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805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805B1
KR102066805B1 KR1020187016093A KR20187016093A KR102066805B1 KR 102066805 B1 KR102066805 B1 KR 102066805B1 KR 1020187016093 A KR1020187016093 A KR 1020187016093A KR 20187016093 A KR20187016093 A KR 20187016093A KR 102066805 B1 KR102066805 B1 KR 10206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ad
hook
shaf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071A (ko
Inventor
요시카즈 반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08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머리부 및 축부를 가진 수부재와, 축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로크 다리부 및 로크 다리부의 상측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진 암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로크 다리부가 축부의 상기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상태로 됨과 동시에 머리부를 플랜지부에 구속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을 가진 클립이다. 주요부는, 걸어맞춤수단이 머리부 및 플랜지부의 한쪽에 형성된 후크부와, 다른 쪽에 형성되어 후크부와 걸어맞춰지는 구멍부로 구성하며, 또한 후크부를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에 돌출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구멍부를 구획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를 구멍부를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립
본 발명은 2피스 타입의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9(a), 도 9(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수부재(11) 및 암부재(15)로 이루어지는 클립이다. 수부재(11)는, 머리부(12) 및 머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축부(감입축(嵌入軸縱))(13)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머리부(12)의 주위에 로크 플랜지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암부재(15)는, 축부(13)를 삽입하는 삽입구멍(감입 구멍)(18)을 형성하고 있는 로크 다리부(17) 및 로크 다리부의 상측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16)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플랜지부(16)의 상면에, 내벽에 로크 후크(23)를 돌출시킨 벽부(19)를 세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립에서는, 로크 다리부(17)가 동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의 삽입구멍(18)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내지는 본고정 상태로 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벽부의 로크 후크(23)가 로크 플랜지부(14)에 걸어맞춰져서 수부재(11)를 인발(引拔) 불가능하게 구속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클립이며, 클립 본체(20)가 암부재에 대응하며 삽입부(30)가 수부재에 대응해 있다. 삽입부(30)는 머리부(테두리부)(34) 및 머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축부(삽입핀)(31)를 갖고 있다. 클립 본체(20)는, 양 세로판부(22a, 22b) 및 양 세로판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바닥판부(23)와, 바닥판부(23)에 형성된 축부(31)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차입(差入) 구멍)과, 바닥판부(23)에 아래로 형성된 한 쌍의 가요편(可撓片)(21a)과, 양 세로판부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후크(40a, 40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클립에서는, 양 가요편(21a)이 동 도 10(b), 도 10(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31)의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내지는 본고정 상태로 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걸어맞춤 후크(40a, 40b)가 머리부(34)에 걸어맞춰져서 삽입부(30)를 인발 불가능하게 구속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7-11002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7-225092호 공보
상기 각 문헌의 구조에서는, 수부재(삽입부)의 축부가 암부재(클립 본체)의 삽입구멍에 압입된 사용 상태, 즉 본고정 상태에 있어서, 문헌 1에서는 수부재측 로크 플랜지부가 암부재측의 로크 후크(23)에 걸어맞춰지고, 문헌 2에서는 삽입부측의 머리부(34)가 클립 본체측의 걸어맞춤 후크(40a, 40b)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수부재나 삽입부가 인발 불가능하게 구속된다. 이 때문에, 각 클립 구조에서는, 진동이나 인발 방향의 충격이 가해져도 수부재가 암부재로부터 빠지기 어려워 안정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차체 하측이나 타이어 부근에 부품을 차체 패널 등에 부착할 때에 사용하면, 주행 중에 날아온 돌 등이 부딪혀, 그 충격으로 수부재가 암부재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는 구조에 바람직해진다.
