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996A -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 Google Patents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996A
KR20240025996A KR1020220104297A KR20220104297A KR20240025996A KR 20240025996 A KR20240025996 A KR 20240025996A KR 1020220104297 A KR1020220104297 A KR 1020220104297A KR 20220104297 A KR20220104297 A KR 20220104297A KR 20240025996 A KR20240025996 A KR 2024002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germination
sprout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무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토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토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토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996A/ko
Publication of KR202400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 발아장치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발아통을 이용하여 씨앗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덮개(12)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14)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16)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22)이 구비되는 용수자킷(20); 상기 용수자킷(20)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편(30); 및 상기 받침편(30)에 안착된 상태로 용수자킷(2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바닥에 타공플레이트(42)가 설치되며, 내부에 씨앗(S)이 수용되는 발아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이용하면, 새싹 발아장치에 사용되는 발아통 내부에 씨앗을 투입하여 저수조 내부에서 자동으로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히터에 의해서 저수조 내부 온도가 조절되어 씨앗 침지에 따른 발아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제고 및 단순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Seed washing and soaking device}
본 발명은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새싹 발아장치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발아통을 이용하여 씨앗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새싹이 웰빙 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새싹은 양질의 비타민 및 섬유소 공급의 좋은 영양성분을 제공하므로 샐러드, 비빔밥, 김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에 첨가되고 있다.
이러한 새싹은 씨앗을 발아통에 담은 상태로 온도와 습도, 광량을 조절하여 재배하는바, 이때 씨앗은 싹눈을 틔우기 위해 불림(soaking)과정을 거쳐야하고, 불림 과정 중에 미생물이 대량 증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특허 10-2009-0053308호에서, 씨앗 및 세척수를 담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 용기의 바닥에 설치되어 씨앗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 발생기, 용기의 일측 통공을 통해 용기 내부의 세척수를 대류시켜 씨앗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분사기, 및 용기를 덮는 덮개를 관통하며 용기 내부에서 씨앗 및 세척수를 교반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767814호에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되어, 세척수와 함께 내부에 투입된 다량의 콩류를 세척수의 와류를 이용해 세척함과 동시에 부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콩류에 섞인 이물질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세척조 내부에 투입된 콩류와 세척수를 함께 교반하여 세척수의 와류와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씨앗(콩류)를 세척하기 위한 기술이나, 씨앗(콩류)을 세척후 새싹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침지통에 정량 투입하여 침지과정을 거친 후, 다시 발아통으로 옮겨 담에서 새싹을 재배해야 하므로, 수회에 걸쳐 씨앗(콩류)을 옮겨 담아야 하므로 작업자 피로도가 증가되고, 특히, 씨앗(콩류)을 옮겨 담는 중에 싹눈이 마차로 손상되어 새싹 재배에 따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2009-0053308 A (2009.05.27.) KR 10-1767814 B1 (2017.08.07.)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새싹 발아장치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발아통을 이용하여 씨앗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덮개(12)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14)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16)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22)이 구비되는 용수자킷(20);
