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785A -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785A
KR20160134785A KR1020167028846A KR20167028846A KR20160134785A KR 20160134785 A KR20160134785 A KR 20160134785A KR 1020167028846 A KR1020167028846 A KR 1020167028846A KR 20167028846 A KR20167028846 A KR 20167028846A KR 20160134785 A KR20160134785 A KR 2016013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ucket
cleaned
metering
wei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167B1 (ko
Inventor
류조 우라카미
Original Assignee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8Cleaning, e.g. washing, meat or sau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피세정물 공급 수단(2)으로부터 계량 장치(3)로 피세정물을 공급하고, 계량 장치(3)가 계측한 중량의 피세정물을 세정조(4)에 설치되는 세정용 버킷(8 내지 10)에 공급하여 세정조(4) 내에 저류되는 액체에 의해 세정한 후,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을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 내지 77)에 의해 세정조(4)의 상방으로 각도 변위시켜 세정용 버킷(8 내지 10)으로부터 세정 후의 피세정물을 배출한다. 계량 장치(3)는 중량계(21)와, 중량계(21) 상의 계량 위치(23) 및 배출 위치(24) 간에 걸쳐 각도 변위가 자유로운 계량용 버킷(22)과, 계량용 버킷(22)을 계량 위치(23) 및 배출 위치(24) 간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세정 장치{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숙주, 알팔파, 슬라이스 또는 채썰어진 양배추 등의 야채류나 나아가서는 육류 등의 식재에 부착되는 씨, 진흙, 털, 그 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이물질 제거 장치는 피세정물인 식재를 세정하는 액체가 저류되는 세정조와, 작업자에 의한 목측 또는 세정 장치와는 별도로 준비된 계량 장치에 의해 계량된 분량의 식재가 수용되고, 다수의 투공이 형성되는 버킷으로서,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세정조의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는 버킷과, 이 버킷의 각도 변위 수단과, 상기 세정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에 배치된 상기 버킷 내를 향하여 액체인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과, 세정조의 저부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서 공기를 토출하여 버블링하는 토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75956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의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버킷을 세정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 분사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버킷 내에 분사시켜 세정조 내의 세정수를 유동시킴으로써 버킷 내에 수용되어 있는 식재를 세정수와 함께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식재를 버킷에 충돌시키고, 또한 식재 끼리를 충돌시켜 식재에 부착 또는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의 저부에 설치된 토출관으로부터 공기를 토출시켜 버블링함으로써 세정조 내에서 세정수에 침지되어 있는 버킷 내의 식재를 상하 방향으로도 교반하여 세정 효과를 높이고 있다.
버킷 내의 식재의 세정이 종료되면 각도 변위 수단에 의해 세정조 내의 세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버킷을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 버킷의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로 함으로써 버킷 내의 세정 후의 식재를 당해 버킷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정 장치는 버킷 내에 수용된 식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지만, 버킷으로의 세정 전의 식재의 공급은 사람의 손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크고, 이것이 세정 작업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방해가 되었다. 또한, 버킷에 대한 식재의 공급량의 조정은 작업자에 의한 목측 또는 세정 장치와는 별도로 준비된 계량 장치에 의한 계량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계량 작업은 작업자에게 번거롭고, 또한 공급량의 편차가 있어 이것이 버킷마다 소위 뱃치 처리에 의해 세정되는 식재의 세정 상태에 편차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 안정된 세정 상태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세정물로부터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고, 또한 세정 작업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킴과 함께 안정된 신뢰성이 높은 세정 효과가 얻어지는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세정물을 공급하는 피세정물 공급 수단과,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세정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량 장치와, 피세정물을 세정하기 위한 액체가 저류되고, 계량 장치에 의해 계측된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을 상기 액체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세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세정물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피세정물은 계량 수단에 의해 중량이 계측되고,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이 세정조에 공급되어 세정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피세정물의 계량 작업을 간소화하고,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을 세정 장치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고, 피세정물의 공급량의 차이에 의한 세정 상태의 편차를 방지하고, 피세정물로부터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여 세정 작업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안정된 신뢰성이 높은 세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량 장치는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이 수용되고,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중량계 상에 재치되는 계량 위치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 내의 세정용 버킷으로 피세정물을 배출하는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는 계량용 버킷과, 상기 계량용 버킷을 계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과, 상기 계량 위치에 배치된 계량용 버킷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세정물이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중량계 상에 재치되어 계량 위치에 있는 계량용 버킷에 소정 중량이 되도록 수용된다.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이 수용된 계량용 버킷은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에 의해 상기 계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로 각도 변위되고, 이에 의해 계량용 버킷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조 내의 세정용 버킷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정용 버킷은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에 있으므로 계량용 버킷으로부터의 피세정물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고, 안정된 세정 작업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량 장치에 의해 계량된 피세정물이 수용되고, 다수의 투공이 형성되고,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는 세정용 버킷과, 상기 세정용 버킷을 세정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과,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 수납되는 상기 세정용 버킷 내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교반용 분사 노즐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서 기체를 토출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용 버킷은 다수의 투공을 구비하고 있고, 세정용 버킷을 세정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세정조 내에 설치된 교반용 분사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사시켜 세정조 내의 액체를 유동화시킴으로써 세정용 버킷 내의 피세정물을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교반용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액체의 유량 및 유속을 피세정물의 경도, 크기, 양 및 이물질의 부착 상태 등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세정조 내의 액체를 피세정물 및 이물질에 따라 최적의 교반력으로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피세정물을 세정용 버킷에 충돌시켜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여러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조의 저부에는 세정조 내에서 기체를 토출하는 토출관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토출관으로부터 기체를 토출시킴으로써 세정조 내의 액체가 버블링되고, 이에 의해 교반력이 보다 높아져서 피세정물에 강고하게 부착된 이물질이어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정용 버킷 내의 피세정물의 세정이 완료되면 상기 세정용 버킷이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로 각도 변위되고, 세정용 버킷 내의 피세정물을 예를 들어 후속의 세정용 버킷이나 다른 용기 등의 소정의 배출 위치로 배출하여 내보낼 수 있다. 