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989B1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989B1
KR102066989B1 KR1020180121822A KR20180121822A KR102066989B1 KR 102066989 B1 KR102066989 B1 KR 102066989B1 KR 1020180121822 A KR1020180121822 A KR 1020180121822A KR 20180121822 A KR20180121822 A KR 20180121822A KR 102066989 B1 KR102066989 B1 KR 10206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hip
memory
command
memory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854A (ko
Inventor
카즈키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8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0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comprising combined but independently operative RAM-ROM, RAM-PROM, RAM-EPROM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07Programming all cells in an array, sector or block to the same state prior to flash era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2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preventing unauthorised or accidental access to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52Protection of memory contents; Detection of errors in memory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4Supports for storage elements, e.g. memory modules; Mounting or fixing of storage elements on such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4Memory cell 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06F12/1416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object accessibility, e.g. type of access defined by the memory independently of subject rights
    • G06F12/1425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object accessibility, e.g. type of access defined by the memory independently of subject rights the protection being physical, e.g. cell, word, block
    • G06F12/1433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object accessibility, e.g. type of access defined by the memory independently of subject rights the protection being physical, e.g. cell, word, block for a module or a part of a modu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09Online tes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029/4402Internal storage of test result, quality data, chip identification, repair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Wire or wire-like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7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36Dynamic random-access memory [DR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38Flash 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Memory Syste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메모리칩 측의 비지 상태의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마스터칩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칩을 포함한다.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은, 프로텍트 정보를 격납 가능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프로텍트 정보를 락하기 위한 라이트 프로텍트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에 프로그램한다. 이 때, 선택된 메모리칩에서의 프로그램 시간이 비선택 메모리칩에서의 프로그램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프로그램이 제어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SEMICONDUCTOR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다이 또는 칩을 스택한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리얼 페리페럴 인터페이스(SPI) 기능을 탑재한 플래쉬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멀티칩 패키지는, 1개의 패키지 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다이 또는 칩을 복수 스택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동종의 메모리칩을 스택하는 것으로 메모리 용량을 확대하거나, 이종의 메모리칩을 스택하는 것으로 다른 스토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2008-300469호 공보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어레이칩과 메모리 어레이칩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칩을 적층해, 메모리 어레이칩의 관통 전극과 제어칩의 관통 전극을 위치 맞춤시켜, 양 관통 전극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14-57077호 공보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마스터 플래쉬 메모리칩과 슬레이브 플래쉬 메모리칩을 적층해, 슬레이브 플래쉬 메모리칩의 비코어 회로를 결여시키고, 마스터 플래쉬 메모리칩으로부터 슬레이브 플래쉬 메모리칩에 디바이스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신호 및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
복수의 메모리칩을 스택한 메모리 디바이스에는, 개개의 메모리칩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모니터하여, 자신이 선택된 메모리칩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메모리칩을 선택하기 위한 특정 커맨드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마치 모노리식 메모리칩을 취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에 커맨드나 어드레스를 출력하면 좋다(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하 모노리식 스택 다이로 한다).
