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656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656B1
KR101049656B1 KR1020090064051A KR20090064051A KR101049656B1 KR 101049656 B1 KR101049656 B1 KR 101049656B1 KR 1020090064051 A KR1020090064051 A KR 1020090064051A KR 20090064051 A KR20090064051 A KR 20090064051A KR 101049656 B1 KR101049656 B1 KR 10104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ale member
hole
fastening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818A (ko
Inventor
야스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0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16B19/1063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with a sleeve or collar sliding over the hollow rivet body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관통구멍이 천공된 판형상부를 가지는 복수의 피 체결부재의 체결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큰 발거력(拔去力, 관통구멍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고정구(1)는, 관통구멍(H)의 위치가 일치하고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적어도 2개의 확장편(11)을 가지는 암부재(2)와, 암부재에 대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암부재에 걸어맞춰지는 쐐기부(32)를 가지는 수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관통구멍 내에서 확장되었을 때에, 적층된 상기 피 체결부재의 양 단면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24)를 가지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상기 수부재가 일방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확장편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 확장편을 확장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암부재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피 체결부재의 판형상부에 천공된 관통구멍에 대한 적절한 체결력을 확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고정구{FASTENER}
본 발명은 관통구멍이 천공된 판형상부를 가지는 복수의 피 체결부재의 체결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관통구멍이 천공된 판형상부를 가지는 자동차의 내장부품 등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겹쳐진 판형상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암부재와, 이 암부재의 머리부에서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수부재를 구비하고, 수부재의 삽입에 의해, 암부재 등에 형성된 걸림부가 벌어져서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림으로써, 암부재의 머리부와 걸림부에 의해 상기 판형상부들을 두께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어, 암부재가 축부와 그 일단에 접속된 머리부를 가지고, 암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구멍이 축부의 둘레면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쌍을 이루는 중앙 슬릿과 연이어 통하고, 수부재가 중앙 슬릿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삼각형상부를 가지는 클램프 스프링으로 이루어 지고, 이 클램프 스프링의 삼각형상부(단부를 가지는 어깨부)와 암부재의 머리부에 의해, 겹쳐진 금속판을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예를 들어, 암부재의 축부에 탄성변형 가능한 1쌍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는, 수부재의 삽입시에 그 기단부를 고정점으로 해서 자유단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하고, 걸림부와 암부재의 머리부에 의해 고정대상물을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 예를 들어, 머리부와 축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핀(수부재)과, 플랜지부와 몸통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그로밋(암부재)과, 내향의 지지 아암과 외향의 지지편을 가지는 금속제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핀의 축부에는, 상기 지지체의 내향의 지지 아암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위와, 지지체의 외향의 지지편측을 축부의 중심방향을 향해 수납하는 수납실과, 지지체의 외향의 지지편을 외측으로 압압하는 가압면을 형성하고, 그로밋의 몸통부에는 지지체의 외향의 지지편이 출몰하는 개구를 형성해서, 합성수지제 그로밋의 플랜지부와 상기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금속제 지지체의 외향의 지지편에 의해 고정대상물을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53-42669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61890호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공보 제3967738호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정구는 비교적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큰 발거력(拔去力, 관통구멍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발거력을 높이기 위해 삼각형상부을 가지는 클램프 스프링의 강성을 높이거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해서 발거력을 높였을 경우, 삽입력도 증대해서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만일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할 수 있다고 해도, 고정구를 빼낼 필요가 생긴 경우에, 이번에는 수부재를 암부재에서 빼내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발거력을 높이기 위해 걸림부와 관통구멍 가장자리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하지만, 걸림부는 그 기단부를 고정점으로 해서 자유단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걸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강성의 확보(걸림력의 확보)를 고려하면, 체결력(즉, 탄성변형량)을 큰 폭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고정대상물을 사이에 고정하는데에 금속제의 지지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발거력을 얻을 수 있지만, 고정구의 부품 수가 증대하고 구조도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해서 고안된 것이며, 암부재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피 체결부재의 판형상부에 천공된 관통구멍에 대한 적절한 체결력을 확보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큰 발거력을 실현하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관통구멍(H)이 천공된 판형상부(P1, P2)를 가지는 복수의 피 체결부재의 체결에 제공되는 고정구(1)로서,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가 일치하고 상기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적어도 2개의 확장편(11)을 가지는 암부재(2)와, 이 암부재에 대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에 걸어맞춰지는 쐐기부(32)를 가지는 수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관통구멍 내에서 확장되었을 때에, 적층된 상기 피 체결부재의 양 단면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24)를 가지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상기 수부재가 일방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확장편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 확장편을 확장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확장편을 확장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확장편이 확장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는 탄성연결편(12)을 더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탄성연결편은, 상기 수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수부재는, 상기 이동 시에 상기 만곡부의 돌출된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해서 상기 만곡부를 내측으로 변위시키는 볼록편(33a)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수부재는, 상기 쐐기부를 사이에 수용하는 1쌍의 다리부(33)를 가지고, 이 각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쐐기부와 마주보는 벽에서 각각 돌출해서 상기 탄성연결편을 사이에 수용하는 1쌍의 볼록편(33a)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확장편은, 상기 관통구멍에 대한 삽입방향측에 있어서의 상기 수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저벽(22a)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는, 비확장 상태에 있는 상기 확장편을 상기 쐐기부와 함께 사이에 수용하는 L자형상편(41)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부재의 확장편(피 체결부재에 대한 걸림부)이 그 자체의 탄성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암부재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피 체결부재의 판형상부에 천공된 관통구멍에 대한 적절한 체결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간이한 구성에 의해 큰 발거력을 실현할 수 있다.