상기 용수자킷(20)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편(30); 및 상기 받침편(30)에 안착된 상태로 용수자킷(2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바닥에 타공플레이트(42)가 설치되며, 내부에 씨앗(S)이 수용되는 발아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타공플레이트(42)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을 세척한 후,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이 잠길 정도로 저수조(10)에 물을 채우고 싹눈을 틔우기 위한 침지과정을 거치며, 침지과정이 완료되면 발아통(40)과 함께 씨앗을 운반하여 새싹 발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10) 내부에 저장된 물은 히터(50)에 의해 히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은 40~60℃로 히팅한 상태로 8~12시간 씨앗 침지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아통(40)은 양측면에 통기공(44)이 형성되고, 통기공(44)은 메쉬망(45)에 의해 마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새싹 발아장치에 사용되는 발아통 내부에 씨앗을 투입하여 저수조 내부에서 자동으로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히터에 의해서 저수조 내부 온도가 조절되어 씨앗 침지에 따른 발아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제고 및 단순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정면에서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용수자킷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발아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정면에서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용수자킷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발아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새싹 세척 및 침지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새싹 발아장치에 사용되는 발아통 내부에 씨앗을 투입하여 저수조 내부에서 자동으로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히터에 의해서 저수조 내부 온도가 조절되어 씨앗 침지에 따른 발아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제고 및 단순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저수조(10), 용수자킷(20), 받침편(30), 발아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10)는 덮개(12)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14)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16)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10)는 하부에 받침다리가 설치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발아통(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는 덮개(12)에 의해 개폐되어 외기와 차단된 공간에서 씨앗(S) 세척과정 및 발아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저수조(10)는 내부에 세척 및 발아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고, 이때 저수조(10) 상부영역 측면에 형성되는 급수관(16)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어 발아통(40)에 담긴 씨앗이 잠길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밸브(14)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 및 세척과정 중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분사노즐(22)을 통하여 세척수를 출력하여 씨앗 세척과정이 종료되면, 드레인밸브(14)를 개방하여 저수조(10)에 저장된 오염수를 배출하고, 이후 드레인밸브(14)를 잠금 상태로 저수조(10) 내에 신규 물을 저장한 상태로 새싹 발아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자킷(20)은 상기 저수조(10)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22)이 구비된다.
상기 용수자킷(20)은 복수의 분배관으로 형성되거나, 도 3처럼 판상의 물탱크로 형성되고,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분사노즐(22)이 배치되며, 하부에 서포터가 설치되어 저수조(10)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출력되는 세척수는 후술하는 발아통(40)의 타공플레이트(42)를 관통하여 발아통(40)에 수용된 씨앗(S)을 세척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수자킷(20)은 일단에 세척수 공급관이 설치되고, 공급관은 수동 밸브 또는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어 세척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편(30)은 상기 용수자킷(20)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편(30)은 발아통(40) 저면 가장자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분사노즐(22) 대비 높게 연장된다.
이에 상기 저수조(10) 내부에 수용되는 발아통(40)이 받침편(30)에 지지된 상태로 분사노즐(22) 대비 높게 위치됨에 따라 분사노즐(22)을 통하여 출력되는 세척수가 타공플레이트(42) 측으로 확산 전달되어 씨앗(S)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아통(40)은 상기 받침편(30)에 안착된 상태로 용수자킷(2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바닥에 타공플레이트(42)가 설치되며, 내부에 씨앗(S)이 수용된다.
상기 발아통(4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사각통으로 형성되고, 하부 영역에 타공플레이트(42)가 설치되어 씨앗(S)을 받치면서 물이 신속하게 배수처리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상기 발아통(40)은 양측면에 통기공(44)이 형성되고, 통기공(44)은 메쉬망(45)에 의해 마감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발아통(40) 내부공간이 타공플레이트(42)에 의해 종방향으로 개방됨과 더불어 측면 통기공(44)에 의해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물의 효과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씨앗(S) 세척과정 및 침지과정에서 씨앗(S) 사이로 물이 신속하게 침투 및 배수되는 이점이 있고, 나아가 발아통(40)과 함께 씨앗을 발아장치로 운반하여 새싹 발아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통풍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도 5를 참고하여 본원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발아통(40) 