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703A -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703A
KR20160115703A KR1020160021201A KR20160021201A KR20160115703A KR 20160115703 A KR20160115703 A KR 20160115703A KR 1020160021201 A KR1020160021201 A KR 1020160021201A KR 20160021201 A KR20160021201 A KR 20160021201A KR 20160115703 A KR20160115703 A KR 2016011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ounting
body panel
leg
mount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407B1 (ko
Inventor
가즈히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11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6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with an additional lock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장착 클립 (10) 은, 피장착물 (94) 을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고, 헤드부 (22) 및 레그 (30) 를 갖는 부시 (20) 와, 로크 핀 (50) 을 갖는다. 부시 (20) 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갖는다. 각 걸림 클로 (40) 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와, 헤드부측 걸림부 (42) 보다 레그의 선단측으로 떨어진 부위에 형성된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를 갖는다. 각 걸림 클로 (40) 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로부터 헤드부 (22) 를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 (46) 를 가져도 된다.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가 보디 패널 (90) 에 걸렸을 때에는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레그 (30)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가 저감되어, 레그 (30) 에서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2 단의 걸림부 (42, 44) 를 갖는 장착 클립 (10) 의 발거 내력은, 종래의 1 단의 걸림부의 경우보다 향상된다.

Description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FIXING CLIP AND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MEMBER TO BE INSTALLED USING THE FIXING CLIP}
본 발명은, 장착 클립 및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피장착물 장착 구조는 피장착물 장착 장치라고 해도 된다. 이하, 동일) 에 관한 것이다. 피장착물은, 예를 들어 커튼 에어백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20409호는, 종래의 장착 클립 (이하, 종래 장착 클립이라고 한다) 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 장착 클립은, 부시와 로크 핀으로 이루어지고, 부시는 헤드부와 레그를 가지며, 레그의 대향부에 1 쌍의 걸림 클로가 형성되어 있다. 레그를 보디 패널의 클립 장착공에 끼워넣은 후, 1 쌍의 걸림 클로 사이에 로크 핀을 삽입하여 걸림 클로의 장착 클립 중심 축선측으로의 변위를 저지함으로써, 커튼 에어백 (피장착물) 의 전개시 등과 같이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과대한 발거 (拔去) 하중이 가해졌을 때,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 장착 클립에서는, 각 걸림 클로에는, 보디 패널에 대한 걸림부가 클립 축방향으로 1 단만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클로의 걸림부는, 레그의 비교적 헤드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피장착물) 의 팽창, 전개시와 같이,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장착 클립 중심 축선으로부터 오프셋한 부위에 과대한 발거 하중이 작용하면, 장착 클립은 보디 패널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디 패널의 클립 장착공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발거 하중 반력을 받는다. 이 때, 1 쌍의 걸림 클로 중 장착 클립 중심 축선보다 발거 하중이 작용하는 측에 있는 걸림 클로에 보다 큰 발거 하중 반력이 작용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20409호
그러나, 종래 장착 클립에는, 다음의 과제가 있다.
걸림부가 걸림 클로에 클립 축방향으로 1 단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걸림부가 클립 장착공의 가장자리부의 에지에 의해 깎여나가면, 계속해서 걸림 클로의 외면부가 깎여 간다. 걸림 클로의 외면부도 깎여 버리면, 깎임에 대한 추가적인 스토퍼가 없기 때문에,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1 단의 걸림부와 걸림 클로의 외면부를 잘 깎이지 않게 하기 위해, 장착 클립의 재료에 POM (폴리아세탈 수지) 이나 유리 함유 PA66 (폴리아미드 66)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강성이 높은 재료는 일반적으로 취성 재료이기 때문에, 레그에 있어서의 헤드부로의 접속부 (레그의 루트부) 가 취성 파단을 일으킬 우려가 제기된다. 또, 1 단의 걸림부가 헤드부에 가까운 레그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디 패널로부터의 발거 하중 반력이 1 단의 걸림부에 작용했을 때 레그의 루트부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가 커져, 레그의 루트부가 인장 굽힘 응력에 의해 파단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 종래 장착 클립으로는, 발거 내력의 대폭적인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 클로를 1 단만 가지고 있었던 종래의 장착 클립보다 발거 내력을 향상시킨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는, 다음의 양태 (구조) 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괄호가 있는 부호는, 도면에 나타내는 부재 번호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장착 클립 (10) 은, 피장착물 (94) 을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고, 헤드부 (22) 및 레그 (30) 를 갖는 부시 (20) 와, 부시 (20) 에 삽입되는 로크 핀 (50) 으로 이루어진다. 부시 (20) 는, 레그 (30) 의 클립 중심 축선 (12)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대향부 (32) 의 외면부에 또한 헤드부 (22) 로부터 레그 선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갖는다.
각 걸림 클로 (40) 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 (端部) 에 형성되고 피장착물 (94) 의 통상 사용시에 보디 패널 (90) 에 걸리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와, 헤드부측 걸림부 (42) 보다 레그의 선단측으로 떨어진 부위에 형성되고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에 최종적으로 보디 패널 (90) 에 걸려 대하중을 받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를 갖는다.
제 1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 (12) 과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로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한 헤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는다.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 (12) 과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로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클립 중심 축선 (12) 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는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걸림부 (42) 가 보디 패널 (90) 에 걸린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지고,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가 헤드부 (22) 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제 1 걸림부 (42A) 및 제 2 걸림부 (44A) 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걸렸을 때에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제 1 걸림부 (42A) 나 그것보다 헤드부측에 위치하고,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제 2 걸림부 (44A) 나 그것보다 레그 선단측에 위치한다.
제 2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걸림 클로 (40) 는, 장착 클립 (10) 의 축 방향으로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에서부터 헤드부 (22) 측으로 헤드부측 걸림부 (42) 까지 연장되는, 서로 병렬인 복수의 리브 (46) 를 가지고 있으며,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리브 (46) 의 헤드부 (22) 측의 끝면으로 이루어진다.
제 3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는, 제 1 ∼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클립 (10) 을 사용하여, 피장착물 (94) 을 사각형의 클립 장착공 (92) 부위에서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하는 피장착물 장착 구조이다.
장착 클립 (10) 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방향을 향하게 하여 보디 패널 (90) 에 설치되어 있다.
제 4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서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착 클립 (10) 의 중심 축선 (12) 은 보디 패널 (90) 에 직교하고 있고, 또한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는 평탄하다.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와 피장착물 (94) 의 보디 패널 (90) 에 대한 장착부 (94a) 는, 부시 (20) 의 헤드부 (22) 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레그의 루트부 (30a) 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에는, 장착 클립 (10) 의 중심 축선 (12) 은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둘레로 기울어지고, 또한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발거 하중이 작용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된다.
제 5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서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피장착물 (94) 이 커튼 에어백이다.
제 6 양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에 대해 기울어질 때, 레그 선단측 걸림부가 보디 패널에 걸릴 때까지, 적어도 헤드부측 걸림부의 깎임이나 보디 패널의 소성 변형 등에 의해 에너지가 흡수되고 있기 때문에, 레그 선단측 걸림부가 보디 패널에 걸렸을 때에 레그 선단측 걸림부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경감된다.