거기다 확장편의 확장 및 비 확장 동작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확장편과 탄성연결편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 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수부재를 암부재에 대해서 상대이동시킬 때에, 볼록편의 슬라이드 접촉위치가 만곡부의 소정 위치를 넘으면, 변위한 만곡부의 탄성력을 수부재의 이동방향의 보조력으로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탄성연결편(만곡부)의 변위가 방지 되어 그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탄성연결편은, 그 변위에 관계없이 다리부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피 체결부재 등과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수부재의 선단측(관통구멍에 대한 삽입방향측)이 덮개부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수부재가 관통구멍에 대한 삽입방향과 반대측(체결해제측)으로 압압되어 피 체결부재의 체결(즉, 확장편의 확장상태)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부재와 암부재를 임시 고정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임시 고정상태의 고정구를 피 체결부재의 관통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피 체결부재의 체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설명문이 없는 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전」, 「후」, 「상」, 「하」, 「좌」, 「우」는 도 1에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의 비 체결상태 및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A) ~ 도 2(C)는 각각 고정구를 구성하는 암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A) ~ 도 3(C)는 각각 고정구를 구성하는 수부재의 측면도, 종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고정구(1)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피 체결부재(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실의 후부 상벽 및 카울 톱 커버)의 체결에 제공되는 것이며, 각 피 체결부재의 관통구멍(각 피 체결부재가 가지는 판형상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이 판형상부들을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암부재(2)와, 이 암부재(2)에 대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수부재(3)로 구성된다. 암부재(2)와 수부재(3)는 고정구(1)를 사용하기 전에 서로 임시 고정상태가 되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1)가 비 체결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암부재(2)와 수부재(3)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에 있다. 또, 고정구(1)가 체결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3)가 도 1(A)의 초기위치에서 암부재(2)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암부재(2)는 도 2(A) ~ 도 2(C)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형성된 대칭형상인 1쌍의 확장편(11)과, 이 확장편(11)을 비확장 상태에서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확장편(11)의 확장동작 시에 탄성변형하는 탄성연결편(12)을 가진다.
확장편(11)은 머리부(21)와 다리부(22)를 가지고 있고, 머리부(21)와 다리 부(22)의 사이에 폭이 좁은 조임부(23)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대략 ㄷ자형을 이루는 걸어맞춤 오목부(24)가 형성된다. 걸어맞춤 오목부(24)는 확장편(11)이 피 체결부재의 관통구멍 내에서 확장되었을 때에, 피 체결부재(적층된 판형상부)의 양 단면에 걸어맞춰진다.
각 확장편(11)의 머리부(21)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비확장 상태의 확장편(11)에 있어서의 2개의 머리부(21)의 좌우 폭(좌우단의 길이)은 머리부(21)가 피 체결부재의 관통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을 수 있도록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다리부(22)는, 각각 걸어맞춤 오목부(24)와 역방향으로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이 다리부(22)들의 내측에 탄성연결편(12)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리부(22)의 저벽(22a)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2)의 관통구멍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비확장 상태의 확장편(11)에 있어서의 2개의 다리부(22)의 좌우 폭은 다리부(22)를 피 체결부재의 관통구멍에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의 직경과 동등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된다.