내에 씨앗(S)이 잠길 정도로 물을 채우고, 도 5 (a)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타공플레이트(42)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을 세척한 후, 드레인밸브(14)를 개방하여 오염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도 5 (b)처럼 상기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이 잠길 정도로 저수조(10)에 물을 채우고 싹눈을 틔우기 위한 침지과정을 거치며, 침지과정이 완료되면 발아통(40)과 함께 씨앗을 운반하여 새싹 발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저수조(10) 내부에 저장된 물은 히터(50)에 의해 히팅되도록 구비되고, 히터(50)는 별도의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제어부에서 연산하여 자동으로 물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은 히터(50)에 의해 40~60℃로 히팅한 상태로 8~12시간 씨앗 침지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바, 여기서 물 온도가 40℃ 미만이면 발아시간이 지연되고, 60℃를 초과하면 씨앗(S)이 열손상으로 발아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씨앗(S)을 단일의 발아통(40)에 담은 상태로 세척과정, 침지과정, 그리고 발아과정까지 일련의 새싹 재배공정을 연속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씨앗(S)을 옮겨 담는 중에 싹눈이 마찰로 인해 손상되는 현상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수조
12: 덮개
14: 드레인밸브
16: 급수관
20: 용수자킷
22: 분사노즐
30: 받침편
40: 발아통
42: 타공플레이트
44: 통기공
45: 메쉬망
50: 히터

Claims (4)

  1. 덮개(12)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14)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16)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22)이 구비되는 용수자킷(20);
    상기 용수자킷(20)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편(30); 및
    상기 받침편(30)에 안착된 상태로 용수자킷(2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바닥에 타공플레이트(42)가 설치되며, 내부에 씨앗(S)이 수용되는 발아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타공플레이트(42)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을 세척한 후, 발아통(40) 내에 수용된 씨앗(S)이 잠길 정도로 저수조(10)에 물을 채우고 싹눈을 틔우기 위한 침지과정을 거치며, 침지과정이 완료되면 발아통(40)과 함께 씨앗을 운반하여 새싹 발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 내부에 저장된 물은 히터(50)에 의해 히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은 40~60℃로 히팅한 상태로 8~12시간 씨앗 침지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통(40)은 양측면에 통기공(44)이 형성되고, 통기공(44)은 메쉬망(45)에 의해 마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KR1020220104297A 2022-08-19 2022-08-19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KR20240025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97A KR20240025996A (ko) 2022-08-19 2022-08-19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97A KR20240025996A (ko) 2022-08-19 2022-08-19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996A true KR20240025996A (ko) 2024-02-27

Family

ID=9005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297A KR20240025996A (ko) 2022-08-19 2022-08-19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9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308A (ko) 2007-11-23 2009-05-27 한국식품연구원 새싹용 씨앗의 세척 장치
KR101767814B1 (ko) 2016-02-15 2017-08-14 고윤한 콩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308A (ko) 2007-11-23 2009-05-27 한국식품연구원 새싹용 씨앗의 세척 장치
KR101767814B1 (ko) 2016-02-15 2017-08-14 고윤한 콩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5207B (zh) 一种发芽糙米自动控制生产装置及糙米制备方法
CN112584696B (zh) 谷物发芽装置
KR101930424B1 (ko)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JP4440192B2 (ja) 水耕栽培方法及び水耕栽培装置
KR20150112249A (ko) 콩나물 재배장치
CN110199611A (zh) 种子智能清洗消毒浸泡装置
KR20240025996A (ko) 씨앗 세척 및 침지장치
CN110062578B (zh) 用于栽培植物或蔬菜的系统
KR101916167B1 (ko) 세정 장치
JP2009153405A (ja) 栽培施設
CN112638148B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JP3957733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KR101717880B1 (ko) 커피 생두 발아장치
JP3548975B2 (ja) 発芽玄米製造装置
KR20010078074A (ko) 발아현미의 제조장치
KR100217304B1 (ko) 종자 발아촉진기
JP5151796B2 (ja) 温湯消毒設備
KR200211772Y1 (ko) 연속 순환 수확방식을 위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100031007A (ko) 씨앗 발아장치 및 방법
WO2001015514A1 (en) Seed processing apparatus
CN210432375U (zh) 种子智能清洗消毒浸泡装置
JP5614444B2 (ja) 温湯処理設備
KR20160069682A (ko) 발아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발아방법
KR200304959Y1 (ko) 볍씨 및 종자 발아기
KR200207053Y1 (ko) 볍씨용 발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