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13Y1 -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13Y1
KR200155313Y1 KR2019970007598U KR19970007598U KR200155313Y1 KR 200155313 Y1 KR200155313 Y1 KR 200155313Y1 KR 2019970007598 U KR2019970007598 U KR 2019970007598U KR 19970007598 U KR19970007598 U KR 19970007598U KR 200155313 Y1 KR200155313 Y1 KR 200155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ing
neon tube
secondary coi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142U (ko
Inventor
박규영
Original Assignee
김봉균
주식회사대한트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균, 주식회사대한트랜스 filed Critical 김봉균
Priority to KR2019970007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1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1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이 권선된 코일체를 절연 수납하기위한 귄선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을 절연 수납하기위한 권선케이스에 있어서, 내벽(11)과 외벽(12)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10) 중간부에 차단판(13)을 형성시켜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2차코일이 권선된 코일체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한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를 형성하고, 내벽(21)과 외벽(22)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커버(23)(24)를 별개 힝성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23)(24)와 결합되는 본체(10)의 상하단 출력선 인출을 위한 세로 방향의 인출홈(16a)(16b)을 일정위치에 형성하고, 인출홈(16a)(16b)의 끝단에는 출력리드선 고정을 위한 고정구(17a)(17b)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품의 구성요소 감소효과 및 그에따른 조립공정 감소와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 동시에 코일체의 절연효율을 향상시켜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본 고안은 네온관용 변압기에 사용되는 2차코일이 권선된 코일체를 절연 수납하기위한 권선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상의 본체 중간부에 차단판을 형성시켜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납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각각의 수납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로서 권선케이스를 구성하므로서, 제품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면서 그에따른 조립공정 감소효과 및 생산성 향상 효과를 공히 얻도록 함과 동시에 코일체의 절연효율 향상효과까지 수반되도록 하여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시대는 광고의 홍수속에 살고 있다고 할 정도로 많은 양의 광고물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중 대부분의 옥외광고에는 네온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온관을 점등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약 15,000V 정도의 고전압이 요구되게 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네온관용 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온관용 변압기는 출력전압이 매우 높은 관계로 제조시 고도의 절연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절연기술의 정도가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게 되는것이다. 이에따라 관련 제조업체들은 절연기술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제조되고 있는 네온관용 변압기는 110V 또는 220V가 입력되는 1차 코일측과 일정치 이상으로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는 2차 코일측으로 대별 구성되며, 상기 2차 코일은 전압누출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재의 케이스 내에 권회시켜주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2차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는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순한 중공형의 원통체 케이스로서, 상호 대칭형의 상,하부체(1, 2)로 분리형성되어 그 내측공간부에 2차 코일을 권회시켜 주도록 되어있고, 이러한 원통형 케이스 1쌍을 이용하여 2차 코일을 소정량씩 분리상태로 각기 권회시켜 준 후 케이스를 적층시켜 코어체(3) 내에 삽착 고정시켜주고 있었으며, 이때 각 케이스(4, 5)의 상, 하부체(1, 2)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외부 접촉틈새에는 내부전압 누출방지 수단으로서 절연테이프를 접착시켜 준 다음 각각의 상, 하케이스(4, 5)를 절연테이프로 재차 접착시켜줌과 동시에 별개의 절연판을 구비하여 중공부위의 내측접촉틈새에 삽입설치해준 상태로서 코어체(3) 내에 삽착 고정시켜 주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권선케이스 구조는 그 제작공정과정중 절연테이프를 이용한 각 케이스의 상, 하부체 접착과정 및 각 케이스의 적층접착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관계로 제작과정이 매우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 현상까지도 초래하고 있었으며,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고도의 절연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관계로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자체수명이 매우 짧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을 안고 있었고, 그 외에도 제품의 신뢰성 저하, 인건비 상승에 따른 제조단가 상승등의 문제점 또한 노출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은 내측 중앙의 차단판을 통해 그 상, 하부에 각각의 수납공간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각각의 수납공간부를 밀폐시켜주도록 된 커버로서 결합구성되는 단순구조의 권선케이스를 제공하므로서, 제품의 구성요소 감소효과, 조립공정 감소효과 및 생산성 향상효과를 공히얻도록 함과 동시에 코일체의 절연효율 향상효과 까지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품성능의 신뢰도를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도1 은 종래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 는 종래 권선케이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3 은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4 는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5 는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6 은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내벽