탄성연결편(12)은 대략 J자형상을 이루는 좌우대칭의 1쌍의 세로부(12a)와 이 세로부(12a)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2b)를 가진다. 세로부(12a)는 각각의 상단이 확장편(11)의 다리부(22) 상측벽의 하면(22b)에 접속되어 하측으로 내려져 있다. 또, 세로부(12a)는 서로 전후방향위치가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좌측의 세로부(12a)(도 2(B) 참조)가 다리부(2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한편, 우측의 세로부(12a)는 다리부(22)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세로부(12a)를 연결하는 연결부(12b)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전후방향으로 연이어져 있다. 탄성연결편(12)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상단이 약간 내측으로 접근된 대략 U자형상을 이루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세로부(12a)의 하방측이 각각 좌우로 돌출된다. 또, 탄성연결편(12)은 확장편(11)의 확장 시에는, 세로부(12a)의 구부러짐 및 연결부(12b)의 비틀림에 의해, U자형의 양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한다.
수부재(3)는 도 3(A) ~ 도 3(C)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반형상을 이루는 머리부(31)와, 머리부의 대략 중앙에서 내려 트려져 있는 쐐기부(32)와, 이 쐐기부(32)를 전후방향으로 사이에 수용하도록 배치된 대칭형상의 1쌍의 다리부(33)를 가진다.
머리부(31)의 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이어져 있는 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5)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쐐기부(32)의 상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이 쐐기부(32)의 좌우에는 고정구(1)가 체결상태가 되었을 때 확장편(11)의 머리부(21)가 수용된다. 머리부(31)의 직경은 비확장 상태의 확장편(11)에 있어서의 2개의 머리부(21)의 좌우 폭과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쐐기부(32)는, 암부재(2)측으로 돌출하는 선단벽(32a)과, 선단벽(32a)의 상측과 이어지는 직선벽(32b)와, 직선벽(32b)의 상측과 이어지고,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벽(32c)을 가진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벽(32a)의 각도(α)는 확장편(11)의 머리부(21)에 형성된 홈부(21a)(도 2(A), 도 2(C) 참 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 테이퍼벽(32c)의 경사 각도부(β)는 선단벽(32a)의 각도와 동일하다.
다리부(33)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측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편(33a)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다리부(33)의 사이에 수용된 쐐기부(32)의 하측의 공간에는 고정구(1)가 체결상태가 되었을 때 암부재(2)의 탄성연결편(12)이 수용된다(도 1(A), 도 1(B) 참조). 이것에 의해 탄성연결편(12)이 확장편(11)의 다리부(22)에 의해 좌우방향에서 덮일 뿐만 아니라, 수부재(3)의 다리부(33)에 의해 전후방향에서 덮여서 보호된다. 고정구(1)가 체결상태가 된 경우, 탄성연결편(12)의 하측은 암부재(2)의 다리부(22)의 저벽(22a)에 의해 보호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고정구에 의한 피 체결부재의 체결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도 4(B)는 고정구의 비 체결상태 및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1)는 관통구멍(H)의 위치가 일치하고 2개의 판형상부(피 체결부재, P1, P2)가 적층된 상태에서 관통구멍(H)에 삽입된다. 이때, 확장편(11)은 비확장 상태에 있고 그 머리부(21)가 상측의 판형상부(P1)의 상면에 맞닿는다. 암부재(2)와 수부재(3)는 상기와 같이 서로 임시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 임시 고정상태는 수부재(3)의 쐐기부(32)가 암부재(2)의 홈부(21a)에 끼워짐과 아울러, 수부재(3)의 다리부(33)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L자형상편(41)이 암부재(2)의 다리부(22)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L자형상편(41)은 그 수직부(41a)가 2개의 확장편(11)의 조임부(23)의 사이에 끼워짐과 아울러, 그 수평부(41b)가 확장편(11)의 다리부(22) 상측벽의 하면(22b)에 걸린다.