또, 레그 선단측 걸림부가 보디 패널에 걸렸을 때에는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레그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가 저감되어, 레그에서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결과, 헤드부측 걸림부와 레그 선단측 걸림부의, 이른바 2 단의 걸림부를 갖는 본 발명의 장착 클립의 발거 내력은, 1 단의 걸림부를 갖는 종래의 장착 클립의 발거 내력보다 향상된다.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양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헤드부측 걸림부는 리브와 직교하는 방향에 단속상 (斷續狀) 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과대한 부하가 헤드부측 걸림부에 들어갔을 때에 헤드부측 걸림부가 비교적 용이하게 깎여, 큰 쪽의 인장 하중이 작용하는 측의 레그의 헤드부에 가까운 부분에 과대한 부하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에 대해 기울어져 갈 때, 레그 선단측 걸림부가 보디 패널에 걸리기 전에 리브가 깎이기 때문에, 레그 선단측 걸림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된다.
제 4 양태 ∼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발거 내력을 증가시킨 제 1 ∼ 제 3 양태의 장착 클립으로 피장착물을 보디 패널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장착 클립이 파단되어 피장착물이 보디 패널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장착물 장착 구조의 강도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 및 그 장착 클립을 사용한 본 발명의 피장착물 장착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장착 클립 및 피장착물 장착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장착 클립의 바닥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장착 클립의, 5-5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6-6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레그를 클립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해서 본 단면도이다 (도 8 의 장착 클립의 7-7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장착 클립의, 8-8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장착 클립의, 부시 단체 (單體)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외면에 사이드 클로가 형성된 로크 핀의 한 쌍의 아암을 아암의 선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 연결부 둘레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 핀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로크 핀의 한 쌍의 아암을 아암의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에서 연결부 둘레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 핀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3 의 장착 클립의, 12-12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장착 클립의, 로크 핀의 한 쌍의 아암을 아암의 선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 의 장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 의 장착 클립의, 장착 클립을 보디 패널로부터 빼냈을 때, 또는 장착 클립을 보디 패널에 설치하기 전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로크 핀을 부시에 가장 안쪽 위치까지 밀어넣었을 때에 있어서의 부시를 반으로 나눈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 의 장착 클립의, 로크 핀을 부시에 임시 유지 위치까지 삽입하였거나 또는 빼냈을 때에 있어서의 부시를 반으로 나눈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과, 그 장착 클립을 사용한 본 발명의 피장착물 장착 구조의,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장착 클립의, 로크 핀을 빼내는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의,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 (10), 및 장착 클립 (10) 을 사용하여 피장착물 (94) 을 차량의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를, 도 1 ∼ 도 1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18 및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 제 2 실시예를 간단히 제 1 ∼ 제 2 실시예라고 한다. 제 1 ∼ 제 2 실시예에 걸쳐 공통되는 구조 부분에는, 제 1 ∼ 제 2 실시예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면 중, Cfr 은 장착 클립 (10) 의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즉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에 걸쳐 연장되는 방향에서 장착 클립 (10) 을 보았을 때의 장착 클립 (10) 의 전후 방향, 이하, 장착 클립 전후 방향이라고도 한다) 을 나타낸다. 또, Crl 은 장착 클립 (10) 의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즉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에 걸쳐 연장되는 방향에서 장착 클립 (10) 을 보았을 때의, 장착 클립 (10) 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이하, 장착 클립 좌우 방향이라고도 한다) 을 나타낸다. 장착 클립 (10) 은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을 차량의 좌우 방향 (차량의 폭 방향) 을 향하게 하고,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을 차량의 전후 방향 (차량의 길이 방향) 을 향하게 하여, 보디 패널 (90) 에 클립 장착공 (92) 의 부위에서 장착된다. 클립 장착공 (92) 의 형상은, 예를 들어 장방형이다. 도 2 또는 도 18 에 있어서, F 는, 피장착물 (예를 들어, 커튼 에어백) (94) 이 팽창, 전개될 때에 피장착물 (94) 이 장착 클립 (10) 을 잡아당기는 힘을 나타내고, 이점 쇄선 및 점선으로 나타낸 보디 패널 (90) 은, 피장착물 (94) 이 장착 클립 (10) 을 잡아당겨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의, 장착 클립 (10) 에 대한 보디 패널 (90) 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실제는 보디 패널 (90) 이 정지한 상태에서 장착 클립 (10) 이 기울어지지만, 도면은 장착 클립 (10) 이 정지한 상태에서 보디 패널 (90) 이 기울어진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예〕
먼저,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 (10) 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를, 그 작용, 효과와 함께 도 1 ∼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클립 (10) 은, 피장착물 (94) 을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피장착물 (94) 은, 예를 들어, 커튼 에어백 (CSA 라고도 한다, CSA 는 Curtain Shield Airbag 의 약자) 이다. 피장착물 (94) 은,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CSA 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또는 롤 오버시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헤드부를 보호한다. 피장착물 (94) 의 팽창, 전개시에는, 피장착물 (94) 의 탭 (94a) 으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한다. 또, 보디 패널 (90) 은 차량의 패널로, 프론트 필러의 이너 패널이어도 되고, 루프 사이드 레일의 이너 패널이어도 된다.
장착 클립 (10) 은, 합성 수지 재료 또는 그 복합재로 이루어진다. 합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6 이다. 단, 필요한 강도를 가지면, 폴리아미드 66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이나, 폴리아미드 66 의 복합재인 유리 함유 폴리아미드 66 등이어도 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클립 (10) 은, 부시 (20) 와, 부시 (20) 와는 별체인 로크 핀 (50) 으로 이루어진다. 부시 (20) 는, 헤드부 (22) 와, 헤드부 (22)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 (30) 를 갖는다. 헤드부 (22) 및 레그 (30) 의 장착 클립 (10)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은 장방형이고, 헤드부 (22) 의 장방형은 레그 (30) 의 장방형보다 크다. 장착 클립 (10) 은, 헤드부 (22) 및 레그 (30) 의 장방형의 장축 방향을,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하여 클립 장착공 (92) 부위에 장착된다. 헤드부 (22) 는 시트부 (22a) 와 시트부로부터 레그와 반대측에 세워지는 기립부 (22b) 를 갖는다. 헤드부 (22) 에는, 헤드부 (22) 를 장착 클립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크 핀 삽입공 (24) 이 형성된다. 로크 핀 (50) 은 로크 핀 삽입공 (24) 에 삽입된다. 부시 (20) 는, 레그 (30) 의,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을 사이에 두고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에 대향하는 대향부 (32) 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갖는다.
걸림 클로 (40) 는, 장착 클립 (10) 을 보디 패널 (90) 에 장착했을 때나,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했을 때,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장변 (92a) 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도록, 레그 (30) 의 외면보다 외측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을 말한다.
