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609B1 -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 Google Patents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609B1
KR101767609B1 KR1020150110471A KR20150110471A KR101767609B1 KR 101767609 B1 KR101767609 B1 KR 101767609B1 KR 1020150110471 A KR1020150110471 A KR 1020150110471A KR 20150110471 A KR20150110471 A KR 20150110471A KR 101767609 B1 KR101767609 B1 KR 10176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powder
mixing
sugar
a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122A (ko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이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선 filed Critical 이종선
Priority to KR102015011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은 생대추를 채집하고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세하여 제거하는 생대추 세척 단계(S100); 상기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대추의 표면을 건조한 후 상기 대추에 포함되어 있는 대추씨를 제거하는 대추씨 제거 단계(S200);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을 건조함으로써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대추 건조 단계(S300);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분말화하기 위하여 파쇄하는 대추 분쇄 단계(S400); 정제수에 한천가루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한천액 제조 단계(S500);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혼합하여 용해하는 설탕 혼합 단계(S600);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혼합하는 백앙금 혼합 단계(S700); 상기 백앙금 및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상기 대추 분쇄 단계에서 제조된 대추분말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 상기 한천액에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 상기 대추가 함유된 농축액을 냉각시켜 고형화하는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 및 상기 고형화된 양갱을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동결 건조된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하는 양갱 충진 단계(S11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대추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건조 및 분말화하여 양갱을 제조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분말화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양갱과 대추를 거부감없이 간식 등으로 섭취할 수 있고, 대추의 유효 성분을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METHOD FOR MANUFACTURING JUJUBE JELLY AND JUJUBE JELLY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과육의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관련 생활 습관병(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발생빈도가 급격하게 증가가 되고 있으며 생활수준이 빠르게 향상되고, 특히 의료산업의 발달로 수명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 노령화 인구의 증가에 따라 암, 당료, 동맥경화, 면역성 질환 등 많은 만성, 난치성 질환을 포함한 성인병 및 퇴행성 질환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렀고 사회적으로 웰빙(well-being) 붐이 조성되고 있다.
이와 함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먹거리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양갱에 대한 수요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양갱은 우리나라 식품공전상 캔디류에 속하며 당류, 앙금류 및 겔화제 등을 원료로 하며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양갱 중 대표적인 것이 수분함량이 높은 연양갱으로서 팥앙금을 주원료로 하여 한천 및 당류와 함께 가열하는 전통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사회적인 요구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쑥, 밤, 고구마, 호박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물이 첨가되어 제조되고는 있으나, 그 제조방법이 한정되어 개발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효가 있다. 민간에서는 잘 익은 대추를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고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하면 각성작용이 있으며 볶은 것은 최면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serotonin, organic acid, fatty acids, polyphenol, flavonoids 및 amino acids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약리 작용으로는 대추 메탄올 추출물이 간세포의 괴사와 효소의 유출을 저해하고 간의 저항력 및 간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간 보호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양갱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과육의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양갱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76260호(2014년 06월 20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74900호(2012년 07월 06일 공개)
본 발명은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의 과육을 동결건조하고, 상기 대추의 과육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갱과 대추를 거부감없이 간식 등으로 섭취할 수 있고, 대추의 유효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은 생대추를 채집하고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세하여 제거하는 생대추 세척 단계(S100); 상기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대추의 표면을 건조한 후 상기 대추에 포함되어 있는 대추씨를 제거하는 대추씨 제거 단계(S200);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을 건조함으로써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대추 건조 단계(S300);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분말화하기 위하여 파쇄하는 대추 분쇄 단계(S400); 정제수에 한천가루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한천액 제조 단계(S500);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혼합하여 용해하는 설탕 혼합 단계(S600);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혼합하는 백앙금 혼합 단계(S700); 상기 백앙금 및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상기 대추 분쇄 단계에서 제조된 대추분말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 상기 한천액에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 상기 대추가 함유된 농축액을 냉각시켜 고형화하는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 및 상기 고형화된 양갱을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동결 건조된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하는 양갱 충진 단계(S1100)를 포함한다.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는 동결 건조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되되, 상기 동결 건조 단계는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를 거친 대추를 -40℃ 내지 0℃의 범위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예비동결 건조하고, -40℃에서 5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50 내지 60시간 동안 건조시키며, 상기 온도 상승은 -40℃에서 시작하여 -20℃, 0℃, 10℃, 20℃, 30℃, 40℃, 50℃로 단계별로 상승시킨 후 각 온도를 6 내지 9시간 동안 유지하여 대추를 건조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대추의 과육을 분쇄하되, 상기 분쇄된 대추의 입경은 0.1 내지 0.5mm 범위를 가지도록 분쇄되고,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는 정제수 350 내지 400 중량부가 사용되고, 한천가루 5 내지 15 중량부가 사용되며, 한천가루를 정제수에 혼합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한천가루를 정제수에 용해하는 단계이며,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는 설탕 200 내지 300 중량부가 사용되고, 설탕을 한천액에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용해하는 단계이고, 상기 백앙금 혼합 단계(S700)는 백앙금 450 내지 550 중량부가 사용되고,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단계이며,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는 대추분말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사용되고, 대추분말을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는 상기 올리고당 30 내지 40 중량부를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는 열풍 건조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되되, 상기 열풍 건조 단계는 44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대추 양갱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은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의 과육을 동결건조하고, 상기 대추의 과육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은 양갱과 대추를 거부감없이 간식 등으로 섭취할 수 있고, 대추의 유효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계별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계별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대추 양갱은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과육의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은 생대추 세척 단계(S100), 대추씨 제거 단계(S200), 대추 건조 단계(S300), 대추 분쇄 단계(S400), 한천액 제조 단계(S500), 설탕 혼합 단계(S600), 백앙금 혼합 단계(S700),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 및 양갱 충진 단계(S1100)를 포함한다.