그런데, 각 문헌의 구조에서는, 걸어맞춤 내지는 구속력을 증대시키면,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압입 조작력도 비례해서 커지기 때문에 강한 힘이 필요해져 작업 효율이 나빠진다. 이 점은 작업이 좁은 장소에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걸어맞춤 내지는 구속력을 증대시킬 경우에도 조작력을 다소라도 약하게 해서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축부를 가진 수부재와, 상기 축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로크 다리부 및 상기 로크 다리부의 상측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진 암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크 다리부가 상기 축부의 상기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머리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구속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을 가진 클립으로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머리부 및 플랜지부의 한쪽에 형성된 후크부와,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와 걸어맞춰지는 구멍부로 구성하고, 상기 후크부(14)를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片部)(13)에 돌출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구멍부를 구획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를 구멍부를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클립에 있어서, 『후크부』에는 단일 이외에 복수의 구성도 포함된다. 『구멍부』는 관통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 형상의 구멍도 포함된다. 또한, 대상인 클립은, 제 1 부재에 단일 또는 복수의 제 2 부재를 장착하거나, 부재끼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결합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특히, 수부재가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압입된 사용 상태에 있어서, 진동이나 충격 등을 받는 바와 같은 구조에서도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예기치 않은 빠짐을 확실하게 저지하고자 할 경우에 바람직한 타입이다. 본 발명은, 그 걸어맞춤수단의 걸어맞춤력을 증대시켜도,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압입 조작성, 즉 걸어맞춤 조작력을 약한 힘에 의해 작업할 수 있고, 한번 걸어맞춰지면 빠지기 어려워지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하기에 특정한 태양과 같이 구체화해도 된다.
(가) 상기 머리부의 편부는 상하로 관통시킨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머리부를 수용하는 주위벽을 가지며 상기 주위벽에 상기 구멍부를 대략 수평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태양에서는, 머리부가 플랜지부의 주위벽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부가적으로 주위벽에 후크부와 걸어맞춰지는 구멍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시키거나, 머리부의 편부를 상하로 관통시킨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후크부가 구멍부에 탄성에 의해 걸어맞춰진 후에는 걸어맞춤 해제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걸어맞춤 조작력을 약하게 함과 아울러 걸어맞춤력을 증대시킨다는 배반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나) 상기 머리부의 편부는 상기 축부와 대략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머리부를 수용하는 주위벽을 가지며 상기 구멍부를 상기 주위벽의 내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태양에서는, 머리부가 플랜지부의 주위벽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며, 또한 후크부 및 구멍부로서 (가)의 태양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설계상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다) 상기 로크 다리부는, 선단을 폐색한 바닥을 가지는 통형을 이루며, 대략 U자형의 슬릿을 통해서 구획되어 지름 방향으로 확대축소 가능한 부착용 로크편을 가지며, 상기 로크편이 상기 축부의 상기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지름 축소가 불가능해지는 구성이다. 이 태양에서는, 문헌 1이나 2의 구성에 비해, 예를 들면, 로크 다리부가 선단을 폐색한 바닥을 가지는 통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차체 하측에 사용되는 구조에서, 날아온 돌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고품질화가 도모된다.