또한, 세정용 버킷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져 있을 때에도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기체를 토출시키도록 하면 세정조 내에서 유동하지 않고 체류하고 있던 이물질도 액체와 함께 유동화되어 확산되어 세정조로부터 오버 플로 등에 의해 유출되는 액체와 함께 세정조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량계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계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동작이 제어되기 때문에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이 정확하게 계량되어 계량용 버킷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이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하는 1쌍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의 상기 축선 방향의 양측부에는 브래킷이 고착되고,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은 상기 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계량용 버킷을 상기 계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지지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서 중량계에 의한 계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량용 버킷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계량용 버킷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용 버킷은 상기 브래킷을 개재하여 1쌍의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원의 작동에 수반하는 지지 아암의 상기 축선 주위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중량계 상에 재치되는 계량 위치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 내의 세정용 버킷으로 피세정물을 배출하는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브래킷에 비접촉 상태가 되기 때문에 지지 아암이 계량값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정확한 피세정물의 계량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브래킷이 상기 지지 아암이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지지 아암이 회전 구동할 때에는 상기 지지 아암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 구멍에 계량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향하는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면하는 벽부에 맞닿아 상기 계량용 버킷을 지지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서 계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 아암이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로부터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에 이반하여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아암이 회전 구동할 때에는 상기 지지 아암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 구멍의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면하는 벽부에 맞닿아 상기 계량용 버킷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 아암은 상기 걸림 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지지 아암을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에 비접촉 상태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중량계에 대한 각 지지 아암의 계량용 버킷에의 접촉에 의한 외란을 회피하여 정확하게 피세정물의 중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가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1쌍의 테이퍼 형상의 안내 벽부와, 각 안내 벽부 간에 걸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정상 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은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가 상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 벽부와 상단의 원호 형상의 정상 벽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이 회전 구동하여 상기 브래킷을 개재하여 계량용 버킷을 지지할 때에는 각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의 상기 상단부가 안내 벽부에 가이드되어 상단의 원호 형상 정상 벽부에 정확하게 맞닿아 계량용 버킷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계량용 브래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중량계의 최적의 승재 위치에 계량용 버킷이 재치되어 정확하게 중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각 지지 아암의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부분을 걸림 구멍의 벽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시켜 각 지지 아암의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부분의 걸림 구멍의 벽부에 대한 어긋남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세정용 버킷에는 상기 세정용 버킷의 상기 개구로부터 세정용 버킷 내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정용 버킷의 상방에 설치된 제2 분사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사시킴으로써 세정용 버킷의 내면에 부착되는 피세정물을 상기 내면으로부터 씻어낼 수 있다. 따라서 세정용 버킷을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상기 배출 위치에 위치를 정하여 피세정물을 배출한 후에도 이 제2 분사 노즐로부터 액체를 세정용 버킷을 향하여 분사시키도록 하면 세정용 버킷에 부착되는 피세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세정조는 직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획조로 이루어지고, 각 구획조에는 상기 세정용 버킷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에 있어서의 각 구획조의 배열 방향의 일단측은 상기 계량 장치에 근접하고, 상기 세정조에 있어서의 각 구획조의 배열 방향의 타단측은 세정 후의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배치되는 불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 장치에 의해 계량된 피세정물은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수단의 작동에 의해 근접하는 세정조의 구획조에 수납되는 세정용 버킷에 수용되어 상기 세정이 이루어진다. 그 후,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의 작동에 의해 후속의 세정용 버킷에 옮겨져서 그 구획조 내에서 마찬가지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반복되어 상기 배열 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구획조 내의 세정용 버킷에 수용된 피세정물의 세정이 완료되면 당해 세정용 버킷의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이 작동하여 피세정물이 불출 위치에 배치되는 용기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과 상기 계량 장치의 사이에는 피세정물 투입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피세정물 투입 슈트는 상기 계량 위치에 배치되는 계량용 버킷에 상방으로부터 면하는 공급 위치와, 상기 계량용 버킷이 계량 위치 및 배출 위치 사이를 회전 구동할 때에는 상기 계량용 버킷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또한 상기 피세정물 공급 슈트에 면하는 수용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과 상기 계량 장치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의 피세정물 투입 슈트는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계량용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상기 상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피세정물이 계량용 버킷에 원활하게 투입된다. 또한, 상기 피세정물 투입 슈트는 상기 계량용 버킷이 계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할 때에는 계량용 버킷의 변위 궤적 외의 퇴피 위치로 퇴피하기 때문에 계량용 버킷의 상기 각도 변위가 지장없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세정 장치에 따르면 피세정물인 예를 들어 숙주 및 알팔파 및 그 종자, 슬라이스 또는 채썰어진 양배추 등의 야채류, 나아가서는 육류 등의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씨, 진흙, 털, 그 외의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고, 또한 세정 작업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킴과 함께 안정된 신뢰성이 높은 세정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하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세정 장치를 도 1의 하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계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면선 Ⅳ-Ⅳ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피세정물 투입 슈트의 동작을 설명하는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도 6은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용 버킷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절단면선 Ⅷ-Ⅷ로부터 본 세정용 버킷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계량 장치의 계량값과,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 등의 동작 타이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1)의 전체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세정 장치(1)를 도 1의 하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세정 장치(1)는 기본적으로 피세정물 공급 수단(2), 계량 장치(3), 직렬적으로 배열된 3개의 구획조(5 내지 7)를 포함하는 세정조(4), 각 구획조(5 내지 7)에 수납되는 3개의 세정용 버킷(8 내지 10), 각 구획조(5 내지 7)에 각각 설치되고, 각 구획조(5 내지 7) 내에 수용된 세정용 버킷(8 내지 10) 내를 향하여 액체인 세정수를 분사하는 교반용 분사 노즐(11 내지 13), 및 각 구획조(5 내지 7)의 저부에 설치되고, 기체인 공기를 토출하여 버블링하는 토출관(14 내지 16)을 포함한다.