또한, 스택된 메모리칩의 한쪽을 마스터칩으로, 다른 한쪽을 슬레이브칩으로 설정하고, 마스터칩 또는 슬레이브칩의 식별을 실시하는 일도 가능하다. 마스터/슬레이브의 설정은, 예를 들면, 퓨즈나 메탈 옵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칩의 ID를 「00」, 슬레이브칩의 ID를 「01」로 설정하고, 마스터칩은, BA10=L(블록 어드레스 「10」이 L 일 때 선택되고), 슬레이브칩은, BA10=H 일 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노리식 스택의 플래쉬 메모리에 있어서, 마스터칩이 비지인(busy) 기간과 슬레이브칩이 비지인 기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칩이 비지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슬레이브칩이 비지 상태이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어드레스에 의해 슬레이브칩이 선택되어도,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지시받은 동작을 슬레이브칩에서 실행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SPI 기능을 탑재한 NAND 플래쉬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의 동작이나 사양에 관한 프로텍트 정보나 플래쉬 메모리가 비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 등을 격납하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SR)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액세스는 리드 커맨드나 라이트 커맨드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저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예를 들면, 메모리 어레이의 이용 가능한 영역, ECC의 사용의 유무, 보호하는 블록의 정보 등의 프로텍트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SPI-NAND와 같이 비지/레디 핀을 가지지 않는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유저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를 리드하는 것으로, 플래쉬 메모리가 비지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에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기입된 정보나, 메모리 어레이의 유저에 의해 액세스 할 수 없는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락(rock)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은,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의 동작이나 사양 등에 관한 중요한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격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에 격납된 정보를 락(리라이트 금지)하는 경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플래쉬 메모리에 라이트 프로텍트 커맨드(이하, WP커맨드)가 내려진다. 플래쉬 메모리는, WP커맨드를 받으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에 할당된 퓨즈 레지스터의 특정 플래그 비트(flag bit)를, 예를 들면 「1」로 설정하고, 그 이후,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의 데이터를 리라이트하기 위한 라이트 커맨드의 액세스를 금지한다. 또한, WP커맨드를 실행할 때, 플래쉬 메모리는, 퓨즈 레지스터에 설정된 락 정보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기입된 프로텍트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 내의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한다. 퓨즈 레지스터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는 휘발성이기 때문에, 락 정보나 프로텍트 정보를 불휘발성 리던던시 영역에 항구적으로 격납할 필요가 있다. 플래쉬 메모리의 전원 재투입시, 리던던시 영역으로부터 독출된 프로텍트 정보나 락 정보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퓨즈 레지스터에 로드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리드 커맨드가 내려졌을 때, 선택되고 있는 메모리칩으로부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이 독출된다. 모노리식 스택 다이의 경우, 메모리칩의 선택은 어드레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 각각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는 항상 동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모노리식 스택 다이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라이트 커맨드가 내려질 경우,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은, 동시에, 라이트 커맨드를 실행하여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의 리라이트를 실시하고, 또한, WP커맨드가 내려질 경우에도,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은, 동시에 WP커맨드를 실행하여, 스테이터스 레지스터 또는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을 락하기 위해서 퓨즈 레지스터에 「1」을 세트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노리식 스택 다이의 동작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1. 통상,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리드 커맨드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칩의 비지 상태를 감시할 수 있지만, 유저는 비선택 메모리칩 상태를 감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비선택 메모리칩의 락 동작(리던던시 영역에의 프로그램 동작을 포함)은, 선택된 메모리칩의 락 동작보다 전에 종료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유저는, 비선택 메모리칩이 아직 비지인 것에도 불구하고, 리드 커맨드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칩으로부터 레디 상태의 출력을 얻어 버린다.
2. 2개의 메모리칩이 WP커맨드를 동시에 실행하면, 메모리 어레이에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동작 전류(Icc)가 2배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칩간의 비지 상태의 불일치를 방지하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 전류의 피크를 억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기억장치는, 복수의 메모리칩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에 근거해 복수의 메모리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며, 복수의 메모리칩 각각은, 프로텍트 정보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와, 불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행하는 기입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독출을 행하는 독출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금지함과 함께 상기 프로텍트 정보 및 기입 금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 어레이의 특정 영역에 프로그램하는 기입 금지 수단과, 메모리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된 메모리칩의 제어 수단은,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이 비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비선택 메모리칩의 제어 수단은,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이 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보다 짧아지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선택된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펄스수가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펄스수보다 많아지도록 프로그램이 제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선택된 메모리칩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행해진 후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선택된 메모리칩에 있어서 비지 상태가 계속되도록 대기 시간의 제어가 행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비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행해진 후에 