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996A - 코일 보빈 및 코일 - Google Patents

코일 보빈 및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996A
KR20230024996A KR1020237001656A KR20237001656A KR20230024996A KR 20230024996 A KR20230024996 A KR 20230024996A KR 1020237001656 A KR1020237001656 A KR 1020237001656A KR 20237001656 A KR20237001656 A KR 20237001656A KR 20230024996 A KR20230024996 A KR 2023002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waterproof
coil
end r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엔항 위
즈쥔 캉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Abstract

코일 보빈 및 코일에 있어서, 상기 코일 보빈은 권선부(11); 권선부(11)의 양단 지점에 설치되는 제1 엔드링(12)과 제2 엔드링(13); 제1 엔드링(12)의 외부 에지 상에 설치되는 연결부(14); 및 연결부(14)의 제1 엔드링(12)에서 먼 일측 상에 설치되는 핀 장착부(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부(14) 상에는 방수 구조가 설치된다. 방수 구조는 2개의 외부 방수 리브(16) 및 2개의 외부 방수 리브(16)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방수 리브(17)를 포함한다. 외부 방수 리브(16)에는 사출 성형 재료와 용융시키기 용이하도록 팁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코일 보빈 및 코일
본 출원은 2020년 8월 14일 출원된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출원번호는 202021706863.8이고 발명의 명칭은 "코일 보빈 및 코일"이다.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전자 코일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보빈 및 코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팽창 밸브는 코일 보빈, 에나멜선, 전자극판, 핀 및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코일 제조 시, 먼저 코일 보빈 상에 에나멜선을 감은 다음 핀을 코일 보빈 상에 고정한다. 에나멜선의 양단은 핀 상에 용접한 후, 전자극판과 외부 하우징을 조립하고 최종적으로 패키징 사출 성형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서 코일 보빈은 권선통 및 권선통의 양단에 설치된 엔드링을 포함한다. 하나의 엔드링 상에는 연결판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 상에는 핀을 장착하기 위한 핀 장착 구조가 설치된다. 물이 엔드링으로부터 핀 장착 구조 지점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판 상에 3개의 방수 범프를 설치한다. 인접한 방수 범프 사이에는 방수 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방수 범프의 꼭대기부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 사출 성형 시 사출 성형 재료의 열이 방수 범프의 꼭대기부를 용융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성형된 코일 보빈과 사출 성형 재료에 결합 불량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코일이 침수 상태인 경우, 물이 코일 내에 쉽게 침투하고, 물이 엔드링을 따라 핀 장착 구조 지점에 침투하여, 코일의 절연 성능이 실효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절연 성능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종래 기술에서 방수 범프의 꼭대기부가 비교적 두꺼워 사출 성형 재료와 완전히 용융시킬 수 없어 코일의 절연 성능이 실효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코일 보빈 및 코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코일 보빈은 권선부; 권선부의 양단 지점에 설치되는 제1 엔드링 및 제2 엔드링; 제1 엔드링의 외부 에지 상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제1 엔드링에서 먼 일측 상에 설치되는 핀 장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부 상에는 방수 구조가 설치된다. 방수 구조는 2개의 외부 방수 리브 및 2개의 외부 방수 리브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방수 리브를 포함한다. 외부 방수 리브는 사출 성형 재료와 용융시키기 용이하도록 팁을 구비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사출 성형 시 팁은 사출 성형 재료에 쉽게 용융되어, 방수 리브와 사출 성형 재료를 효과적으로 일체로 용융시킬 수 있다. 성형된 코일 보빈과 사출 성형 재료는 결합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물이 제1 엔드링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 지점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절연 성능 요건을 충족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방수 리브의 표면은 침투 거리를 연장시키는 곡면이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물이 제1 엔드링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 상의 핀 장착홀 지점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곡면은 반원형면이다.
또는 곡면은 2개의 서로 연결되고 안쪽으로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진 제1 호형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치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곡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경사면, 평면 및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모두 제1 엔드링의 단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평면은 단면에 평행하다.
이러한 설치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경사면과 평면의 협각은 둔각이고, 제2 경사면과 평면의 협각은 둔각이다.
