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53Y1 - 볍씨용 발아기 - Google Patents

볍씨용 발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53Y1
KR200207053Y1 KR2020000017889U KR20000017889U KR200207053Y1 KR 200207053 Y1 KR200207053 Y1 KR 200207053Y1 KR 2020000017889 U KR2020000017889 U KR 2020000017889U KR 20000017889 U KR20000017889 U KR 20000017889U KR 200207053 Y1 KR200207053 Y1 KR 200207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irculation
rice seed
main body
g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원
Original Assignee
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원 filed Critical 정성원
Priority to KR2020000017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볍씨의 파종시기가 되면 날씨에 관계없이 인공적인 방법으로 볍씨를 발아시키는 볍씨용 발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11)의 외측으로는 순환펌프(30)와 산소공급기(35)가 형성된 순환파이프(20)가 형성되고, 본체(11) 내부의 바닥부(13)에는 배수구(16)와 숯 또는 맥반석등의 천연정화제(40)가 형성되어, 순환펌프(30)에 의해 급수된 물이 볍씨용 발아기(10) 내부로 강제순환되어 적재된 볍씨(45) 내부 전체로 온수가 고루 전달되고 급수/순환/배수가 신속히 이루어지며, 산소공급기(35)에 의해 순환파이프(20) 내로 직접 산소가 공급되어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며, 바닥부(13)에 형성된 배수구(16)로서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본체(11)의 하단부에는 이송수단(38)이 구비되어 이송이 용이한 볍씨용 발아기(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볍씨용 발아기{Sprouting machine of rice seed}
본 고안은 볍씨의 파종시기가 되면 날씨에 관계없이 인공적인 방법으로 볍씨를 발아시키는 볍씨용 발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볍씨용 발아기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부터 강제순환됨과 동시에 산소공급이 이루어져 볍씨의 발아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며, 강제순환으로 물의 대류가 활발해져 볍씨용 발아기 내부에 적재된 볍씨에 온수가 고르게 공급되는 한편, 볍씨용 발아기의 바닥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한 볍씨용 발아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영농의 기계화로 농업이 급격하게 발달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르는 기술개발 역시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 종래 볍씨용 발아기에 관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종래 볍씨용 발아기로는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2-7805호(볍씨 침종겸용 최아장치)와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00-178080호(볍씨용 발아기)가 선출원된 바 있으나 상기의 경우 모두 침종과정 후 배수과정을 거쳐 볍씨를 발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부분의 농가에서 침종과정만으로 볍씨를 발아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상기 볍씨용 발아기의 구조가 배수과정에 따른 비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볍씨 침종겸용 최아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볍씨용 발아기의 정단면도 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침종겸용 최아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히터(미도시)와 산소공급장치(54)에 의해 가열과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1일간의 침종과정을 거친 후 케이스(52)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55)에 의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며, 배수구(55) 이하의 공간부(57)에 약간의 물을 잔존시킨 상태에서 가열과 산소공급을 하여 볍씨를 발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산소공급장치(54)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가 케이스(52) 내부에 공급된 물의 순환을 돕는다고는 하나 이로써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가 적재된 볍씨 내부전체에 고루 순환되지는 않으며, 배수과정시 약간의 물을 잔존시키기 위해 배수구(55)가 케이스(52) 측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함으로서 침종과정시 발생하는 침전물이 케이스(52) 내부에 쌓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공급호스(58)에 형성된 구멍(59)이 막혀 산소가 충분이 공급되지 않게 되고 케이스(52) 내부의 청소 또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볍씨용 발아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샤워기(62)에 의해 본체(60)내로 순환하는 상태에서 4일간의 침종과정을 거친 후 본체(6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64)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며, 배수구(64) 이하의 공간부(65)에 약간의 물을 잔존시킨 상태에서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샤워기(62)에 의해 적재된 볍씨상으로 공급되어 볍씨를 발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침종과정에 있어서 수면위로 공급되는 샤워기(62)의 온수로는 본체(60)의 내부에 적재된 볍씨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배수과정시 약간의 물을 잔존시키기 위해 배수구(64)가 본체 측면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함으로서 침종과정시 발생하는 침전물이 본체 내부에 쌓이게 되어 청소가 곤란하고, 샤워기(62)에 의해 온수가 공급됨으로서 온수의 열량이 대기중으로 쉽게 방출되어 그 효율이 낮고,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고는 하나 보온커버(미도시)에 의해 외기와 차단된 본체(60) 내부의 공기만이 순환함으로서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볍씨용 발아기는 적재된 볍씨의 내부전체에 고른 온수와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동일 공정으로 발아된 볍씨의 발아정도가 서로 다르고 발아기 내부에 침전물이 쌓여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이송이 곤란하며, 물을 공급/순환/배수 하는 자체 동력이 없거나 내부에 형성되어 급수시에는 인력이나 외부동력을 필요로 하고, 배수시에는 신속히 배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된 볍씨 내부전체로 온수가 고루 전달되며 급수/순환/배수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공기구멍이 막힐 염려가 없이 충분한 산소공급이 되며,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이송이 가능한 볍씨용 발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순환펌프에 의해 급수된 물이 순환파이프를 통해 볍씨용 발아기 내부로 강제순환하도록 하며, 순환파이프내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고, 볍씨용 발아기의 바닥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며, 본체 저면에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볍씨용 발아기의 구성한다.
