077544A (ko) 2015-12-28 2015-12-28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44A true KR20170077544A (ko) 2017-07-06

Family

ID=5935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508A KR20170077544A (ko) 2015-12-28 2015-12-28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7520C (en) Electrofusion joint and hot water supply header using the same
EP3113931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liers
WO2009154387A2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
AU2011288891C1 (en) Internal electrofusion ring coupler
JP2016186922A (ja)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構造
KR101797719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기구
KR20170077544A (ko)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US10226898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KR101103024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KR101818324B1 (ko)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송관용 전기융착기구
JP6987880B2 (ja) プラグ付き被加熱導管およびこの導管の動作方法
JP2016115579A (ja) 端子付電線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CN106678458B (zh) 一种双联易直接石油管道接头
JP2017091642A (ja) 電線モジュール製造方法及び電線モジュール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417002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2604197B1 (ko) Pvc 계통 파이프 연결용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
KR20170117808A (ko)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송관용 하이브리드 융착기구
CN218378269U (zh) 克拉管管道连接结构
JPH10160081A (ja) 合成樹脂管用継手
JP2017160925A (ja) 継手部材および配管構造
JP2023110165A (ja) 電気融着継手及び配管構造
KR200330150Y1 (ko) 파이프 용융결합구의 열선피복구조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