(라)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에 가조립하는 가고정수단(예를 들면, 후크와 로크구멍의 조합)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할 때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예를 들면, 홈과 리브의 조합)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했을 때에 압접하는 압착수단(예를 들면, 축부의 가고정용 후크)을 갖고 있는 구성이다. 이 태양에서는, 수부재를 암부재에 가조립하는 가고정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 우수하고, 축부를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할 때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립 조작성이 우수하고, 축부를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했을 때에 압접하는 압착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 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부재측의 머리부와 암부재측의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어맞춤수단을 후크부 및 구멍부로 구성하며, 후크부를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에 돌출시키고, 구멍부를 구획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를 구멍부를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후크부 및 구멍부로 구성되며, 후크부를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에 돌출시키고, 구멍부를 구획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를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걸어맞춤수단에서는, 후크부 및 구멍부가 걸어맞춰지는 과정에서는 후크부를 돌출시키고 있는 편부의 탄성 요동과, 구멍 형성부의 일부의 탄성 요동에 의해 비교적 약한 힘으로 걸어맞춤 조작할 수 있고, 걸어맞춘 후에는 걸어맞춤 해제 즉 암부재에 대해 수부재의 빠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걸어맞춤력을 증대시키는 경우에도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예의 클립을, 수부재를 암부재에 가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는 외관도
도 2는 상기 클립을 가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며, 도 2(a)는 상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클립의 사용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이며, 도 3(a)는 클립을 가조립 상태에서 패널 및 피부착 부재의 각 부착구멍에 삽입해서 수부재의 압입 도중인 단면도 및 그 일부 확대도, 도 3(b)는 수부재를 암부재에 걸어맞춤 및 압착한 사용 내지는 본고정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수부재 단품을 나타내며, 도 4(a)는 상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우측면도, 도 4(d)는 하면도, 도 4(e)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암부재 단품을 나타내며, 도 5(a)는 상면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우측면도, 도 5(d)는 하면도, 도 5(e)는 (a)의 C-C선 단면도
도 6(a)는 상기 형태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수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상기 형태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암부재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형태의 변형예 3을 나타내며, 도 7(a)는 수부재를 암부재에 가조립한 상태에서의 상면도, 도 7(b)는 (a)의 D-D선 반단면도
도 8은 상기 변형예 3을 수부재를 암부재에 압입해서 사용 내지는 본고정 상태로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9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9(a) 및 도 9(b)는 문헌 1의 도 1과 도 4
도 10은 특허문헌 2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문헌 2의 도 6(a) 내지 도 6(c)
이하, 본 발명의 일 형태예 및 변형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클립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한 후 주된 작동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도 6(a), 도 6(b)의 변형예 1과 2, 도 7(a), 도 7(b) 및 도 8의 변형예 3에 대하여 언급한다. 또, 클립의 크기는 임의이지만, 도면상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구조)
형태예의 클립(4)은, 머리부(10) 및 해당 머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축부(15)를 가진 수지제의 수부재(1)와, 축부(15)를 삽입하는 삽입구멍(26)을 형성하고 있는 로크 다리부(25) 및 해당 로크 다리부의 상측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20)를 가진 수지제의 암부재(2)와, 로크 다리부(25)가 축부(15)의 삽입구멍(26)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상태 내지는 본고정 상태로 됨과 동시에, 머리부(10)를 플랜지부(20)에 구속 가능한 걸어맞춤수단(3)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종래와 같다. 고안점은 특히, 걸어맞춤수단(3)의 구성과, 로크 다리부(25)의 형상 및 수부재(1)를 암부재(2)에 가조립하는 가고정수단(5)의 구성 등에 있다. 이하, 그 세부 구성들을 설명한다.
우선, 수부재(1)는,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머리부(10)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축부(15)가 해당 머리부 하면의 중앙에 대략 직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10)에는, 상면 양측이 중간부(11)보다 한 단 낮게 되어 있으며, 그 낮게 이루어진 개소에 상하로 관통된 슬릿(12)와, 주위부와 슬릿(12) 사이에 구획된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13)와, 편부(13)의 외면(이 외면은 머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주위부의 일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부(14)를 갖고 있다. 슬릿(12)은 직선 홈형이며 편부(13)를 탄성 요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크부(14)는 돌출 단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돌출량을 증가시키는 경사면(14a)을 갖고 있다.
