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395A -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395A
KR20090018395A KR1020070082793A KR20070082793A KR20090018395A KR 20090018395 A KR20090018395 A KR 20090018395A KR 1020070082793 A KR1020070082793 A KR 1020070082793A KR 20070082793 A KR20070082793 A KR 20070082793A KR 20090018395 A KR20090018395 A KR 20090018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saddle
branch pipe
pip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651B1 (ko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주)대덕화학
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화학, 신영석 filed Critical (주)대덕화학
Priority to KR102007008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6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16L47/28Joining pipes to walls or to other pipes, the axis of the joined pipe be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r to the axis of the 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은 플라스틱 하수관의 메인관(1)의 통공(1a)과 연통되는 연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1) 주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1)에 안착되며,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도록 하부 내면에 열선(12)이 내장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열선(12)과 접속되는 접속단자(13)가 각각 구비된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연통공(11)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분기부(20); 및 상기 분기부(20)의 상단부에 접합되며 분기관(2)과 결합되는 분기관 결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 전기융착, 새들, 메인관, 분기관, 안착부, 실링부, 열선

Description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Fusion Saddle for Sewer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의 메인관과 메인관으로부터 분기 또는 합류되도록 하는 분기관을 서로 융착되도록 하여 연결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수관은 오수나 오니를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관이나 플라스틱관을 사용하게 된다. 콘크리트관은 물을 함유한 오수나 오니에 의해 함수되게 되므로 수명이 짧고 무거워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내구연한이 긴 플라스틱관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하수관은 메인관과, 분기되어 연결되는 분기관으로 구성되고, 분기관은 메인관으로부터 분기 및 메인관으로 합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을 이용되게 된다.
종래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은 메인관과 새들의 전기융착부위가 밀폐되지 않아 지속적인 하수의 유입에 의해 전기융착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하수가 누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은 메인관과 융착되는 새들의 안착부 하면에 메쉬형태로 된 금속망을 내장하며 이 금속망에 전기를 가하여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메인관과 새들이 융착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금속망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양측단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양측 접속단자에 전류가 공급되게 되면 금속망 전체의 저항치가 고르지 않아 금속망 전체에 고르게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저항이 작은 쪽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메쉬형태의 금속망의 교차부에서는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 흐름에 따라 금속망 전체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분포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분포로 인해 열편차가 발생되며, 열편차에 의한 융착력 또한 균일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융착력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열편차가 심한 경우에는 전류가 적게 흐르는 부분이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많은 시간동안 전류를 흘려보내 메인관과 새들을 접합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메인관이 함몰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메인관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메쉬형태의 금속망은 전체적으로 금속망에 흐르는 전류의 양 등을 제어하기 어렵게 되므로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접합이 아니라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양질의 접합이 가능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메인관의 두께에 따른 전류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관의 변형이 발생되어 메인관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접속단자는 상부로 돌출되며 외부 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이동시 등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관과 새들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며 메인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여 메인관과 새들을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제어가 용이하며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메인관과 새들간의 최적 융착조건을 제공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를 이동시 등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은 플라스틱 하수관의 메인관(1)의 통공(1a)과 연통되는 연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1) 주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1)에 안착되며,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도록 하부 내면에 열선(12)이 내장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열선(12)과 접속되는 접속단자(13)가 각각 구비된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연통공(11)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분기부(20); 및 상기 분기부(20)의 상단부에 접합되며 분기관(2)이 결합되는 분기관 결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내면에는 코일형태로 감긴 열선(31)이 내장되고,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상기 열선(31)과 접속되는 접속단자(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0)는 상기 접속단자(13)가 매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13)는 전원공급단자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1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는 상기 접속단자(32)가 매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32)는 전원공급단자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3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상기 분기관(2)이 삽입되어 조임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소켓(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0)의 상기 연통공(11)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관(1)의 통공(1a)에 억지끼움결합되어 상기 메인관(1)과 상기 안착부(10)를 실링하는 실링부(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4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선(12)은 