각 구획조(5 내지 7)는 대략적으로 직방체의 세정조(4)를 격벽(17, 18)에 의해 칸막이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계량 장치(3)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구획조(5)로부터 제2 및 제3 구획조(6, 7)가 순차 직렬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세정조(4) 및 각 세정용 버킷(5, 6, 7)은 내부식성 및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재료인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피세정물 공급 수단(2)은 피세정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서비스 호퍼(19)와 서비스 호퍼(19)로부터 자중으로 낙하하는 피세정물을 계량 장치(3)를 향하여 반송하는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계량 장치(3)는 중량계(21)와, 피세정물 공급 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계량용 버킷(22)을 포함한다. 상기 피세정물은 일례로서 숙주, 알팔파, 래디시, 모로헤이야 또는 케일 등의 발아한 부분을 가식부로 하는 새싹 야채라고도 불리는 야채의 종자이다.
계량용 버킷(22)은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중량계(21) 상에 재치되는 계량 위치(23)(도 2에 있어서의 실선 위치)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하여 세정조(4) 내의 세정용 버킷(8)으로 피세정물을 배출하는 배출 위치(24)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계량 장치(3)는 계량용 버킷(22)을 계량 위치(23)와 배출 위치(24)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을 더 포함한다. 계량 장치(3)의 더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도시한 세정 장치(1)에 있어서는 세정조(4)의 구획조(5 내지 7)의 배열 방향의 일단측(4a)은 계량 장치(3)에 근접하고, 타단측(4b)은 세정 후의 피세정물이 수용되는 대차 부착 용기(26)가 배치되는 불출 위치(27)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획조(5 내지 7)에 수납되는 세정용 버킷(8 내지 10)에 있어서의 각 개구의 상방에는 세정용 버킷(8 내지 10) 내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28 내지 30)이 각 세정용 버킷(8 내지 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 분사 노즐(28 내지 30)에는 상온의 수돗물이 공급된다.
또한, 세정조(4)의 폭 하방(도 1에 도시되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의 상하 방향)의 일측부에는 각 구획조(5 내지 7)로부터 오버 플로하는 세정수를 저류하는 저류조(31)가 각각 칸막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저류조(31)에는 집수관(33)이 각각 설치되고, 이 집수관(33)의 상단부로부터 흘러들어온 세정수는 필터(34)를 거쳐 각 순환 펌프(35)에 의해 가압되어 교반용 분사 노즐(11 내지 13)로부터 분사된다. 집수관(33)은 도 1의 지면에 수직인 세로 방향, 즉 축선을 연직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단의 개구는 각 저류조(31)의 저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이 상단의 개구의 상하 위치를 집수관(33)의 길이를 달리하는 등 하여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각 저류조(31)의 세정수의 액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필터(34)는 순환되는 세정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고, 그 대신에 스트레이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순환 펌프(35)의 작동용 모터(36)는 후술하는 제어 수단(101)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또한, 각 순환 펌프(35)로부터 각 교반용 분사 노즐(11 내지 13)을 향하는 배관(38 내지 40)의 도중에는 체크 밸브(44 내지 46)가 개재된다. 도 1에 있어서 각 작동용 모터(36)는 제어 수단(101)에 접속된 신호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피세정물 공급 수단(2)의 컨베이어(20)와 계량 장치(3)의 계량용 버킷(22)의 사이에는 피세정물 투입 슈트(50)가 경동 가능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피세정물 투입 슈트(50)는 지주(51)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한 지축(52)의 축선 주위로 경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것을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세정 장치(1)에 있어서의 피세정물 투입 슈트(50)의 동작을 설명하는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피세정물 투입 슈트(50)의 선단부는 계량용 버킷(22)측을 향하고, 그 후단부에는 구동원으로서의 에어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4)의 선단부가 수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즉, 피스톤 로드(54)가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신장된 상태에서는 피세정물 투입 슈트(50)가 지축(52)을 지점으로 하여 그 선단측이 아래를 향해 경사진 상태가 되어 계량 위치(23)에 있는 계량용 버킷(22)의 피세정물 공급 수단(2)측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계량용 버킷(22) 내에 면하는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컨베이어(20)로부터 피세정물 투입 슈트(50) 상에 공급된 피세정물을 계량용 버킷(22)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저판(50a)에 의해 안내하여 계량용 버킷(22) 내에 투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에 의해 계량용 버킷(22)을 배출 위치(24)로 각도 변위시킬 때에는 에어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4)를 도 5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시키고, 피세정물 투입 슈트(50)를 지축(52)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계량용 버킷(22)의 이동 경로 외의 퇴피 위치(이점쇄선 위치)로 퇴피시킨다.
에어 실린더(53)는 복동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실현되고, 에어 실린더(53)의 하단부는 핀(53a)에 의해 지축(52)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가동이 자유롭게 지주(51)에 연결된다. 이 에어 실린더(53)의 동작은 그 신호선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어 수단(101)에 의해 제어된다.