제 1 실시예 (도 1 ∼ 도 17) 및 제 2 실시예 (도 18, 도 19) 에서는, 1 쌍의 레그의 대향부 (32) 가 헤드부 (22)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으로 끝나 있으며, 걸림 클로 (40) 는, 대향부 (32) 의 외면에 레그 (30) 와 일체로 형성된다. 대향부 (32) 의 내면이 로크 핀 (50) 에 접촉 가능하다.
장착 클립 (10) 을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에 장착할 때에는, 장착 클립 (10) 의 레그 (30) 를 피장착물 (94) 의 탭 (94a) 의 구멍에 통과시켜, 레그 (30) 를 클립 장착공 (92) 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 핀 (50) 은 로크 핀 삽입공 (24) 의 최종 압입 위치까지는 밀어넣어져 있지 않아,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는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후퇴 가능하다. 따라서, 걸림 클로 (40) 가 클립 장착공 (92) 을 통과할 때에는, 걸림 클로 (40) 는 클립 장착공 (92) 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눌려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탄성적으로 후퇴하여, 클립 장착공 (92) 을 통과할 수 있다. 걸림 클로 (40) 가 레그 (30) 의 한 쌍의 대향부 (32) 와 함께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탄성적으로 후퇴하는 경우에는, 1 쌍의 대향부 (32) 의 후퇴시의 간섭을 피해 후퇴량을 크게 하기 위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대향부 (32) 의 내면에 1 쌍의 대향부 (32) 의 대향 방향으로 요철되는 요철부 (38) 를 형성하여, 일방의 대향부 (32) 의 볼록부 (38a) 와 타방의 대향부 (32) 의 오목부 (38b) 를 대향시키도록 해도 된다.
걸림 클로 (40) 가 클립 장착공 (92) 을 통과하면, 걸림 클로 (40) 가 원래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이 상태에서 로크 핀 (50) 을 로크 핀 삽입공 (24) 의 최종 압입 위치까지 밀어넣는다. 이 때, 로크 핀 (50) 의 선단부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사이의 위치로 와, 걸림 클로 (40) 는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불능이 되어, 장착 클립 (10) 은 보디 패널 (90) 로부터 빠지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피장착물 (94) 이 보디 패널 (90) 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피장착물 (94) 의 탭 (94a) 과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선단과 헤드부 (22) 의 사이에 위치한다. 탭 (94a) 은, 헤드부 (22) 와 보디 패널 (90) 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시 생략된 탄성 스페이서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눌려 있다. 탄성 스페이서는 부시 (20) 와는 별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혹은 부시 (20) 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피장착물 (94) 의 팽창, 전개시 등,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에는, 피장착물 (94) 은, 시트부 (22a) 의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의 일단부에, 장착 클립 (10) 을 보디 패널 (90) 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또한 보디 패널 (90) 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인장의 발거 하중 (F) 을 가한다. 발거 하중 (F) 은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 (30) 의 루트부에 모멘트가 생긴다.
로크 핀 (50) 은,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가해졌을 때에 그 발거 하중 (F) 의 반력 (Fr) 의 일부 (Fa) (Fa < F, Fa 는 F 와 동일한 방향의 벡터) 를 받는, 즉, 보디 패널 (90)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가해지는 발거 하중 반력 (Fr) (발거 하중 (F) 과 동일한 크기이고 방향이 반대) 의 일부 (Fa) 를 받는, 하중 수용부 (52) 를 갖는다. 하중 수용부 (52) 는, 제 1 실시예에서는 로크 핀 (50) 에 형성한 사이드 클로 (52A) 이고, 제 2 실시예에서는 로크 핀 (50) 에 형성한 하중 수용면 (52B) 이다.
한편, 부시 (20) 는, 로크 핀 (50) 이 받은 발거 하중 (F) 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일부 (Fa) 를 받는 수압면 (26) 을 갖는다. 수압면 (26) 은, 로크 핀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감에 따라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로크 핀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넓혀져 있다. 수압면 (26) 은 만곡된 면이어도 되고 (도 5),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에 직교하는 평면이어도 된다 (도 6).
수압면 (26) 은, 클립 중심 축선 (12) 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서 레그 (30) 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부시 (20) 의 헤드부 (22) 의 내측에 형성된다. 수압면 (26) 의, 클립 중심 축선 (12) 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헤드부 (22) 의 내측보다 레그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는, 즉, 시트부 (22a) 의 하면 (시트부 (22a) 의 레그 선단측 끝면) 의 장착 클립 축방향 위치보다 레그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50) 은, 로크 핀 (50) 이 가장 안쪽 압입 위치까지 부시 내로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부시 (20) 의 수압면 (26) 에 장착 클립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출되는 팽출부 (64) 와, 팽출부 (64) 에 형성되고 수압면 (26) 에 접촉하여 수압면 (26) 을 클립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가압면 (66) 을 갖는다. 로크 핀 (50) 이 받은 발거 하중분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일부 (Fa)) 은, 가압면 (66) 으로부터 수압면 (26) 으로의 하중의 전달에 의해 부시 (20) 에 전달된다.
수압면 (26) 의 전체면 또는 거의 전체면이, 부시 (20) 의 헤드부 (22) 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부시 (20) 의 헤드부 (22) 는, 로크 핀 (50) 을 통하여 전달되는 발거 하중 (F) 의 반력 (Fr) 의 일부 (Fa) 와, 레그 (30) 의 루트부 (레그 (30) 의 헤드부 (22) 로의 접속부) 를 통하여 전달되는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잔부 (Fb) (Fb = Fr - Fa, Fb 는 Fr 과 동일한 방향의 벡터) 를 받는다. 로크 핀 (50) 이 받은 발거 하중분 (Fa) 은, 부시 (20) 의 레그 (30) 를 개재하지 않고, 로크 핀 (50) 자체를 통하여 부시 (20) 의 헤드부 (22) 에 전달된다.
로크 핀 (50) 에 하중 수용부 (52) 를 형성한 것으로 인하여,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종래에는, 로크 핀이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작용하는 발거 하중을 맡는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로크 핀 (50) 에 하중 수용부 (52) 를 형성하여 로크 핀 (50) 이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일부 (Fa) 를 받도록 하였기 때문에,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에 그 발거 하중 (F) 을 부시 (20) 와 로크 핀 (50) 의 양방에서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종래보다, 로크 핀 (50) 이 맡는 하중 (Fa) 분, 부시 (20) 의 레그 (30) 가 맡는 하중이 F 에서 Fb 로 저감된다. 반대로, 레그 (30) 가 하중 (F) 을 맡는 경우에는, 로크 핀 (50) 이 맡는 하중 (Fa) 분, 장착 클립 (10) 의 발거 내력을 (F + Fa) 로 향상시킬 수 있어, 장착 클립 (10) 이 받을 수 있는 발거 하중 (F)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수압면 (26) 의 전체면 또는 거의 전체면이, 부시 (20) 의 헤드부 (22) 의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로크 핀 (50) 이 받은 하중 (Fa) 이, 부시 (20) 의 레그 (30) 를 개재하지 않고 또는 거의 개재하지 않고, 로크 핀 자체를 통하여 헤드부 (22) 의 내측의 팽출부 (64) 에 전달되고, 그곳으로부터 부시 (20) 의 수압면 (26) 에 전달된다. 그 결과, 부시 (20) 의 레그 (30) 의 부담을 종래의 F 에서 Fb 로 경감시킬 수 있어, 부시 (20) 가, 레그 루트부에서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그 작용, 효과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2, 제 3 실시예에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 (10) 은, 추가로 다음의 구조와 그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50) 은, 로크 핀 (50) 이 부시 (20) 내의 가장 안쪽 압입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레그 (30)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측면보다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Crl) 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클로 (52A) 를 갖는다. 사이드 클로 (52A) 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중 수용부 (52) 를 구성한다.