상기 안착부(10) 외측에서 연통공(11)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돌아 감긴후, 다시 선회하여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에 이웃하며 상기 안착부(10) 외측을 향하여 타방향으로 돌아 감기고,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과 이웃한 타방향으로 감긴 열선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류의 세기 및 통전되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각 부분의 온도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온도편차에 의한 전기융착강도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각 부분의 전기융착 강도가 일정하게 되어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류의 세기와 통전시간 등의 전류제어가 용이하며 융착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전류세기 및 통전시간 등을 결정하여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메인관의 함몰 등에 의한 메인관 손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메인관과 새들의 융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메인관과 전기융착 새들의 안착부와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속단자가 매입설치됨으로써 운반시 등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하수관은 메인관(1)과, 상기 메인관(1)으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되는 분기관(2)으로 구성되고, 분기관(2)은 메인관(1)으로부터 분기 및 메인관(1)으로 합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메인관(1)과 분기관(2)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100)을 이용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안착부에 내장된 열선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100)은 플라스틱 하수관의 메인관(1)의 통공(1a)의 상부 주위에 안착되며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분기부(20); 및 상기 분기부(20)의 상단부에 접합되며 분기관(2)과 결합되는 분기관 결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10)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메인관(1)의 통공(1a)과 연통되는 연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1) 주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1)에 안착되며,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게 된다. 상기 안착부(10)는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도록 하부 내면에 열선(12)이 내장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열선(12)과 접속되는 접속단자(1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13)는 상기 안착부(10)의 상부에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안착부(10)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4)에 매입되게 되며 전원공급단자가 삽입결합되는 결합구(13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0)는 상기 접속단자(13)가 매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13)는 전원공급단자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13a)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선(12)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부(10) 외측에서 연통공(11)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돌아 감긴후, 다시 선회하여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에 이웃하며 상기 안착부(10) 외측을 향하여 타방향으로 돌아 감기고,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12)과 이웃한 타방향으로 감긴 열선(12)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열선이 하나의 선으로 되며 내측으로 감기로 다시 선회하여 외측으로 감기며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12)과 이웃한 타방향으로 감긴 열선(12)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12)에 공급된 전류와 이웃한 타방향으로 감긴 열선(12)에 공급된 전류를 합산한 크기가 일정하게 되므로 전류가 흐르는 동안 각 부분의 전류의 합산이 일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메쉬형태로 된 금속망과는 달리 전류의 세기 및 통전되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안착부(10)의 온도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은 온도편차에 의한 전기융착강도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아 상기 안착부(10) 각 부분의 전기융착 강도가 일정하게 되어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의 세기와 통전시간 등의 전류제어가 용이하며 융착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전류세기 및 통전시간 등을 결정하여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은 메인관의 함몰 등에 의한 메인관 손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메인관과 새들의 융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0)의 상기 연통공(11)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관(1)의 통공(1a)에 억지끼움결합되어 상기 메인관(1)과 상기 안착부(10)를 실링하는 실링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40)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메인관(1)으로부터 상기 분기관(2)으로 분기되게 되거나 상기 분기관(2)으로부터 상기 메인관(1)으로 합류되게 될 때 상기 안착부(10)로 하수의 유입이 되지 않게 되며 상기 안착부(10)가 상기 메인관(1)에 융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4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40)의 경사면(41)으로 메인관(1)으로부터 분기관(2)으로 분기시나 분기관(2)으로부터 메인관(1)으로의 합류시에 하수가 흐르게 되므로 원활한 분기 및 합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분기부(20)는 상기 안착부(10)의 연통공(11)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연통공(11)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분기관 결합부(30)는 상기 분기부(20)의 상단부에 접합되며 분기관(2)과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에 상기 분기관(2)이 삽입되어 융착되도록 내면에 코일형태로 감긴 열선(31)이 내장되고,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상기 열선(31)과 접속되는 접속단자(32)가 구비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32)는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안착부(10)에 구비된 접속단자(13)와 마찬가지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33)에 매입되게 되며 전원공급단자가 삽입결합되는 결합구(3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3)(32)가 상기 안착부(10)의 돌출부(14)와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돌출부(33)에 각각 매입되게 됨으로써 이동시 등에 상기 접속단자(13)(32)가 상기 돌출부(14)(33)에 의해 보호되게 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관(2)에 상기 분기관 결합부(30)가 삽입되어 융착되도록 상기 분기관(2)은 내면에 코일형태로 감긴 열선(미도시됨)이 내장되고 상기 분기관(2)의 외부에는 상기 열선과 접속되는 접속단자(2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분기관(2)이 삽입되어 조임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소켓(34)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안착부에 내장된 열선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관 1a: 통공
2: 분기관 10: 안착부
11: 연통공 12,31: 열선
20: 분기부 30: 분기관 결합부
13,32: 접속단자 13a,32a: 결합구
14,33: 돌출부 40: 실링부
41: 경사면
100: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Claims (8)