계량 장치(3)에 대하여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세정 장치(1)에 있어서의 계량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면선 Ⅳ-Ⅳ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세정 장치(1)에 있어서의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계량용 버킷(22)은 스테인리스 등의 강판에 의해 상부가 개구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저부로부터 개구를 향하여 횡단면적이 크고, 또한 세정조(4)측의 벽부의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 계량용 버킷(22)은 그 저면에 부착된 4개의 지지 다리(55)에 의해 중량계(21)의 상면에 4점 지지로 재치된다. 적어도 1개의 지지 다리(55)는 본체에 대하여 출입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상기 4점 지지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중량계(21)는 로드셀을 이용한 칭량 15kg 내지 200kg 정도의 공지의 중량계이고, 하면에 설치된 4개의 지지 다리(56)에 의해 가대(57)의 상면에 4점 지지로 재치된다. 중량계(21)에는 수준계(58)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1개의 지지 다리(56)는 본체에 대하여 출입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안정적인 상기 4점 지지와 중량계(21)가 수평해지도록 수준계(58)를 보면서 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중량계(21)로서는 로드셀에 의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방식의 중량계도 채택 가능하다.
계량 장치(3)를 구성하는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은 하우징(59) 내에 설치된 구동원으로서의 에어 실린더(60)와, 에어 실린더(60)의 피스톤 로드(61)의 선단에 크랭크 아암(62)을 개재하여 연결된 거의 수평한 각도 변위축(63)과, 이 각도 변위축(63)에 일체로 고착된 서로 평행한 1쌍의 지지 아암(64, 65)을 포함한다. 에어 실린더(60)는 예를 들어 복동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실현된다.
지지 아암(64, 65)은 피스톤 로드(61)의 신축 동작에 의해 크랭크 아암(62)을 개재하여 각도 변위축(63)과 함께 상기 각도 변위축(63)의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한다. 지지 아암(64, 65)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량용 버킷(22)의 상기 축선 방향의 양측부에 고착된 브래킷(66, 67, 68, 69)(도 1 참조)을 개재하여 상기 계량용 버킷(22)을 지지한다.
즉, 한쪽의 지지 아암(64)은 계량용 버킷(22)의 한쪽의 수직 측벽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착된 브래킷(66, 67)을 개재하여 계량용 버킷(22)을 지지하고, 다른 쪽의 지지 아암(65)은 계량용 버킷(22)의 다른 쪽의 수직 측벽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착된 브래킷(68, 69)을 개재하여 계량용 버킷(22)을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 아암(64, 65)의 각도 변위축(63)의 축선 주위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 아암(64, 65)에 브래킷(66, 67, 68, 69)을 개재하여 지지된 계량용 버킷(22)은 계량 위치(23)와 배출 위치(24)에 걸쳐 각도 변위축(63)의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이루어진다.
지지 아암(64, 65)은 계량용 버킷(22)을 이와 같이 지지하지만, 계량용 버킷(22)이 계량 위치(23)에 있을 때에는 브래킷(66, 67, 68, 69)에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64, 65)과 브래킷(66, 67, 68, 69)의 지지 관계를 지지 아암(64)과 브래킷(66)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다른 지지 관계도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외의 지지 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66)은 지지 아암(64)이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걸림 구멍(70)을 구비하고, 당해 지지 아암(64)이 회전 구동할 때에는 지지 아암(64)의 상단부(73a)가 걸림 구멍(70)의 상측 구멍 벽부(71)에 맞닿아 계량용 버킷(22)을 지지하고, 계량용 버킷(22)이 계량 위치(23)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 아암(64)이 걸림 구멍(70)의 구멍 벽에 비접촉의 정지 상태(도 4에 있어서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계량용 버킷(22)이 계량 위치(23)에 있을 때에는 다른 구성 부재로부터 완전히 유리되어 중량계(21)에서는 계량용 버킷(22)과 이것에 투입되는 피세정물의 중량만이 계량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아암(64)의 브래킷(66, 67)을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측 가장자리 단부가 잘라내진 절결부(641, 642)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641, 642)의 저부에 원기둥체(73, 74)가 지지 아암(64)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옆으로 누운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걸림 구멍(70)에 지지 아암(64, 65)의 계량 위치(23)로부터 배출 위치(24)로 향하는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면하는 상측 구멍 벽부(7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 벽부(71a)와 상단의 원호 형상의 정상 벽부(71b)로 이루어지고, 지지 아암(64)에 있어서의 걸림 구멍(70)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의 상단부(73a)가 원호 형상의 정상 벽부(71b)와 거의 동일한 곡률의 원기둥체(73)의 곡면 형상 상측 둘레면이 된다.
따라서 지지 아암(64)이 걸림 구멍(70)의 구멍 벽에 비접촉인 상태로부터 브래킷(66)을 지지하기 위해서 위를 향해 변위할 때, 원기둥체(73)가 안내 벽부(71a)에 안내되어 원기둥체(73)가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 정상 벽부(71b)에 수납되도록 맞닿는다.
