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810B1 -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Google Patents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810B1
KR102049810B1 KR1020180069157A KR20180069157A KR102049810B1 KR 102049810 B1 KR102049810 B1 KR 102049810B1 KR 1020180069157 A KR1020180069157 A KR 1020180069157A KR 20180069157 A KR20180069157 A KR 20180069157A KR 102049810 B1 KR102049810 B1 KR 10204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urned
crane
boom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웅
김동환
유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8006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크레인에 과부하 발생 시 즉시 크레인의 작동을 멈춤으로써 크레인의 전복 및 와이어의 끊어짐을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CRANE WITH OVERLOAD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크레인이 작동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크레인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하물을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그 종류로는 붐(Boom)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붐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직진식 및 하나 이상의 붐을 접을 수 있는 굴절식이 있다.
이러한 크레인들 중 직진식 크레인은 다단의 붐이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양되는 하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하물의 인양 능력에 따라 소형으로부터 대형까지 분류되며, 해당 중량 이상의 하물을 인양할 경우 크레인이 설치된 차량이 전복됨은 물론, 붐이 꺽이거나 데릭 실린더가 손상되는 등과 같이 크레인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파손됨에 따라, 인양한 하물이 떨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에 작용하는 과부하를 감지하여 장비의 파손 및 인명 사고를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09618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경우, 과부하 신호 발생 시 모멘트의 값이 커지는 조작, 즉, 데릭 실린더(220)의 하강,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30)의 인장과 같은 조작과 와이어(150)가 과권 상태가 되면, 제1 내지 제4리미트 스위치(410, 420, 430, 440)가 온(ON)되고, 이를 토대로 덤프 밸브(370)가 오프(OFF) 됨으로써, 크레인(100)의 작동이 멈추게 되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4리미트 스위치(410, 420, 430, 440)가 오작동 하게 된다면, 크레인(100)의 과부하가 걸리는 동작이 허용되어, 결국 크레인(100)이 전복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감지 스위치(450) 및 과권 감지 스위치(460)가 온(ON)된 경우, 제1 내지 제4리미트 스위치(410, 420, 430, 440)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온(ON) 되어 있지 않다면, 덤프 밸브(370)는 전기적으로 신호를 받지 못함으로써, 덤프 밸브(370)의 작동은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제1 내지 제4리미트 스위치(410, 420, 430, 440)를 모두 설치 해야됨으로써, 제작 비용이 증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96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크레인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크레인의 작동을 즉시 멈추고 모멘트가 작아지도록 하는 작동을 할 때, 크레인을 다시 작동하게 함으로써,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은,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데릭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1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 되는 제1작동스위치;를 포함하고,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상기 제1밸브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작동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밸브; 상기 제2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2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되는 제2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상기 제2밸브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작동스위치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상기 붐에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윈치 모터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인양기;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윈치 모터로 공급하는 제3밸브; 상기 제3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3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 되는 제3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과권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상기 제3밸브 조작에 의해 상기 제3작동스위치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신호는 상기 데릭 실린더의 내부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온(ON) 되고, 상기 과권 신호는 상기 붐에 설치되는 상기 와이어가 과권 상태가 되면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따르면, 과부하 발생 시 즉시 크레인의 작동을 멈추는 방식과, 제1 내지 제4밸브에 제1 내지 제4리미트 스위치가 아닌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리미트 스위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크레인의 전복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4밸브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의 간소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유압 회로부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전기 회로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유압 회로부의 개략도.
본 발명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은 하물을 들어올리는 기계 장치인 크레인에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것으로서, 크레인이 인양 가능한 무게를 초과하는 화물을 들어올려 과하중 상태가 되거나, 인양기와 연결된 와이어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는 과권 상태가 될 때,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크레인의 파손을 방지하는 크레인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과부하'라는 용어는 '과하중'과 '과권'을 포함하여 지칭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은 붐(Boom)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크레인과, 붐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직진식 크레인 및 하나 이상의 붐을 접을 수 있는 굴절식 크레인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붐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의 붐으로 이루어진 직진식 크레인인 것을 기준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압 회로부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은 지지부(11)에 연결되는 붐(12)과,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21)와, 지지부(11)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24)와, 붐(12)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와, 붐(12)에 설치되는 와이어(15)와 와이어(15)에 결합되어 윈치 모터(23)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인양기(14)와, 데릭 실린더(21), 스윙 모터(24)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및 윈치 모터(2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회로부(30)와, 유압 회로부(30)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여 제어하는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는 그 일단이 베이스(13)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붐(12)과 연결되어 붐(12)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붐(12)은 지지부(11)의 타단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베이스(13)에는 스윙 모터(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윙 모터(24)에 의해 베이스(13)가 회전함으로써, 지지부(11)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붐(12)은 다단의 붐(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단의 붐(12)은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
과권 감지 센서(16)는 인양기(14)와 연결된 와이어(15)에 과권 상태를 감지하여, 크레인(10)에 과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붐(12)의 단부, 즉, 다단의 붐(12) 중 가장 끝에 위치하는 붐(12)의 단부에는 과권 감지 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과권 감지 센서(16)에는 후술할 과권 감지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15)가 과권 상태가 되어, 크레인(10)에 과권이 발생하면 과권 감지 스위치가 온(ON)되게 된다.