12 : 외벽 13 : 차단판
14, 15 : 수납공간부 23, 24 : 커버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을 절연 수납하기위한 권선케이스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 중간부에 차단판을 형성시켜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2차코일이 권선된 코일체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륵 한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하고, 내벽과 외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측좌 하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의 상하단 출력선 인출을 위한 세로 방향의 인출홈을 형성하고, 인출홈의 끝단에는 출력리드선 고정을 위한 고정구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의 측면에는 출력선 고정구 부위에 정확히 삽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중심부에는 출력선 인출을 위한 인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의 대향면 상에는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와 연통된 홈을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에 각각 실장되는 코일체의 공통선을 인출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 도3 내지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3은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4 는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6 은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는 본체(10)와 커버(23)(24)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중공형의 원통체로서, 내벽(11)과 외벽(12)을 갖으며 이 내벽(11)과 외벽(12)의 중간부에 차단판(13)을 헝성시켜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2차코일이 권선된 코일체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한 제 1 수납공간부(14)와 제 2수납공간부(15)를 형성하였다. 즉, 일체로 된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납공간부(14)(15)를 형성시켜 코일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외벽(12)의 상, 하측을 일정길이 단차 가공하여 커버(23)(24)와의 형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외벽(12)의 상, 하측 일정위치에 세로방향의 인출홈(16a)(16b)을 각각 형성하여 수납공간부(14)(15)에 각각 수납된 코일체의 출력선을 상기 인출홈(16a)(16b)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인출홈(16a)(16b)이 형성된 본체(10)의 외주면상에 변압기의 출력선고정을 위한 고정구(17a)(17b)를 각각 형성 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구(17a)(17b)가 형성된 본체(10)의 대향면 중앙부위에는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와 연통되는 홈(18)을 형성하여 각각의 수납공간부(14)(15)에 실장되는 코일체의 공통선을 인출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 하측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를 밀폐시키는 제 1 및 제 2 커버(23)(24)는 내벽(21)과 외벽(22)으로 형성되며, 외벽(22)의 내측을 일정길이 단차 가공하여 본체(10)의 상, 하측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외벽(22)의 일정위치에 본체(10)와의 결합시 본체(10)에 형성되어있는 고정구(17a)(17b) 부위에 결합되기위한 결합홈(25a)(25b)을 각각의 커버(23)(24)에 형성하고, 결합홈(25a)(25b)의 중심부에는 코일체의 출력선 인출을 위한 인출홈(26)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23)(24)의 상측면에는 통과공(30)을 복수개 형성하여 권선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 후 제품의 절연율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절연액에 담구었다가 빼낼시 권선케이스의 내부에 스며들었던 절연액이 권선케이스의 수납공간부(14)(15)로 부터 빠른시간 내에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외벽(12)의 상,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부(31)를 헝성함과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커버(23)(24)의 외벽(22) 내측에는 다수의 돌출편(32)을 형성하여 본체(10)와 커버(23)(24)의 결합시 상호 록킹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있는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에 변압기용 2차 코일이 권선된 코일체를 각각 실장한다. 이때, 코일체의 출력선은 본체(10)의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있는 인출홈(16a)(16b)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인출하고, 각 코일체의 공통선은 홈(18)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인출하여 상호 접속하여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에 실장된 코일체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커버(23)와 제 2 커버(24)를 본체(10)의 상하측으로 결합하여 요홈부(31)와 돌출편(32)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서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가 밀폐되도록 하는데, 이때, 각 커버(23)(24)의 결합홈(25a)(25b)과 고정구(17a)(17b)가 형합되도록 하여 커버(23)(24)와 본체(10)가 완벽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권선케이스 구조는 일체로 된 본체(10)에 의해 2개의 수납공간부(14)(15)가 형성되므로서, 제품의 구성요소 감소로 인해 조립공정 감소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체로 된 본체(10) 내에 코일체가 내장되기 때문에 코일체의 절연율 향상에 의해 제품의 성능향상 및 수명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40)와 커버(50)의 전체적인 형상을 사각형으로 형성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외의 구성요소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본 고안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위해 생략하였다.
