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882B1 -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882B1
KR102051882B1 KR1020147021862A KR20147021862A KR102051882B1 KR 102051882 B1 KR102051882 B1 KR 102051882B1 KR 1020147021862 A KR1020147021862 A KR 1020147021862A KR 20147021862 A KR20147021862 A KR 20147021862A KR 102051882 B1 KR102051882 B1 KR 10205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plate glass
bottom wall
wall part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115A (ko
Inventor
모토이치 이가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6Construction of the float tank; Use of material for the float tank; Coating or protection of the tank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욕조를 구비하고, 상기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상기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가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PLATE GLASS PRODUCTION DEVICE, AND PLATE GLASS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 제조 장치는, 용융 금속(예를 들어 용융 주석)을 수용하는 욕조를 구비하고,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성형된 유리 리본은, 용융 금속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서냉로로 보내진다. 서냉로 내에서 서냉된 유리 리본은, 절단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품인 판유리가 얻어진다. 판유리는 연마되어 있어도 된다.
일본 특허 공개2010-202507호 공보
욕조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벽돌로 구성된다. 욕조의 상방에는, 유리 리본이나 용융 금속을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된다. 한편, 욕조의 하방에는, 벽돌끼리의 사이의 줄눈(간극)으로부터의 용융 금속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용융 금속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욕조의 하면 전체를 냉각하는 쿨러가 설치된다. 따라서, 히터가 공급한 열을 쿨러로 제거하므로,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나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좋은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는,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욕조를 구비하고, 상기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상기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가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카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표면의 노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산화 방지막으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욕조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욕조의 저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저벽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 부재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기밀성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방법은,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상기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갖는 판유리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욕조가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카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표면의 노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산화 방지막으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외측에는, 상기 욕조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욕조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욕조의 저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저벽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에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단열 부재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기밀성을 갖는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0 내지 66%, Al2O3:10.5 내지 24%, B2O3:0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14.5%, SrO:0 내지 24%, BaO:0 내지 13.5%, ZrO2:0 내지 5%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29.5%인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8 내지 66%, Al2O3:15 내지 22%, B2O3:5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9%, SrO:3 내지 12.5%, BaO:0 내지 2%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18%인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좋은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끼리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끼리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끼리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상류측이라 하고,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하류측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판유리 제조 장치(10)는 용융 금속(예를 들어 용융 주석) M을 수용하는 욕조(21)를 구비하며, 용융 금속 M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 G1을 용융 금속 M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 G2로 성형한다. 성형된 유리 리본 G2는, 용융 금속 M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서냉로로 보내진다. 서냉로 내에서 서냉된 유리 리본은, 절단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품인 판유리가 얻어진다. 판유리는 연마되어 있어도 된다.
판유리 제조 장치(10)는, 욕조(21)의 상방을 덮는 천장(22)을 더 구비한다. 천장(22)에는, 천장(22)과 욕조(21) 사이의 공간에 환원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 공급로(24)에는 히터(25)가 삽입 관통되어 있으며, 히터(25)의 발열부(25a)가 욕조(2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공급로(24)는, 욕조(21) 내의 용융 금속 M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욕조(21)와 천장(22) 사이의 공간에 환원성 가스를 공급한다. 환원성 가스는, 예를 들어 수소 가스를 1 내지 15체적%, 질소 가스를 85 내지 99체적% 포함하고 있다. 욕조(21)와 천장(22) 사이의 공간은, 외부로부터 대기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히터(25)는, 예를 들어 유리 리본 G2의 유동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어 있다. 히터(25)의 출력은, 유리 리본 G2의 유동 방향 상류측일수록, 유리 리본 G2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된다. 또한, 히터(25)의 출력은, 유리 리본 G2의 두께가 폭 방향으로 균일해지도록 제어된다.
판유리 제조 장치(10)는, 하부 구조(40)에 특징이 있다. 이하, 판유리 제조 장치(10)의 하부 구조(4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부 구조(40)는, 욕조(21), 단열 부재(41), 공간 형성 부재(42), 발열체(43), 케이스(44) 및 지지 부재(45) 등을 포함한다.
(욕조)
욕조(21)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복수의 측벽용 블록(26) 및 복수의 저벽용 블록(27)으로 구성된다. 각 측벽용 블록(26) 및 각 저벽용 블록(27)은, 카본(그래파이트, 비정질 카본을 포함함) 또는 질화붕소(BN)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욕조(21)는, 카본 또는 질화붕소(BN)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벽돌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욕조(21) 내에 수용되는 용융 금속 M과의 습윤성이 낮다. 따라서, 욕조(21)의 줄눈(간극)으로부터 용융 금속 M이 유출되기 어려우므로, 용융 금속 M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욕조(21)의 하면 전체를 냉각하는 쿨러가 불필요하다. 그로 인해,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좋다.