선택된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선택된 메모리칩은 프로그램의 개시를 기다리도록 제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선택된 메모리칩의 독출 수단이,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에 포함되는 비지 상태를 출력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어드레스에 근거해 자신이 선택된 메모리칩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선택된 메모리칩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일 때, 선택된 메모리칩 및 비선택 메모리칩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메모리칩은 플래쉬 메모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메모리칩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능을 탑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시간이 비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했기 때문에, 비선택 메모리칩이 비지 상태인 것에도 불구하고, 선택된 메모리칩이 비지 상태가 아니라고 하는 사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모노리식 스택의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마스터측 메모리칩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모노리식 스택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WP커맨드가 실행될 때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WP커맨드가 실행될 때의 프로그램 동작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WP커맨드가 실행될 때의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의 스테이터스의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WP커맨드가 실행될 때의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의 스테이터스의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WP커맨드가 실행될 때의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의 스테이터스의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기억장치는, 마스터측 메모리칩과 1개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측 메모리칩을 스택한 NAND형이나 NOR형 플래쉬 메모리이다. 단,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기억장치는, 플래쉬 메모리와 이종의 DRAM 등의 메모리칩이나 그 외의 메모리칩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능을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모노리식 스택의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마스터측 메모리칩(200)(마스터칩)과 적어도 1개의 슬레이브측 메모리칩(300)(슬레이브칩)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슬레이브칩(300)을 예시하고 있지만,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2개 이상의 슬레이브칩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BGA 또는 CSP 패키지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BGA 패키지는, 스택된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이 플렉서블 회로 기판상에 플립칩 실장되거나 혹은 와이어 본딩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마스터칩(200)은, 복수의 NAND 스트링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210), 메모리 어레이의 행이나 열의 선택을 실시하는 디코더나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 등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220), 마스터칩(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 외부 단자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0)와의 사이에 신호 등의 송수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출력 회로(240)를 포함한다. 슬레이브칩(300)은, 마스터칩(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져, 즉, 복수의 NAND 스트링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310), 메모리 어레이의 행이나 열의 선택을 실시하는 디코더나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 등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320), 슬레이브칩(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30), 외부 단자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0)와의 사이에 신호 등의 송수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출력 회로(340)를 포함한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외부 단자는, 마스터칩(200)과 슬레이브칩(300)에 공통인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칩(200)의 입출력 회로(240) 및 슬레이브칩(300)의 입출력 회로(340)는, 예를 들면, 데이터 입출력용 외부 단자, 제어 신호(어드레스 래치 케이블, 커맨드 래치 인에이블 등)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단자, 비지 신호/레디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단자, 클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SPI 기능을 탑재한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와의 호환성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클록 신호를 입력하는 클록 단자, 칩셀렉트 단자, 라이트 프로텍트 단자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반드시, 비지 신호나 레디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 구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스터칩(200) 및 슬레이브칩(300)은 입출력 회로(240) 및 (340)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고, 호스트 컴퓨터(10)는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독출, 프로그램, 소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을 독출하는 리드 커맨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실시하는 라이트 커맨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을 락하기 위한 WP커맨드 등을 내린다. 마스터칩(200) 및 슬레이브칩(300)은,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입출력 회로(240) 및 (340)을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감시하여 자신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마스터칩(200) 또는 슬레이브칩(300)은, 자신이 선택되었을 때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주어진 지시를 실행한다. 단,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기입을 실시하는 라이트 커맨드를 받았을 경우에는, 마스터칩(200) 및 슬레이브칩(300)은, 각각 라이트 커맨드를 실행하여, 각각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동일한 내용을 기입하고, 또한 WP커맨드를 받았을 경우에도, 마스터칩(200) 및 슬레이브칩(300)은 각각 WP커맨드를 실행하여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의 락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리드 커맨드를 받았을 경우에는, 선택된 메모리칩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을 독출하여, 이것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마스터칩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스터칩(200)은, 복수의 메모리 어레이가 행렬상으로 배열된 메모리 어레이(210)와 주변 회로(220)와 컨트롤러(230)와 입출력 회로(240)를 포함한다. 또한, 슬레이브칩(300)은, 마스터칩(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마스터칩(200)의 내부 구성만을 설명한다.
