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409B1 -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1409B1 KR102051409B1 KR1020180028932A KR20180028932A KR102051409B1 KR 102051409 B1 KR102051409 B1 KR 102051409B1 KR 1020180028932 A KR1020180028932 A KR 1020180028932A KR 20180028932 A KR20180028932 A KR 20180028932A KR 102051409 B1 KR102051409 B1 KR 1020514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jube
- brix
- concentrate
- hot water
- concentr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title 1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170916 Paeonia officin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OHDRQQURAXLVGJ-HLVWOLMTSA-N azane;(2e)-3-ethyl-2-[(e)-(3-ethyl-6-sulf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H4+].[NH4+].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OHDRQQURAXLVGJ-HLVWOLMTSA-N 0.000 abstract 1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ZTOJFFHGPLIVKC-YAFCTCPESA-N (2e)-3-ethyl-2-[(z)-(3-ethyl-6-sulf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ZTOJFFHGPLIVKC-YAFCTCPE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30013930 alkal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332371 Abutilon x hybr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8 Bronchitis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604 Chrysanthemum parthen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336 Ganoder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11489 Gardenia augus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90 Leonurus card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02 Leonurus cardiaca ssp. vill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8 Ster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29 Ziziph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6 alcoh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37 cell 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51 chronic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0606 diuret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72 expect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9 expector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5 fatty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15 hyperhidr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linoleic acid, sapon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947 parasit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418 red dat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1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2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2 st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은 대추 음료 제조 시, 대추 농축액과 한약재 농축액을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식품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DPPH 라티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NO 제거 활성을 나타내어 매우 뛰어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대추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추 농축액과 한약재 농축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대추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추(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는 갈매나무과(Ramnace)의 지지퍼스(Zizyphus)속, 낙엽, 활엽향목의 열매로서 현재 40여종의 품종과 400여 종의 변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대추는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고, 이뇨제, 견이통 완화제, 만성기관지염, 거담제, 결핵, 위의 허한증을 치료하는 효능 등 46가지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에는 당질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약용 성분으로는 과실 중 각종 스테롤(sterols), 알카로이드(alkaloids), 사포닌(saponins), 비타민(vitamins), 유기산류, 아미노산류 등이 보고 되어 있다. 종자의 성분으로는 주로 올레익 애씨드(oleic acid), 리노레익 애씨드(linoleic acid)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유와 사포닌(saponin), 에블린(eblin), 락톤(lacton) 등이 보고되어 있다. 잎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알카로이드(alkaloids), 비타민 C(vitamin C), 루틴(rutin) 등의 성분이 보고되어 있으며, 가시수피에는 알카로이드(alkaloids) 성분 그리고 뿌리에는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한약재라 함은 한방에서 약을 지을 때 쓰는 재료를 지칭하는데, 갈근, 감초, 결명자, 계피, 구기자, 길경, 당귀. 두충, 맥문동, 백편두, 복령, 복분자, 사상자, 산약, 산초, 상옆, 상지, 영지, 오가피, 오미자, 익모초, 인삼, 작약, 진피, 천궁, 치자, 향부자, 황기 등이 있다. 이러한 한약재는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달이거나 우려내어 한방차로 마시곤 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한방차는 양생의 선약”이라고 하여, “부작용이 없고 혈압을 내리고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과 가래를 삭이는 작용이 뛰어나고 갈증을 없애며 뱃속을 편안하게 하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기운이 상쾌해지고 술을 깨게 하며 식중독을 풀어주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며 기생충을 없애준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한방차는 건강한 생활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추를 이용한 식품은 대부분 알코올발효를 통한 대추 술 및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대추즙, 그리고 다른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대추 젤리 등이 있는데, 그렇게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또한, 한약재는 소비자에게 약리효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향과 맛으로 인하여 대중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추를 이용한 식품의 다양화와 한약재의 대중화 필요성이 높은데, 한약재 및 대추 추출물의 기호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제품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대추 농축액과 한약재 농축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조절한 대추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식품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대추 음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과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1:0.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하고, 숙성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90~110℃의 열수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바람직하게 1~3차례 반복하는 것이 좋다.
