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167B1 -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167B1
KR101086167B1 KR1020100084940A KR20100084940A KR101086167B1 KR 101086167 B1 KR101086167 B1 KR 101086167B1 KR 1020100084940 A KR1020100084940 A KR 1020100084940A KR 20100084940 A KR20100084940 A KR 20100084940A KR 101086167 B1 KR101086167 B1 KR 10108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cable
power cabl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최만옥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3981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861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8Electro-op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3Filling materials, e.g. solid or flui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02B6/4488Protective covering using metall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함이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로 장착되는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의 보호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는 원통형의 동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동관과, 상기 외부동관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동관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며 광케이블이 삽입 통과되는 동재질의 동파이프 형태의 광케이블 삽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OUTER CASE STRUCTURE FOR OPTICAL FIBER COMPOSITE POWER CABLE JOINT BOX}
본 발명은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함이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로 장착되는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의 보호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광케이블을 통한 광통신수단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며, 광통신수단은 광케이블 통신선로를 통하여 다량의 통신신호를 신속하게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을 행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광케이블은 전용의 배선경로로 배선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송전선과 함께 병설상태로 가설되어 송전선경로를 따라 배선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수요 및 기술발전과 함께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복합식으로 제조한 광복합 전력케이블이 사용되는 데, 광복합 전력케이블은 전력 케이블의 외경에 광케이블이 일정한 피치의 나선 형태로 감겨지고, 그 외경에 케이블 시스, 절연체, 케이블 자켓 등이 피복되어 구성된다.
전력케이블은 수백m 내지 수km 간격으로 접속함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는 데 이때 전력케이블과 함께 광케이블도 동시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은 전력케이블로부터 인출되어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외부에서 접속작업이 이루어지고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외부에 광케이블 접속함을 배치시키는 접속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070326호의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외부로 광케이블이 노출되는 문제로 인한 광케이블 불량문제가 발생되어 광케이블 접속함을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로 위치시키는 기술들이 선보였고,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811호의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811호에 개시된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 접속함으로부터 인출되는 광케이블이 에폭시유니트(도면번호 22(슬리브))와 보호동관(25) 사이로 통과되는 데 이때 광케이블은 어떠한 지지수단에 의해서도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부양된 상태로 놓이게 되고, 이러한 구조 상에서는 광케이블이 에폭시유니트(22)에 자연스럽게 걸쳐지게 되어 광케이블의 불량 및 전력용 에폭시유니트(22)의 절연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특1999-0070326호(1999.09.15)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971811호(2010.07.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에서 광케이블 접속함을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로 장착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보호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는 원통형의 동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동관과, 상기 외부동관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동관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며 광케이블이 삽입 통과되는 동재질의 동파이프 형태의 광케이블 삽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광케이블 삽입관이 삽입되는 광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에서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로 광케이블 접속함을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케이블 접속함 내부에서 광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전력케이블과 광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보호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보통접속함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의 보호 케이스 구조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초고압케이블 전력계통에서는 초고압케이블의 쉬스 보호 및 누설 전류를 접지하도록 초고압케이블의 금속쉬스에 접지가 이루이지며, 마찬가지로 초고압케이블을 접속시킨 접속함도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함 중에서도 중간 부분을 접속하는 중간 접속함에는 단지 초고압케이블만을 접속하는 보통접속함과 케이블 좌우의 쉬스 상호간을 절연하고 쉬스 전류에 따른 손실을 저감하여 송전용량의 증대를 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절연접속함으로 구분된다.
도 1에는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보통접속함이 도시되나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절연접속함도 본 발명의 보호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은 전력케이블(11a, 11b)의 양단에 노출된 도체를 동재질의 도체 슬리브(12)로 접속하게 되며, 도체 슬리브(12)의 상단으로는 각종의 절연물이 접속된다. 이러한 절연물로는 에폭시 성형물로 접지전극과 전원전극이 매립되어 성형되는 에폭시 유니트(14), 절연성 고무를 주입하여 성형완성된 스트레스콘(13a, 13b)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접속재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최외각 층에는 접속자재들의 보호 및 접지극으로 활용되는 동재질의 동관 형태로 구성되는 보호 케이스(15, 16, 17)들이 플랜지 결합된다.
외부 케이스는 제1 보호 케이스(15), 제2 보호 케이스(16) 및 제3 보호 케이스(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호 케이스(15) 내부에는 에폭시 유니트(14)가 삽입되며, 에폭시 유니트(14)의 매립된 전극과 제1 보호 케이스(15)의 양측 플랜지와의 결합에 의해 에폭시 유니트(14)는 제1 보호 케이스(15)에 고정되어 접속된다.
제2 보호 케이스(16)의 일단은 좌측 전력케이블(11a)의 금속 쉬스와 연공되며 타단은 제1 보호 케이스(15)의 일단과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고, 제1 보호 케이스(15)의 타단은 제3 보호 케이스(17)의 일단과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고, 제3 보호 케이스(17)의 타단은 우측 전력케이블(11b)의 금속 쉬스와 연공되어 결합된다.
제2 보호 케이스(16)와 제3 보호 케이스(17)는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며, 다만 제2 보호 케이스(16)는 광케이블 접속함(18)을 내장하게 되므로 제3 보호 케이스(17) 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광케이블 접속함(18)은 좌측 광복합 전력케이블로부터 인출된 좌측 광케이블(19a)과 우측 광복합 전력케이블로부터 인출된 우측 광케이블(19b)이 접속되는 광케이블 접속장치이다.
광케이블 접속함(18)은 좌측 전력케이블(11a) 측에 위치되어 좌측 광케이블(19a)은 좌측 광복합 전력케이블로부터 인출되어 바로 광케이블 접속함(18)의 인입단자로 인입되며, 우측 광케이블(19b)은 우측 광복합 전력케이블로부터 인출되어 제1 보호 케이스(15) 내측에 형성된 광케이블 삽입관(15a)을 거쳐 제2 보호 케이스(16) 플랜지에 형성된 광케이블 삽입홀을 통해 인출되어 광케이블 접속함(18)의 인입단자로 인입된다. 양측 광케이블이 인입된 후 광케이블 접속함(18) 내부에서 좌측 광케이블(19a)과 우측 광케이블(19b)이 접속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보호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보호 케이스(15)는 외부 동관(21)이 PVC 코팅되며, 동관(21)의 좌우측에는 제1 및 제2 플랜지(22, 23)가 용접된다.
동관(21)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 삽입관(24)이 형성되며, 광케이블 삽입관(24)은 동재질의 동파이프 형태를 취한다.
도시된 단면도의 제1 플랜지(22)는 우측 도면의 제1 플랜지(22)의 A-A 부분의 단면이고, 도시된 단면도의 제2 플랜지(23)는 좌측 도면의 제2 플랜지(23)의 B-B 부분의 단면이다.
광케이블 삽입관(24)은 동관(21)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플랜지(22, 23) 각각에 형성된 광케이블 삽입홀(22a, 23a) 내부로 삽입되어 플랜지와 광케이블 삽입관이 은 납땜된다.
도시된 광케이블 삽입관(24)은 2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광케이블 코어 수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보호 케이스(15)의 좌측으로는 제2 보호 케이스(16)가 결합되며, 우측으로는 제3 보호 케이스(17)가 결합되며, 이때 광케이블이 보호 케이스(15)의 광케이블 삽입관(24)을 거쳐 인출되면서 제2 보호 케이스(16)의 플랜지를 거쳐 인출되도록 제2 보호 케이스(16)의 플랜지에는 소정의 위치에 광케이블 삽입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광복합 전력케이블의 절연 접속함인 경우 절연통이 도 1의 제1 및 제2 보호 케이스(15, 16) 사이에 체결된다. 제2 보호 케이스(16)와 마찬가지로 광케이블이 삽입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절연통의 소정 위치에는 광케이블 삽입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복합 전력케이블의 접속시 절단된 광케이블을 접속할 때, 전력케이블과 간섭없이 전력접속함 내부에서 직선을 유지한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광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력케이블의 접속함 내에서의 광케이블 접속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a, 11b : 전력케이블 12 : 도체슬리브
13a, 13b : 스트레스콘 14 : 에폭시 유니트
15 : 제1 보호 케이스 15a, 24 : 광케이블 삽입관
16 : 제2 보호 케이스 17 : 제3 보호 케이스
18 : 광케이블 접속함 19a, 19b : 광케이블
21 : 외부 동관 22, 23 : 플랜지
22a, 23a : 광케이블 삽입홀

