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56B1 - 커패시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패시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56B1
KR101940256B1 KR1020120081826A KR20120081826A KR101940256B1 KR 101940256 B1 KR101940256 B1 KR 101940256B1 KR 1020120081826 A KR1020120081826 A KR 1020120081826A KR 20120081826 A KR20120081826 A KR 20120081826A KR 101940256 B1 KR101940256 B1 KR 10194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bracket
housing
stopper
cur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808A (ko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 H01G2/106Fixing the capacitor in a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패시터 하우징은 리드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에 컬링부가 함몰 형성된 커패시터를 고정하는 커패시터 하우징에 있어서, 커패시터 하우징은 커패시터의 안착시 컬링부로 삽입되고 컬링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브라켓과, 브라켓에 안착된 커패시터의 상부와 접촉되어 커패시터의 임을 탈거를 제한하는 커패시터 스토퍼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커패시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브라켓과 캐퍼시터 스토퍼가 캐퍼시터와 서로 맞물려 캐퍼시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캐퍼시터가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패시터 하우징 {Capacitor housing}
본 발명은 커패시터가 장착되는 커패시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패시터에 함몰 형성된 컬링부를 지지할 수 있는 커패시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터는 전계에서 충전, 방전 함으로써 전압의 변화를 억제하는 소자를 말한다. 회로기판은 별개의 전자부품들을 배치하고 지지시키는 바탕이 됨은 물론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커패시터와 회로기판은 납땜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패시터에는 리드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리드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이 경우 차량 전체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차량에 설치되는 커패시터는 차량의 진동에 강건하게 유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에는 커패시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커패시터 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고, 커패시터의 리드는 커패시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진동에 의해 커패시터가 파손되지 않게 하면서 커패시터를 보호하는 별도의 커패시터 커버로 커패시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커패시터 하우징은 커패시터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할 경우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별도의 커패시터 커버가 결합될 경우, 부품수가 많고 공정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 하우징은 리드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에 컬링부가 함몰 형성된 커패시터를 고정하는 커패시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은 상기 커패시터의 안착시 상기 컬링부로 삽입되고 상기 컬링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안착된 상기 커패시터의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임을 탈거를 제한하는 커패시터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캐퍼시터 하우징은 길이 방향의 일면과 상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면의 반대면과 양측면이 막힌 형상이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컬링부와 접촉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복수개가 상기 브라켓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커패시터 중 상기 컬링부 이외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컬링부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커패시터 중 상기 컬링부 이외의 상부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라켓과 캐퍼시터 스토퍼가 캐퍼시터와 서로 맞물려 캐퍼시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캐퍼시터가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 하우징 일실시예에 커패시터가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가 커패시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일부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가 커패시터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 하우징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 하우징 일실시예에 커패시터가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가 커패시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일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가 커패시터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 하우징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커패시터 하우징은 커패시터(2)를 고정할 수 있다.
커패시터(2)는 리드(4)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에 컬링부(6)가 함몰 형성 될 수 있다. 커패시터(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 리드(4)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2)는 둘레부 중 리드(4)와 가까운 일단과 리드(4)와 먼 타단 사이에 컬링부(6)가 형성될 수 있다. 컬링부(6)는 커패시터(2)의 양단 중에서 리드(4)와 가까운 일단과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컬링부(6)는 커패시터(2)의 반경 방향으로 움푹 패이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컬링부(6)는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컬링부(6)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10)은 길이 방향의 일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10)은 개방된 일면의 반대면과 양측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10)은 커패시터(2) 중 리드(4)가 돌출된 일단과 대향되는 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10)은 리드(4)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벽(12)과, 리드 안착벽(12)과 직교하는 일측벽(14)과, 리드 안착벽(12)와 직교하고 일측벽(14)과 이격되는 타측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안착벽(12)은 상단에 리드(4)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홈(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측벽(14)과 타측벽(16)은 커패시터(2)의 직경(D1) 보다 큰 간격(L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10)은 커패시터(2)의 안착시 컬링부(6)로 삽입되고 컬링부(6)가 안착되는 안착면(18)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브라켓(20)과, 브라켓(20)에 안착된 커패시터(2)의 상부와 접촉되어 커패시터(2)의 임을 탈거를 제한하는 커패시터 스토퍼(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은 커패시터 하우징(1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컬링부(6)를 고정하는 컬링부 스토퍼가 될 수 있고, 커패시터는 컬링부(6)로 삽입된 브라켓(20)에 지지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브라켓(20)은 커패시터(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커패시터 서포터가 되면서 동시에 커패시터(2)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커패시터 길이 방향 스토퍼가 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커패시터 하우징(10)에서 커패시터(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라켓(20)은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브라켓(20)은 하단부가 이격될 수 있는데, 복수개 브라켓(20)의 하단부 이격 거리(L2)는 컬링부(6)의 직경(D2) 보다 작을 수 있다. 커패시터(2)는 복수개의 브라켓(20)에 안착되었을 때, 복수개의 브라켓(20) 사이를 통해 그 하부로 탈거되지 않는다. 브라켓(20)은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양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어느 하나가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에서 커패시터 하우징(10)의 타측벽(16)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커패시터 하우징(10)의 타측벽(16)에서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20)에는 컬링부(6)와 접촉되는 리브(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2)는 복수개가 브라켓(20)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우징(20)은 브라켓(20)이 컬링부(6)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고, 커패시터 스토퍼(30)가 커패시터(2) 중 컬링부(6) 이외의 상부와 접촉될 수 잇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커패시터(2) 중 컬링부(6) 이외와 접촉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와 타측벽(16)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브라켓(20)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와 타측벽(16) 각각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상부가 커패시터(2)와 접촉되면서 커패시터(2)를 고정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과 타측벽(16) 각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마주보는 2개가 한 쌍을 이룰 수 있고, 복수 쌍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패시터(2)는 상부가 복수 쌍의 커패시터 스토퍼(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패시터 스토퍼(30)는 마주보는 면에, 돌출부(32)가 돌출될 수 있고, 마주 보는 커패시터 스토퍼(3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32)와 다른 하나의 돌출부(32)는 최단 이격 거리(L3)가 커패시터(2)의 직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패시터 하우징(10)에 커패시터(2)를 장착할 때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커패시터(2)를 커패시터 하우징(10)의 일측벽(14)과 타측벽(16) 사이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리드(4)를 리드 안착벽(12)에 안착시킴과 아우러 컬링부(6)를 일측벽(14)에 돌출된 브라켓(20)과 타측벽(16)에 돌출된 브라켓(20) 사이로 집어 넣을 수 있다
컬링부(6)는 복수개의 브라켓(20) 사이를 통과하면서 복수개의 브라켓(20)에 안내될 수 있고, 이때 복수개의 브라켓(20)은 컬링부(6)로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20)에 리브(22)가 형성될 경우, 컬링부(6)는 리브(22)과 접촉되면서 복수개의 브라켓(20)에 안착될 수 있고, 브라켓(20)에 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컬링부(6)는 안착면(18)에 안착될 수 있다. 컬링부(6)의 안착시, 복수개의 브라켓(20) 각각은 컬링부(6)의 홈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고, 커패시터(2)는 복수개의 브라켓(20)에 걸려 그 길이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커패시터(2)는 컬링부(6)가 복수개의 브라켓(20)을 따라 안내될 때, 커패시터 스토퍼(3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일측벽(14)과 타측벽(16)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커패시터 스토퍼(30)가 일측벽(14)과 타측벽(16) 사이에 일측벽(14) 및 타측벽(16)과 나란하게 위치되면, 커패시터(2)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던 커패시터 스토퍼(3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커패시터(2)의 대략 상부에 올려질 수 있으며, 커패시터(2)는 커패시터 스토퍼(30)에 의해 그 상방향으로의 임의 탈거가 제한될 수 있다.
커패시터(2)는 브라켓(20)에 의해 그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되면서 커패시터 스토퍼(30)에 의해 그 상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커패시터(2)는 커패시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2: 커패시터 4: 리드
6: 컬링부 10: 커패시터 하우징
12: 리드 안착벽 14: 커패시터 하우징의 일측벽
16: 커패시터 하우징의 타측벽 18: 안내면
20: 브라켓 30: 커패시터 스토퍼