1. 생대추 세척 단계(S100)
상기 생대추 세척 단계(S100)는 잘 익은 생대추를 채집하고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세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생대추 세척 단계(S100)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함으로써 상기 생대추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생대추 세척 단계(S100)에서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살균력이 있는 0.5 내지 0.6ppm의 오존수로 세척함으로써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2. 대추씨 제거 단계(S200)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는 상기 생대추 세척 단계(S100)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대추의 표면을 건조한 후 상기 대추에 포함되어 있는 대추씨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는 세척 후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건조한 후 생대추의 과육 내부에 위치하는 대추씨를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생대추의 건조는 자연건조나 열풍건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생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대추의 대추씨 제거는 세척되어 건조된 생대추의 일단 및 타단을 절단한 후 상기 대추씨를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대추의 과육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대추씨를 대추의 과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3. 대추 건조 단계(S300)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는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를 거친 대추를 건조함으로써,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는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대추 자체가 가진 당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장기간 보관하여도 변질의 위험없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대추 양갱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는 동결 건조 단계 또는 열풍 건조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동결 건조 단계 또는 열풍 건조 단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초음파 건조 등 다양한 건조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1) 동결 건조 단계
상기 동결 건조 단계는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를 거친 대추를 -40℃ 내지 0℃의 범위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예비동결 건조하고, -40℃에서 5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50 내지 6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온도가 55 내지 60℃를 넘게 되면 상기 대추의 표면이 열화되거나 탄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범위를 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하며, 상기 동결 건조 단계는 진공도가 25 내지 30m Torr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 상승의 예를 살펴보면, -40℃에서 시작하여 -20℃, 0℃, 10℃, 20℃, 30℃, 40℃, 50℃로 단계별로 상승시킨 후 각 온도를 6 내지 9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시간 및 온도 변화를 가하여 상기 대추를 건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 건조한 후의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 과육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열풍 건조 단계
상기 열풍 건조 단계는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를 거친 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 건조 단계는 44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 건조 단계가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기 어려우며,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어 상기 대추의 식감이 나빠질 수 있다.
4. 대추 분쇄 단계(S400)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는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되어 고형화될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추를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분말화하여 대추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는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을 분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에서 상기 분말화도는 대추는 상기 대추씨 건조 단계(S300)를 거쳐 건조된 대추의 과육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된 대추의 과육을 이용하여 분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대추의 과육을 분쇄함으로써 대추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대추분말의 입경은 0.1 내지 0.5mm 범위를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분말의 입경이 0.1mm 미만으로 분쇄된 경우에는 상기 대추분말의 입자가 너무 작아 제조된 양갱에서 대추의 식감을 느낄 수 없고, 0.5mm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추분말의 입자가 너무 커서 제조된 양갱에서 대추 입자가 혼화되기 어렵고 양갱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5. 한천액 제조 단계(S500)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는 정제수에 한천가루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천가루는 우뭇가사리의 열수추출액(熱水抽出液)의 응고물인 우무를 얼려 말린 해조 가공품으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그 외에 칼슘·나트륨·칼륨·마그네슘 등 미네랄도 많은 양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로 골다공증 환자가 늘어나면서 칼슘이 많은 식품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또한 혈액중의 산소를 세포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철과 구리, 세포를 젊어지게 하는 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천가루는 응고성(凝固性), 점탄성(粘彈性)을 가지고 있어 겔화제(Gel化劑), 안정제, 점증제 등으로 이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양갱을 응고시켜 고형화(固形化)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에서 상기 정제수는 350 내지 400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한천가루는 5 내지 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한천가루가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갱의 응고력이 떨어지게 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갱의 응고력이 너무 강해 양갱의 상품성 및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는 한천가루를 정제수에 혼합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한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가 상기한 하만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천가루의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천가루의 물성이 파괴될 수 있다.