과권 감지 센서(16)는 거리를 측정하여 와이어(15)의 과권 상태를 감지하는 거리 측정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과권 감지 센서(16)는 다단의 붐(12)의 단부에 구비되어 인양기(14)와 붐(12)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가 되면 과권 감지 스위치를 온(ON) 시킴으로써, 와이어(15)가 과권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일정 거리, 즉, 과권 감지 스위치가 온(ON)되는 기준 거리는 1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릭 실린더(2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데릭 실린더(21)에 대해 설명한다.
데릭 실린더(21)는 붐(12)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데릭 실린더(21)의 하부는 베이스(13)에 연결되고, 데릭 실린더(21) 내부에는 붐(12)과 연결된 피스톤(20)이 삽입된다.
데릭 실린더(21)의 하부와 데릭 실린더(21)의 상부는 각각 후술할 제1밸브(31)와 유압 유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데릭 실린더(21)의 하부와 데릭 실린더(21)의 상부는 제1밸브(31)의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 작동에 따라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1밸브(31)의 제1방향(D1) 작동에 의해 데릭 실린더(21)의 하부에 유압이 공급되면, 데릭 실린더(21)에 삽입된 피스톤(2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피스톤(20)과 연결된 붐(12)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붐(12)과 지지부(11)의 사잇각의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제1밸브(31)의 제2방향(D2) 작동에 의해 데릭 실린더(21)의 상부에 유합이 공급되면, 데릭 실린더(21)에 삽입된 피스톤(2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피스톤(20)과 연결된 붐(12)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붐(12)과 지지부(11)의 사잇각의 각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릭 실린더(21)의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0)이 데릭 실린더(21)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피스톤(20)에 연결된 붐(12)의 상, 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데릭 실린더(21) 내부의 하부 공간에는 데릭 실린더(21)에 공급되는 내부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유압 감지 센서는 피스톤(2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때, 데릭 실린더(21) 내부의 하부 공간에 공급되는 내부 유압을 측정함으로써, 크레인(10)에 과하중이 가해지는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유압 감지 센서에는 유압 감지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압 감지 센서가 데릭 실린더(21) 내부의 하부 공간에 공급된 내부 유압을 측정하여, 상기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유압 감지 스위치가 온(ON)되게 된다.
상기 일정 압력, 즉, 유압 감지 스위치가 온(ON)되는 기준 압력은 200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에 대해 설명한다.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12)을 신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하부와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는 후술할 제2밸브(32)와 유압 유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하부와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는 각각 제2밸브(32)의 작동에 따라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2밸브(32)의 작동에 의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하부에 유압이 공급되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가 붐(12)을 밀어냄으로써, 붐(12)이 신장된다. 또한, 제2밸브(32)의 작동에 의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에 유압이 공급되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가 붐(12)을 당김으로써, 붐(12)이 수축된다.
이와 같이, 제2밸브(32)의 작동에 의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가 작동함으로써,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12)이 신축될 수 있다.
윈치 모터(2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윈치 모터(23)를 와이어(15) 및 윈치 드럼(17)과 함께 설명한다.
와이어(15)는 붐(12)에 설치되며, 와이어(15)의 일단은 인양기(14)와 결합되고, 와이어(15)의 타단은 윈치 드럼(17)에 결합된다.
와이어(15)는 붐(12)의 크기,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붐(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 드럼(17)은 윈치 모터(23)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윈치 모터(23)의 회전에 따라 윈치 드럼(17)이 구동하여 와이어(15)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15)의 일단에 결한됩 인양기(14)가 붐(12)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인양기(14)는 하물을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0)의 사용 용도에 따라 후크(Hook), 체인 및 자석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윈치 드럼(17)은 베이스(13)에 설치되며, 윈치 모터(23)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15)를 감거라 풀러줌으로써, 인양기(14)를 붐(12)의 다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기능을 한다.