 주변 회로(220)는, 입출력 회로(240)를 통해 어드레스 데이터를 받는 어드레스 레지스터(221)와, 어드레스 레지스터(221)로부터의 행 어드레스 정보 Ax에 근거해 블록의 선택 및 워드 라인의 선택 등을 실시하는 워드 라인 선택 회로(222)와, 워드 라인 선택 회로(222)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보관 유지하거나 선택된 페이지에 프로그램해야 할 입력 데이터를 보관 유지하는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223)와, 어드레스 레지스터(221)로부터의 열 어드레스 정보 Ay에 근거해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223) 내의 열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열선택 회로(224)와, 플래쉬 메모리의 동작이나 사양 등에 대해 유저에 의해 설정된 프로텍트 정보나 플래쉬 메모리가 비지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 등을 격납하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225)와, 데이터의 독출, 프로그램 및 소거 등을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전압(기입 전압 Vpgm, 패스 전압 Vpass, 독출 전압 Vread, 소거 전압 Vers등)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226)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30)는, 입출력 회로 (240)로부터 커맨드를 받아, 마스터칩(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 어레이(210)는, 열방향으로 m개의 메모리블록 BLK(0), BLK(1), ?, BLK(m-1)를 가진다. 1개의 메모리블록에는, 복수의 메모리 어레이를 직렬로 접속한 NAND 스트링 유닛이 복수 형성된다. 메모리 어레이는 또한 유저에 의해 액세스할 수 없는 리던던시 영역이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한다.
메모리 어레이(210)의 독출 동작에서는, 비트선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선택 워드 라인에 예를 들면 0 V를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 라인에 패스 전압을 인가하고, 공통 소스선에 0 V를 인가한다.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선택 워드 라인에 고전압의 프로그램 전압 Vpgm를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 라인에 중간 전위를 인가하고, 「0」또는 「1」의 데이터에 응한 전위를 비트선GBL에 공급한다. 소거 동작에서는, 블록 내의 선택된 워드 라인에 0 V를 인가하고, P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전자를 기판에 뽑아 내는 것으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소거한다.
호스트 컴퓨터(10)는,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소망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때,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커맨드나 어드레스 등을 출력한다. 컨트롤러(230)/(330)는,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의 어드레스에 근거해 자신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자신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의 커맨드를 실행한다. 단,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의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실시하는 라이트 커맨드, 혹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WP커맨드의 경우는 예외이며, 컨트롤러(230)/(330)는 이러한 커맨드를 받았을 때에는 어드레스에 무관하게 각각의 칩으로 라이트 커맨드나 WP커맨드를 실행한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리드 커맨드의 경우는, 선택된 메모리칩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을 출력한다.
도 3에,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30)/(330)는,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커맨드를 받으면(S100), 해당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라이트 커맨드 또는 WP커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이면, 선택된 메모리칩 및 비선택 메모리칩 각각에 있어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를 실행하고(S120), 그 이외의 커맨드이면 선택된 메모리칩이 커맨드를 실행한다(S130).
다음에, WP커맨드를 실행할 때의 동작 플로우를 도 4에 나타낸다. WP커맨드를 받으면(S200), 컨트롤러(230)/(330)는 WP커맨드를 실행하여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을 락하기 위한 락 정보를 퓨즈 레지스터에 설정한다(S210). 예를 들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에 각각 할당된 퓨즈 레지스터의 비트에 「1」이 설정된다. 퓨즈 레지스터에 락 정보로서 「1」이 설정되면, 그 이후의 라이트 커맨드에 의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원 타임 프로그램 영역에의 액세스가 금지된다.