이러한 설치는 중간 방수 리브 가공을 용이하게 하며 가공 난이도를 낮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방수 리브의 표면은 서로 연결된 수직면 및 제2 호형면을 포함한다. 수직면이 제1 엔드링의 단면에 수직이거나, 외부 방수 리브의 횡단면 형상이 역V형이다.
이러한 설치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 구조는 릿지를 더 포함한다. 외부 방수 리브와 중간 방수 리브는 모두 릿지 상에 설치된다. 릿지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는 침투 거리를 연장시키는 오목홈이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물이 제1 엔드링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 상의 핀 장착홀 지점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오목홈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이러한 설치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 상에는 제2 오목홈이 더 설치된다. 제2 오목홈은 제1 엔드링과 방수 구조 사이에 위치하고/하거나, 2개의 외부 방수 리브는 중간 방수 리브의 중간 표면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제2 오목홈은 침투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2개의 외부 방수 리브는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가공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아진다.
본 출원은 상술한 코일 보빈을 포함하는 코일을 더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코일은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절연 성능이 우수하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 등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방식에 따른 코일 보빈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코일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코일 보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서 코일의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코일의 부분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방식에 따른 코일 보빈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코일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코일 보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방식에 따른 코일 보빈의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코일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코일 보빈의 부분 단면도이다.
10은 코일 보빈, 11은 권선부, 12는 제1 엔드링, 13은 제2 엔드링, 14는 연결부, 141은 제2 오목홈, 15는 핀 장착부, 151은 핀 장착홀, 16은 외부 방수 리브, 161은 수직면, 162는 제2 호형면, 17은 중간 방수 리브, 171은 반원형면, 172는 제1 호형면, 173은 제1 경사면, 174는 평면, 175는 제2 경사면, 18은 릿지, 181은 제1 오목홈, 20은 전자극판, 30은 핀, 40은 외부 하우징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방식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방식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방식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방식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방식의 코일 보빈(10)은 권선부(11), 제1 엔드링(12), 제2 엔드링(13), 연결부(14) 및 핀 장착부(15)를 포함한다. 제1 엔드링(12) 및 제2 엔드링(13)은 권선부(11)의 양단 지점에 설치된다. 연결부(14)는 제1 엔드링(12)의 외부 에지 상에 설치된다. 핀 장착부(15)는 연결부(14)의 제1 엔드링(12)에서 먼 일측 상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연결부(14) 상에는 방수 구조가 설치된다. 방수 구조는 2개의 외부 방수 리브(16) 및 2개의 외부 방수 리브(16) 사이에 위치한 중간 방수 리브(17)를 포함한다. 외부 방수 리브(16)는 사출 성형 재료와 용융시키기 용이하도록 팁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 2의 화살표는 물이 침투하며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방식의 코일 보빈을 적용하여, 외부 방수 리브(16)는 팁을 구비한다. 사출 성형 시 팁은 사출 성형 재료에 쉽게 용융되어, 방수 리브와 사출 성형 재료가 효과적으로 일체로 용융되도록 만든다. 성형된 코일 보빈(10)은 사출 성형 재료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물이 제1 엔드링(12)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15) 지점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절연 성능 요건을 충족시킨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중간 방수 리브(17)의 표면은 곡면이다. 곡면은 침투 거리를 연장시켜, 물이 제1 엔드링(12)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15) 상의 핀 장착홀(151) 지점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곡면은 반원형면(171)이며, 가공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외부 방수 리브(16)의 표면은 서로 연결된 수직면(161) 및 제2 호형면(162)을 포함한다. 수직면(161)은 제1 엔드링(12)의 단면에 수직이다. 수직면(161)과 제2 호형면(162)의 연결 지점은 팁을 형성한다. 제2 호형면(162)은 안쪽을 향한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대안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호형면(162)이 바깥쪽을 향한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지거나, 외부 방수 리브(16)의 횡단면 형상이 역V형이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연결부(14) 상에는 제2 오목홈(141)이 더 설치된다. 제2 오목홈(141)은 제1 엔드링(12)과 방수 구조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오목홈(141)은 침투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오목홈(141)의 횡단면 형상은 V형이다. 제2 오목홈(141)은 경사 홈벽 및 수직 홈벽을 포함한다. 경사 홈벽은 제1 엔드링(12)의 단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수직 홈벽은 수직면(161)과 연결된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2개의 외부 방수 리브(16)는 중간 방수 리브(17)의 표면의 중심선에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실시방식 2]
