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997B1 - 냉동식품 해동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식품 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997B1
KR102049997B1 KR1020180037913A KR20180037913A KR102049997B1 KR 102049997 B1 KR102049997 B1 KR 102049997B1 KR 1020180037913 A KR1020180037913 A KR 1020180037913A KR 20180037913 A KR20180037913 A KR 20180037913A KR 102049997 B1 KR102049997 B1 KR 10204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circulation
thaw tank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194A (ko
Inventor
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원
Priority to KR102018003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9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7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B01F15/00344
    • B01F15/00538
    • B01F15/0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3/04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1Amount of delivered fluid during a peri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01F5/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순환을 통해 순환되는 물과의 접촉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통해 물순환해동수조 내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식품 해동장치{thawing apparatus of frozen food}
본 발명은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순환을 통해 순환되는 물과의 접촉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통해 물순환해동수조 내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품 해동장치란 냉동된 어류 또는 육류 등의 냉동식품을 실온의 물을 이용하여 해동하기 위한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동식품의 해동을 이루기 위한 해동장치는 통상적으로 실온의 물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해동탱크와, 상기 해동탱크의 내측으로 냉동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탈부착의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해동박스로 구성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해동탱크의 내측에 수용되는 실온의 물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냉동식품의 표면에 기포를 분사하여 냉동식품의 해동과정을 원활하게 이루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2420호 1999.12.10.등록.),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08735호 2005.08.09.등록)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냉동식품 중의 하나인 냉동육을 수용하여 해동시키는 해동장치에 기포를 분사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2420호 1999.12.10.등록.),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08735호 2005.08.09.등록)와 같은 해동장치는 해동장치의 내측에 냉동식품 중의 하나인 냉동육을 수용하여 해동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실온의 물을 이용한 종래의 해동과정보다 높은 해동효율을 얻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해동과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해동을 이루기 위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 등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단순한 실온의 물을 이용한 해동과정이 이루어지므로, 해동시간이 길게 소요되어 해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단순한 실온의 물을 이용한 해동과정에 따라 냉동식품의 해동과정에서의 냉동식품에 대한 별도의 살균효과를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하는 한편,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2420호 1999.12.1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08735호 2005.08.09.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02167호 2005.07.08.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2719호 2012.12.1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8783호 2014.04.17.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순환을 통해 순환되는 물과의 접촉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통해 물순환해동수조 내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개방된 일 측에 대한 내부 상측에 부구가 형성되며, 타 측 상부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거름망 상부의 일면이 물순환해동수조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는 물공급 수조가 적용됨으로써 물순환해동수조의 일정 수위가 넘어설 경우에 수면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상층에 대한 물이 물공급 수조로 오버플로우되면서 오버플로우된 물에 내포된 이물질이 걸러져 물공급 수조 내부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순환해동수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다수의 냉동식품이 투입되어 내부에 순환되는 물에 부유하면서 일 방향으로 순환회전하면서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타원 타입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물순환해동수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일 측에 설치되며, 메인공급라인을 통해 내부에 물이 일정량 저수되어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 수조; 상기 물공급 수조 측부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둘레에 걸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부와 연통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부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내부의 물순환을 위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 수조 내부의 물 수위와 물 온도 및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 제트분사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한편,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일 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 수조로 물이 저수되도록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공급라인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을 수소버블화하여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으로 공급하는 수소버블발생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공급 수조는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통해 내부에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내측 바닥부분에 수온조절부재가 관통하여 내설되는 한편, 상기 수온조절부재는 다수의 발열봉으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물공급 수조는 내부의 물 수위가 상기 컨트롤박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 측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부구가 형성되어, 상기 부구의 일정높이 상승시 상기 컨트롤박스를 통해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통해 저수되는 물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공급 수조는 이웃하는 물순환해동수조의 내부에 일정수위가 넘게 되면 오버플로우되는 상층의 물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걸러 하향 낙하 안내하도록, 타 측 상부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 상부의 일 면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은 일단이 상기 물공급 수조의 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트분사물공급라인과,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물공급 수조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으로 제트분사를 위한 물을 이동시키는 모터펌프 및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와 연통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으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제트분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트분사라인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양측 측부로부터 연이어 물을 제트분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대향되는 양측에 대하여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트분사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 단부에 연결되되, 적어도 둘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제트분사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 측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 중, 하 측 부분의 위치에 대응되는 세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순환을 통해 순환되는 물과의 접촉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통해 물순환해동수조 내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개방된 일 측에 대한 내부 상측에 부구가 형성되며, 타 측 상부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거름망 상부의 일면이 물순환해동수조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는 물공급 수조가 적용됨으로써 물순환해동수조의 일정 수위가 넘어설 경우에 수면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상층에 대한 물이 물공급 수조로 오버플로우되면서 오버플로우된 물에 내포된 이물질이 걸러져 물공급 수조 내부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순환해동수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요부인 물공급 수조에 대한 세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요부인 물공급 수조에 대한 세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는 다수의 냉동식품(미부호)을 투입하여 물에 일정깊이 잠겨 부유하면서 순환이동되도록 하면서 냉동식품에 대한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물순환해동수조(100), 물공급 수조(200), 제트분사 순환유닛(300) 및 컨트롤박스(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냉동식품(미부호)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동육 등과 같은 냉동제품이 진공포장된 파우치로 적용될 수 있으며, 물론 포장이 없이 냉동된 냉동육 등과 같은 냉동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서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다수의 냉동식품이 투입되어 내부에 순환되는 물에 부유하면서 일 방향으로 순환회전하면서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타원 타입의 