또한, 컨트롤러(230)/(330)는, WP커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또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기입된 프로텍트 정보와 퓨즈 레지스터에 설정한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의 미리 결정된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한다(S220). 이 동작은, 메모리 어레이의 선택 페이지로의 통상의 프로그램이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나 퓨즈 레지스터는 휘발성이며, 플래쉬메모리가 전원 오프 되었을 때, 이러한 레지스터에 격납된 데이터는 소거된다. 플래쉬 메모리의 전원이 재투입 되었을 때, 컨트롤러(230)/(330)는,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으로부터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스테이터스 레지스터 및 퓨즈 레지스터에 로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WP커맨드를 실행할 때의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의 프로그램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선택된 메모리칩을 마스터칩, 비선택 메모리칩을 슬레이브칩으로 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에 있어서 WP커맨드를 실행할 때, 마스터칩의 비지 기간이 슬레이브칩의 비지 기간보다 길어지는 것을 보증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칩에서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프로그램 할 때의 프로그램 시간 Tm가, 슬레이브칩에서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프로그램 할 때의 프로그램 시간 Ts보다 길어지도록(Tm>Ts), 컨트롤러(230)/(330)는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그램은, 통상, ISPP에 의해 프로그램 펄스를 인가해, 베리파이의 합격 여부에 따라 다음의 프로그램 펄스를 인가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터칩에 인가하는 프로그램 펄스수Nm를 고정으로 하고, 슬레이브칩에 인가하는 프로그램 펄스수Ns를 고정으로 하고, 프로그램 펄스수Nm>프로그램 펄스수Ns로 설정한다. 또한,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프로그램하는 비트의 베리파이를 항상 불합격으로 한다. 또한,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가, 1회 또는 Nm/Ns보다 적은 프로그램 펄스의 회수로 프로그램 되도록 프로그램 전압 및/펄스 인가 시간을 조정해, 베리파이를 불합격으로 하는 한편, 다음에 프로그램 펄스를 인가할 때, 선택 비트선에는 프로그램 금지가 되는 데이터 「1」을 세트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마스터칩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펄스수Nm에서 강제적으로 종료하고,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펄스수Ns에서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펄스 회수 Nm, Ns나 베리파이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트리밍 정보로서 미리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에 설정하거나 혹은 유저에 의해 적절히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컨트롤러(230)/(330)는, WP커맨드를 실행할 때, 해당 제어 정보에 근거해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이 동시에 WP커맨드를 실행한 경우,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시간이 항상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프로그램이 제어되고, 또는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이 항상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시간보다 짧아지도록 프로그램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마스터칩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을 출력할 때, 슬레이브칩이 비지 상태이며 마스터칩이 비지 상태가 아니라는(레디 상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마스터칩이 레디 상태를 출력할 때는 항상 슬레이브칩은 레디 상태에 있다.
도 5에, 제1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램 동작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WP커맨드가 내려졌을 때(S300), 자신이 선택되고 있는 메모리칩인지 여부를 판정하고(S310), 자신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230)/(330)는,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 펄스 회수 Nm에서 프로그램 하고(S320), 비선택이면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 펄스 회수 Ns에서 프로그램 한다(S330).
도 6에, 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의 비지 상태의 천이를 나타낸다. 시각 t1에 있어서 WP커맨드가 입력되면,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은 WP커맨드를 실행해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은 비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레이브칩은 시각 t2에 있어서 락 정보 및 프로텍트 정보의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비지 상태가 종료된다. 마스터칩은, 시각 t2로부터 지연된 시각t3에 있어서, 락 정보 및 프로텍트 정보의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비지 상태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레이브칩의 비지 상태는, 반드시 마스터칩의 비지 상태보다 전에 종료된다.
SPI 기능을 탑재한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비지 신호/레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부 단자는 필수는 아니고,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를 독출하는 것으로 비지 상태인가 아닌가가 감시될 수 있다. 단, 플래쉬 메모리가 비지 신호/레디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단자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 단자를 통해 비지 신호가 호스트 컴퓨터에 출력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이 동시에 WP커맨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프로그램할 때의 소비 전류가 2배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2배의 소비 전류를 회피하기 위해,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이 동시에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대기 시간을 도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각 메모리칩에 내부 카운터가 준비되고, 한 쪽 메모리칩은 다른 한 쪽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동작이 종료하는 시간까지, 카운터에 의해 대기 시간을 카운트하여, 다른 한 쪽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동작이 종료한 후에 프로그램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다른 한 쪽 메모리칩이 프로그램 동작을 행하고 있는 기간, 한 쪽 메모리칩은 카운터에 의해 대기 시간을 카운트해, 비지 상태를 계속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칩이 먼저 프로그램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마스터칩은, WP커맨드를 받으면 즉시 프로그램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슬레이브칩은, 마스터칩이 레디 상태가 될 때까지 프로그램의 개시를 기다린다. 슬레이브칩의 대기 시간 tWAIT가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보다 커지도록, 슬레이브칩의 카운터치가 세트된다(tWAIT>tPGM). 다음에, 마스터칩이 프로그램을 종료했을 때, 슬레이브칩은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마스터칩은,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동작중에는 비지 상태를 계속한다. 여기서, 마스터칩의 대기 시간 tWAIT가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보다 커지도록, 마스터칩의 카운터치가 세트된다(tWAIT>tPGM).