암부재(2)와 수부재(3)가 임시 고정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체결을 실행하는 경우, 수부재(3)의 머리부(31)를 암부재(2)측에 압입하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가 머리부(31)를 압입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3)가 암부재(2)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3)의 쐐기부(32)가 확장편(11)의 사이로 더욱 진입하고, 확장편(11)을 대략 수평으로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시켜서 확장상태로 한다. 이때, 걸어맞춤 오목부(24)의 상하면(24a, 24b)이 판형상부(P1)의 상면 및 판형상부(P2)의 하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측면(24c)이 관통구멍(H)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적층된 판형상부(P1, P2)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 오목부(24)의 상하면(24a, 24b)의 좌우방향의 길이를 보다 크게 확보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H)의 주위부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때, 쐐기부(32)의 직선벽(32b)이 조임부(23)의 내측에 밀접함과 아울러, 테이퍼벽(32c)이 암부재(2) 홈부(21a)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고정구(1)의 체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조임부(23)의 둘레면의 곡률을 관통구멍의 곡률과 같게 설정하면 좋다.
또, 상기 고정구의 체결동작 시에는, 도 5(A), 도 5(B)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3)의 다리부(33)에 있어서의 볼록편(33a)이 탄성연결편(12)의 세로부(12a)에 있어서의 만곡부의 돌출된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3)가 암부재(2)에 대해서 상대이동할 때, 볼록편(33a)에 의해 압압된 탄성연결편(12)의 만곡부가 일단 내측으로 변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부재(3)가 도 5(A)의 초기위치에서 도 5(B)의 고정위치로 이동할 때, 볼록편(33a)의 슬라이드 접촉위치가 만곡부의 중간(C)(가장 돌출된 위치)을 넘으면, 변위한 만곡부의 탄성력이 수부재(3)를 고정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조력으로 작용한다. 한편, 고정구(1)의 체결이 해제되어 수부재(3)가 도 5(B)의 고정위치에서 도 5(A)의 초기위치로 돌아올 때에는, 볼록편(33a)의 슬라이드 접촉위치가 만곡부의 중간(C)을 넘으면, 변위한 만곡부의 탄성력이 수부재(3)를 초기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조력으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체결작업 및 체결해제작업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구(1)의 체결해제는, 예를 들어 암부재(2)의 머리부(21)가 수납되는 수부재(3)의 홈부(35)에 소정의 공구를 삽입해서 행할 수 있다.
또, 볼록편(33a)은 탄성연결편(1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체결해제 시에는 탄성연결편(12)이 내측(수부재(3)의 다리부(33)와 암부재(2)의 다리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해서 확실하게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에 의해, 탄성연결편(12)이 피 체결부재 등과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암부재(2)의 확장편(11)이 그 자체의 탄성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피 체결부재에 대한 걸림부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피 체결부재에 있어서의 판형상부(P1, P2)의 관통구멍(H)에 대한 적절한 체결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간이한 구성에 의해 큰 발거력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확장편(11)이 서로 멀어지도록 평행하게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체결력의 조정이 용이하며, 걸어맞춤 오목부(24)를 피 체결부재의 양 단면에 안정적으로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쐐기부(32)의 직선벽(32b)과 조임부(23) 내면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걸어맞춤 오목부(24)의 크리프변형을 방지해서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고정구(1)의 재사용도 용이하게 된다. 또, 종래기술과 같이 다리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암부재(2)의 다리부(22) 및 수부재(3)의 다리부(33)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고정구(1)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걸림부와는 달리, 확장편(11)이 휘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용이하게 걸어맞춤 오목부(24)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확장편(11)은 비확장 상태에서 서로 탄성연결편(12)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확장편(11)의 확장 및 비확장 동작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확장편(11)과 탄성연결편(12)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고정구(1)의 부품 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체결상태의 고정구(1)는 수부재(3)의 선단측(관통구멍으로의 삽입방향측)이 암부재(2)에 있어서의 다리부(22)의 저벽(22a)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수부재(3)가 관통구멍에 대한 삽입방향과 반대측으로 압압되어 피 체결부재의 체결(즉, 확장편(11)의 확장상태)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형 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암부재가 가지는 확장편의 수나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며, 탄성연결편에 의한 확장편의 연결형태에 대해서도 변경이 가능하다. 암부재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의 형상은 판형상부의 관통구멍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며, 또, 피 체결부재에 있어서의 판형상부의 관통구멍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를 적용 가능한 피 체결부재로는, 적어도 관통구멍이 천공된 판형상부를 가지는 것인 한, 임의의 장치나 기구가 상당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의 비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암부재의 정면도
도 2(B)는 암부재의 측면도
도 2(C)는 암부재의 평면도
도 3(A)는 수부재의 측면도
도 3(B)는 수부재의 종단면도
도 3(C)는 수부재의 저면도