윈치 모터(23)가 유압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윈치 드럼(17)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5)를 감게 되고, 윈치 모터(23)가 유압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윈치 드럼(17)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5)를 풀어주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윈치 모터(23)는 윈치 드럼(17)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써의 기능을 하게 되며, 윈치 모터(23)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후술할 제3밸브(33)와 유압 유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윈치 모터(23)의 일측과 타측은 제4밸브(34)의 작동에 따라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밸브(33)의 작동에 의해 윈치 모터(23)의 일측에 유압이 공급되면, 윈치 모터(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윈치 드럼(17)에 연결된 와이어(15)가 감기게 되며, 이로 인해, 인양기(14)가 붐(1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3밸브(33)의 작동에 의해 윈치 모터(23)의 타측에 유압이 공급되면 윈치 모터(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윈치 드럼(17)에 연결된 와이어(15)가 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인양기(14)가 붐(12)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윈치 모터(23)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외전으로 인해, 붐(12) 단부에서의 인양기(14)의 상, 하 이동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스윙 모터(24)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스윙 모터(24)에 대해 설명한다.
스윙 모터(24)는 베이스(13)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기능을 한다.
스윙 모터(24)의 일측과 스윙 모터(24)의 타측은 각각 후술할 제4밸브(34)와 유압 유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스윙 모터(24)의 일측과 스윙 모터(24)의 타측은 각각 제4밸브(34)의 작동에 따라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4밸브(34)의 작동에 의해 스윙 모터(24)의 일측에 유압이 공급되면, 스윙 모터(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베이스(13) 및 베이스(13)에 설치되는 지지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4밸브(34)의 작동에 의해 스윙 모터(24)의 타측에 유압이 공급되면 스윙 모터(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베이스(13) 및 베이스(13)에 설치되는 지지부(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4밸브(34)의 작동에 의해 스윙 모터(2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베이스(13) 및 베이스(13)에 설치되는 지지부(1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에 연결된 붐(12) 또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유압 회로부 (3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유압 회로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 회로부(30)는 전술한 데릭 실린더(21), 스윙 모터(24),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및 윈치 모터(23)에 유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 회로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5)에서 탱크(36)로 유동하는 유압을 데릭 실린더(21)로 공급하는 제1밸브(31)와, 펌프(35)에서 탱크(36)로 유동하는 유압을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로 공급하는 제2밸브(32)와, 펌프(35)에서 탱크(36)로 유동하는 유압을 윈치 모터(23)로 공급하는 제3밸브(33)와, 펌프(35)에서 탱크(36)로 유동하는 유압을 스윙 모터(24)로 공급하는 제4밸브(34)와,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와 탱크(36)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어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의 방향을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 또는 탱크(36)로 전환하는 덤프 밸브(37)와,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되면 작동하는 릴리프 밸브(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밸브(31)
제1밸브(31)는 덤프 밸브(37)와 데릭 실린더(21)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서 구비되며, 제1밸브(31)의 작동에 의해 덤프 밸브(37)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을 데릭 실린더(21)의 하부 또는 상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제1밸브(3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데릭 실린더(21)의 상부 또는 하부로 공급되지 않고 제1밸브(31)를 바이패스로 통과하여 탱크로 유입된다. 따라서, 데릭 실린더(21)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1밸브(31)가 작동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데릭 실린더(21)의 하부로 공급되고, 데릭 실린더(21)에 삽입된 피스톤(2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0)과 연결된 붐(12)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붐(12)과 지지부(11)의 사잇각의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제1밸브(31)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데릭 실린더(21)의 상부에 공급됨으로써, 데릭 실린더(21)에 삽입된 피스톤(2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0)과 연결된 붐(12)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붐(12)과 지지부(11)의 사잇각의 각도가 감소하게 된다.
제1밸브(31)가 작동할 때,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즉, 모멘트(M)가 커지는 움직임은 붐(12)과 지지부(11)의 사잇각 각도가 작아질 때이다.
제1밸브(31)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붐(12)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크레인(10)에 걸리는 모멘트(M)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밸브(31)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붐(12)이 상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크레인(10)에 걸리는 모멘트(M)값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밸브(31)의 제1방향(D1) 조작을 통해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1밸브(31)에는 후술할 제1작동스위치(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작동스위치(41)는 제1밸브(31)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때 온(ON)된다.
제2밸브(32)
제2밸브(32)는 덤프 밸브(37)와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며, 제2밸브(32)의 작동에 의해 덤프 밸브(37)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을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제2밸브(32)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 또는 하부로 공급되지 않고 제2밸브(32)를 바이패스로 통과하여 탱크로 유입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2밸브(32)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가 붐(12)을 당김으로써 붐(12)이 축소된다.