도 7에, 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의 비지 상태의 천이를 나타낸다. 시각 t1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WP커맨드가 입력되면, 마스터칩이 WP커맨드를 실행해, 즉,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한다. 여기서, 마스터칩에 의한 프로그램 펄스수Nm1는, 미리 결정된 수로 고정되고, 마스터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로그램 펄스수Nm1를 인가한 후에 강제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마스터칩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시간 tPGM는 일정하다.
한편, 슬레이브칩은, 시각 t1에서 WP커맨드를 실행하지 않고, 카운터에 설정된 카운트치에 의해 대기 시간 상태에 들어간다. 여기서, 슬레이브칩의 대기 시간 tWAIT는, 마스터칩에 필요한 프로그램 시간 tPGM보다 얼마만큼 길게 설정된다.
다음에, 마스터칩은 시각 t2에서 프로그램 동작을 종료하고, 그 때, 슬레이브칩은 아직도 대기시간중이다. 마스터칩은, 프로그램 동작을 종료하자마자, 카운터에 설정된 시간에 의해 대기 시간 상태에 들어가, 그 사이, 비지 상태를 계속한다.
시각 t2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의 시각 t3에서, 슬레이브칩은 대기 시간을 종료하자마자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여기서, 슬레이브칩에 의한 프로그램 펄스수Ns1는, 미리 결정된 수로 고정되고, 슬레이브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로그램 펄스수Ns1를 인가했을 때 강제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 때문에, 슬레이브칩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시간 tPGM는 일정하다. 또한, 마스터칩의 대기 시간 tWAIT는,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된다.
시각 t4에서, 슬레이브칩은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시각 t4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의 시각 t5에서, 마스터칩의 대기 시간이 종료하여 마스터칩의 비지 상태가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슬레이브칩의 비지는 반드시 마스터칩의 비지의 종료전에 종료하게 되어, 마스터칩의 비지 종료시에 슬레이브칩이 비지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동작의 허용 시간 tALOW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과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의 합계치가, 허용 시간 tALOW를 밑돌고 있도록 프로그램 시간 tPGM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허용 시간 tALLOW가 700μs, 1회의 프로그램 펄스의 인가 시간이 50μs일 때,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종료시각t2와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개시시각t3의 불연속 시간을 고려해,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펄스수Nm1를 6회 이하(tPGM=(300)μs),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펄스수Ns1를 6회 이하(tPGM=(300)μs)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리드 커맨드가 내려졌을 때, 마스터칩(즉 선택된 메모리칩)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이 호스트 컴퓨터에 출력된다. 거기서, 제3 실시예에서는, WP커맨드가 내려졌을 때, 먼저 슬레이브칩에 WP커맨드를 실행시키고, 그 후, 마스터칩에 WP커맨드를 실행시킨다.
도 8에,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칩과 슬레이브칩의 비지 상태의 천이를 나타낸다. 시각 t1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WP커맨드가 입력되면, 슬레이브칩이 WP커맨드를 실행해, 즉,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를 메모리 어레이의 리던던시 영역에 프로그램한다. 여기서, 슬레이브칩에 의한 프로그램 펄스수Ns2는, 미리 결정된 수로 고정되고, 슬레이브칩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프로그램 펄스수Ns2를 인가했을 때 강제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슬레이브칩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시간 tPGM는 일정하다.