이에 의해 지지 아암(64)과 브래킷(66)의 상대 위치가 소기의 위치에 위치 정해져서 계량용 버킷(22)을 배출 위치(24)로부터 계량 위치(23)로 되돌릴 때, 중량계(21)의 소정 위치에 계량용 버킷(22)이 정확하게 재치된다. 이에 의해 피세정물의 계량이 정밀도 높게 이루어진다.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은 모두 계량 장치(3)에 의해 계량된 피세정물이 수용되고, 다수의 투공이 형성되고,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세정조(4)의 각 구획조(5 내지 7)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와 세정조 구획조(5 내지 7)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은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 내지 77)에 의해 세정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된다. 이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 내지 77)은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과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지만, 각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 내지 77)을 구성하는 각도 변위축(78 내지 80)이 각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의 불출 위치(27)측의 상측 단부에 고착되고, 세정조(4)를 횡단하도록 그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적절히 베어링 부재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의 구성은 모두 마찬가지이므로 제2 구획조(6)에 수납되는 세정용 버킷(9)을 일례로 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세정용 버킷(8, 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용 버킷(9)은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6)에 의해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구획조(6)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81)와 구획조(6)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82)에 걸쳐 거의 수평한 각도 변위축(79)의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세정용 버킷(9)은 도 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등의 강판에 의해 상부가 개구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저부로부터 개구를 향하여 횡단면적이 크고, 또한 불출 위치(27)측의 전측벽부(91)의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저벽부(90), 전측벽부(91), 후측벽부(92)의 거의 전체 면 및 폭 방향의 양측의 수직벽부(93)의 상부에는 다수의 투공(9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측 및 후측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불출 위치(27)측을 전측으로 하고, 계량 장치(3)측을 후측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폭 방향은 상기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전측벽부(91)의 하부에는 교반용 분사 노즐(12)에 대향하는 복수(도시에서는 8개)의 노즐 구멍(95)이 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교반용 분사 노즐(12)도 도시에서는 세정용 버킷(9)의 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마다 8개 설치되어 있고(도 1 참조), 각 교반용 분사 노즐(12)은 각 노즐 구멍(95)에 대하여 대향하고 있다.
노즐 구멍(95)의 개구부에는 격자가 조립되고, 교반용 분사 노즐(12)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는 이 격자 사이를 통해 세정용 버킷(9) 내에 도입된다. 교반용 분사 노즐(12)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는 세정용 버킷(9) 내에서 세정용 액체의 대류를 일으켜서 세정용 버킷(9)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수와 함께 교반한다.
저벽부(90)의 중앙부 하부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1개의 토출관(15)이 위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다른 토출관(14, 16)과 함께 예를 들어 블로워에 의해 실현되는 공기압원(콤프레셔)(83)에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토출관(15)에는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되고, 각 노즐 구멍으로부터는 세정수 중에서 공기가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투공(94)을 투과하여 세정용 버킷(9) 내에 도입되고, 그 버블링 작용에 의해 세정용 버킷(9)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수와 함께 보다 강하게 교반한다. 각 토출관(14 내지 16)에 이어지는 분기 배관의 도중에는 유량 조정 밸브(84 내지 86)가 배치 설치되고(도 1 참조), 각 유량 조정 밸브(84 내지 86)의 개폐 동작은 제어 수단(101)에 의해 제어된다.
각도 변위축(79)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96)에는 유니버설 커플링(97)이 연접되고, 제2 분사 노즐(29)용 분기 배관(42)이 이 유니버설 커플링(97)을 개재하여 플렉시블관(98)에 접속되고, 이 플렉시블관(98)에는 복수(도 1에서는 8개)의 제2 분사 노즐(29)이 소정 간격마다 접속되는 노즐 헤드(99)가 접속되어 있다. 이 노즐 헤드(99)는 세정용 버킷(9)의 양측벽부(93)에 고착된 지지 브래킷(100)에 지지되고, 세정용 버킷(9)의 상방에 세정용 버킷(9)을 폭 방향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분사 노즐(29)로부터는 세정 위치(81)에 있는 세정용 버킷(9)을 향하여 세정수가 분사된다. 제2 분사 노즐(29)은 세정용 버킷(9)에 설치되어 세정용 버킷(9)과 함께 각도 변위되기 때문에 세정용 버킷(9)이 배출 위치(82)에 있을 때에도 제2 분사 노즐(29)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면 세정조(4)의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피세정물을 배출한 후의 세정용 버킷(9)에 부착되는 피세정물을 세정조(4) 내로 씻어낼 수 있다.
세정 장치(1)의 적절한 근방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수단(1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수단(101)과 제어 대상 기기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어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세정 장치(1)에 있어서의 피세정물의 공급, 계량, 세정 및 배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20)의 작동에 의해 서비스 호퍼(19) 내의 피세정물이 반송되어 계량용 버킷(22)에 투입된다. 이때 피세정물 투입 슈트(50)는 도 5의 실선 위치에 있고, 컨베이어(20)로부터의 피세정물이 계량용 버킷(22)에 축차 투입된다. 이 피세정물이 투입되는 동안 중량계(21)에 의해 계량용 버킷(22)과 피세정물의 중량이 계량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계(21)에는 미리 2종의 임계값(예를 들어 18kg과 20kg)이 설정되어 있고, 계량값이 임계값 18kg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T1)에서는 컨베이어(20)는 고속으로 구동된다. 계량값이 임계값 18kg에 도달하면 컨베이어(20)는 저속으로 전환되고, 임계값 20kg에 도달할 때가지의 기간(T2)에서는 이 저속으로 구동된다. 계량값이 임계값 20kg에 도달하면 컨베이어(20)가 정지하고, 피세정물의 공급이 정지된다.
피세정물의 공급이 정지된 후의 기간(T3)에서는 피세정물 투입 슈트(50)가 도 5에 도시하는 퇴피 위치(이점쇄선 위치)로 퇴피하고,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이 작동을 개시하여 계량용 버킷(22)이 계량 위치(23)로부터 배출 위치(24)로 각도 변위된다. 배출 위치(24)에서는 계량용 버킷(22)이 제1 구획조(5)에 수납되는 세정용 버킷(8)의 상방에 위치하고,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하기 때문에 계량용 버킷(22)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정물이 세정용 버킷(8) 내로 배출되어 수용된다.
피세정물의 배출이 완료된 계량용 버킷(22)은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25)의 작동에 의해 배출 위치(24)로부터 계량 위치(23)로 복귀한다. 이후의 기간(T4, T5)에서는 기간(T1, T2)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20)이 작동에 의해 계량용 버킷(22)에의 피세정물의 투입 및 중량 측정이 이루어진다.