로크 핀 (50) 에 사이드 클로 (52A) 를 형성한 경우, 보디 패널 (90)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작용하는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일부 (Fa) 를 직접 로크 핀 (50) 에서 받고, 로크 핀 (50) 에서 받은 하중 (Fa) 을, 부시 (20) 의 레그 (30) 나 걸림 클로 (40) 를 개재하지 않고, 로크 핀 자체를 통하여 부시 (20) 의 헤드부 (22) 에 전달할 수 있어, 헤드부 (22) 의 수압면 (26) 에서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하중 전달에 있어서의 레그 (30) 나 걸림 클로 (40) 의 부담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부시 (20) 의 레그 (30) 나 걸림 클로 (40) 를 개재하지 않는 만큼, 하중 수용부 (52) 에서부터 수압면 (26) 까지의 하중 전달 루트를 단순화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 2 실시예는, 하중 전달 루트에 걸림 클로 (40) 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 비해도 걸림 클로 (40) 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어, 하중 전달 루트를 단순화할 수 있다.
로크 핀 (50) 이 부시 (20) 에 삽입되어 임시 유지 위치 (도 13) 로부터 가장 안쪽 압입 위치 (도 12) 까지 밀어넣어지는 도중에, 사이드 클로 (52A) 가 펼쳐지고, 가장 안쪽 압입 위치에서 사이드 클로 (52A) 를 레그 (30)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측면보다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Crl) 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부시 (20) 의 레그 (30) 의 대향부 (장착 클립 전후 방향의 대향부) (32) 의 내면에 그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면 (28)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 (28) 은, 로크 핀 (50) 이 부시 (20) 내의 임시 유지 위치 (도 13) 로부터 가장 안쪽 압입 위치 (도 12) 로 밀어넣어질 때까지의 도중에 로크 핀 (50) 에 슬라이딩 접촉을 개시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면 (28) 은, 로크 핀 (50) 의 부시 (20) 로의 삽입 방향으로 또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로크 핀 (50) 이 부시 (20) 내로 삽입될 때, 1 쌍의 사이드 클로 (52A) 를 펼친다. 로크 핀 (50) 은 연결부 (60)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1 쌍의 아암 (58) 을 갖고, 사이드 클로 (52A) 는 아암 (58) 의 외면에 아암 (58)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시 (20) 에 형성된 가이드면 (28) 은, 로크 핀 (50) 이 부시 (20) 내의 가장 안쪽 압입 위치로 밀어넣어질 때에 아암 (58) 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아암 (58) 을 연결부 (60) 둘레로 회동시켜, 사이드 클로 (52A) 를 아암 (58) 과 함께 장착 클립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친다.
로크 핀 (50) 이 임시 유지 위치 (도 13) 에 있을 때에는, 1 쌍의 사이드 클로 (52A) 간의 거리가 좁혀진 상태에 있어, 연결부 (60) 가 그 상태로 장기간 친숙해져 있으면, 로크 핀 (50) 이 압입되었을 때에 1 쌍의 사이드 클로 (52A) 가 연결부 (60) 의 탄성만으로 펼쳐진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부시 (20) 에 가이드면 (28) 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로크 핀 (50) 을 부시 내의 가장 안쪽 압입 위치까지 밀어넣었을 때, 사이드 클로 (52A) 를 보디 패널 (90) 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따라서 확실하게 펼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장착물 (94) 의 팽창, 전개시 등,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에는, 장착 클립 (10) 에 인장력 (F) 과 모멘트가 가해지기 때문에, 장착 클립 (10) 은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보디 패널 (90) 에 걸린다. 도 2 는, 장착 클립 (10) 이 정지되어 있고 보디 패널 (90) 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는 보디 패널 (90) 이 정지된 상태에서 장착 클립 (10) 이 기울어진다.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장착 클립 (10)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중 일방의 걸림 클로 (40) 의 제 1 걸림부 (42A) 와 타방의 걸림 클로 (40) 의 제 2 걸림부 (44A) 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걸린다. 제 1 걸림부 (42A) 및 제 2 걸림부 (44A) 의, 헤드부 (22) 로부터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다. 제 1 걸림부 (42A) 및 제 2 걸림부 (44A) 의 헤드부 (22) 로부터의 거리는, 장착 클립 (10) 의 보디 패널 (90) 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변화한다.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는 경우보다, 레그 (30) 의 루트부 (레그의 헤드부로의 접속부) (30a)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와 인장력이 대폭 저감되어, 장착 클립 (10) 의 발거 내력이 향상된다. 상세하게는, 장착 클립 (10) 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인장력 (F) 은 보디 패널 (90)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각도 A (각도 「A」는 장착 클립 (10) 의 중심 축선 (12) 과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중심에서의 법선이 이루는 각도, 도시 생략) 만큼 기울어졌을 때에는, 레그 (30) 에서부터 인장력 (F) 의 작용선까지의 거리가 〔그 거리 × cos A〕로 저감되고, 또한, 레그 (30) 의 축 방향에 가해지는 인장력도 〔그 인장력 × cos A〕로 저감된다. 그 결과, 레그 (30) 의 루트부 (헤드부로의 접속부) (30a)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와 인장력이, 각각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직교한 채로 보디 패널 (90) 에 걸리는 경우에 비해 대폭 저감된다. 그 결과, 부시 (20) 가 레그 (30) 의 루트부 (30a) 에서 파단되는 것이 억제되어, 장착 클립 (10) 의 발거 내력이 대폭 향상된다.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걸리는 것, 및 그것에 의해 장착 클립 (10) 의 발거 내력이 향상되는 것은,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각 걸림 클로 (40) 는, 헤드부 (22) 로부터 레그 선단측으로 떨어져 있다. 각 걸림 클로 (40) 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에 위치하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와, 헤드부측 걸림부 (42) 로부터 레그 선단측으로 떨어진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의 2 단의 걸림부를 갖는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레그 (30) 의 헤드부 (22) 로부터 떨어진 부위의 외면으로부터 레그 선단측 또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레그 (30) 의 외면으로부터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으로 단속되어 있어도 된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의 장착 클립 축방향에 있어서의 강도, 강성은,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의 장착 클립 축방향에 있어서의 강도, 강성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의 장착 클립 축방향에 있어서의 강도, 강성은,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갈 때,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에지에 의해 적절히 깎여, 걸림 클로 (40) 와 레그 (30) 에 과대한 충격 하중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가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에지가 최종적으로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에 걸렸을 때에 그 이상으로 클로가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즉, 깎임의 최종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장착 클립 축방향에 있어서의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의 하방의 클로 부분의 두께로부터 정해지는 충분한 강도와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및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와, 전술한 제 1 걸림부 (42A) 및 제 2 걸림부 (44A) 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도 2 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보디 패널) 에 대해 임의의 기울기를 가지고 기울어지고, 장착 클립 (10) 이 제 1 걸림부 (42A) 와 제 2 걸림부 (44A) 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걸렸을 때, 제 1 걸림부 (42A) 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나 그것보다 레그 선단측에 있고, 제 2 걸림부 (44A) 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나 그것보다 헤드부측에 있다.