도 6 내지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 2에 따른 코일 보빈(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방식 2의 코일 보빈과 실시방식 1의 차이점은 방수 구조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실시방식 2에 있어서, 곡면은 2개의 서로 연결되며 안쪽을 향해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진 제1 호형면(172)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호형면(172)의 연결 지점은 팁을 형성한다. 이때 중간 방수 리브(17)도 팁을 구비한다. 사출 성형 시 팁은 사출 성형 재료에 쉽게 용융되어,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므로, 코일의 절연 성능이 더욱 개선된다. 여기에서, 도 7의 화살표는 물이 침투하며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호형면(172)은 4분의 1 원형면이다. 이때 3개의 중간 방수 리브(17)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물결 모양을 나타낸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방수 구조는 릿지(18)를 더 포함한다. 외부 방수 리브(16)와 중간 방수 리브(17)는 모두 릿지(18) 상에 설치된다. 릿지(18)의 두 측면 상에는 제1 오목홈(181)이 설치되어 침투 거리를 연장시킨다. 이는 물이 제1 엔드링(12)의 단면을 따라 핀 장착부(15) 상의 핀 장착홀(151) 지점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코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오목홈(181)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대안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오목홈(181)의 횡단면 형상은 V형이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오목홈(141)의 수직 홈벽과 수직면(161)은 하나의 평면 내에 있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중간 방수 리브(17)는 3개가 설치된다. 물론 중간 방수 리브(17)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릿지(18)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외부 방수 리브(16)와 중간 방수 리브(17)를 연결부(14)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오목홈(141)의 수직 홈벽은 수직면(161)과 연결된다.
[실시방식 3]
도 9 내지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 3에 따른 코일 보빈(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방식 3의 코일 보빈과 실시방식 1의 차이점은 방수 구조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실시방식 3에 있어서, 곡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경사면(173), 평면(174) 및 제2 경사면(175)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173)과 제2 경사면(175)은 모두 제1 엔드링(12)의 단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평면(174)은 단면에 평행하다. 즉, 중간 방수 리브(17)의 횡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이다. 여기에서, 도 10의 화살표는 물이 침투하며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1 경사면(173)과 평면(174)의 협각은 둔각이다. 제2 경사면(175)과 평면(174)의 협각은 둔각이다. 따라서 중간 방수 리브를 가공하기가 용이하며, 가공 난이도가 낮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외부 방수 리브(16)의 횡단면 형상은 역V형이다. 외부 방수 리브(16)의 표면은 제1 엔드링의 단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된 제3 경사면과 제4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4 경사면은 제1 경사면(173)과 연결된다. 제3 경사면과 단면의 협각은 예각이다.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오목홈(141)의 수직 홈벽과 제3 경사면은 평면을 통해 연결된다.
본 출원은 상술한 코일 보빈을 포함하는 코일을 더 제공한다. 도 4 및 도 5의 코일은 실시방식 1의 코일 보빈을 사용한다. 코일은 전자극판(20), 핀(30), 에나멜선 및 외부 하우징(40)을 더 포함한다. 코일 제조 시, 에나멜선을 코일 보빈(10) 상에 감은 다음, 핀(30)을 핀 장착부(15) 상의 핀 장착홀(151)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그 후 에나멜선의 두 단자를 핀(30)과 용접시킨다. 2개의 코일 보빈(10)은 2개의 전자극판(20)을 통해 연결된다. 외부 하우징을 코일 보빈 밖에 씌우고, 최종적으로 패키징 사출 성형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방식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방식 중 각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코일 보빈에 있어서,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양단 지점에 설치되는 제1 엔드링과 제2 엔드링;
    상기 제1 엔드링의 외부 에지 상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엔드링에서 먼 일측 상에 설치되는 핀 장착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 상에는 방수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방수 구조는 2개의 외부 방수 리브 및 2개의 상기 외부 방수 리브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방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방수 리브는 사출 성형 재료와 용융시키기 용이하도록 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방수 리브의 표면이 침투 거리를 연장시키는 곡면인 코일 보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이 반원형면이거나,