제 1도는 종래 볍씨 침종겸용 최아장치의 정단면도
제 2도는 종래 볍씨용 발아기의 정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볍씨용 발아기 11 : 본체
12 : 공간부 13 : 바닥부
14 : 히터 15 : 제어기
16 : 배수구 17 : 입수구
18 : 분사기 19 : 받침대
20 : 순환파이프 21 : 급수부
22 : 배수부 25 : 제1순환밸브
26 : 제2순환밸브 27 : 급수밸브
28 : 배수밸브 30 : 순환펌프
35 : 산소공급기 38 : 이송수단
40 : 천연정화제 45 : 볍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간부(12)를 가지는 본체(11) 내부 소정의 위치에는 볍씨를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19)가 내설되고, 본체(11) 외부 소정개소에 형성된 제어기(15)와 내부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히터(14)가 내설되며, 본체(11) 내의 바닥부(13) 상에는 숯 또는 맥반석등의 천연정화제(40)가 형성되고, 본체(11) 외부 저면에는 이송수단(38)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1)의 바닥부(13)에는 배수구(16)가 형성되고, 본체(11)의 측면 소정개소에는 입수구(17)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7)에는 공간부(12) 소정위치까지 연장되는 분사기(18)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6)의 외측으로는 제1순환밸브(25)가 형성되고, 입수구(17)의 외측으로는 제2순환밸브(26)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6)와 입수구(17)는 순환파이프(20)로서 연결되며, 상기 순환파이프(20)의 도중에는 순환펌프(30)와 산소공급기(3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순환밸브(25)와 순환펌프(30)사이에는 급수밸브(27)가 형성된 급수부(21)가 외부로 부터 T형 관이음구에 의해 배관되고, 제2순환밸브(26)와 순환펌프(30)사이에는 배수밸브(28)가 형성된 배수부(22)가 외부로 부터 다른 T형 관이음구에 의해 배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체(11)에 내설된 받침대(19) 상으로 종자로 선별된 볍씨(45)를 자루등의 용기에 담아 적재를 하고, 제1순환밸브(25)와 배수밸브(28)를 닫고 제2순환밸브(26)와 급수밸브(27)을 연 상태에서 순환펌프(30)에 의해 적재된 볍씨(45)가 충분히 침종될때까지 외부로 부터 급수부(21)를 통하여 급수를 한다. 이때 순환파이프(20) 상에 형성된 산소공급기(35)에 의해 볍씨(45)의 발아에 충분한 산소가 동시에 공급된다.
상기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제1순환밸브(25)를 열고 급수밸브(27)를 닫아 본체(11) 내에 급수된 물이 순환펌프(30)에 의해 순환하게 되며, 이때 또한 산소공급기(35)에 의해 본체(11)내로 순환되는 물에는 계속적으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동시에 제어기(15)와 온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히터(14)가 작동되어 약 32℃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약 32℃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여 2일간 침종 및 발아과정을 거치며, 이때 배수구(16)로 흡입된 온수는 순환펌프(30)와 산소공급기(35)를 거쳐 분사기(18)를 통하여 본체(11)의 공간부(12)로 순환하고, 산소공급기(35)에 의해 충분한 산소를 가지는 온수는 소정압력의 순환펌프(30)에 의해 분사기(18)로서 적재된 볍씨(45) 내부전체로 강제순환함으로서 볍씨(45)의 발아에 충분한 산소와 고른 온수를 공급하여 최상의 발아조건을 제공하며, 본체(11) 바닥부(13)에 형성한 숯 또는 맥반석등의 천연정화제(40)로서 발아과정에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2일간의 침종 및 발아과정에 있어서, 최초 공급되는 물에는 소독약을 투입하여 1일간 경과후 완전히 배수하고, 맑은 물을 다시 적정량 급수하여 1일간 경과하여 총 2일간 침종 및 발아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볍씨 발아과정이 완료되면, 급수밸브(27)는 닫히고 제1순환밸브(25)는 열린 상태에서 배수밸브(28)를 열고 제2순환밸브(26)를 닫음으로서 본체(11) 내의 급수된 물을 순환펌프(30)로서 신속히 배수할 수 있으며, 이때 배수구(16)가 본체(11)의 바닥부(13)에 형성됨으로서 침전물 또한 완전히 배출되어 별도의 청소가 필요없으며, 작업 종료 후에는 본체(11) 하단부에 형성된 이송수단(38)에 의하여 손쉽게 위치이동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볍씨용 발아기를 구성함으로서, 순환펌프에 의해 급수된 물이 볍씨용 발아기 내부로 강제순환하여 적재된 볍씨 내부전체로 온수가 고루 전달되고 급수/순환/배수가 신속히 이루어지며, 산소공급기에 의해 순환파이프내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여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며 또한 공기구멍이 막힐 염려가 없고, 바닥부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본체 하단부에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이송이 용이하며, 본체 바닥부에 형성한 숯 또는 맥반석등의 천연정화제로서 발아과정에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1)의 공간부(12) 내로 제어기(15)에 의하여 컨트롤되는 히터(14)와 선별된 볍씨(45)를 적재 할 수 있는 받침대(19)를 구비하는 볍씨용 발아장치에 있어서,