또한,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45~55℃의 온도에서 45~90 hPa의 압력으로 농축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숙성은, 바람직하게 3~5℃에서 2~4일간 숙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은 대추 음료 제조 시,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식품첨가제 없이도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탁월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대추 농축액 제조 시, 농도에 따른 미생물 성장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NO 제거 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NO 제거 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과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1:0.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하고, 숙성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세분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a): 대추 및 한약재 농축액 혼합>
본 단계는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과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1:0.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대추 음료 제조방법은 대추 열수 추출물 및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데, 상기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대추 또는 한약재에 그 각각의 중량 대비 5~15배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것이 좋다. 이때, 추출은 바람직하게 90~11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 1~3차례 반복 추출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한약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한약재의 모든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갈근, 계지, 감초, 건강, 오미자, 볶은 도라지, 대추, 인삼(건조), 진피, 볶은 대추씨, 홍삼, 석창포, 원지, 복령, 생강, 당귀, 천궁, 작약 및 계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추출'의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의 재료가 되는 대추 및 한약재는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사용하는 대추 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은 각각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후,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농축은, 바람직하게 45~55℃의 온도에서, 45~90 hPa의 압력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를 경우, 대추 농축액의 농도가 50~60 brix인 경우, 미생물의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대추 농축액의 농도를 50~60 brix로 유지함으로써, 방부제를 따로 첨가하지 않고서도 대추 농축액의 미생물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에 의할 경우, 50~60 brix의 대추 농축액이 우수한 점도와 기호성을 나타내어, 관능적으로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단계에서는, 상기에서 수득된 50~60 브릭스(brix)의 대추 농축액과 50~60 브릭스(brix)의 한약재 농축액을 1:0.1~1의 비율로 혼합하는데, 상기 조성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대추와 한약재의 맛과 향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별도의 방부제 첨가 없이도 미생물 번식을 억제할 수 있고, 최적 식감을 발휘한 수 있는 대추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단계(b): 혼합된 농축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숙성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50~60 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하고, 숙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대추 음료가 완성된다.
본 단계에서 혼합액의 농도를 50~60 브릭스(brix)로 조절하는 것은 농축을 하거나, 정제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의 숙성은, 바람직하게 3~5℃에서 2~4일간 숙성하는 것이 좋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예에 의할 경우, 50~60 brix의 농도를 갖는 본 발명의 대추 음료는 우수한 식감을 나타내고,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NO 제거 활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추 음료는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도 자유로워 유통기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고, 항산화능과 항염증능을 발휘하여, 우수한 건강기능성도 발휘한다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조된 대추 음료는 포장해서 출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포장이라 하면, 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포장을 다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짜 먹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
실험예
1: 대추농축액의 농도(
brix
)별 미생물 성장률 측정]
대추에 대추 중량 대비 10배의 물을 첨가한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2번 반복하여 대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대추 추출물을 10, 20, 30, 40, 50, 60 브릭스(brix)로 농도를 조정한 대추 농축액의 농도에 따른 미생물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추 농축액의 농도 10~30 brix에서 미생물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3일차에 세포용해(cell lysis)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대추 농축액의 농도 40 brix에서는 미생물의 성장이 정체되거나 느려졌다. 한편, 대추 농축액의 농도 50 brix 및 60 brix에서는 미생물 성장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추 농축액의 농도 50~60 brix에서 미생물의 성장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
실험예
2: 대추 농축액의 점도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액의 농도를 10~70 birx로 조절하여 농도별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기인 Spindle S64를 이용하여 30 rpm (1분간 30번 회전)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값이 측정되었다.