이와같이 본체(40)와 커버(50)의 전체적인 형상을 사각형으로 헝성시키게 되면,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의 향상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내측 중앙의 차단판을 통해 그 상, 하부에 각각의 수납공간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각각의 수납공간부를 밀폐시켜주도록 된 커버로서 결합구성되는 단순구조의 권선케이스를 제공하므로서, 권선케이스 구조의 구성요소 감소로 인한 조립공정 감소효과 및 생산성 향상효과를 공히얻도록 함과 동시에 코일체의 절연효율 향상효과 까지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품성능의 신뢰도를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권선케이스 구조이다.

Claims (3)

  1.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을 절연 수납하기위한 권선케이스에 있어서, 내벽(11)과 외벽(12)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10) 중간부에 차단판(13)을 형성시켜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코일체 수납용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가 마련되도록 하고, 내벽(21)과 외벽(22)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커버(23)(24)를 별개 형성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23)(24)와 결합되는 본체(10)의 상하단 출력선 인출용 인출홈(16a)(16b)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출홈(16a)(16b)의 끝단에는 출력리드선 고정용 고정구(17a)(17b)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23)(24)의 측면에는 출력선 고정구(17a)(17b) 부위에 삽입되는 결합홈(25a)(25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5a)(25b)의 중심부에는 출력선 인출용 인출홈(26)을 가공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17a)(17b)가 형성된 본체(10)의 대향면 상에는 제 1 및 제 2 수납공간부(14)(15)와 연통된 홈(18)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와 커버(23)(24)의 전체적인 형상을 사각형으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KR2019970007598U 1997-04-12 1997-04-12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KR200155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98U KR200155313Y1 (ko) 1997-04-12 1997-04-12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98U KR200155313Y1 (ko) 1997-04-12 1997-04-12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42U KR19980063142U (ko) 1998-11-16
KR200155313Y1 true KR200155313Y1 (ko) 1999-08-16

Family

ID=1949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598U KR200155313Y1 (ko) 1997-04-12 1997-04-12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605A1 (ko) * 2022-06-30 2024-01-04 유형주 전자석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36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용 몰드형 케이스의 구조
KR20170114639A (ko) * 2016-04-05 2017-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605A1 (ko) * 2022-06-30 2024-01-04 유형주 전자석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42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113A (en) Transform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S6234425Y2 (ko)
US3354417A (en) Coil bobbin having projections extending beyond magnetic core
WO2013027447A1 (ja) トランス
KR20080075541A (ko) 스위칭 트랜스포머
JP5740873B2 (ja) トランス
JPH06267764A (ja) モジュラ型変圧器装置
KR200155313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JP3152266B2 (ja) 電源トランス用巻枠
KR0139840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KR0137137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KR0140787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코일 권선용 보빈케이스 구조
JPH0246006Y2 (ko)
JPH10144537A (ja) 小型トランス
EP0269617A1 (en) TRANSFORMER.
JP2004031647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4935553B2 (ja) トランス
JP2500861Y2 (ja) リ―ド線取付装置
JPS5812427Y2 (ja) 変成器
JP2002208522A (ja) ボビン及びトランス
JP3054397U (ja) コイル用ボビン及びトランスケース並びにトランス
JPH039289Y2 (ko)
JPS6348105Y2 (ko)
JPH0440256Y2 (ko)
KR20000012212U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출력리드선 절연 접속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