각 걸림 클로 (40) 를 2 단의 걸림부 (42, 44) 로 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는다. 즉, 작은 기울기에서는, 헤드부측 걸림부 (42) 및 그 내측의 레그 (30) 의 대향부 (32) 의 외면부 (두께 방향 외측부) 가 깎여, 레그 (30)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와 인장력을 저감시킨다. 큰 기울기에서는, 보디 패널 (90) 이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에 걸렸을 때,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와 그 내측의 레그 대향부 (32) 의 외면부 (두께 방향 외측부) 가 그 이상으로 깎이는 것을 억제한다. 이로써,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가 전부 깎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 클로 (40) 를 깎이기 쉽도록 하는 것과 잘 깎이지 않게 하는 것의 상반되는 2 가지 특성을 2 단의 걸림부 (42, 44) 로 함으로써 양방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각 걸림 클로 (40) 는, 장착 클립 축방향에,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에서부터 헤드부측까지, 연속상 또는 비연속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46)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비연속상인 경우에는, 리브 (46) 는 줄무늬상이 된다. 걸림 클로 (40) 가 리브 (46) 를 갖는 경우, 리브 (46) 의 헤드부측의 단부가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걸림부 (42) 가 된다. 도 1, 도 9 및 도 14 는, 걸림 클로 (40) 가 장착 클립의 좌우 방향 (Crl) 에 서로 병렬인 연속상 리브 (46) 로 이루어지고, 리브 (46) 와 리브 (46) 의 사이가 레그 (30) 의 외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헤드부측 걸림부 (42) 는,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으로, 리브 (46) 와 리브 (46) 의 사이에서 끊어져 있어,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으로 비연속이다. 또,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Crl) 으로, 리브 (46) 와 리브 (46) 의 사이에서 연속되어 있어,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Crl) 으로 연속이다. 리브 (46) 의 부위에서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는 리브 (46) 와 일체이다.
걸림 클로 (40) 가 리브 (46) 를 갖는 경우에는, 리브 (46) 의 폭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갈 때에 있어서의, 헤드부측 걸림부 (42) 를 포함하는 리브 (46) 와 리브 (46) 의 내측의 레그 대향부 (32) 의 외면부의,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의 에지에 의한 깎임 용이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리브 (46) 및 리브 내측의 레그 대향부 (32) 의 외면부는 깎일 때에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가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에 걸릴 때의 충돌 속도가 완화된다. 이로써, 레그 선단측 걸림부 (44) 와 그 내측의 레그 대향부 (32) 의 외면부가,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의 에지에 의해 깎이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이 걸림 클로 (40) 에 2 단의 걸림부 (42, 44) 를 형성하는 것, 및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에 비연속의 복수의 리브 (46) 를 형성하는 것의 구조, 작용, 효과는,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로크 핀 (50) 의 하중 수용부 (52) 가 사이드 클로 (52A) 로 이루어지는 경우, 장착 클립 (10) 은 추가로 다음의 구조를 취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50) 이 로크 핀 삽입공 (24) 에 가장 안쪽 압입 위치까지 밀어넣어진 상태에서는, 로크 핀 (50) 의 사이드 클로 (52A) 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과 직교하는 방향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에 위치한다.
또, 로크 핀 (50) 의 사이드 클로 (52A) (의 후술하는 걸림면 (54)) 는, 각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보다 장착 클립 (10) 의 축 방향으로 레그 선단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아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 (42) 가 양방 모두 보디 패널 (90) 에 걸려 있는 통상 상태에서는, 로크 핀 (50) 의 사이드 클로 (52A) 는, 보디 패널 (90) 로부터 레그 선단측으로 멀어진 위치에 있어, 보디 패널 (90) 에 걸려 있지 않다.
이들 구조에 의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드 클로 (52A) 가,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를 연결하는 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진다. 이 때, 사이드 클로 (52A) 가 걸리는 보디 패널 부분, 즉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의 단변의 가장자리부가, 사이드 클로 (52A) 에 의해 발거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확개되는 변형에 대해 저항한다. 이로써, 사이드 클로 (52A) 도 발거 하중 (F) 의 일부 (Fa) 를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또, 장착 클립 (10) 의 기울기가 클립 장착공 (92) 의 장변의 가장자리부에 의해서만 규제되는 경우에 비해, 장착 클립 (10) 의 보디 패널 (90) 에 대한 기울기가 저감된다.
또, 사이드 클로 (52A) 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보다 레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경우, 피장착물 (94) 로부터의 발거 하중이 장착 클립 (10) 에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 사이드 클로 (52A) 에 적당한 부하가 가해지게 되어,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작용하는 발거 하중 (F) 을 사이드 클로 (52A) 와 걸림 클로 (40) 에서 균형있게 분담하여 받을 수 있다. 만일 사이드 클로 (52A) 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단부와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있으면, 사이드 클로 (52A) 가 부담하는 하중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의, 제 1 걸림부 (42A), 제 2 걸림부 (44A) 와, 사이드 클로 (52A) (의 후술하는 걸림면 (54)) 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장착 클립 (10) 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 (22) 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제 1 걸림부 (42A) 및 제 2 걸림부 (44A) 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걸렸을 때, 제 1 걸림부 (42A) 는 사이드 클로 (52A) 보다 헤드부측에 있고, 제 2 걸림부 (44A) 는 사이드 클로 (52A) 보다 레그 선단측에 있다.
보디 패널 (90)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가해지는 발거 하중 반력 (Fr) 중 사이드 클로 (52A) 가 분담하는 하중 (Fa) 이외의 하중 (Fb) 은, 제 1 걸림부 (42A) 와 제 2 걸림부 (44A) 에 가해지고, 사이드 클로 (52A) 가 분담하는 하중은 사이드 클로 (52A) 에 가해진다. 이 경우, 제 1 걸림부 (42A) 와 사이드 클로 (52A) 와 제 2 걸림부 (44A) 는, 각각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 클립 (10) 에 가해지는 발거 하중의 반력은, 제 1 걸림부 (42A) 와 사이드 클로 (52A) 와 제 2 걸림부 (44A) 에 균형있게 분담되어 받게 된다.