구분 | 농도(brix) |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
점도 (mPa) |
3.4 | 9.6 | 104 | 312 | 411 | 835 | 971 |
상기 미생물의 성장이 저해되는 농도인 50~60 brix에서 400~850 mPa의 점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 본 발명 농축 대추 음료의 제조]
대추에 대추 중량 대비 10배의 물을 첨가한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2번 반복하여 대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한약재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혼합한 후, 상기 대추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한약재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상기에서 추출한 대추 추출물을 50℃, 45 hPa 에서 농도 65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대추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한약재 농축액은 상기에서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을 50℃, 45 hPa 에서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시제품 #3의 한약재는 53 brix로 농축하고, 시제품 #1, #2, #4, #5의 한약재는 65 brix로 농축하였다.
시제품 #1은 한약재 농축액(65 brix)과 대추 농축액(65 brix)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시제품 #2은 한약재 농축액(65 brix)과 대추 농축액(65 brix)을 1:4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시제품 #3은 한약재 농축액(53 brix)으로만 제조하였다. 또한, 시제품 #4는 한약재 농축액(65 brix)과 대추 농축액(65 brix)을 1:6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시제품 #5는 한약재 농축액(65 brix)과 대추 농축액(65 brix)을 1:4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혼합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거나 농축하여, 농도를 30, 40, 50, 60, 70 브릭스(brix)로 다르게 조정한 후, 4℃에서 3일간 숙성시켜 대추 농축액 및 한약재 농축액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대추 음료의 시제품을 최종 제조하였다.
구분 | 시제품 #1 | 시제품 #2 | 시제품 #3 | 시제품 #4 | 시제품 #5 | ||||||
한약재 |
조성 및 함량 (g) |
갈근 | 320 | 볶은 도라지 | 170 | 대추 | 520 | 석창포 | 230 | 당귀 | 230 |
작약 | 110 | ||||||||||
원지 | 230 | 천궁 | 230 | ||||||||
대추 | 340 | ||||||||||
볶은 대추씨 | 140 | ||||||||||
계지 | 90 | ||||||||||
복령 | 230 | 작약 | 140 | ||||||||
인삼 (건조) |
160 | ||||||||||
감초 | 60 | ||||||||||
홍삼 | 260 | ||||||||||
감초 | 60 | 대추 | 230 | ||||||||
건강 | 60 | ||||||||||
진피 | 230 | ||||||||||
생강 | 80 | 감초 | 100 | ||||||||
대추 | 320 | ||||||||||
감초 | 80 | ||||||||||
감초 | 100 | ||||||||||
대추 | 170 | 계피 | 70 | ||||||||
오미자 | 40 | ||||||||||
당도 (Brix) |
65 | 65 | 53 | 65 | 65 | ||||||
혼합비 |
시제품#1의 한약재(65 brix) : 대추농축액 = 1 : 1 →정제수를 첨가하여 30~70 brix 맞춤 |
시제품 #2의 한약재(65 brix) : 대추농축액 = 1 : 4 →정제수를 첨가하여 30~70 brix 맞춤 |
→시제품 #3의 한약재를 농축하여 30~70 brix 맞춤 | 시제품 #4의 한약재(65 brix) : 대추농축액 = 1 : 6 →정제수를 첨가하여 30~70 brix 맞춤 |
시제품 #5의 한약재(65 brix) : 대추농축액 = 1 : 4 →정제수를 첨가하여 30~70 brix 맞춤 |