도 4(A)는 고정구의 비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B)는 고정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A)는 고정구의 비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고정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구 2 - 암부재
3 - 수부재 11 - 확장편
12 - 탄성연결부 12a - 세로부
12b - 연결부 21 - 머리부
21a - 홈부 22 - 다리부
22a - 저벽 23 - 조임부
24 - 걸어맞춤 오목부 31 - 머리부
32 - 쐐기부 32a - 선단벽
32b - 직선벽 32c - 테이퍼벽
33 - 다리부 33a - 볼록편
35 - 홈부 41 - L자형상편
H - 관통구멍 P1, P2 - 판형상부

Claims (7)

  1. 관통구멍이 천공된 판형상부를 가지는 복수의 피 체결부재의 체결에 제공되는 고정구로서,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가 일치하고 상기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적어도 2개의 확장편을 가지는 암부재와, 이 암부재에 대해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에 걸어맞춰지는 쐐기부를 가지는 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편은, 상기 관통구멍 내에서 확장되었을 때에, 적층된 상기 피 체결부재의 양 단면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상기 수부재가 일방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확장편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 확장편을 확장시키게 하며,
    상기 암부재는, 상기 확장편을 비확장 상태에서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확장편이 확장될 때에 탄성변형하는 탄성연결편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편은, 상기 수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수부재는, 상기 이동 시에 상기 만곡부의 돌출된 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해서 상기 만곡부를 내측으로 변위시도록 다리부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쐐기부를 사이에 수용하는 1쌍의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편은, 상기 각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쐐기부와 마주보는 벽에서 각각 돌출해서 상기 탄성연결편을 사이에 수용하도록 1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은, 상기 관통구멍에 대한 삽입방향측에 있어서의 상기 수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비확장 상태에 있는 상기 확장편을 상기 쐐기부와 함께 사이에 수용하는 L자형상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비확장 상태에 있는 상기 확장편을 상기 쐐기부와 함께 사이에 수용하는 L자형상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KR1020090064051A 2008-07-14 2009-07-14 고정구 KR101049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2346 2008-07-14
JP2008182346A JP2010019388A (ja) 2008-07-14 2008-07-14 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18A KR20100007818A (ko) 2010-01-22
KR101049656B1 true KR101049656B1 (ko) 2011-07-14

Family

ID=4170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051A KR101049656B1 (ko) 2008-07-14 2009-07-14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19388A (ko)
KR (1) KR101049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6452B2 (ja) 2010-07-27 2015-06-0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5726849B2 (ja) * 2012-12-26 2015-06-0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611U (ja) * 1991-12-02 1993-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持具
KR940003866Y1 (ko) * 1990-10-18 1994-06-15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플라스틱제 리벳
JP2006256492A (ja) 2005-03-17 2006-09-28 Tokai Rika Co Ltd ロー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66Y1 (ko) * 1990-10-18 1994-06-15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플라스틱제 리벳
JPH0546611U (ja) * 1991-12-02 1993-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持具
JP2006256492A (ja) 2005-03-17 2006-09-28 Tokai Rika Co Ltd ロー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19388A (ja) 2010-01-28
KR20100007818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5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с высок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вырыванию
US8245367B2 (en) Fastener
EP2518338B1 (en) Clip
US9115743B2 (en) Fixing apparatus, fixing apparatus removing structure and curtain airbag fixing apparatus
US7536755B2 (en) Clip having engaging pawl portions and projecting portions
KR100791492B1 (ko) 파스너
KR10080884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101632047B1 (ko) 보상 위치 루프 디치 몰딩 리테이너
US7219400B2 (en) Clip and airbag body installation structure
JP4373969B2 (ja) ハーネスクリップ
US20140091182A1 (en) Clamp
EP2369185A1 (en) Clip
US20100172714A1 (en) Anchor
JP2000114740A (ja) 移動電話機用裏カバ―
JP521277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トリムクリップ
US20200263717A1 (en) Clip
KR101251132B1 (ko)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KR101049656B1 (ko) 고정구
KR19980024851A (ko) 가스 백 커버 부착용 장치
JP2010144830A (ja) 固定具
US20090260201A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JP2013224057A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EP1817203B1 (en) Auxiliary-handle fixing clip for modular headliner of automobile
JP200914212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US10155487B2 (en) Airbag tethering cli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