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39A -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39A
KR20170114639A KR1020160041925A KR20160041925A KR20170114639A KR 20170114639 A KR20170114639 A KR 20170114639A KR 1020160041925 A KR1020160041925 A KR 1020160041925A KR 20160041925 A KR20160041925 A KR 20160041925A KR 20170114639 A KR20170114639 A KR 2017011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il
inductors
insulating structure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639A/ko
Priority to PCT/KR2016/010126 priority patent/WO2017175930A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을 갖는 다수의 인덕터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감싸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절연 몸체부와; 상기 절연 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인덕터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의 경로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덕터 코일의 설치 경로를 고정 및 안내하여, 인덕터와 인덕터 케이스와의 절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BC가 작동하면서 인덕터 구조물에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야만 OBC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종래에는 상기 인덕터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 인덕터 케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된다.
인덕터 케이스와 인덕터는 서로 절연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덕터 케이스와 인덕터 사이에는 절연 구조물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유닛에서의 인덕터와 절연 구조물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종래의 절연 구조물(30)은 PBT 재질의 단순한 원형 구조를 이루고, 중앙에는 인덕터(20)에 형성되는 홀에 끼워지는 일정 직경의 지지물(31)이 형성된다.
즉, 종래의 절연 구조물(30)은 단순히 인덕터(20)를 수용하는 역할만을 한다.
따라서, 인덕터 케이스(10)와 인덕터(20) 사이에는 완벽한 절연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또한, 인덕터(20)에서 연장되는 코일(21)과, OBC 내부의 PCB가 납땜으로 연결되는데, 종래에는 해당 코일(21)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기 어려워, OBC 내부 PCB를 조립하는 경우 조립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2011-0129724호(공개일 : 2011.12.02)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인덕터 고정장치에 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터 코일의 설치 경로를 고정 및 안내하여, 인덕터와 인덕터 케이스와의 절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을 갖는 다수의 인덕터가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절연 몸체부와; 상기 절연 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절연 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다수의 인덕터에 형성되는 코일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 각각은, 상기 코일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는, 상기 코일의 경로 중, 수직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 부와, 상기 코일의 경로 중,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가이드 부는,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가이드 부는, 상기 코일 중,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서로 연결하는 코일의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중앙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 지지부가 끼워지는 지지홀을 갖는 지지 몸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몸체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덕터 코일의 설치 경로를 고정 및 안내하여, 인덕터와 인덕터 케이스와의 절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구조물은 전기 자동차 충전 유닛을 비롯한 ESS 또는 컨버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유닛에서의 인덕터와 절연 구조물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과, 케이스 및 인덕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과, 케이스 및 인덕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과, 케이스 및 인덕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은 크게 절연 몸체부(100)와, 다수의 가이드 부(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몸체부(100)는 상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부(120, 130)는 인덕터에 형성되는 코일(210)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홀(121, 131)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가이드 부(120, 130)는, 상기 코일(210)의 경로 중, 수직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 부(120)와, 상기 코일(210)의 경로 중,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 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부(120)는 상기 절연 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가이드 부(130) 역시,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120, 130)는 절연 몸체부(100)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절연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가이드 부(120)는, 케이스(300)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홈(310)에 걸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수평 가이드 부(130)는, 상기 코일(210) 중, 상기 다수의 인덕터(200)를 서로 연결하는 코일(210)의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과, 케이스 및 인덕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절연 몸체부(100)의 하단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몸체(1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 몸체(110)의 직경은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스(300)와, 인덕터(200)는 절연이 이루어 져야 한다.
즉, 인덕터(200)로부터 연장되는 코일(210)은 OBC 내부 PCB 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납땜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서로 접촉되어서는 안되며, 인덕터에서 돌출되는 코일(210)은, 설정된 경로로 이동된 후,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가이드 부(120, 130)는 코일(210)의 경로를 안내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인덕터(200)에서 연장되는 코일(210)의 경로를 수직 가이드 부(120)를 사용하여 결정해줌과 아울러, 인덕터들(200) 사이에서의 코일(210)을 수직 가이드 부(120)를 사용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케이스(300) 및 인덕터(200) 사이에 절연을 위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더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절연 몸체부(100)의 중앙에는, 케이스(3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지지부(320)가 끼워지는 지지홀(111)을 갖는 지지 몸체(110)가 형성되며, 지지 몸체(110)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 몸체부(100)와 케이스(300)의 높이 고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절연 몸체부(100)는 PBT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인덕터 코일의 설치 경로를 고정 및 안내하여, 인덕터와 인덕터 케이스와의 절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코일의 경로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각각의 코일의 경로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코일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고정하기 때문에, 제작성 및 조립성 향상 효과를 만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가이드 부(120)는 하방을 따라 두께(t)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절개홈(310)에 끼워져 걸쳐 고정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이룸과 아울러, 지지력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구조물은 전기 자동차 충전 유닛을 비롯한 ESS 또는 컨버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절연 몸체부
120 : 수직 가이드 부
130 : 수평 가이드 부
200 : 인덕터
210 : 코일
300 : 케이스

Claims (6)

  1. 코일을 갖는 다수의 인덕터가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절연 구조물은,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절연 몸체부;
    상기 절연 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다수의 인덕터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 각각은,
    상기 코일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는,
    상기 코일의 경로 중, 수직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 부와,
    상기 코일의 경로 중,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는,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 부는,
    상기 코일 중, 상기 다수의 인덕터를 서로 연결하는 코일의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중앙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 지지부가 끼워지는 지지홀을 갖는 지지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KR1020160041925A 2016-04-05 2016-04-05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KR20170114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25A KR20170114639A (ko) 2016-04-05 2016-04-05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PCT/KR2016/010126 WO2017175930A1 (ko) 2016-04-05 2016-09-08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25A KR20170114639A (ko) 2016-04-05 2016-04-05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39A true KR20170114639A (ko) 2017-10-16

Family

ID=6000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25A KR20170114639A (ko) 2016-04-05 2016-04-05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4639A (ko)
WO (1) WO2017175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3920B (zh) * 2020-07-09 2023-05-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滤波模块和具有其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13Y1 (ko) * 1997-04-12 1999-08-16 김봉균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JP3801955B2 (ja) * 2001-08-31 2006-07-26 東光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ブロック
KR20040025036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용 몰드형 케이스의 구조
JP4411543B2 (ja) * 2005-12-26 2010-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磁気部品
KR20110129724A (ko) * 2010-05-26 2011-1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덕터 고정장치
KR101615067B1 (ko) * 2015-04-15 2016-04-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의 obc용 인덕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5930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9483B (zh) 变压器和板状线圈模制主体
US10178787B2 (en) Header for mounting a planar transformer on a motherboard
US1029799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145856B1 (ko) 변압 장치
KR20170114639A (ko)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10580562B2 (en) Inductiv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ductive component
KR10178831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177061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KR101940256B1 (ko) 커패시터 하우징
JP6509318B1 (ja) トランスの保持構造
US1108186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104864B1 (ko) 배수밸브 구동장치
KR102647781B1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US20200203061A1 (en) Coil body
JP2020512702A (ja) 電気部品、部品装置、及び部品装置の製造方法
JP3107003U (ja) ケーブル支持構造
JP5648699B2 (ja) 電源装置
KR102492144B1 (ko)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CN216871738U (zh) 线轴与包括线轴的变压装置
KR20220129384A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30134218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20220157267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JP2004296824A (ja) トランス装置
KR20220136657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