또, 제 2 걸림부 (44A) 가 있는 측의 (즉,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보다 피장착물 (94) 의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는 측에 있는) 걸림 클로 (40) 가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에지에 의해 깎일 때에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로써, 충격 하중에 의한, 제 2 걸림부 (44A) 가 있는 측의 걸림 클로 (40) 의 파단, 및 제 2 걸림부 (44A) 가 있는 측의 걸림 클로 (40) 가 형성되어 있는 레그 (30) 의 루트부 (30a) 의 파단이 억제된다. 걸림 클로 (40) 가 리브 (46) 를 갖는 경우에는, 에너지 흡수가 효과적이 되어, 한층 더 레그 (30) 의 루트부 (30a) 의 파단이 억제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50) 의 사이드 클로 (52A) 는, 걸림면 (54) 을 갖는다. 사이드 클로 (52A) 는 걸림면 (54) 으로부터 아암 (58) 의 외면을 따라 세워지는 보강 리브 (「융기부」라고도 한다) (56)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보강 리브 (56) 는,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50)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각 외면에 1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각 아암 (58) 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보강 리브 (56) 가 2 개 형성되어 있다.
걸림면 (54) (의 연장면) 은,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과 직교하거나 또는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면 (54) 은, 로크 핀 (50) 이 부시 (20) 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 클립 축방향으로 부시 (20) 의 헤드부 (22) 에 대향한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통상 사용시에는, 걸림면 (54) 은, 부시 (20) 의 헤드부 (22) 로부터 장착 클립 축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에는, 걸림면 (54) 은 보디 패널 (90) 에 걸린다. 로크 핀 (50) 의 걸림면 (54) 보다 헤드부 (22) 와 반대측 부분은, 클립 축방향에,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걸림면 (54) 에 발거 하중의 반력이 작용하여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다.
보강 리브 (56)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외면은, 걸림면 (54)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외측단으로부터 걸림면 (54) 의 루트측으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헤드부 (22) 를 향해 세워지는 기립면 (56a) 과, 기립면 (56a) 의 헤드부 (22) 측의 단부로부터 헤드부측 또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면 (56b) 으로 이루어진다. 기립면 (56a) 과 걸림면 (54) 의 접속부는 만곡면으로 되어도 된다.
보강 리브 (56) 는, 걸림면 (54) 과, 로크 핀 (50) 의 아암 (58)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외면과,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도 12, 도 14 에 나타낸다) 에 형성된, 걸림면 (54) 과 로크 핀 (50) 의 아암 (58)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외면을 접속시키는 코너부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의 일부) 의 만곡면에 일체 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보디 패널 (90) 로부터의 발거 하중 반력 (F) 이 사이드 클로 (52A) 에 작용했을 때에는, 보강 리브 (56) 와 그 내측의 아암 외면 부분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에지에 의해 깎여도 된다. 단, 깎이지 않아도 된다. 보강 리브 (56) 와 그 내측의 아암 외면 부분이 깎이는 경우에서,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가 걸림면 (54) 에 걸렸을 때에는, 걸림면 (54)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 패널 (90) 에 의해 눌려 찌부러져도 되고, 혹은 눌려 찌부러짐과 함께 클립 장착공 (92) 의 에지에 의해 일부가 깎여도 된다.
보강 리브 (56) 는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를 직접 보강하기 때문에, 보디 패널 (90) 로부터의 발거 하중 반력 (Fr) 의 일부 (Fa) 가 사이드 클로 (52A) 에 작용했을 때에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에 굽힘 응력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보강 리브 (56) 는, 장착 클립 (10) 을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으로 클립 장착공 (92) 의 중앙으로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리브로서도 작용한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갈 때, 보강 리브 (56) 가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면,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는, 보강 리브 (56) 에 의해 눌려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된다. 보강 리브 (56) 가 걸리는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는, 장방형 클립 장착공 (92) 의 단변 (92b) 의 가장자리부이다.
또, 보강 리브 (56) 를 형성한 경우,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의 코너부, 즉 걸림면 (54) 과 아암 (58) 의 외면의 사이의 코너부가 보강 리브 (56) 에 의해 직접 보강된다. 이로써,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에 대해 기울어져 가, 보디 패널 (90) 이 걸림면 (54) 에 걸렸을 때, 걸림면 (54) 의 루트부 (54a) 의 코너부로부터 균열이 발생하여 사이드 클로 (52A) 가 파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 (20) 의 레그 (30) 의 내면에, 사이드 클로 (52A) 가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사이드 클로 (52A) (보다 정확하게는, 외면에 사이드 클로 (52A) 가 형성된 아암 (58)) 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면 (36) 이 형성되어 있다. 레그 (30) 는 장착 클립 (10) 의 전후 방향 (Cfr) 에 대향하는 대향부 (32) 의 내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의, 장착 클립 (10) 의 좌우 방향 (Crl) 의 외면에서, 사이드 클로 (52A) 의 내면 (보다 정확하게는, 외면에 사이드 클로 (52A) 가 형성된 아암 (58) 의 내면) 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부분에 지지면 (36) 이 형성되어 있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 (10) 이 보디 패널 (90) 로 기울어져, 보디 패널 (90) 로부터의 발거 하중 반력 (Fr) 이 사이드 클로 (52A) 의 걸림면 (54) 에 작용했을 때, 1 쌍의 사이드 클로 (52A) 는, 로크 핀 (50) 의 연결부 (60) 둘레로, 클립 중심 축선 (12) 측 또한 하방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지면 (36) 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클로 (52A) 는 회동할 수 없다. 이로써, 사이드 클로 (52A) 는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발거 하중 반력 (Fr) 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로크 핀 (50) 의 한 쌍의 아암 (58) 은, 1 쌍의 아암 (58) 을 연결하는 연결부 (60) 둘레로 회동 변형 가능하다. 서비스시에 장착 클립 (10) 을 보디 패널 (90) 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로크 핀 (50) 을 가장 안쪽 압입 위치 (도 12, 도 16) 에서부터 적어도 임시 유지 위치 (도 13, 도 17) 까지 부시 (20) 에 대해 발출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이드 클로 (52A) 가 레그 (30) 의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의 양 끝면이나 그것보다 내측으로 회동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사이드 클로 (52A) 의 회동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크 핀 (50) 은, 연결부 (60) 의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공구 삽입공 (62) 을 갖는다.