욕조(21)가 카본으로 형성되는 경우, 카본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욕조(21)의 표면의 노출 부분(용융 금속 M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산화 방지막으로 덮여도 좋다. 산화 방지막은, 탄화규소(SiC)나 실리카(SiO2) 등의 세라믹스막이어도 좋다. 산화 방지막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사법이 사용된다.
도 2는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끼리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과 측벽용 블록(26)의 연결 형태는 마찬가지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은, 볼트(28)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볼트(28)는 한쪽 저벽용 블록(27A)을 관통하고, 다른 쪽 저벽용 블록(27B)에 나사 고정된다. 볼트(28)는, 저벽용 블록(27A, 27B)과 동일한 카본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의 대향면(29A, 29B)은, 각각 연직된 평면이며, 서로 접촉해도 된다.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 사이에는, 용융 금속 M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간극을 시일하는 내열성 시일 부재(31)가 배치되어도 된다. 내열성 시일 부재(31)는, 용융 금속 M에 대한 내식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며, 사용 시에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사용 온도에서 연화되는 유리를 들 수 있다. 내열성 시일 부재(31)는,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의 대향면(29A, 29B) 중 적어도 한쪽(도 2에서는 양쪽)에 형성되는 홈부(32A, 32B)에 지지되어도 된다.
(단열 부재)
단열 부재(41)는, 욕조(21)의 외측에 배치된다. 단열 부재(41)는, 욕조(21)와는 달리, 용융 금속 M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용융 금속 M에 대한 내식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단열 부재(4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낮은 세라믹울, 글라스울 등의 섬유 형상의 단열재가 사용 가능하다.
단열 부재(41)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욕조(21)의 측방을 둘러싸는 환상의 측벽부(41a) 및 욕조(21)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벽부(4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욕조(21)의 외측에 단열 부재(41)가 배치됨으로써, 욕조(21)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단열 부재(41)의 저벽부(41b)의 두께는, 상류 부분(41c)이 두껍고, 하류 부분(41d)이 얇아서 좋다. 하류 부분(41d)에 있어서 방열이 진행되므로, 유리 리본 G2의 온도를 용융 금속 M으로부터 끌어올림 가능한 온도로 저하되기 위한 유리 리본 G2의 유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공간 형성 부재)
공간 형성 부재(42)는, 욕조(21)로부터 단열 부재(41)에의 열전도를 억제하기 위해서, 욕조(21)의 저벽부(21b)와 단열 부재(41)의 저벽부(41b) 사이에 공간 S를 형성한다. 또한, 욕조(21)의 환상의 측벽부(21a)는 단열 부재(41)의 환상의 측벽부(41a)보다 작고, 욕조(21)의 측벽부(21a)와 단열 부재(41)의 측벽부(41a)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형성 부재(42)는, 단열 부재(41)가 섬유 재료로 형성되어 물렁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부재(41)를 관통하여, 케이스(44)의 저벽부(44b)에 고정되어도 된다. 공간 형성 부재(42)는,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공간 형성 부재(42)는, 단열 부재(41)가 블록 형상의 소결체이며 단단한 경우, 단열 부재(41)의 저벽부(41b)와, 욕조(21)의 저벽부(21b)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배치되어도 된다.
공간 형성 부재(42)에는, 욕조(21)의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욕조(21)의 열이 전달된다. 그로 인해, 공간 형성 부재(42)는, 내하중 강도 및 내열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어, 탄화규소, 내열 합금 등)로 형성된다. 공간 형성 부재(42)는, 복수 종류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공간 형성 부재(42)의 상부분이 탄화규소로 형성되고, 공간 형성 부재(42)의 하부분이 내열 합금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발열체)
발열체(43)는, 히터 등으로 구성되며, 욕조(21)의 저벽부(21b)와 단열 부재(41)의 저벽부(41b) 사이의 공간 S에 배치된다. 욕조(21)를 하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발열체(43)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어도 된다. 각 발열체(43)의 출력은, 하류측일수록 높아지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케이스)
케이스(44)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단열 부재(41)의 외측에 배치되고, 단열 부재(41)의 측방을 둘러싸는 환상의 측벽부(44a) 및 단열 부재(41)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44b)로 구성된다. 케이스(44)는, 기밀성을 갖고, 외기의 침입에 의한 용융 금속 M의 산화를 억제한다. 케이스(44)는, 예를 들어 복수매의 금속판(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철판 등)을 용접으로 때워서 형성된다. 케이스(44)의 내측에 단열 부재(41)가 부착되어도 된다.