Claims (11)

  1. 리드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에 컬링부가 함몰 형성된 커패시터를 고정하는 커패시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은 상기 커패시터의 안착시 상기 컬링부로 삽입되고 상기 컬링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안착된 상기 커패시터의 상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임의 탈거를 제한하는 커패시터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컬링부의 하부와 접촉되는 커패시터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커패시터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패시터 하우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퍼시터 하우징은 길이 방향의 일면과 상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면의 반대면과 양측면이 막힌 형상이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패시터 하우징의 양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커패시터 하우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컬링부와 접촉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된 커패시터 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복수개가 상기 브라켓에 이격 형성된 커패시터 하우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커패시터 중 상기 컬링부 이외와 접촉되는 커패시터 하우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컬링부의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커패시터 중 상기 컬링부 이외의 상부와 접촉되는 커패시터 하우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는 커패시터 하우징.
KR1020120081826A 2012-07-26 2012-07-26 커패시터 하우징 KR10194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6A KR101940256B1 (ko) 2012-07-26 2012-07-26 커패시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6A KR101940256B1 (ko) 2012-07-26 2012-07-26 커패시터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08A KR20140014808A (ko) 2014-02-06
KR101940256B1 true KR101940256B1 (ko) 2019-04-10

Family

ID=5026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26A KR101940256B1 (ko) 2012-07-26 2012-07-26 커패시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7753B1 (en) 2014-12-23 2019-02-20 Vestas Wind Systems A/S A method of operating a wind turbine
KR102534298B1 (ko) * 2018-11-23 2023-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모터 제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825A (ja) * 2008-04-11 2009-11-05 Avx Corp 堅牢化された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コネク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320A (ko) * 1994-05-13 1995-12-28 이형도 칩형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825A (ja) * 2008-04-11 2009-11-05 Avx Corp 堅牢化された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コネクタ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08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0592B2 (ja) 車載用電池モジュール
JP6202338B2 (ja) 配線モジュール、配線モジュール中間体、及び配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20250271A1 (en) Structure of anti tamper case for solid state disk
JP2014108038A (ja) ケース
US20180198100A1 (en) Top loading battery holder
JP2013162569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1940256B1 (ko) 커패시터 하우징
JP5900409B2 (ja) 電気接続箱
KR101566783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0467192Y1 (ko) 차량용 안테나 체결 장치
JP6021481B2 (ja) ヒューズホルダとヒューズカバーとの固定構造
JP5884137B2 (ja) 電気接続箱
JP6307937B2 (ja) ノイズフィルタ
JP2015201474A (ja) トロイダルコイルユニット
US20120162873A1 (en) Push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JP5242297B2 (ja) 電気接続箱
KR102219174B1 (ko) 전자부품 장착장치
KR20150002449U (ko)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US20170055352A1 (en) Device having circuit board
JP6084774B2 (ja) コンデンサ
JP6006094B2 (ja) 炊飯器
CN214757063U (zh) 绝缘套、绝缘套组件及电路板组件
JP2015045519A (ja) 電流センサおよび電流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70114639A (ko) 전자 장치용 절연 구조물
JP6485184B2 (ja) 部品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