서비스시에는, 도시 생략된 니들 노즈 플라이어 (needle-nose pliers) 상 공구의 선단부를 로크 핀 (50) 의 공구 삽입공 (62) 에 끼워넣고, 공구의 2 개의 손잡이부를 손잡이의 간격이 축소되도록 잡아 사이드 클로 (52A) 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이어서, 손잡이부를 잡아 올림으로써, 로크 핀 (50) 을 로크 핀 삽입공 (24) 의 소정의 위치 (도 13) 까지 발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크 핀 (50) 을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걸림 클로 (40) 가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장착 클립 (10) 의 부시 (20) 를 손 또는 공구로 당기면, 쌍을 이루는 부시의 걸림 클로 (40) 가 보디 패널 (90) 에 있어서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의해 눌려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클로 (40) 가 클립 장착공 (92) 을 통과하여 장착 클립 (10) 을 용이하게 보디 패널 (90) 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성이 향상된다.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는, 상기의 장착 클립 (10) 을 사용하여 피장착물 (94) 을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부위에서 차량의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로 이루어진다. 피장착물 (94) 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장착물 (94) 의 길이 방향과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장착 클립 (10) 은,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과 직교하는 방향 (장착 클립 좌우 방향 (Crl)) 을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방향을 향하게 하여 보디 패널 (90) 에 설치되어 있다. 장방형의 클립 장착공 (92) 은 장변 (92a) 과 단변 (92b) 을 갖는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 사용시에는, 장착 클립 (10) 은 보디 패널 (90) 의 면에 직교하고 있으며, 또한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는 평탄하다.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가장자리부와 피장착물 (94) 의 탭 (94a) 은, 부시 (20) 의 헤드부 (22) 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의 헤드부측 걸림부 (42)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피장착물 (94) 의 탭 (94a) 은, 도시 생락된 탄성 스페이서에 의해 보디 패널 (90) 에 눌려 있다.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에는, 장착 클립 (10) 은 클립 장착공 (92) 의 장축 둘레로 기울어지고, 또한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는 발거 하중 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된다.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는,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장변 (92a) 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고, 사이드 클로 (52A) 는 보디 패널 (90) 의 클립 장착공 (92) 의 단변 (92b) 의 가장자리부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는, 피장착물 (94) 의 탭 (94a) 은, 도시 생략된 탄성 스페이서를 압축하여 헤드부 (22) 의 시트부 (22a) 의 레그측의 면에 밀착하거나 거의 밀착한다.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에 의하면, 발거 내력을 증가시킨 장착 클립 (10) 을 사용하여 피장착물 (94) 을 보디 패널 (90) 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전술한 장착 클립 (10) 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그 결과,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의 내(耐)발거 하중 (F)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의 강도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 구조와 그 작용, 효과는, 제 2 실시예에 적용된다.
그 밖에,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클립 (10) 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는, 이하의 구조와 그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18,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로크 핀 (50) 은, 하중 수용부 (52) 로서의 하중 수용면 (52B) 을 갖는다. 하중 수용면 (52B) 은,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에 대응하는 로크 핀 (50) 의 외면 부분에 형성되며, 로크 핀 (50) 이 부시 (20) 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그 (30) 의 선단 방향 또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중 수용면 (52B) 은, 장착 클립 전후 방향 (Cfr) 에 대응하는 로크 핀 외면 부분에 형성된, 상측 경사면과 장착 클립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바닥면과 하측 경사면을 갖는 사다리꼴상의 오목부의 하측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시 (20) 는, 로크 핀 (50) 의 하중 수용면 (52B) 에 대향하는 부시 부분에 형성된 누름면 (48) 을 가지고 있다. 부시 (20) 는, 레그 (30) 의 대향부 (32) 의 내면에 형성된, 상측 경사면과 장착 클립 축방향는 볼록부 정상면과 하측 경사면을 갖는 사다리꼴상의 볼록부를 갖고, 누름면 (48) 은 볼록부의 하측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누름면 (48) 은, 장착 클립 (10) 이 피장착물 (94) 로부터 발거 하중 (F) 을 받았을 때에 로크 핀 (50) 을 하중 수용면 (52B) 으로 부시 (20) 의 레그 (30) 의 선단 방향으로 누른다.
제 2 실시예는, 상기의 구조에 더하여, 추가로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 (40) 는, 레그 (30) 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레그 (30) 의 헤드부 (22) 로부터 떨어진 부위로부터 레그 (30) 의 선단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다음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하중 수용부 (52) 가, 로크 핀 (50) 에 형성된, 레그 (30) 의 선단 방향 또한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중 수용면 (52B) 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피장착물 (94) 로부터 장착 클립 (10) 에 발거 하중 (F) 이 작용했을 때, 보디 패널 (90) 로부터 걸림 클로 (40) 에 작용하는 발거 하중 반력 (Fr) 에 의해 걸림 클로 (40) 와 레그 (30) 가 장착 클립 중심 축선 (12) 측 또한 하방으로 변형된다. 이 변형을 이용하여, 걸림 클로 (40) 와 레그 (30) 가 하중 수용면 (52B) 을 누름으로써, 발거 하중 (F) 의 일부 (Fa) 를 로크 핀 (50) 의 하중 수용면 (52B) 에서 받을 수 있다. 로크 핀 (50) 의 하중 수용면 (52B) 에서 받게 된 하중 (Fa) 은, 로크 핀 (50) 을 통과하여 부시 (20) 의 수압면 (26) 에서 받게 된다. 로크 핀 (50) 의 하중 수용면 (52B) 에서부터 부시 (20) 의 수압면 (26) 까지의 하중 전달 루트는, 로크 핀 자체를 통과하고, 부시 (20) 의 레그 (30) 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부시 (20) 의 레그 (30), 특히 레그 (30) 의 루트부에서의 부담이 증대되지 않아, 부시 (20) 가 레그 (30) 의 루트부에서 파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실시예는, 상기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추가로 다음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상기 작용, 효과가, 사이드 클로 (52A) 를 형성하지 않고, 레그 (30) 에 일체로 형성되며 헤드부 (22) 측에서부터 레그 (30) 의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로 (40) 를 갖는 장착 클립 (10) 과, 그 장착 클립 (10) 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1) 에 의해 얻어진다.

Claims (6)

  1. 피장착물을 보디 패널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고, 헤드부 및 레그를 갖는 부시와, 부시에 삽입되는 로크 핀으로 이루어지고, 부시는 레그의 클립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대향부의 외면부에 또한 헤드부로부터 레그 선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갖는 장착 클립으로서,
    각 걸림 클로는, 걸림 클로의 헤드부측 단부에 형성되고 피장착물의 통상 사용시에 보디 패널에 걸리는 헤드부측 걸림부와, 헤드부측 걸림부보다 레그의 선단측으로 떨어진 부위에 형성되고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이 보디 패널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에 최종적으로 보디 패널에 걸려 대하중을 받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를 갖는 장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부측 걸림부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로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클립 중심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한 헤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레그 선단측 걸림부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로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클립 중심 축선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클립 중심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가지며,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의 헤드부측 걸림부가 보디 패널에 걸리고,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여 장착 클립이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보디 패널에 대해 기울어지고,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가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제 1 걸림부 및 제 2 걸림부에 의해 보디 패널에 걸렸을 때에는, 헤드부측 걸림부는 제 1 걸림부나 그것보다 헤드부측에 위치하고, 레그 선단측 걸림부는 제 2 걸림부나 그것보다 레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장착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 클로는, 레그 선단측 걸림부에서부터 헤드부측으로 헤드부측 걸림부까지 연장되는, 서로 병렬인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있으며, 헤드부측 걸림부는 리브의 헤드부측의 끝면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클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착 클립을 사용하여, 피장착물을 사각형의 클립 장착공 부위에서 보디 패널에 장착하는 피장착물 장착 구조로서,
    장착 클립은, 장착 클립의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클립 장착공의 장축 방향을 향하게 하여 보디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피장착물 장착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발거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착 클립의 클립 중심 축선은 보디 패널에 직교하고 있고, 또한 보디 패널의 클립 장착공의 가장자리부는 평탄하며, 보디 패널의 클립 장착공의 가장자리부와 피장착물의 보디 패널에 대한 장착부는, 부시의 헤드부와 쌍을 이루는 걸림 클로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피장착물로부터 장착 클립에 레그의 루트부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발거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장착 클립의 클립 중심 축선은 클립 장착공의 장축 둘레로 기울어지고, 또한 보디 패널의 클립 장착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발거 하중이 작용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되는 피장착물 장착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피장착물이 커튼 에어백인 피장착물 장착 구조.