축부(15)에는, 대향한 전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홈(16)과, 선단측의 중간부를 선단의 약간 앞쪽에서부터 선단까지를 절결시킨 개구(17)와, 개구(17)와 양 측면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 편부분(15a, 15a)과, 각 편부분(15a)의 선단측 측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18)를 갖고 있다. 홈(16)은, 전후면의 중간에 위치해 머리부(10)의 하단에서부터 개구(17)까지 똑바로 연장되어있다. 개구(17)는 각 편부분(15a)의 탄성 정도에 따른 크기로 되어 있다. 각 편부분(15a) 및 후크(18)는 도 3(a),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15)를 로크 다리부(25)의 통 내에 압입했을 때에 탄성 변위해 삽입구멍(24)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 압접력으로 압착되는 압착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크(18)는, 후크부(14)와 마찬가지로 돌출 단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돌출량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로크 다리부(25)의 로크구멍(29)과 함께 가고정수단(5)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암부재(2)는, 도 1 및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0)가 머리부(10)를 수용하는 주위벽(22)을 가지며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이고, 로크 다리부(25)가 그 플랜지부 하면의 중앙에 선단을 폐색한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20)는, 중앙부가 삽입구멍(24)에 의해 개구되며, 그 삽입구멍(24)이 로크 다리부(25)의 통 내 바닥면까지 거의 같은 안지름으로 연장되어있다. 삽입구멍(24)에는 플랜지부(20) 및 로크 다리부(25)의 통 내 바닥면까지 한 쌍의 리브(26)가 대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각 리브(26)는 상기 홈(16)과 함께 가이드수단(6)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가이드수단(6)은, 축부(15)가 삽입구멍(24)에 압입될 때, 각 홈(16)이 대응하는 리브(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그 끼워맞춤 상태에 의해 축부(15)의 압입 조작을 안정되게 행해지도록 한다.
주위벽(22)에는, 원호 형상으로 절결된 양측의 절결부(21)와, 양 절결부(21)에 대응해서 형성된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편부(22a)는, 주위벽(22)의 내주측의 일부를 수평하게 절결함과 아울러, 통 내외를 관통 형성한 하측의 구멍부(23)의 존재에 의해 요동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멍부(23)는 상기 후크부(14)와 함께 걸어맞춤수단(3)을 구성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수단(3)은, 머리부(10)가 주위벽(22)의 통 내에 수용될 때, 각 후크부(14)가 대응하는 구멍부(23)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머리부(10)를 플랜지부(20)에 구속시킨다. 즉 걸어맞춤수단(3)은 클립(4)의 사용 상태 내지는 본고정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1)가 암부재(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규제한다.
또한, 로크 다리부(25)는, 도 3(a), 도 3(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패널(8)의 부착구멍(8a) 및 피부착 부재(9)의 부착구멍(9a)에 대응한 지름이며, 각각 대향해서 형성되어 부착구멍(8a)에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로크편(28), 및 상기 후크(18)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로크구멍(29)을 갖고 있다. 로크구멍(29) 및 로크편(28)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편(28)은, 대략 U자형의 슬릿(27)에 의해 구획되어 확대축소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도 5(c) 참조), 외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팽출량을 증가시키며, 또한 상단 부근이 부착구멍(8a)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차로 되어 있다. 각 로크구멍(29)은 슬릿(27)의 대략 U자형 중간부와 간격(25b)을 두고 형성되어 가로로 긴 타원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작동)