(지지 부재)
지지 부재(45)는, 바닥 Fr에 고정되고, 케이스(44)를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부재(45)는, 바닥 Fr로부터 열을 빼앗기므로, 높은 내열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45)는, 내하중 강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4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US)이나 주철 등을 들 수 있다.
(판유리 제조 방법)
판유리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조(21) 내의 용융 금속(예를 들어 용융 주석) M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 G1을 용융 금속 M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 G2로 성형하는 공정을 갖는다. 성형된 유리 리본 G2는, 용융 금속 M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서냉로로 보내진다. 서냉로 내에서 서냉된 유리 리본은, 절단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품인 판유리가 얻어진다. 판유리는 연마되어 있어도 된다.
욕조(21)는,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벽돌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욕조(21) 내에 수용되는 용융 금속 M과의 습윤성이 낮다. 따라서, 욕조(21)의 줄눈으로부터 용융 금속 M이 유출되기 어려워, 용융 금속 M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욕조(21)의 하면 전체를 냉각하는 쿨러가 불필요하다. 그로 인해,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좋다.
욕조(21)의 외측에는, 열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욕조(21)의 측방을 둘러싸는 환상의 측벽부(41a)와, 욕조(21)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41b)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41)가 배치되어도 된다. 욕조(21)의 저벽부(21b)와 단열 부재(41)의 저벽부(41b) 사이에는, 욕조(21)로부터 단열 부재(41)에의 열전도를 억제하기 위해서, 공간 S가 형성되어도 된다.
공간 S에는 발열체(43)가 배치되어도 된다. 욕조(21)를 하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발열체(43)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어도 된다. 각 발열체(43)의 출력은, 하류측일수록 높아지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단열 부재(41)의 외측에는, 외기(산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열 부재(41)의 측방을 둘러싸는 환상의 측벽부(44a)와, 단열 부재(41)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44b)로 구성되는 기밀성을 갖는 케이스(44)가 배치되어도 된다. 용융 금속 M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케이스(44)는, 예를 들어 복수매의 금속판을 용접으로 때워서 형성된다. 케이스(44)의 내측에 단열 부재(41)가 부착되어도 된다.
(판유리)
판유리의 유리 종류는, 판유리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LCD용 유리 기판의 경우,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또한, PDP용 유리 기판의 경우, 차량용 창유리, 건축물용 창유리의 경우, 소다석회 유리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경우, 화학 강화 가능한 알칼리실리케이트 유리가 주로 사용된다. 포토마스크용 기판의 경우, 열팽창 계수가 낮은 석영 유리가 주로 사용된다.
무알칼리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0 내지 66%, Al2O3:10.5 내지 24%, B2O3:0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14.5%, SrO:0 내지 24%, BaO:0 내지 13.5%, ZrO2:0 내지 5%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29.5%이다. 무알칼리 유리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 합량이 0.1% 이하여도 된다.
무알칼리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8 내지 66%, Al2O3:15 내지 22%, B2O3:5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9%, SrO:3 내지 12.5%, BaO:0 내지 2%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18%이다.
판유리의 화학 조성은, 시판되어 있는 형광 X선 분석 장치(예를 들어, 리가꾸덴끼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ZSX100e)로 측정된다.
[제1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의 대향면(29A, 29B)이 각각 연직된 평면인데 반해, 본 변형예에서는 대향면의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대향면(29A)에 형성되는 볼록부(33A)를, 다른 쪽 대향면(29B)에 형성되는 오목부(34B)에 삽입해서 연결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볼트(28)가 불필요하다.