KR1020160021201A 2015-03-26 2016-02-23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KR101808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3989A JP6229687B2 (ja) 2015-03-26 2015-03-26 取付クリップとそれを用いた被取付物取付構造
JPJP-P-2015-063989 2015-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703A true KR20160115703A (ko) 2016-10-06
KR101808407B1 KR101808407B1 (ko) 2017-12-12

Family

ID=5566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201A KR101808407B1 (ko) 2015-03-26 2016-02-23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9528B2 (ko)
EP (1) EP3072752B1 (ko)
JP (1) JP6229687B2 (ko)
KR (1) KR101808407B1 (ko)
CN (1) CN106004768B (ko)
CA (1) CA292324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0402A (zh) * 2017-08-21 2017-12-01 长沙明道信息科技有限公司 可拆卸插销
CN107796101B (zh) * 2017-11-01 2023-09-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运动连杆及空调器
USD880991S1 (en) * 2018-04-05 2020-04-14 Illinois Tool Works Inc. Mounting device
CN113165149B (zh) * 2018-09-14 2023-05-26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箱形型材的安装系统
JP6774999B2 (ja) * 2018-12-12 2020-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物品固定装置
DE102019107203A1 (de) * 2019-03-20 2020-09-24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Elastischer Verbindungsblock, Verbindungsstift dafür und eine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über den elastischen Verbindungsblock
CN110329166B (zh) * 2019-07-22 2021-07-23 湖北岩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409A (ja) 2012-07-13 2014-02-03 Toyota Motor Corp 固定具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00209B2 (de) * 1960-09-08 1970-05-06 Illinois Tool Works Inc., Chicago, 111. (V.St.A.) Spreiznietartiges Befestigungselement
US4085651A (en) * 1977-02-14 1978-04-25 Illinois Tool Works Inc. Plastic fastener
JPH0417859Y2 (ko) * 1987-09-14 1992-04-21
GB2211261B (en) * 1987-10-19 1991-03-27 Nifco Inc Coupler for coupling together plates
JP2727454B2 (ja) * 1988-06-28 1998-03-11 株式会社ニフコ 板の結合クリップ
US4861208A (en) * 1989-01-30 1989-08-29 Chrysler Motors Corporation Door trim panel fastening assembly
JPH0755374Y2 (ja) * 1989-09-12 1995-12-20 株式会社ニフコ スクリュリベット
JP2586907Y2 (ja) * 1992-11-19 1998-12-14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FR2761127B1 (fr) * 1997-03-24 1999-06-04 Itw De France Article a fixer en aveugle et vehicule le comportant
DE19921613C2 (de) * 1999-05-10 2003-10-02 Trw Carr France Ingwiller Verbindungselement
JP3914710B2 (ja) * 2001-01-15 2007-05-16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US7073231B2 (en) * 2002-09-13 2006-07-11 Southco, Inc. Tether clip system
JP4152829B2 (ja) 2003-07-31 2008-09-1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カーテンシールド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
JP2005337312A (ja) 2004-05-25 2005-12-08 Piolax Inc 止め具
DE102004036621B4 (de) * 2004-07-28 2007-04-26 A. Raymond Et Cie Spreizniet
JP4768254B2 (ja) * 2004-12-03 2011-09-07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及びエアバッグ取付構造
FR2882797B1 (fr) * 2005-03-02 2007-05-25 Itw De France Soc Par Actions Attache adaptee a etre fixee dans une cavite de contour predetermine
JP4870488B2 (ja) 2006-07-13 2012-02-0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高固定強度の固定具
CN101861259B (zh) 2007-11-16 2012-06-13 百乐仕株式会社 气囊用卡具
JP4970304B2 (ja) * 2008-02-21 2012-07-04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二部材組付け構造
JP5378251B2 (ja) 2010-01-29 2013-12-25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EP2614995B1 (en) * 2010-09-07 2014-11-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Garnish mounting device
US8677573B2 (en) 2011-03-24 2014-03-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wo stage serviceable safety clip
JP5682090B2 (ja) * 2011-04-07 2015-03-1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5901195B2 (ja) * 2011-09-16 2016-04-06 株式会社ニフコ 締結具
JP5742691B2 (ja) * 2011-11-30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テザークリッ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
JP5668716B2 (ja) * 2012-03-30 2015-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取付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装置
WO2014020655A1 (ja) * 2012-07-30 2014-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定具、固定具抜去構造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固定装置
FR3001006B1 (fr) * 2013-01-17 2015-03-13 Illinois Tool Works Article a fixer en aveugle sur un support
DE102013004515B4 (de) * 2013-03-15 2023-05-11 Anvis Deutschland Gmbh Einrichtung zum lösbaren Befestigen eines Montageteils
JP5799978B2 (ja) * 2013-06-06 2015-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構造
WO2014195784A1 (en) * 2013-06-06 2014-1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ip, curtain airbag mounting structure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6126958B2 (ja) * 2013-09-19 2017-05-10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409A (ja) 2012-07-13 2014-02-03 Toyota Motor Corp 固定具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3245C (en) 2019-04-16
EP3072752B1 (en) 2019-04-24
KR101808407B1 (ko) 2017-12-12
CN106004768B (zh) 2018-05-18
CN106004768A (zh) 2016-10-12
US20160280173A1 (en) 2016-09-29
JP2016183719A (ja) 2016-10-20
US10399528B2 (en) 2019-09-03
JP6229687B2 (ja) 2017-11-15
CA2923245A1 (en) 2016-09-26
EP3072752A1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07B1 (ko)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KR101811942B1 (ko) 장착 클립과 그것을 사용한 피장착물 장착 구조
US10774864B2 (en) Clip
JP5259849B2 (ja) シートベルト中間ガイドの取付構造
JP5447678B2 (ja) 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
US7401388B2 (en) Rib clip
KR102066805B1 (ko) 클립
KR20180033134A (ko) 높은 인출 강도를 갖는 체결 디바이스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KR101049656B1 (ko) 고정구
KR101131269B1 (ko) 자동차의 내장재 결합 구조
JP6648519B2 (ja) 取付クリップとそれを用いた被取付物取付構造
FR292132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laterale d'un pare-chocs sur la structure d'un vehicule, et procede de montage et de fixation d'un pare-chocs au moyen d'un tel dispositif
KR100937821B1 (ko) 자동차의 트림 고정용 클립
JP2009190652A (ja) 取付け構造
WO2021019660A1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23009080A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及び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用の取付部材
JP2020112170A (ja) 外装樹脂部品の取り付け構造
WO2016062938A1 (fr) Canal de tir pour coussin de securite
JP2007139086A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