이하, 상기한 클립(4)의 주된 작동 특징을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해 설명한다. 또,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에 있어서, 부호 8은 자동차의 하측 패널이며, 패널(8)에는 부착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9는 피부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에어로 스패츠이며, 에어로 스패츠(9)에는 부착구멍(8a)에 중첩하는 부착구멍(9a)이 형성되어 있다. 피부착 부재(9)인 에어로 스패츠는 차량 하측이나 휠 하우스 내로 들어와 난류를 일으키는 공기를 제어·정류화시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비교적 긴 부품이며, 차체측의 대응 패널부에 대해서 볼트·너트에 의한 고정과, 복수의 클립(4)에 의한 고정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클립(4)으로서는, 원터치 조작으로 비교적 약한 힘으로 수부재(1)를 암부재(2)에 압입해서 걸어맞춤 가능함과 아울러, 걸어맞춤력 내지는 발거력(拔去力)을 조금이라도 강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3(b)는, 주행 중인 타이어로부터 끌려올라와 날아온 돌이 암부재(2)의 로크 다리부(25)의 선단측에 부딪혀, 수부재(1)에 화살표 즉 빠짐 방향의 응력(F3)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 클립(4)은, 도 4(a) 내지 도 4(e)의 수부재(1) 및 도 5(a) 내지 도 5(e)의 암부재(2)와 같이 단품이면 취급하기 어려우므로, 통상적으로는 도 1이나 도 2(a), 도 2(b)와 같이 수부재(1)를 암부재(2)에 가조립 즉 가고정 상태에서 피부착 부재(9)의 조립 공정에 투입된다. 가고정 조작은, 도 2(a),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부재(1)가 암부재(2)의 삽입구멍(24)에 대해 가이드수단(6), 즉 각 홈(16)을 대응하는 리브(26)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하향으로 눌린다. 그러면, 축부(15)는, 편부분(15a)의 지름 축소 변위를 수반해서 삽입구멍(24)으로 약간 들어가고, 편부분(15a)이 원래의 형상으로 지름 확대 변위함으로써 후크(18)가 로크구멍(29)에 끼워맞춰진다. 도 2(b)에 나타내는 부호 F1은 이렇게 해서 수부재(1)를 하향으로 누르는 응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가고정 구성에서는, 수부재(1)가 암부재(2)에 대해서 전후 또는 좌우의 로크구멍(29, 29) 및 후크(18, 18)의 끼워맞춤과, 좌우 또는 전후의 리브(26, 26) 및 홈(16, 16)의 끼워맞춤, 합계 4개소의 끼워맞춤에 의해 기립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나) 도 3(a)는 도 2(a), 도 2(b)의 가고정 상태에서, 수부재(1)가 삽입구멍(24)에 대해 사용 상태 내지는 본고정 상태의 약간 앞쪽까지 눌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수부재(1)는, 각 편부분(15a)이 로크구멍(29)에 대한 후크(18)의 끼워맞춤 해제에 의해 지름 축소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고, 그 탄성 변위에 수반하는 압접력을 발현시킨다. 또한, 걸어맞춤수단(3)에 있어서는, 도 3(a)의 확대도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각 편부(22a)가 후크부(14)에 맞닿으면 그 후크부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인 외측으로 탄성 변위하며, 또한 각 편부(13)가 편부(22a)로부터 후크부(14)를 통해서 받는 응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 즉 슬릿(12)측으로 탄성 변위한다. 이와 같은 양쪽의 변위에 의해, 걸어맞춤수단(3)으로서는, 후크부(14) 및 구멍부(23)의 걸어맞춤력을 크게 해도 비교적 약한 화살표 방향의 응력(F2)(도 3(a) 참조)에 의해 걸어맞춤 조작 가능해진다. 걸어맞춤 후에는 걸어맞춤 해제 즉 암부재(2)에 대해서 수부재(1)의 빠짐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상의 클립(4)에서는, 걸어맞춤수단(3)에 의한 걸어맞춤력을 증대시키는 경우에도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누름 응력(F2)은 응력(F1)에 비해 걸어맞춤수단(3)에 대응한 만큼만 커진다.
(다) 도 3(b)는 수부재(1)가 암부재(2)에 대해 걸어맞춰진 사용 상태 내지는 본고정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1)는, 암부재의 삽입구멍(24)에 대해서 압착수단인 후크(18)가 편부분(15a)에 변위 응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삽입구멍(24)의 내면에 압접해 있고 그 압접력과, 걸어맞춤수단(3)에 의한 걸어맞춤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걸어맞춤수단(3) 즉 후크부(14) 및 구멍부(23)의 걸어맞춤에서는, 머리부(10)가 플랜지부의 주위벽(22)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 예를 들면 날아온 돌이 머리부(10)에 바로 부딪히기 어렵고, 추가적으로 주위벽(22)에 후크부(14)와 걸어맞춰지는 구멍부(23)를 수부재의 빠짐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후크부(14)가 구멍부(23)에 탄성에 의해 걸어맞춰진 후에는 걸어맞춤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상의 클립(4)은 걸어맞춤 조작력을 약하게 하며, 또한 발거력 내지는 걸어맞춤력을 증대시킨다는 배반하는 요구를 만족하기 쉬워진다. 물론, 이상의 걸어맞춤수단(3)에서는, 후크부(14)가 구멍부(23)에 걸어맞춰질 때에 서로의 후크부(14) 및 편부(22a)가 탄성 변위하기 때문에 큰 절도감이 얻어진다는 이점도 있다.