제1 구획조(5)에서는 계량용 버킷(22)으로부터 배출된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용 버킷(8)이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 상태에서 순환 펌프(35)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8) 내에 교반용 분사 노즐(11)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어 세정용 버킷(8) 내에서는 그 하부로부터 분사된 세정수에 의해 피세정물이 세정수와 함께 교반되고, 이것에 토출관(14)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에 의한 버블링 작용이 가해져서 교반이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분리된다.
또한, 세정용 버킷(8)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동에 의해 분리된 부착물이 씻겨내지고, 상기 투공(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세정용 버킷(9)에 형성된 투공(94)과 마찬가지임)을 투과하여 세정용 버킷(8)으로부터 제1 구획조(5) 내로 유출된다. 제1 구획조(5) 내로 유출된 분리 이물질은 일부가 오버 플로수와 함께 저류조(31)에 유입되고, 필터(34)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다시 배관(38 내지 40)을 거쳐 교반용 분사 노즐(11 내지 13)로부터 분사된다.
소정 시간 상기 세정이 이루어진 후, 세정용 버킷(8)의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이 작동하여 세정용 버킷(8)이 세정 위치(23)로부터 배출 위치(도 2에 있어서의 세정용 버킷(9)의 배출 위치(82)와 마찬가지임)로 각도 변위된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8) 내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정물이 제2 구획조(6)에 수납되어 있는 세정 위치(81)의 세정용 버킷(9)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세정용 버킷(8)이 세정조(4)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배출 위치에 있을 때에 교반용 분사 노즐(11)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 및 토출관(14)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을 계속해 두면 세정수의 기동을 촉진하여 오버 플로시켜 필터(34)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정용 버킷(8)이 배출 위치에 있을 때 제2 분사 노즐(28)로부터 세정수의 분사를 행하도록 하면 세정용 버킷(8)의 내벽에 부착되는 피세정물이 씻겨내져서 세정용 버킷(9)으로 되돌릴 수 있다.
세정용 버킷(8)으로부터의 피세정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5)의 작동에 의해 세정용 버킷(8)은 원래의 세정 위치에 복귀하고, 계량용 버킷(22)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세정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대기한다. 세정용 버킷(8)으로부터 배출된 1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을 수용한 세정용 버킷(9)은 제2 구획조(6)에 수납된 세정 위치(81)에 있고, 이 수납 상태에서 제어 수단(101)은 각 순환 펌프(35)를 정지시켜 교반용 분사 노즐(11)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9) 내에 교반용 분사 노즐(12)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어 세정용 버킷(9) 내에서는 피세정물이 세정수와 함께 교반되고, 이것에 토출관(15)으로부터의 공기의 노출에 의한 버블링 작용이 가해져서 교반이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분리된다.
세정용 버킷(9)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씻겨내지고, 투공(94)을 투과하여 세정용 버킷(9)으로부터 제2 구획조(6) 내로 유출된다. 제2 구획조(6) 내로 유출된 분리 이물질은 일부가 오버 플로수와 함께 저류조(31)에 유입된다.
소정 시간 상기 2회째의 세정이 이루어진 후, 세정용 버킷(9)의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6)이 작동하여 세정용 버킷(9)이 세정 위치(81)로부터 배출 위치(82)로 각도 변위된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9) 내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정물이 제3 구획조(7)에 수납되어 있는 세정 위치의 세정용 버킷(10)으로 배출된다.
세정용 버킷(9)으로부터의 2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6)의 작동에 의해 세정용 버킷(9)은 원래의 세정 위치(81)로 복귀하고, 세정용 버킷(8)으로부터 배출되는 1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대기한다.
세정용 버킷(9)으로부터 배출된 2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을 수용한 세정용 버킷(10)은 제3 구획조(7)에 수납된 세정 위치에 있고, 세정용 버킷(10) 내에 교반용 분사 노즐(13)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어 세정용 버킷(10) 내에서는 피세정물이 세정수와 함께 교반되고, 이것에 토출관(16)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에 의한 버블링 작용이 가해져서 교반이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분리된다.
세정용 버킷(10)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씻겨내지고, 상기 투공(상동)을 투과하여 세정용 버킷(10)으로부터 제3 구획조(7) 내로 유출된다. 제3 구획조(7) 내로 유출된 분리 이물질은 일부가 오버 플로수와 함께 저류조(31)에 유입된다.
소정 시간 상기 3회째의 세정이 이루어진 후, 세정용 버킷(10)의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7)이 작동하여 세정용 버킷(10)이 세정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상동)로 각도 변위된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3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이 불출 위치(27)에 배치되어 있는 대차 부착 용기(26) 내로 배출되어 수용된다.
세정조(4)의 말단부에는 배출 슈트(102)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대차 부착 용기(26)에 소정 중량의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이 수용되면 빈 대차 부착 용기(26)로 교환된다.
세정용 버킷(10)으로부터의 피세정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77)의 작동에 의해 세정용 버킷(10)은 원래의 세정 위치로 복귀하고, 세정용 버킷(9)으로부터 배출되는 2회째 세정을 마친 피세정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대기한다.
전술한 3단계의 세정 동작에 의해 전 단계의 세정에 의해 분리될 수 없었던 부착물도 후속의 세정 단계에서 분리 및 제거되어 피세정물에 부착되는 부착물은 완전히 제거된다. 따라서, 피세정물이 식재인 경우에는 그대로 식용에 제공할 수 있다. 각 구획조(5 내지 7)로부터 오버 플로된 분리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수는 저류조(31)에 저류된다.