6. 설탕 혼합 단계(S600)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는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혼합하여 용해하는 단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에서 상기 설탕은 제조되는 양갱의 달콤한 맛을 부여하고, 첨가되는 백앙금과 한천액의 응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설탕은 200 내지 3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에서 상기 설탕이 20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갱에서 단맛이 부족하고, 또한 양갱의 응고력이 떨어져 무르게 되어 양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맛이 너무 강하게 느껴져 대추의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는 설탕을 한천액에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용해시킬 수 있다.
7. 백앙금 혼합 단계(S700)
상기 백앙금 혼합 단계(S700)는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앙금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백앙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한두해살이풀인 완두콩으로 제조되는 백앙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백앙금 혼합 단계(S700)에서 상기 백앙금은 450 내지 5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백앙금이 4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갱의 씹히는 맛이 떨어지고 양갱의 단맛이 부족할 수 있으며, 5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떨어져 양갱이 부스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앙금 혼합 단계(S700)는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8.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는 상기 백앙금이 혼합되고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에서 분말화된 대추분말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에서 상기 대추분말은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대추분말이 1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갱에서 대추의 식감을 충분히 느낄 수 없고, 2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추분말의 함유량이 너무 많아 양갱에서 대추 입자가 혼화되기 어렵고 양갱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는 상기 대추분말을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9.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는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에서 백앙금 및 대추분말이 혼합되고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에서 상기 올리고당은 양갱의 부드러운 맛을 더해주고 양갱의 표면을 보다 윤기나게 하여 양갱의 상품성 및 기호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30 내지 4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는 상기 올리고당을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10.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
상기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는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냉각시켜 고형화함으로써 양갱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11. 양갱 충진 단계(S1100)
상기 양갱 충진 단계(S1100)는 상기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에서 고형화된 양갱을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건조된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에서 고형화된 양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양갱을 상기 대추의 과육 부분에 부착하여 제조된 대추 양갱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상기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과육의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생대추를 채집하여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7℃의 온도에서 생대추의 표면을 건조하였고, 건조된 생대추를 일단과 타단을 절개하여 대추씨를 제거한 후 -40℃ 내지 0℃의 범위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예비동결 건조하고, -40℃에서 5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50 내지 60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동결 건조된 대추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경이 0.1 내지 0.5mm 범위를 가지도록 분쇄하였다.
그 다음으로, 정제수 375g에 한천가루 10g, 설탕 250g, 백앙금 500g을 혼합하여 가열하였다.
이어서, 대추분말 200g과 올리고당 35g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고, 이후 농축액을 냉각시켜 양갱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양갱을 상기 동결 건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시중에서 시판되는 H사의 양갱을 준비하였고, 상기 H 사의 양갱에는 본 발명과 같이 대추분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대추 양갱과 비교예에 따른 양갱의 맛, 향, 색감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색감 당도 조직감 전체기호도
실시예 8.0 8.2 8.2 7.9 8.0 8.3
비교예 6.7 6.3 6.6 8.2 6.2 6.5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대추 양갱과 비교예에 의해 준비된 양갱의 맛, 향, 색감 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추 양갱이 종래의 양갱에 비해 맛, 향, 색감이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대추 양갱이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과육의 내부에 양갱을 고형화하여 충진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생대추를 채집하고 상기 생대추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세하여 제거하는 생대추 세척 단계(S100);
    상기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대추의 표면을 건조한 후 상기 대추에 포함되어 있는 대추씨를 제거하는 대추씨 제거 단계(S200);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을 건조함으로써 상기 대추의 과육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대추 건조 단계(S300);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건조된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되어 고형화된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추를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분말화하여 대추분말을 제조하되, 상기 분말화되는 대추는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를 거쳐 건조된 대추의 과육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된 대추의 과육을 이용하는 대추 분쇄 단계(S400);
    정제수에 한천가루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는 한천액 제조 단계(S500);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혼합하여 용해하는 설탕 혼합 단계(S600);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혼합하는 백앙금 혼합 단계(S700);
    상기 백앙금이 혼합되고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에서 분말화된 대추분말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에서 백앙금 및 대추분말이 혼합되고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냉각시켜 고형화함으로써 양갱을 제조하는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 및
    상기 냉각 및 양갱 제조 단계(S1000)에서 고형화된 양갱을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건조된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 부분에 충진하는 양갱 충진 단계(S1100)를 포함하고,
    상기 대추 건조 단계(S300)에서 상기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의 과육의 건조는 동결 건조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되되, 상기 동결 건조 단계는 상기 대추씨 제거 단계(S200)를 거친 대추를 -40℃ 내지 0℃의 범위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예비동결 건조하고, -40℃에서 5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50 내지 60시간 동안 건조시키며, 상기 온도 상승은 -40℃에서 시작하여 -20℃, 0℃, 10℃, 20℃, 30℃, 40℃, 50℃로 단계별로 상승시킨 후 각 온도를 6 내지 9시간 동안 유지하여 대추를 건조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에서 대추의 과육을 분말화하여 제조된 상기 대추분말의 입경은 0.1 내지 0.5mm 범위를 가지며,
    상기 한천액 제조 단계(S500)에서 상기 정제수는 350 내지 400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한천가루는 5 내지 15 중량부가 사용되되, 상기 한천가루를 정제수에 혼합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한천액을 제조하며,
    상기 설탕 혼합 단계(S600)에서 상기 설탕은 200 내지 300 중량부가 사용되되, 상기 설탕을 한천액에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한천액에 설탕을 혼합하여 용해하고,
    상기 백앙금 혼합 단계(S700)에서 상기 백앙금은 450 내지 550 중량부가 사용되되, 상기 설탕이 용해된 한천액에 백앙금을 투입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대추분말 혼합 단계(S800)에서 상기 대추 분쇄 단계(S400)에서 분말화된 대추분말은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사용되되, 상기 대추분말을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올리고당 혼합 단계(S900)에서는 상기 올리고당 30 내지 40 중량부를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0 내지 15분간 가열함으로써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양갱.