(변형예)
이상의 클립은, 도 6(a), 도 6(b)의 변형예 1이나 2, 도 7(a), 도 7(b) 및 도 8의 변형예 3과 같이 변형 가능하다. 각 변형예의 설명에서는, 도 1∼도 6(b)에 도시한 부재나 부위와 같은 것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극력 줄이는 것으로 한다.
도 6(a)의 변형예 1은 상기 형태예의 편부(13)가 양단을 머리부(10)에 일체화시킨 구성인데 반해, 편부(13a)를 캔틸레버 타입으로 변경한 일례이다. 즉, 이 편부(13a)는 일단이 머리부(10)에 일체화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편부(13)에 비해서 탄성 요동이 많다.
도 6(b)의 변형예 2는, 상기 형태예의 구멍부(23)을 작은 끼워맞춤구멍(23a)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형태예의 편부(22a)에 상당하는 편부(22b)가 양측에 형성된 세로 슬릿(22d)에 의해 탄성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후크부(14)를 끼워맞춤구멍(23a)에 걸어맞춘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 가능해져 편부(22b)가 편부(22a)에 비해 탄성 요동이 많다.
도 7(a), 도 7(b) 및 도 8의 변형예 3은 상기 형태예의 후크부(14)를 구비한 편부(22a) 및 구멍부(23)를 변경한 것이다. 즉, 변형예 3에 있어서, 각 편부(7)는, 머리부(10)의 하면에 축부(15)를 사이에 둔 개소로부터 축부(15)와 대략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에 후크부(7a)를 갖고 있다. 부호 10a는 머리부(10)에 관통되어 있는 틀빼기 구멍이다. 또한, 플랜지부(20)는 상기 형태예의 것에 비해 주위벽(22)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점, 하면에는 각 편부(7)와 대응한 개소에 도피홈(20a)이 형성되어 있는 점, 후크부(7a)를 구비한 편부(7)를 통과시키는 상하로 관통된 구멍부(21a)가 형성되어 있는 점, 구멍부(21a)를 형성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21b)를 슬릿(21c)의 존재에 의해 요동 변위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변경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수단(3)은, 도 7(b)의 가고정 상태로부터 수부재(1)가 삽입구멍(24)에 대해 도 8의 사용 상태 내지는 본고정 상태의 약간 전방까지 눌리면, 각 후크부(7a)가 상기 일부(21b)를 슬릿(21c)측으로 변형시키면서 구멍부(21a)를 통과해 걸어맞춰진다. 요점은, 걸어맞춤수단(3)을 상기 형태나 변형예 1, 2의 구성으로 한정시키지 않아 설계상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클립은, 각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면, 세부는 이 형태 및 변형예를 참고해서 더욱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형태예 및 각 변형예의 걸어맞춤수단 대신에, 편부 및 후크부를 암부재의 플랜지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해당 후크부에 걸어맞춰지는 구멍부를 수부재의 머리부에 형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용도로서는, 형태예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며, 또한 명칭도 부착 장치 등이라 칭해도 문제없다.