제2밸브(32)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하부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가 붐(12)을 밀어냄으로써 붐(12)이 신장된다.
제2밸브(32)가 작동할 때,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즉, 모멘트(M)가 커지는 움직임은 붐(12)이 신장될때이다.
제2밸브(32)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붐(12)이 신장됨으로써, 크레인(10)에 걸리는 모멘트(M)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밸브(32)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붐(12)이 축소됨으로써, 크레인(10)에 걸리는 모멘트(M)값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밸브(32)의 제1방향(D1) 조작을 통해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2밸브(32)에는 후술할 제2작동스위치(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작동스위치(42)는 제2밸브(32)가 작동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때 온(ON) 된다.
제3밸브(33)
제3밸브(33)는 덤프 밸브(37)와 윈치 모터(23)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며, 제3밸브(33)의 작동에 의해 덤프 밸브(37)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을 윈치 모터(2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제3밸브(33)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윈치 모터(23)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공급되지 않고, 제3밸브(33)를 바이패스로 통과하여 탱크로 유입된다. 따라서, 윈치 모터(23)는 작동되지 않는다.
제3밸브(33)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윈치 모터(23)의 일측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윈치 모터(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윈치 드럼(17)에 연결된 와이어(15)가 감기게 되며, 인양기(14)가 붐(1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밸브(33)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윈치 모터(23)의 타측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윈치 모터(2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윈치 드럼(17)에 연결된 와이어(15)가 풀리게 되며, 인양기(14)가 붐(12)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밸브(33)가 작동할 때,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움직임은 과권이 발생될 때이다. 다시 말해, 제3밸브(33)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윈치 모터(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5)가 감기게 될 때, 과권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밸브(33)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윈치 모터(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5)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제3밸브(33)의 제2방향(D2) 조작을 통해 과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3밸브(33)에는 후술할 제3작동스위치(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작동스위치(43)는 제3밸브(33)가 작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할 때 온(ON)되게 된다.
제4밸브(34)
제4밸브(34)는 덤프 밸브(37)와 스윙 모터(24)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며, 제4밸브(34)의 작동에 의해 덤프 밸브(37)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을 스윙 모터(24)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제4밸브(34)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스윙 모터(24)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4밸브(34)를 바이패스로 통과하여 탱크로 유입된다. 따라서, 스윙 모터(24)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4밸브(34)가 작동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스윙 모터(24)의 일측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스윙 모터(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 모터(24)와 연결된 베이스(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베이스(13)에 설치된 지지부(11)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밸브(34)가 작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덤프 밸브(37)에서 유입되는 유압이 스윙 모터(24)의 타측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스윙 모터(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 모터(24)와 연결된 베이스(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베이스(13)에 설치된 지지부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밸브(34)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덤프 밸브(37)
덤프 밸브(37)는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와 탱크(36) 사이의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며,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의 방향을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 또는 탱크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덤프 밸브(37)는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는 모두 덤프 밸브(37)와 유압 유로 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35)에서 유입되는 유압은 덤프 밸브(37)를 통해서만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전기 회로부에 의해, 덤프 밸브(37)가 오프(OFF)되면, 덤프 밸브(37)는 제1방향(D1)으로 움직이게 되고,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탱크(36)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전기 회로부에 의해, 덤프 밸브(37)가 온(ON)되면, 덤프 밸브(37)는 제2방향(D2)으로 움직이게 되고,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 중 어느 하나의 밸브로 공급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덤프 밸브(37)가 제2방향(D2)으로 이동되면,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을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 각각의 작동 여부에 따라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이 데릭 실린더(21),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윈치 모터(23) 및 스윙 모터(24)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됨으로써 데릭 실린더(21),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 윈치 모터(23) 및 스윙 모터(24)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될 수 있다.
이후, 과부하 신호에 의해 통해 덤프 밸브(37)가 오프(OFF)되면, 덤프 밸브(37)는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고,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이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 공급되지 않고 바이패스로 탱크(36)로 유동하게 된다. 즉, 크레인(1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덤프 밸브(37)의 제1방향(D1) 이동에 따라,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의 유압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유압이 탱크(36)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써,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의 동작은 제한된다.
덤프 밸브(37)는 크레인(10)의 모멘트(M)가 작아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가 작동되면, 제1 내지 제3밸브(41, 42, 43)에 온(ON) 신호에 의해 다시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크레인(10)의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10) 과부하 해소 조작은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덤프 밸브(37)의 작동은 전기 회로부의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릴리프 밸브(38)
릴리프 밸브(38)는 펌프(35)에서 덤프 밸브(37)로 공급되는 유압 유로와 분기된 유압 유로 상에 구비되며,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측정하여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작동함으로써, 유압의 압력을 감소 시키는 기능을 한다.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일 경우, 릴리프 밸브(38)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 중 일부는 덤프 밸브(37)로 유동하고, 나머지 유압은 병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를 통해 유동 된 후 탱크(36)로 회수된다.