Claims (2)

  1. 원통형의 동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동관과,
    상기 외부동관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동관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며 광케이블이 삽입 통과되는 동재질의 동파이프 형태의 광케이블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광케이블 삽입관이 삽입되는 광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2. 삭제
KR1020100084940A 2010-08-31 2010-08-31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KR10108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40A KR101086167B1 (ko) 2010-08-31 2010-08-31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40A KR101086167B1 (ko) 2010-08-31 2010-08-31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167B1 true KR101086167B1 (ko) 2011-11-25

Family

ID=4539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940A KR101086167B1 (ko) 2010-08-31 2010-08-31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1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797A (ja) * 2005-08-09 2007-02-22 Viscas Corp 光複合電力ケーブル用接続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797A (ja) * 2005-08-09 2007-02-22 Viscas Corp 光複合電力ケーブル用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728B1 (ko) 전송 능력이 향상된 복합 통신 케이블
RU2014117509A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кабель, сверхпроводящая кабельная магистраль,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сверхпроводящего кабел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верхпроводящей кабельной магистрали
US10247899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trunk cable
AU2014369340B2 (en) A PIP trace heating connection assembly
WO2019114375A1 (zh) 海底光缆及其制作方法
US7574086B2 (en) Installation method of optical fiber composite electric power cable and cable structure therefor
CN103208770A (zh) 110kV电缆中间接头附件及其连接方法
KR101086167B1 (ko) 광복합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
CN106856666B (zh) 高压输电线
KR101086109B1 (ko)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
US5727100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electric aerial cables
CN102621647B (zh) 一种异型线缆
JP5933861B2 (ja) 絶縁高電圧電力ケーブルを提供するための管状の絶縁装置、高電圧電力設備、および方法
KR101529456B1 (ko) 복합 케이블의 제 1 광섬유와 제 2 광섬유를 조인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448834A (zh) 耐火阻燃交联聚乙烯绝缘分支电缆
US8374471B2 (en) Cable, and a network and the use of such a cable
RU2183374C2 (ru) Кабельная муфта
JPH0145291B2 (ko)
EP3304155B1 (en) Aerial optical and electric cable assembly
CN203289056U (zh) 110kV电缆中间接头附件
CN203967712U (zh) 用于光电混合线缆的终端组件
WO2021199663A1 (ja) 海底機器、海底機器の構成方法、及び海底ケーブルシステム
CZ31999U1 (cs) Hybridní kabel s trubičkou pro uložení optického vlákna či kabelu
KR101247013B1 (ko) 복합 케이블 접속 장치
JP201006072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情報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