또한, 2015년 12월 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239530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 : 수부재 2 : 암부재
3 : 걸어맞춤수단(14와 7a는 후크부, 23과 21a는 구멍부)
4 : 클립
5 : 가고정수단(18은 후크, 29는 로크구멍)
6 : 가이드수단(16은 홈, 26은 리브) 7 : 편부
8 : 패널(8a는 부착구멍)
9 : 피부착 부재(9a는 부착구멍) 10 : 머리부(12, 12a는 슬릿)
13 : 편부 13a : 편부
15 : 축부 15a : 탄성 편부분
18 : 편부분의 후크(압착수단) 20 : 플랜지부
22 : 주위벽 21a : 구멍 형성부의 일부
22a : 편부(구멍 형성부의 일부)
22b : 편부(구멍 형성부의 일부) 23a : 끼워맞춤구멍
24 : 삽입구멍 25 : 로크 다리부

Claims (6)

  1.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축부를 가진 수부재와, 상기 축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로크 다리부 및 상기 로크 다리부의 상측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진 암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크 다리부가 상기 축부의 상기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사용 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머리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구속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을 가진 클립으로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머리부 및 플랜지부의 한쪽에 형성된 후크부와,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와 걸어맞춰지는 구멍부로 구성하고,
    상기 후크부를 탄성 요동 가능한 편부(片部)에 돌출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구멍부를 구획하고 있는 구멍 형성부의 일부를 상기 구멍부 내지는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편부는 상하로 관통시킨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머리부를 수용하는 주위벽을 가지며 상기 주위벽에 상기 구멍부를 수평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편부는 상기 축부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머리부를 수용하는 주위벽을 가지며 상기 구멍부를 상기 주위벽의 내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다리부는, 선단을 폐색한 바닥을 가지는 통형을 이루며, U자형의 슬릿을 통해서 구획되어 지름 방향으로 확대축소 가능한 부착용 로크편을 가지고, 상기 로크편이 상기 축부의 상기 삽입구멍에 대한 압입에 의해 지름 축소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에 가조립하는 가고정수단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할 때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했을 때에 압접하는 압착수단으로서의 축부의 가고정용 후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에 가조립하는 가고정수단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할 때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축부를 상기 로크 다리부의 통 내에 압입했을 때에 압접하는 압착수단으로서의 축부의 가고정용 후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87016093A 2015-12-08 2016-12-05 클립 KR10206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9530 2015-12-08
JP2015239530A JP6466310B2 (ja) 2015-12-08 2015-12-08 クリップ
PCT/JP2016/086029 WO2017099031A1 (ja) 2015-12-08 2016-12-05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071A KR20180084071A (ko) 2018-07-24
KR102066805B1 true KR102066805B1 (ko) 2020-01-15

Family

ID=5901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93A KR102066805B1 (ko) 2015-12-08 2016-12-05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2179B2 (ko)
EP (1) EP3388693B1 (ko)
JP (1) JP6466310B2 (ko)
KR (1) KR102066805B1 (ko)
CN (1) CN108291567B (ko)
WO (1) WO2017099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5479B (zh) * 2018-07-27 2023-04-2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紧固件组件以及方法
CN109449564B (zh) * 2018-11-28 2020-12-25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天线用支撑结构
JP6986006B2 (ja) * 2018-12-27 2021-12-22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117028377A (zh) * 2019-04-12 2023-11-10 株式会社Ihi空间技术 接头结构体及其装配方法
EP3805485A1 (de) * 2019-10-09 2021-04-14 DOKA GmbH Anker
CN115265170B (zh) * 2022-06-30 2023-05-26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多舱清洗消毒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8258B1 (fr) 1988-06-21 1993-08-11 Automobiles Peugeot Système de fixation d'un garnissage et d'un élément tel qu'une poignée sur un panneau de carrosserie
JP2004156722A (ja) 2002-11-07 2004-06-03 Nifco Inc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JP2006088985A (ja) 2004-09-27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8075696A (ja) 2006-09-19 2008-04-03 Denso Corp 固定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計器