각 구획조(5 내지 7)에서는 세정수가 항상 오버 플로 레벨로 유지되도록 도시를 생략하지만 보급액용 관로 및 급액구가 설치되어 있다. 각 구획조(5 내지 7)에 있어서의 오버 플로 레벨은 저류조(31)와의 사이의 각 칸막이벽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절결부(도시 생략)에 의해 설정된다.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의 수직벽부(도 7에 도시하는 수직벽부(93)와 마찬가지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공(도 7에 도시하는 양측 수직벽부(93)에 형성되는 투공(94)과 마찬가지임)의 형성군은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이 세정 위치에 있을 때에 이 절결부의 형성 위치와 거의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세정용 버킷(8 내지 10)이 세정 위치에 있을 때에 이들 투공의 형성군이 각 구획조(5 내지 7)의 액면 부근에 위치하고, 피세정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각 세정용 버킷(8 내지 10)으로부터 세정수와 함께 유출되고, 상기 각 절결부를 통해 신속히 저류조(31)로 유출된다. 상기 세정 동작에 있어서의 각 작동부의 동작 제어는 제어 수단(101)에서 미리 정해진 시퀀스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이와 같은 제어 수단(101)은 시퀀스 제어 장치에 의해 실현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미리 정하는 시퀀스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이 구축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세정용 액체로서 상온의 수돗물이 이용되지만,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약액이나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 등을 이용하여 세정 효과를 촉진하고, 피세정물이 식재인 경우에는 그 선도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3단계로 세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1회, 2회 또는 4회 이상의 세정 단계로 구성되는 것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계량용 버킷(22)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64, 65), 브래킷(66 내지 69), 걸림 구멍(70)의 형상 등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도 변위 수단(25, 75 내지 77)의 구동원(60) 및 피세정물 투입 슈트(50)의 경동용 구동원을 에어 실린더(53)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동 기구 등의 다른 기구를 채택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세정 장치(1)의 구성에 더하여 제1 구획조(5)의 저부와 세정용 버킷(8)의 사이 및 제2 구획조(6)의 저부와 세정용 버킷(9)의 사이에 사이렌서 히터라고도 불리는 증기 인젝션 히터를 열원으로서 각각 복수 배치 설치하고, 각 증기 인젝션 히터에 배관을 개재하여 수증기 발생 장치로부터의 수증기를 공급하여 제1 및 제2 구획조(5, 6) 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증기 인젝션 히터는 이 증기 인젝션 히터로부터 방출된 수증기가 세정수에 닿기 전에 복수의 열 교환 핀과의 열 교환에 의해 응축되어 드레인수가 되어 수증기의 방출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지 않고, 주위의 세정수를 온수로 승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제1 구획조(5) 내의 세정수를 약 40℃로 가열하고, 그 온수에 20 내지 80sec의 시간 피세정물을 침지하여 예열하고, 제2 구획조(6) 내의 세정수를 약 80℃ 내지 약 85℃로 가열하고, 그 온수에 10 내지 60sec의 시간 피세정물을 침지하여 열 살균한 후, 제3 구획조(7) 내의 상온의 세정수에 침지함으로써 피세정물을 냉각하여 조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세정물의 세포를 열에 의해 손상시키지 않고, 종자 등의 피세정물의 세정 및 살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숙주, 알팔파, 래디시, 모로헤이야 또는 케일 등의 새싹 야채의 종자를 피세정물로서 세정하는 세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피세정물이 옥수수, 대두, 팥, 완두콩 및 강낭콩 등의 곡류여도 되고, 케일, 양배추, 레터스, 상추, 샐러드 야채, 배추, 소송채, 시금치, 쑥갓, 순무, 파슬리, 셀러리, 무우잎,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모로헤이야, 파 및 물냉이 등의 엽채류를 절단한 소위 프리컷 야채여도 되고, 나아가 근채류, 과채류, 산채류, 과실류, 버섯류 및 조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식재가 피세정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 : 세정 장치
2 : 피세정물 공급 수단
3 : 계량 장치
4 : 세정조
5 내지 7 : 구획조
8 내지 10 : 세정용 버킷
11 내지 13 : 교반용 분사 노즐
14 내지 16 : 토출관
21 : 중량계
22 : 계량용 버킷
23 : 계량 위치
24 : 배출 위치
25 :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
26 : 용기
27 : 불출 위치
28 내지 30 : 제2 분사 노즐
50 : 피세정물 투입 슈트
60 : 구동원
64, 65 : 지지 아암
66 내지 69 : 브래킷
70 : 걸림 구멍
71 : 상측 구멍 벽부
71a : 안내 벽부
71b : 정상 벽부
73a : 상단부
75 내지 77 :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
94 : 투공
101 : 제어 수단

Claims (10)

  1. 피세정물을 공급하는 피세정물 공급 수단과,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세정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량 장치와,
    피세정물을 세정하기 위한 액체가 저류되고, 계량 장치에 의해 계량된 피세정물을 상기 액체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세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는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중량의 피세정물이 수용되고,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중량계 상에 재치되는 계량 위치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 내의 세정용 버킷에 피세정물을 배출하는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는 계량용 버킷과,
    상기 계량용 버킷을 계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과,
    상기 계량 위치에 배치된 계량용 버킷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에 의해 계량된 피세정물이 수용되고, 다수의 투공이 형성되고,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기 세정조에 수납되는 세정 위치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려져서 개구를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한 배출 위치에 걸쳐 거의 수평한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소정의 부착 위치에 설치되는 세정용 버킷과,
    상기 세정용 버킷을 세정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시키는 세정용 각도 변위 수단과,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 수납되는 상기 세정용 버킷 내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교반용 분사 노즐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설치되고, 세정조 내에서 기체를 토출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량계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 및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용 각도 변위 수단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하는 1쌍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의 상기 축선 방향의 양측부에는 브래킷이 고착되고,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은 상기 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계량용 버킷을 상기 계량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 지지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서 중량계에 