    바닥부(13)에는 배수구(16)가 형성되고, 측면 소정개소에는 입수구(17)가 형성되어 상기 입수구(17)에서 공간부(12) 소정위치까지 연장되는 분사기(18)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이송수단(38)을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배수구(16)의 외측으로는 제1순환밸브(25)가 형성되고, 입수구(17)의 외측으로는 제2순환밸브(26)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6)와 입수구(17)를 연결하며, 상기 제1순환밸브(25)와 제2순환밸브(26)의 도중에 순환펌프(30)와 산소공급기(35)가 형성된 순환파이프(20)와,
    상기 제1순환밸브(25)와 순환펌프(30)사이에는 급수밸브(27)가 형성된 급수부(21)가 외부로 부터 형성되고, 제2순환밸브(26)와 순환펌프(30)사이에는 배수밸브(28)가 형성된 배수부(22)가 외부로 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볍씨용 발아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1)의 바닥부(13) 상으로 숯 또는 맥반석등의 천연정화제(40)를 형성하여 침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볍씨용 발아기
KR2020000017889U 2000-06-23 2000-06-23 볍씨용 발아기 KR200207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89U KR200207053Y1 (ko) 2000-06-23 2000-06-23 볍씨용 발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89U KR200207053Y1 (ko) 2000-06-23 2000-06-23 볍씨용 발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53Y1 true KR200207053Y1 (ko) 2000-12-15

Family

ID=1966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89U KR200207053Y1 (ko) 2000-06-23 2000-06-23 볍씨용 발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921A (zh) * 2021-12-30 2022-04-12 贵州神农米业有限公司 一种水稻育种用高发芽率育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921A (zh) * 2021-12-30 2022-04-12 贵州神农米业有限公司 一种水稻育种用高发芽率育种装置
CN114303921B (zh) * 2021-12-30 2023-06-27 贵州神农米业有限公司 一种水稻育种用高发芽率育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838B (zh) 种子发芽器及其稻谷发芽工艺
CN106613583A (zh) 一种适应机械化生产的水稻育秧方法
CN107624298A (zh) 种子浸种预先催芽装置
CN202121935U (zh) 种子发芽器
CN102812868A (zh) 多功能育种箱
KR20200046494A (ko) 곡물 발아장치
KR200207053Y1 (ko) 볍씨용 발아기
KR100675405B1 (ko)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CN105850283A (zh) 一种稻种催芽箱
CN206963305U (zh) 免喷水式种子催芽装置
CN110024683A (zh) 一种智能育苗用种子培育装置
KR20010078074A (ko) 발아현미의 제조장치
CN208159187U (zh) 一种效率高的农业种植用的浸种催芽装置
KR100189114B1 (ko) 식물 재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
KR200351095Y1 (ko) 침수식 콩나물 재배기
KR101877324B1 (ko) 콩나물 재배장치
CN206651094U (zh) 一种可以存水的种植盘
TW201524339A (zh) 具有自動灌溉及調節液位機制的植栽容器
CN219421717U (zh) 一种菊花种植用的幼苗培育装置
KR20090012685U (ko) 농작물 건조부가 구비된 볍씨 발아장치
KR200335111Y1 (ko) 콩나물재배용기의 급수장치
KR100274381B1 (ko)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장치
JPH05284865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栽培床の給排水方法
CN218042604U (zh) 一种可防止种子发霉便于贮藏的黑老虎种植装置
CN214385021U (zh) 一种杂交稻种育种发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