JP2009103234A (ja) 2007-10-24 2009-05-14 Nifco Inc クリップ
JP2014238109A (ja) 2013-06-06 2014-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5509B2 (ko) * 1972-07-26 1978-09-27
US4872087A (en) * 1987-01-20 1989-10-03 Pass & Seymour, Inc. Mechanical assembly means for grand fault interrupter receptacle
DE3909570A1 (de) * 1989-03-23 1990-09-27 Vdo Schindling Lastverstelleinrichtung
JPH07110021A (ja) 1993-10-12 1995-04-25 Nifco Inc 留め具
US5648756A (en) * 1994-12-16 1997-07-15 Zadok; Shlomo Third brake light and illuminated message combination
US5577779A (en) * 1994-12-22 1996-11-26 Yazaki Corporation Snap fit lock with release feature
US5775860A (en) * 1997-05-15 1998-07-07 Illinois Tool Works Inc. Plastic rivet having integral drive pin and body
CN100451357C (zh) 2004-05-31 2009-01-14 百乐仕株式会社 卡子
JP2007225092A (ja) 2006-02-27 2007-09-06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4870488B2 (ja) * 2006-07-13 2012-02-0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高固定強度の固定具
JP2008095880A (ja) 2006-10-13 2008-04-24 Piolax Inc 部品の取付構造
JP5036816B2 (ja) 2007-07-12 2012-09-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US20110017742A1 (en) * 2009-07-23 2011-01-27 Delphi Technologies, Inc. In-Groove Snap Fastener
JP5378251B2 (ja) * 2010-01-29 2013-12-25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JP5602511B2 (ja) * 2010-06-21 2014-10-08 株式会社ニフコ クランプ
JP5849879B2 (ja) * 2012-07-17 2016-02-03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917790B (zh) * 2012-07-30 2015-11-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固定件、固定件拆除结构及帘式安全气囊固定装置
US9592786B2 (en) * 2013-06-06 2017-03-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ip, curtain airbag mounting structure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6406787B2 (ja) 2014-10-23 2018-10-17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8258B1 (fr) 1988-06-21 1993-08-11 Automobiles Peugeot Système de fixation d'un garnissage et d'un élément tel qu'une poignée sur un panneau de carrosserie
JP2004156722A (ja) 2002-11-07 2004-06-03 Nifco Inc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JP2006088985A (ja) 2004-09-27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8075696A (ja) 2006-09-19 2008-04-03 Denso Corp 固定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計器
JP2009103234A (ja) 2007-10-24 2009-05-14 Nifco Inc クリップ
JP2014238109A (ja) 2013-06-06 2014-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1567B (zh) 2021-03-05
JP6466310B2 (ja) 2019-02-06
US11092179B2 (en) 2021-08-17
US20200263717A1 (en) 2020-08-20
CN108291567A (zh) 2018-07-17
KR20180084071A (ko) 2018-07-24
EP3388693A1 (en) 2018-10-17
EP3388693B1 (en) 2024-05-01
JP2017106512A (ja) 2017-06-15
EP3388693A4 (en) 2019-08-07
WO2017099031A1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805B1 (ko) 클립
US8591160B2 (en) Clip
US8636454B2 (en) Fastener
US20080298925A1 (en) Two-piece clip
US8393058B2 (en) Clip
JP4535892B2 (ja) クリップ
US10451100B2 (en) Reusable fastening clip assembly
US20100293761A1 (en) Clip
US20190048907A1 (en) Clip
JP4485281B2 (ja) 留め具
US9776578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fixing structure
CN109952441B (zh) 铆钉紧固件组装件
JP6255033B2 (ja) 止め具
JP2018179051A (ja) クリップ
WO2010052960A1 (ja)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JP6281514B2 (ja) 取付クリップとそれを用いた被取付物取付構造
KR20160115703A (ko)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US9790976B2 (en) Fastener
JP5619947B2 (ja) トルクロッド
JP2020101218A (ja) 防振構造体
JP2017144766A (ja) スタッドピン及び外装部品固定構造
JP2010038234A (ja) クリップ
JP2006125571A (ja) クリップ
JP2005112287A (ja) Ea材の取付構造
JP2015230016A (ja) 車両用部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