순환유로(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일 측에 설치되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내부에 물이 일정량 저수되어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상기 물공급 수조(200) 측부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둘레에 걸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부와 연통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부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내부의 물순환을 위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400)는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 수조(200) 내부의 물 수위와 물 온도 및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의 물 제트분사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는 특히,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한편,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일 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 수조(200)로 물이 저수되도록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공급라인(300a)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을 수소버블화하여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공급하는 수소버블발생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소버블발생유닛(500)을 더 포함함으로써 해동을 위해 순환되는 물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 냉동식품에 대한 살균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서,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내부에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외부로부터 내측 바닥부분에 수온조절부재(210)가 관통하여 내설되는 한편, 상기 수온조절부재(210)는 다수의 발열봉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온조절부재(210)는 전술한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물공급 수조(200)에 저수되는 물에 대한 온도를 섭씨 25~40도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제어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물공급 수조(200)는 내부의 물 수위가 상기 컨트롤박스(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개방된 일 측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부구(220)가 형성되어, 상기 부구(220)의 일정높이 상승시 상기 컨트롤박스(400)를 통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저수되는 물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이웃하는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내부에 일정수위가 넘게 되면 오버플로우되는 상층의 물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걸러 하향 낙하 안내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타 측 상부에 거름망(230)이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230) 상부의 일 면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240)을 통해 연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서, 제트분사 순환을 위한 요부인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크게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과, 모터펌프(320) 및 제트분사라인(33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은 일단이 상기 물공급 수조(200)의 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펌프(320)는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을 통해 상기 물공급 수조(200)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제트분사를 위한 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와 연통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트분사라인(330)은 특히,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적어도 둘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양측 측부로부터 연이어 물을 제트분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대향되는 양측에 대하여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의하면,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물순환을 통해 순환되는 물과의 접촉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해동시간을 단축하여 해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물순환해동수조, 제트분사 순환유닛 및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수소버블발생유닛을 통해 물순환해동수조 내에 수소버블을 공급하여 해동과정에서의 살균효과를 구현시켜 냉동식품에 대한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개방된 일 측에 대한 내부 상측에 부구가 형성되며, 타 측 상부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거름망 상부의 일면이 물순환해동수조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는 물공급 수조가 적용됨으로써 물순환해동수조의 일정 수위가 넘어설 경우에 수면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상층에 대한 물이 물공급 수조로 오버플로우되면서 오버플로우된 물에 내포된 이물질이 걸러져 물공급 수조 내부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순환해동수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트분사 순환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제트분사라인의 분기되는 구조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서,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의 제트분사라인(330)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 중, 하 측 부분의 위치에 대응되는 세 갈래로 분기된다.
이때,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 해동장치에 의하면, 물순환해동수조의 측부에 연결되는 제트분사라인이 물순환해동수조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상, 중, 하의 위치에 연통 연결되는 제트분사 순환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물순환해동수조 내의 물순환이 상, 중, 하 층에 관계없이 고르게 순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순환과 함께 순환되는 냉동식품의 순환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물순환해동수조 110: 순환유로
200: 물공급 수조 210: 수온조절부재
220: 부구 230: 거름망
240: 연통공 241: 창살
200a: 메인공급라인 300: 제트분사 순환유닛
310: 제트분사물공급라인 320: 모터펌프
330: 제트분사라인 300a: 분기공급라인
400: 컨트롤박스 500: 수소버블발생유닛

Claims (10)

  1. 개방된 상부로부터 다수의 냉동식품이 투입되어 내부에 순환되는 물에 부유하면서 일 방향으로 순환회전하면서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타원 타입의 순환유로(110)가 형성되는 물순환해동수조(100);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일 측에 설치되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내부에 물이 일정량 저수되어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 수조(200);
    상기 물공급 수조(200) 측부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둘레에 걸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부와 연통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부로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내부의 물순환을 위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제트분사 순환유닛(300); 및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 수조(200) 내부의 물 수위와 물 온도 및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의 물 제트분사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한편,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일 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 수조(200)로 물이 저수되도록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공급라인(300a)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을 수소버블화하여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공급하는 수소버블발생유닛(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내부의 물 수위가 상기 컨트롤박스(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 측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부구(220)가 형성되어, 상기 부구(220)의 일정높이 상승시 상기 컨트롤박스(400)를 통해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저수되는 물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이웃하는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내부에 일정수위가 넘게 되면 오버플로우되는 상층의 물이 유입되어 이물질을 걸러 하향 낙하 안내하도록, 타 측 상부에 거름망(230)이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230) 상부의 일 면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상부와 다수의 창살이 구비된 연통공(240)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물공급 수조(200)의 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과,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을 통해 상기 물공급 수조(200)로부터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제트분사를 위한 물을 이동시키는 모터펌프(320) 및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와 연통연결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으로 물을 제트분사 공급하는 제트분사라인(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수조(200)는 상기 메인공급라인(200a)을 통해 내부에 저수된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내측 바닥부분에 수온조절부재(210)가 관통하여 내설되는 한편,
    상기 수온조절부재(210)는 다수의 발열봉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사 순환유닛(300)은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양측 측부로부터 연이어 물을 제트분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대향되는 양측에 대하여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적어도 둘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사라인(330)은 일단이 상기 제트분사물공급라인(310)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 측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 중, 하 측 부분의 위치에 대응되는 세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 타단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물순환 방향과 대응되어 상기 물순환해동수조(100)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 해동장치.