KR1020150110471A 2015-08-05 2015-08-05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10176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71A KR101767609B1 (ko) 2015-08-05 2015-08-05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71A KR101767609B1 (ko) 2015-08-05 2015-08-05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22A KR20170018122A (ko) 2017-02-16
KR101767609B1 true KR101767609B1 (ko) 2017-08-23

Family

ID=5826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471A KR101767609B1 (ko) 2015-08-05 2015-08-05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6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780A (ko) 2018-03-13 2019-09-23 한약진흥재단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KR20210006144A (ko) * 2019-07-08 2021-01-18 (주)마띠아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마카롱 제조방법
KR20230092426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아테나공동체 무궁화 양갱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615B1 (ko) 2017-06-23 2019-07-18 농업회사법인 (주)파밍하우스 고로쇠 수액과 산수유를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KR102054906B1 (ko) * 2018-03-19 2019-12-11 이진우 홍삼대추호두정과 제조방법
KR102128901B1 (ko) * 2018-12-18 2020-07-02 (주)클림 꾸지뽕 크런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5785B1 (ko) * 2019-01-31 2021-08-30 김미숙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48A (ja) * 1999-02-12 2000-08-29 Hiroko Hirakawa チョコレート包み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7126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900A (ko) 2010-12-28 2012-07-06 경산시 대추 양갱
KR20140076260A (ko) 2012-12-12 2014-06-20 주식회사 보은물산 대추를 이용한 양갱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48A (ja) * 1999-02-12 2000-08-29 Hiroko Hirakawa チョコレート包み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7126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780A (ko) 2018-03-13 2019-09-23 한약진흥재단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KR20210006144A (ko) * 2019-07-08 2021-01-18 (주)마띠아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마카롱 제조방법
KR102244877B1 (ko) * 2019-07-08 2021-04-27 주식회사 마띠아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마카롱 제조방법
KR20230092426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아테나공동체 무궁화 양갱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22A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609B1 (ko)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JP2009514522A (ja) 高繊維大豆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8198B1 (ko) 라이스밀크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및 라이스밀크엑기스를 사용한 식품
KR101599829B1 (ko) 건식형 라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1668807B1 (ko) 한방 생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생강 환
KR101886421B1 (ko) 대마씨를 이용한 두부제조방법
KR101930433B1 (ko) 밀웜을 함유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웜 양갱
KR20080111365A (ko) 치아시드 커피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JP2008278828A (ja) ブドウ果皮由来固形物を含有する呈味改善された油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534275B2 (ja) 骨砕補エキス組成物
KR102295785B1 (ko)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1023A (ko) 기능성 콩단백 가루, 그 제조방법 및 기능성 콩단백 두부의제조방법.
KR101071619B1 (ko) 한약재 함유 건강증진용 화과자
KR20100009289A (ko) 한약재 함유 건강 증진용 젤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젤리
US20080286413A1 (en) Making Process of Extract Containing Ingredients of a Radish and a Pumpkin, and Making Process of Granules and Pills by Using the Extract
KR100915916B1 (ko) 천연물질 산수유를 이용한 무간수 한방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858B1 (ko) 천연과즙 및 팥분말을 이용한 항혈전 활성 강화 과립형 팥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692B1 (ko) 버섯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075413A (ko) 파손율이 감소된 건조 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238B1 (ko)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0767B1 (ko) 두부를 이용한 식품재료 및 제조방법
KR20140063042A (ko) 소화흡수력이 높은 팽화홍삼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9540B1 (ko) 전두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