    상기 곡면은 2개의 서로 연결되고 안쪽을 향해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진 제1 호형면을 포함하는 코일 보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경사면, 평면 및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모두 상기 제1 엔드링의 단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상기 평면은 상기 단면에 평행한 코일 보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평면의 협각은 둔각이고,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평면의 협각은 둔각인 코일 보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수 리브의 표면은 서로 연결된 수직면과 제2 호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은 상기 제1 엔드링의 단면에 수직이거나, 상기 외부 방수 리브의 횡단면 형상은 역V형인 코일 보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구조는 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방수 리브와 상기 중간 방수 리브는 모두 상기 릿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릿지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는 침투 거리를 연장하는 제1 오목홈이 설치되는 코일 보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홈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형인 코일 보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에는 제2 오목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 오목홈은 상기 제1 엔드링과 상기 방수 구조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2개의 상기 외부 방수 리브는 상기 중간 방수 리브의 중간 표면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코일 보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KR1020237001656A 2020-08-14 2021-06-24 코일 보빈 및 코일 KR20230024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706863.8 2020-08-14
CN202021706863.8U CN213070865U (zh) 2020-08-14 2020-08-14 线圈骨架及线圈
PCT/CN2021/101963 WO2022033190A1 (zh) 2020-08-14 2021-06-24 线圈骨架及线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996A true KR20230024996A (ko) 2023-02-21

Family

ID=7558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56A KR20230024996A (ko) 2020-08-14 2021-06-24 코일 보빈 및 코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28186A (ko)
KR (1) KR20230024996A (ko)
CN (1) CN213070865U (ko)
WO (1) WO2022033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070865U (zh) * 2020-08-14 2021-04-27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线圈骨架及线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835A (ja) * 1995-08-24 1997-03-07 Tokimec Inc モールドコイル
CN2791413Y (zh) * 2004-12-14 2006-06-28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磁线圈的骨架结构
CN201845632U (zh) * 2010-09-10 2011-05-25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线圈骨架及采用该骨架的线圈
CN202584979U (zh) * 2012-05-02 2012-12-05 诸暨万畅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线圈骨架结构
CN204010878U (zh) * 2014-07-15 2014-12-10 无锡其诺电气有限公司 具有防水结构的电子膨胀阀定子线圈骨架
CN204858797U (zh) * 2015-07-13 2015-12-09 中山市港利制冷配件有限公司 具有防水结构的电磁线圈骨架
CN205828045U (zh) * 2016-07-27 2016-12-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双密封电子膨胀阀线圈及其骨架
CN211237948U (zh) * 2020-02-04 2020-08-11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骨架结构、电磁线圈及电子膨胀阀
CN213070865U (zh) * 2020-08-14 2021-04-27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线圈骨架及线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3190A1 (zh) 2022-02-17
JP2023528186A (ja) 2023-07-04
CN213070865U (zh)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9455A (en) Insulated bobbin for stator
KR20230024996A (ko) 코일 보빈 및 코일
WO2017169737A1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9413A (ja) 二次電池
JP4001895B2 (ja) コイル部品
US5233132A (en) Composite insulator comprising a fiber-resin rod and an insulating coating molded thereover
JP3602032B2 (ja) 電動機の固定子
JP2010238552A (ja) 鉛蓄電池
WO2017115681A1 (ja) 電気的接続部の構造,この構造が適用されたロータ及びモータ並びに電気的接続部の形成方法
JP2016220393A (ja) 樹脂モールド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88024A (ja) 防水用ホットメルト
WO2020211744A1 (zh) 膨胀阀线圈组件
JP6704118B2 (ja) 電動機用端子台、電動機、送風装置、及び端子ピンと接続端子との接続方法
JP7475444B2 (ja) 骨格構造、電磁コイル及び電子膨張弁
CN108087248B (zh) 压缩机和制冷设备
JP5510739B2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
JP2010268577A (ja) 電線用カバーおよび絶縁カバーの固定方法
CN203836469U (zh) 电熔管件
KR102070825B1 (ko) 전기 융착식 이형관의 코일 구조 및 코일 권선 방법
JP2018137216A (ja) 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並びに接続構造体の取り付け構造
KR200155313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TWI699946B (zh) 馬達定子製造方法及馬達定子
CN213693270U (zh) 一种c型定子绝缘支架的改进结构
CN219510378U (zh) 曲弹矢量温压电熔管件及曲弹矢量管道系统
JP3105132U (ja) 電子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