한편, 마스터칩은, 시각 t1에서 WP커맨드를 실행하지 않고, 카운터에 설정된 카운트치에 의해 대기 시간 상태에 들어간다. 여기서, 마스터칩의 대기 시간 tWAIT는, 슬레이브칩의 프로그램 시간 tPGM보다 얼마만큼 길게 설정된다.
시각 t2에서, 슬레이브칩은 프로그램 동작을 종료한다. 그 후, 시각 t3에서, 마스터칩은 대기 시간을 종료하자마자 프로그램을 개시하고, 시각 t4에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여기서 유의 해야 할 것은, 마스터칩의 프로그램 펄스수는 고정은 아니고, 베리파이도 강제적으로 불합격으로 하지 않고, 통상의 프로그램의 경우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즉, 프로텍트 정보 및 락 정보의 베리파이가 합격한 시점에서 프로그램은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WP커맨드의 실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제2 실시예의 경우보다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설명하고 싶은 것은, 제3 실시예에서, 마스터칩만이 대기 시간을 실시하기 때문에, 슬레이브칩에는 내부 카운터는 불필요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 중 어느 하나가 NAND형 플래쉬 메모리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NOR형 마스터칩 및 슬레이브칩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의 당업자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호스트 컴퓨터 100: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
200:마스터칩 210:메모리 어레이
220:주변 회로 230:컨트롤러
240:입출력 회로 300:슬레이브칩
310:메모리 어레이 320:주변 회로
330:컨트롤러

Claims (10)

  1. 복수의 메모리칩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에 근거해 복수의 메모리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칩의 각각은,
    프로텍트 정보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와,
    불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실시하는 기입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독출을 행하는 독출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의 기입을 금지함과 함께, 상기 프로텍트 정보 및 기입 금지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 어레이의 특정 영역에 프로그램하는 기입 금지 수단과,
    메모리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된 메모리칩의 제어 수단은,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이 비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선택 메모리칩의 제어 수단은,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이 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의 기입 금지 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시간보다 짧아지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펄스수가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 펄스수보다 많아지도록 프로그램이 제어되는,
    반도체 기억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모리칩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행해진 후에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선택된 메모리칩에 있어서 비지 상태가 계속되도록 대기 시간의 제어가 행해지는,
    반도체 기억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선택 메모리칩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행해진 후에 선택된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비선택 메모리칩의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선택된 메모리칩은 프로그램의 개시를 기다리도록 제어되는,
    반도체 기억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모리칩의 독출 수단이, 상기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내용에 포함되는 비지 상태를 출력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어드레스에 근거해 자신이 선택된 메모리칩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선택된 메모리칩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일 때, 선택된 메모리칩 및 비선택 메모리칩은,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관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칩은 플래쉬 메모리인,
    반도체 기억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칩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능을 탑재한,
    반도체 기억장치.