의한 계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량용 버킷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계량용 버킷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지지 아암이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지지 아암이 회전 구동할 때에는 상기 지지 아암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 구멍에 계량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향하는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면하는 벽부에 맞닿아 상기 계량용 버킷을 지지하고, 상기 계량용 버킷이 상기 계량 위치에서 계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 아암이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로부터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에 이반하여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멍의 벽부가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1쌍의 테이퍼 형상의 안내 벽부와, 각 안내 벽부 간에 걸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정상 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은 상기 회전 구동 방향 하류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버킷에는 상기 세정용 버킷의 상기 개구로부터 세정용 버킷 내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는 직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획조로 이루어지고, 각 구획조에는 상기 세정용 버킷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에 있어서의 각 구획조의 배열 방향의 일단측은 상기 계량 장치에 근접하고, 상기 세정조에 있어서의 각 구획조의 배열 방향의 타단측은 세정 후의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배치되는 불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정물 공급 수단과 상기 계량 장치의 사이에는 피세정물 투입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피세정물 투입 슈트는 상기 계량 위치에 배치되는 계량용 버킷에 상방으로부터 면하는 공급 위치와, 상기 계량용 버킷이 계량 위치 및 배출 위치 사이를 회전 구동할 때에는 상기 계량용 버킷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또한 상기 피세정물 공급 슈트에 면하는 수용 위치에 걸쳐 각도 변위가 자유롭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KR1020167028846A 2014-08-08 2014-08-08 세정 장치 KR10191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1048 WO2016021052A1 (ja) 2014-08-08 2014-08-08 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785A true KR20160134785A (ko) 2016-11-23
KR101916167B1 KR101916167B1 (ko) 2018-11-08

Family

ID=5526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46A KR101916167B1 (ko) 2014-08-08 2014-08-08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98203B2 (ko)
KR (1) KR101916167B1 (ko)
CN (1) CN106231927B (ko)
WO (1) WO20160210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96B1 (ko) * 2018-12-13 2019-04-02 김경림 원재료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를 구비한 젤라틴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7281A (zh) * 2018-03-08 2018-09-04 金华市邀特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食品清洗装置
CN109222145A (zh) * 2018-10-24 2019-01-18 重庆中奕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土豆清洗装置
CN112275702B (zh) * 2020-09-29 2021-11-30 马鞍山源之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瓜果种子清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956A (ja) 1996-04-17 1997-10-28 Hosoda Kogyo Kk 食材の異物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19B2 (ja) * 1990-04-18 1994-09-14 株式会社チルディー 野菜洗浄方法及び装置
JP4318766B2 (ja) * 1997-06-17 2009-08-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4034428B2 (ja) * 1998-01-19 2008-01-16 株式会社アルス 食品処理装置
JP4374510B2 (ja) * 1999-10-25 2009-12-02 清水建設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01301932A (ja) * 2000-04-21 2001-10-31 Tcm Corp コンベヤ装置
TWI228976B (en) * 2000-07-31 2005-03-11 Yohoshi Co Ltd Heat-treated shrimp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treated shrimp
JP3562802B2 (ja) * 2000-07-31 2004-09-08 株式会社洋星 熱処理海老の製造方法
JP5006570B2 (ja) * 2006-05-02 2012-08-22 小嶺機械株式会社 食品搬送装置
WO2010045362A2 (en) * 2008-10-14 2010-04-22 Steelkor, L.L.C. Food preparation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5921231B2 (ja) * 2012-02-06 2016-05-24 大和製衡株式会社 重量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956A (ja) 1996-04-17 1997-10-28 Hosoda Kogyo Kk 食材の異物除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96B1 (ko) * 2018-12-13 2019-04-02 김경림 원재료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를 구비한 젤라틴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1927B (zh) 2018-08-21
JPWO2016021052A1 (ja) 2017-06-01
KR101916167B1 (ko) 2018-11-08
CN106231927A (zh) 2016-12-14
JP6498203B2 (ja) 2019-04-10
WO2016021052A1 (ja)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167B1 (ko) 세정 장치
US2012003113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lake Ice and Method for Cleaning, Descaling and/or Disinfect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Flake Ice
KR102005776B1 (ko) 인라인 농산물 가공 시스템
US3498208A (en) Heat exchange apparatus
EP3563940B1 (en) Cup-washing device
JP2009542254A (ja) 液体を食品に注入するための装置
JP2017080646A (ja) 洗浄装置
JPWO2015156388A1 (ja) 食品処理装置
TWI527632B (zh) Cleaning device
JP6456119B2 (ja) 調味液注入装置および炊飯システム
US2652841A (en) Article cleaning machine
JP2622094B2 (ja) 食材の反転洗浄装置
US20050087214A1 (en) Single-conveyor elongated object cleaning system
EP3364847B1 (en) Warewasher idling system and method
JP5151796B2 (ja) 温湯消毒設備
US695400A (en) Dish-washing machine.
JP2002012208A (ja) 容器処理装置
JP3786414B2 (ja) 浸漬バケット熱交換装置
JP5182403B2 (ja) 種子消毒設備
KR101977096B1 (ko) 양식 수조의 먹이주입 및 청소장치
JP2007135446A (ja) 浸漬米製造装置及び浸漬米製造方法
JP7364865B2 (ja) 加熱処理装置
JP2010104333A (ja) 温湯加温・冷却設備
KR20240000030A (ko) 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컵 세척 방법
KR20240025996A (ko)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