[제2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의 대향면(29A, 29B)이 각각 연직된 평면인데 반해, 본 변형예에서는 대향면(29A, 29B)이 각각 수평한 부분을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저벽용 블록(27A, 27B)의 대향면(29A, 29B)은, 각각 수평한 부분(36A, 36B)을 가져도 된다. 서로 대향하는 수평한 부분(36A, 36B)의 사이에는, 중력에 의한 용융 금속 M의 유출이 완만해진다. 이 경우, 내열성 시일 부재(31)는, 수평한 부분(36A, 36B)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홈부(37A)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기 실시 형태 등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2년 2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24752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0 : 판유리 제조 장치
21 : 욕조
21a : 욕조의 측벽부
21b : 욕조의 저벽부
26 : 측벽용 블록
27 : 저벽용 블록
41 : 단열 부재
41a : 단열 부재의 측벽부
41b : 단열 부재의 저벽부
42 : 공간 형성 부재
43 : 발열체
44 : 케이스
44a : 케이스의 측벽부
44b : 케이스의 저벽부
G1 : 용융 유리
G2 : 유리 리본
M : 용융 금속
S : 공간

Claims (14)

  1.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욕조를 구비하고, 상기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상기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가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욕조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와,
    상기 욕조의 저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저벽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카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표면의 노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산화 방지막으로 덮여 있는 판유리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벽부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블록은, 한쪽의 상기 블록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다른 쪽의 상기 블록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해서 연결되어 있는,
    판유리 제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기밀성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6.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상기 용융 금속 위에서 유동시켜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갖는 판유리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욕조가 카본 또는 질화붕소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외측에는, 상기 욕조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욕조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욕조의 저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저벽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카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욕조의 표면의 노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산화 방지막으로 덮여 있는 판유리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벽부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블록은, 한쪽의 상기 블록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다른 쪽의 상기 블록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해서 연결되어 있는,
    판유리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는 판유리 제조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단열 부재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단열 부재의 하방을 덮는 저벽부로 구성되는 기밀성을 갖는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판유리 제조 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0 내지 66%, Al2O3:10.5 내지 24%, B2O3:0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14.5%, SrO:0 내지 24%, BaO:0 내지 13.5%, ZrO2:0 내지 5%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29.5%인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58 내지 66%, Al2O3:15 내지 22%, B2O3:5 내지 12%, MgO:0 내지 8%, CaO:0 내지 9%, SrO:3 내지 12.5%, BaO:0 내지 2%를 함유하며, MgO+CaO+SrO+BaO:9 내지 18%인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47021862A 2012-02-08 2013-01-18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 KR102051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4752 2012-02-08
JP2012024752 2012-02-08
PCT/JP2013/050957 WO2013118564A1 (ja) 2012-02-08 2013-01-18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115A KR20140130115A (ko) 2014-11-07
KR102051882B1 true KR102051882B1 (ko) 2019-12-04

Family

ID=4894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862A KR102051882B1 (ko) 2012-02-08 2013-01-18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31717A1 (ko)
JP (1) JP6070576B2 (ko)
KR (1) KR102051882B1 (ko)
CN (1) CN104114505B (ko)
TW (1) TW201332911A (ko)
WO (1) WO20131185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402A (ja) * 2004-04-07 2006-07-27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1219348A (ja) * 2010-03-26 2011-11-0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475A (en) * 1967-04-14 1971-06-15 Ppg Industries Inc Float glass tank with a particulate bottom covering
US3520669A (en) * 1967-07-14 1970-07-14 Ford Motor Co Method of and chamber for the manufacture of float glass
GB1289713A (ko) * 1968-10-04 1972-09-20 Glaverbel
LU57195A1 (ko) * 1968-10-30 1970-05-04
GB2086878B (en) * 1980-10-27 1984-05-10 Central Glass Co Ltd Method of forming thin sheet glass by float process
CN1096770A (zh) * 1993-06-21 1994-12-28 秦皇岛玻璃研究院 生产1.5~19mm浮法玻璃的成型方法及装置
US6169047B1 (en) * 1994-11-30 2001-01-02 Asahi Glass Company Ltd. Alkali-free glass and flat panel display
JP3988209B2 (ja) * 1996-06-03 2007-10-10 旭硝子株式会社 無アルカリガラス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942410B (zh) * 2004-04-07 2010-07-21 旭硝子株式会社 平板玻璃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JP4047848B2 (ja) * 2004-09-29 2008-02-13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4900773B2 (ja) * 2005-11-25 2012-03-21 旭硝子株式会社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47775B1 (ko) 2009-03-03 2014-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판 제조용 플로트 배스 시스템
CN201850218U (zh) * 2010-11-11 2011-06-01 河北东旭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pdp浮法玻璃窑炉池底保温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402A (ja) * 2004-04-07 2006-07-27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1219348A (ja) * 2010-03-26 2011-11-0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4505A (zh) 2014-10-22
WO2013118564A1 (ja) 2013-08-15
KR20140130115A (ko) 2014-11-07
JP6070576B2 (ja) 2017-02-01
JPWO2013118564A1 (ja) 2015-05-11
US20140331717A1 (en) 2014-11-13
TW201332911A (zh) 2013-08-16
TWI560157B (ko) 2016-12-01
CN104114505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353B2 (en) Process and system for fining glass
JP5064526B2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用フロート槽システム
KR20160098163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2051882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및 판유리 제조 방법
JP2015105216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KR101614507B1 (ko) 플로트 배스용 사이드 실링 장치
KR101384375B1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2011251896A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方法
JP5660622B2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1944563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JP2006016291A (ja) フロートバスおよびフロート成形方法
JP2015134691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WO2022270555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21151946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WO2015037275A1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US3526493A (en) Glass melting furnace with insulating roof structure
JP2007308331A (ja) フロートバス
JP2024067327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
JP2023064366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KR101650441B1 (ko) 플로트 배스용 사이드 실링 장치
CN104797538A (zh) 平板玻璃的制造方法和平板玻璃的制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