[
실험예
3: 대추 농축액 및 대추음료의 농도에 따른 기호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액(30~70 birx로 조절)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음료의 점도와 기호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성인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30명에게 30~70 brix 대추 농축액 및 대추음료를 모두 섭취하도록 한 후, 식감 평가와 맛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5점: 아주 우수함, 4점: 우수함,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아주 나쁨)
구분 | 품목 | 농도 (brix) | 비고 | ||||
30 | 40 | 50 | 60 | 70 | |||
식감 평가 |
대추농축액 |
3.1 | 3.2 | 3.6 | 2.4 | 1.4 | 무작위 성인 30명의 평가 평균값 |
시제품 #1 | 2.4 | 3.5 | 3.8 | 3.1 | 1.2 | 무작위 성인 15명의 평가 평균값 | |
시제품 #2 | 3.1 | 3.3 | 3.3 | 2.1 | 1.0 | ||
시제품 #3 | 3.2 | 3.5 | 3.5 | 3.2 | 2.4 | ||
시제품 #4 | 1.8 | 2.2 | 2.4 | 1.4 | 1.0 | ||
시제품 #5 | 2.1 | 3.3 | 3.4 | 3.4 | 2.8 | ||
맛 평가 |
대추농축액 |
3.3 | 3.2 | 3.2 | 1.6 | 1.4 | 무작위 성인 30명의 평가 평균값 |
시제품 #1 | 3.2 | 3.0 | 3.2 | 1.6 | 1.0 | 무작위 성인 15명의 평가 평균값 | |
시제품 #2 | 3.0 | 3.0 | 3.0 | 2.1 | 1.4 | ||
시제품 #3 | 3.5 | 3.8 | 4.0 | 3.5 | 3.0 | ||
시제품 #4 | 1.2 | 1.4 | 1.8 | 1.0 | 1.0 | ||
시제품 #5 | 2.4 | 2.4 | 2.8 | 2.2 | 2.2 |
실험 결과, 50 brix의 대추 농축액이 식감평가 3.6, 맛평가 3.2로 식감 평가와 맛 평가에서 모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추음료의 식감 평가와 맛 평가에서도 평균적으로 50 brix에서 우수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추 음료를 제조할 경우, 대추 농축액과 대추음료의 농도는 50 brix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관능적으로 바람직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실험예
4: 최종 농도에 따른 본 발명 대추 음료의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 음료의 식감을 평가하는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성인 15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15명에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30 brix 대추 음료, 40 brix 대추 음료, 50 brix 대추 음료, 60 brix 대추 음료, 70 brix 대추 음료를 섭취하도록 한 후, 식감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5점: 아주 우수함, 4점: 우수함,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아주 나쁨)
구분 | 농도(brix) | 비고 | |||||
30 | 40 | 50 | 60 | 70 | |||
식감 평가 | 시제품 #1 | 2.4 | 3.5 | 3.8 | 3.1 | 1.2 | 무작위 성인 15명의 평가 평균값 |
시제품 #2 | 3.1 | 3.3 | 3.3 | 2.1 | 1.0 | ||
시제품 #3 | 3.2 | 3.5 | 3.5 | 3.2 | 2.4 | ||
시제품 #4 | 1.8 | 2.2 | 2.4 | 1.4 | 1.0 | ||
시제품 #5 | 2.1 | 3.3 | 3.4 | 3.4 | 2.8 |
실험 결과, 50 brix의 대추 음료가 가장 우수한 식감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기 실험예 3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대추 음료에 있어서도 대추 농축액 실험과 마찬가지로 50 brix가 가장 좋게 나타난 것이다.