KR1020180121822A 2018-01-09 2018-10-12 반도체 기억장치 KR102066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1164 2018-01-09
JP2018001164A JP6453492B1 (ja) 2018-01-09 2018-01-09 半導体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54A KR20190084854A (ko) 2019-07-17
KR102066989B1 true KR102066989B1 (ko) 2020-01-16

Family

ID=6502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822A KR102066989B1 (ko) 2018-01-09 2018-10-12 반도체 기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28302B2 (ko)
JP (1) JP6453492B1 (ko)
KR (1) KR102066989B1 (ko)
CN (1) CN110021318B (ko)
TW (1) TWI677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9877B1 (en) * 2019-04-23 2020-11-17 Nxp Usa, Inc. Register protection circuit for hardware IP modules
JP6982127B2 (ja) 2020-04-20 2021-12-17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CN111459419B (zh) * 2020-06-17 2021-12-21 芯天下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flash的无感扩容方法、系统、存储介质和终端
CN114664336B (zh) * 2022-03-21 2023-01-10 珠海博雅科技股份有限公司 堆叠存储器件、存储芯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9355A1 (en) 2010-09-27 2012-03-29 Seagate Technology Llc Opportunistic decoding in memory systems
KR101454948B1 (ko) 2007-10-17 2014-10-2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동기식 직렬 인터페이스 nand를 위한 설정 액세스 및 변경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63849B2 (en) 2010-09-17 2015-06-23 Aplus Flash Technology, Inc. Different types of memory integrated in one chip by using a novel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745B2 (ja) * 1995-06-14 2006-08-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メモリ、メモリデバイス及びメモリカード
JP4089322B2 (ja) * 2002-07-12 200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不揮発メモリ制御システム
US7020026B2 (en) * 2004-05-05 2006-03-28 Sandisk Corporation Bitline governed approach for program control of non-volatile memory
JP4696501B2 (ja) * 2004-08-24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
JP4119881B2 (ja) * 2004-11-15 2008-07-16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半導体メモリ装置
US7319617B2 (en) * 2005-05-13 2008-01-15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Small sector floating gate flash memory
KR100616214B1 (ko) * 2005-06-30 2006-08-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레벨 셀을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제어 회로 및 그 프로그램 제어 방법
US7593279B2 (en) * 2006-10-11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status register read
JP2008300469A (ja) 2007-05-30 2008-12-11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8090955B2 (en) 2007-10-17 2012-01-03 Micron Technology, Inc. Boot block features in synchronous serial interface NAND
US7894230B2 (en) 2009-02-24 2011-02-2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tacke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master device
WO2010125695A1 (en) * 2009-04-30 2010-11-04 Powerchip Corporation Programming method for nand flash memory device
KR101293223B1 (ko) 2011-04-01 2013-08-05 (주)아토솔루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전자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US8996782B2 (en) * 2012-03-23 2015-03-31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system and bank interleaving method
JP2014149669A (ja) * 2013-01-31 2014-08-2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TWI534829B (zh) 2013-08-12 2016-05-2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序列式nand快閃記憶體
US9324457B2 (en) * 2014-03-12 2016-04-26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memory
KR20160136002A (ko) * 2015-05-19 2016-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7045415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
FR3041806B1 (fr) * 2015-09-25 2017-10-20 Stmicroelectronics Rousset Dispositif de memoire non volatile, par exemple du type eeprom, ayant une capacite memoire importante, par exemple 16mbits
US10067879B2 (en) * 2015-12-16 2018-09-0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a storage mode over a cache-line memory interface to a non-volatile memory dual in line memory module
JP2018032323A (ja) * 2016-08-26 2018-03-01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メモリic、および、メモリicへのライト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948B1 (ko) 2007-10-17 2014-10-2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동기식 직렬 인터페이스 nand를 위한 설정 액세스 및 변경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63849B2 (en) 2010-09-17 2015-06-23 Aplus Flash Technology, Inc. Different types of memory integrated in one chip by using a novel protocol
US20120079355A1 (en) 2010-09-27 2012-03-29 Seagate Technology Llc Opportunistic decoding in memor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3492B1 (ja) 2019-01-16
CN110021318A (zh) 2019-07-16
JP2019121410A (ja) 2019-07-22
CN110021318B (zh) 2021-05-18
TW201931365A (zh) 2019-08-01
TWI677881B (zh) 2019-11-21
KR20190084854A (ko) 2019-07-17
US10628302B2 (en) 2020-04-21
US20190213121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89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20210304821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performs improved erase operation
US6522581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834322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lural memory circuits selectively controlled by a master chip enable terminal or an input command and outputting a pass/fail result
US748655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I534809B (zh) 由外部來源設定控制資訊之非揮發性記憶體裝置
KR102137889B1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리셋 방법
KR102019567B1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이의 동작 설정 방법
US827593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cache read method using the same
KR10089865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프로그램 방법
JP4327626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403905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20040264268A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circuit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JP6708762B1 (ja) 半導体記憶装置
JP3654505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135770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およびその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を使用した記憶装置
JP2004062978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