  1. 플라스틱 하수관의 메인관(1)의 통공(1a)과 연통되는 연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1) 주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1)에 안착되며, 상기 메인관(1)에 전기융착되도록 하부 내면에 열선(12)이 내장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열선(12)과 접속되는 접속단자(13)가 각각 구비된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연통공(11)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분기부(20); 및
    상기 분기부(20)의 상단부에 접합되며 분기관(2)과 결합되는 분기관 결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내면에는 코일형태로 감긴 열선(31)이 내장되고,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상기 열선(31)과 접속되는 접속단자(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는 상기 접속단자(13)가 매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13)는 전원공급단자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1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는 상기 접속단자(32)가 매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32)는 전원공급단자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3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결합부(30)의 외부에는 상기 분기관(2)이 삽입되어 조임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소켓(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의 상기 연통공(11)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관(1)의 통공(1a)에 억지끼움결합되어 상기 메인관(1)과 상기 안착부(10)를 실링하는 실링부(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4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1)을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12)은 상기 안착부(10) 외측에서 연통공(11)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돌아 감긴후, 다시 선회하여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에 이웃하며 상기 안착부(10) 외측을 향하여 타방향으로 돌아 감기고,
    일방향으로 감긴 열선(12)과 이웃한 타방향으로 감긴 열선(12)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KR1020070082793A 2007-08-17 2007-08-17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KR10099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93A KR100990651B1 (ko) 2007-08-17 2007-08-17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93A KR100990651B1 (ko) 2007-08-17 2007-08-17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288A Division KR101039258B1 (ko) 2009-03-12 2009-03-12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395A true KR20090018395A (ko) 2009-02-20
KR100990651B1 KR100990651B1 (ko) 2010-10-29

Family

ID=4068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793A KR100990651B1 (ko) 2007-08-17 2007-08-17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825B1 (ko) * 2019-05-21 2020-01-29 신영석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185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포에스시스템 캡새들의 자동 융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28Y1 (ko) * 1999-11-29 2000-04-15 주식회사삼정파인스 오폐수 수거용 합성수지 분기관 연결구조
KR200227803Y1 (ko) * 2001-01-15 2001-06-15 김학건 분기관용 전기 융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825B1 (ko) * 2019-05-21 2020-01-29 신영석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651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893B1 (ko) 전기융착 연결구
CN208535417U (zh) 一种防脱落克拉管
KR100990651B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US20170080638A1 (en) Electrofusion saddle
KR101039258B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0328146Y1 (ko) 지열교환장치
KR100938487B1 (ko) 전기융착 이음용 하수관 파이프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110072969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275928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CN217977920U (zh) 复合压力管电熔套管件
KR20120110676A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0046155A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80002631U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395925Y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200219024Y1 (ko) 수지관 융착접합시트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CN115163958A (zh) 复合压力管电熔套管件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50003231A (ko) 융착링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융착구조
KR200313862Y1 (ko) 파이프 소켓 융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0

Effective date: 2010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