KR1020180037913A 2018-04-02 2018-04-02 냉동식품 해동장치 KR10204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13A KR102049997B1 (ko) 2018-04-02 2018-04-02 냉동식품 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13A KR102049997B1 (ko) 2018-04-02 2018-04-02 냉동식품 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94A KR20190115194A (ko) 2019-10-11
KR102049997B1 true KR102049997B1 (ko) 2019-12-09

Family

ID=6821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13A KR102049997B1 (ko) 2018-04-02 2018-04-02 냉동식품 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891B1 (ko) * 2020-05-19 2021-09-02 파우니식품주식회사 식품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20Y1 (ko) * 1999-09-30 2000-03-15 정석봉 물 순환 및 수중 기포 분사형 해동장치
KR200354198Y1 (ko) * 2004-04-01 2004-06-24 주식회사 청하기계 어류 및 육류 해동기
JP2009065962A (ja) * 2007-09-12 2009-04-02 Shinyo Industries Co Ltd 解凍処理水循環噴射水流の解凍機。
JP2009195889A (ja) * 2008-02-25 2009-09-03 Opt Creation:Kk ナノバブル液体製造装置及びナノバブル液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420B1 (ko) 1995-12-27 1999-03-30 김광호 고속의 어드레스 입력을 위한 어드레스 버퍼
KR100502167B1 (ko) 2002-10-29 2005-08-04 주식회사 진미 냉동식품의 저온 해동장치
KR100508735B1 (ko) 2003-09-17 2005-08-17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균일한 기포를 분사하는 침지식 해동기
KR101212719B1 (ko) 2011-04-20 2012-12-14 부의식 냉동 어류용 해동 장치
KR101388783B1 (ko) 2013-11-21 2014-04-23 김용태 육류 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해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20Y1 (ko) * 1999-09-30 2000-03-15 정석봉 물 순환 및 수중 기포 분사형 해동장치
KR200354198Y1 (ko) * 2004-04-01 2004-06-24 주식회사 청하기계 어류 및 육류 해동기
JP2009065962A (ja) * 2007-09-12 2009-04-02 Shinyo Industries Co Ltd 解凍処理水循環噴射水流の解凍機。
JP2009195889A (ja) * 2008-02-25 2009-09-03 Opt Creation:Kk ナノバブル液体製造装置及びナノバブル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94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276Y1 (ko) 다기능 식품 세척기
KR102665668B1 (ko) 양어장 및 작동 방법
KR20180010412A (ko) 농산물 세척 장치
KR102049997B1 (ko) 냉동식품 해동장치
US2418519A (en) Blanching machine
EP3692785B1 (en) A movable container for an ebb-flow plant growth system
JP6427217B2 (ja) 野菜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野菜洗浄システム
JP3724749B1 (ja) 液槽中の浮遊物の移動制御装置およびカット野菜の殺菌装置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CN107427015A (zh) 用于烫洗已宰杀禽类的装置和方法
JP3957733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KR20160134785A (ko) 세정 장치
KR102236728B1 (ko) 절임장치
KR101151440B1 (ko) 냉동과일 해동세정기
JP4732882B2 (ja) 海苔貯蔵槽の海水循環システム
JP2006288238A (ja) 浮き草栽培収穫装置
JP4691546B2 (ja) 海苔貯蔵槽の海水循環システム
JP3885191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JP4883784B2 (ja) 食品の油揚げ装置
JP7289407B2 (ja) 屠殺後の家禽の熱処理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JP5614444B2 (ja) 温湯処理設備
KR100938350B1 (ko) 견과 선별장치
JP2000229270A (ja) 処理機
JP2013201950A (ja) 温湯消毒装置
JPS5844865Y2 (ja) 冷凍魚の低温解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