[
실험예
5: 대추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시제품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여 50 brix로 농축한 대추음료 (65 brix 대추 농축액 + 65 brix 한약재 농축액)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액(50 brix로 농축)을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대추농축액 단일보다 한약재 농축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대추 음료가 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추 농축액을 단일로 사용하는 것보다 한약재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
실험예
6: 대추 음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액과 대추 음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농축액(50 brix로 농축), 실시예에서 수득한 50 brix 대추 음료 (65 brix 대추 농축액 + 65 brix 한약재 농축액)를 비교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대추 농축액을 단일로 사용한 것보다 한약재 농축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대추 음료가 더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추 농축액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것보다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
실험예
7: 대추 음료의 NO 제거
활성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대추 농축액(50 brix)과 실시예의 50 brix 대추 음료 (65 brix 대추 농축액 + 65 brix 한약재 농축액)의 NO 제거능을 측정하여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대추 음료를 시제품 #1~#3 (각각 50 brix로 농축)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무처리 대조군, LPS 처리군, LPS와 대추 농축액의 혼합물 처리군(실험군 1), LPS와 시제품 #1의 혼합물 처리군(실험군 2), LPS와 시제품 #2의 혼합물 처리군(실험군 3), LPS와 시제품 #3의 혼합물 처리군(실험군 4)의 NO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 2 내지 4가 LPS와 실험군 1보다 우수한 NO 제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추 농축액 단독보다 한약재 농축액을 첨가한 본 발명 대추 음료가 더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Claims (5)
- 65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과 65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50 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하고, 숙성하는 단계 (b);를 포함하되,
상기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갈근 32중량부, 작약 11중량부, 계지 9중량부, 감초 6중량부, 건강 6중량부, 대추 32중량부 및 오미자 4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90~110℃의 열수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1~3차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65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65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한약재 열수 추출물은,
대추 열수 추출물 또는 한약재 열수 추출물을 45~55℃의 온도에서 45~90 hPa의 압력으로 농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숙성은,
3~5℃에서 2~4일간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음료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932A KR102051409B1 (ko) | 2018-03-13 | 2018-03-13 |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932A KR102051409B1 (ko) | 2018-03-13 | 2018-03-13 |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7780A KR20190107780A (ko) | 2019-09-23 |
KR102051409B1 true KR102051409B1 (ko) | 2019-12-03 |
Family
ID=6806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8932A KR102051409B1 (ko) | 2018-03-13 | 2018-03-13 |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140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0332B1 (ko) * | 2010-04-09 | 2011-01-25 | 우경순 | 발효 대추와 마늘을 이용한 강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발효 대추와 마늘을 이용한 강장식품 |
KR101103017B1 (ko) | 2011-03-29 | 2012-01-05 | 안성찬 | 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음료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7685B1 (ko) * | 2003-07-15 | 2006-03-07 | 김종운 | 음료형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방법 |
KR101218792B1 (ko) * | 2009-10-28 | 2013-01-14 | 조용택 |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426505B1 (ko) * | 2012-12-27 | 2014-08-07 |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
KR101767609B1 (ko) | 2015-08-05 | 2017-08-23 | 이종선 |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
KR101889752B1 (ko) | 2016-03-28 | 2018-08-20 | 김나윤 |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3-13 KR KR1020180028932A patent/KR1020514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0332B1 (ko) * | 2010-04-09 | 2011-01-25 | 우경순 | 발효 대추와 마늘을 이용한 강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발효 대추와 마늘을 이용한 강장식품 |
KR101103017B1 (ko) | 2011-03-29 | 2012-01-05 | 안성찬 | 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음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7780A (ko) | 2019-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6052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2155710B1 (ko) |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 |
CN104982572A (zh) | 一种玉米须袋泡茶及其制备方法 | |
CN103749783A (zh) | 一种芙蓉金花茶 | |
KR20140097961A (ko) | 숙취해소 음료 | |
KR102012872B1 (ko) |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 |
KR20190035330A (ko) | 산양삼 삼계탕 제조 방법 | |
KR102051409B1 (ko) |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 |
KR102095621B1 (ko) | 식품 첨가물의 제조방법 | |
KR20210055938A (ko) |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 | |
KR102330932B1 (ko) | 피로회복 면역증진 천연자연차 | |
KR20100094015A (ko) | 흑도라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 |
KR20070047396A (ko) |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 |
KR101070469B1 (ko) |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 |
KR101667992B1 (ko) | 겨우살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갱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갱 | |
KR102451742B1 (ko) | 미숙 사과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101375347B1 (ko) |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 |
KR102095620B1 (ko) | 식품 첨가물 및 천연물 기능성 식품 | |
KR20180000871A (ko) | 자소, 어성초 및 녹차를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509430B1 (en) | Herbal beverag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 |
KR20080039228A (ko) | 구아바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827874B1 (ko) | 백하수오 당귀 혼합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KR20200142768A (ko)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
KR102402980B1 (ko) | 산양삼 겔 제조방법 | |
KR102191475B1 (ko) | 노니청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