펌프(35)에서 유압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릴리프 밸브(38)는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 중 일부는 덤프 밸브(37)로 유동하고, 나머지 유압은 바로 탱크(36)로 회수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38)의 작동에 따라,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덤프 밸브(37)로 공급되는 유압의 압력은 일정 압력 이하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덤프 밸브(37) 및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발생하게 되는 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리프 밸브(38)가 작동하게 되는 펌프(35)에서 공급된 유압의 기준 압력은 200Bar 내지 230 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및 덤프 밸브(37)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압 감지 스위치 및 과권 감지 스위치
유압 감지 스위치는 유압 감지 센서에 구비되며, 유압 감지 센서가 데릭 실린더(21)에 공급된 내부 유압을 측정하여 상기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 즉, 기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이 되면 유압 감지 스위치가 온(ON)된다.
과권 감지 스위치는 과권 감지 센서(16)에 구비되며, 와이어(15)가 과권 상태가 되어 크레인(10)에 과권이 방생하게 되면 온(ON)된다.
일례로, 과권 감지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를 측정하여 와이어(15)의 과권 상태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과권 감지 센서가 인양기(14)와 붐(12)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하, 즉,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과권 감지 스위치가 온(ON) 된다.
유압 감지 스위치 및 과권 감지 스위치가 온(ON)되면, 즉, 크레인(10)에 과부하 신호가 오면 덤프 밸브(37)에 연결된 전원은 오프(OFF)되고, 제1내지 제3밸브(33)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탱크(36)측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즉, 펌프(35)를 통해 유입된 유압은 제1 내지 제3밸브(33)로 공급되지 않고, 바로 탱크(36)로 유동 된다.
따라서, 크레인(10) 동작 중 과부하가 걸릴 경우 크레인(10)의 작동은 멈추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했다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는 제1 내지 제3밸브(33)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밸브(33)의 움직임에 따라 ON/OFF 된다.
제1작동스위치(41)는 제1밸브(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밸브(31)가 작동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때, 제1작동스위치(41)는 온(ON)된다.
제1작동스위치(41)가 온(ON)되면, 과부하를 해소하는 동작, 즉, 데릭 실린더(21)의 각도를 높여주는 조작만이 가능해지고, 크레인(10)의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2작동스위치(42)는 제2밸브(3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밸브(32)가 작동하여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때, 제2작동스위치(42)는 온(ON)된다.
제2작동스위치(42)가 온(ON)되면, 과부하를 해소하는 동작, 즉,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를 수축시키는 조작이 가능해지고, 크레인(10)의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3작동스위치(43)는 제3밸브(3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밸브(33)가 작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할 때, 제3작동스위치(43)는 온(ON)된다.
제3작동스위치(43)가 온(ON)되면, 과권을 해소하는 동작, 즉, 윈치 모터(23)를 푸는 조작만이 가능해지고, 크레인(10)의 과권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는, 과부하 신호에 의해 오프(OFF)된 덤프 밸브(37)를 다시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과부하 방지 시스템의 작동 원리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과부하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원리 및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유압 회로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은,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덤프 밸브(37)는 오프(OFF) 되고, 제1밸브(31) 조작에 의해 제1작동스위치(41)가 온(ON)되면 덤프 밸브(37)가 온(ON) 된다.
또한,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덤프 밸브(37)는 오프(OFF) 되고, 제2밸브(32) 조작에 의해 제2작동스위치(42)가 온(ON)되면 덤프 밸브(37)가 온(ON) 된다.
또한, 과권 신호가 온(ON) 되면 덤프 밸브(37)는 오프(OFF) 되고, 제3밸브 (33)조작에 의해 제3작동스위치(43)가 온(ON)되면 덤프 밸브(37)가 온(ON) 된다.
과부하 신호는 데릭 실린더(21)의 내부 유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온(ON) 되고, 과권 신호는 붐(12)에 설치되는 와이어(15)가 과권 상태가 되면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10)에 과부하 신호가 발생되면, 즉, 유압 감지 스위치 및 과권 감지 스위치 중 어느 하나라도 온(ON)되면, 크레인(10)의 작동은 즉시 멈추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레인(10)에 과하중이 걸려 유압 감지 스위치가 온(ON) 되거나, 와이어(15)에 과권이 발생하여 과권 감지 스위치가 온(ON)되면, 덤프 밸브(37)의 전원이 오프(OFF)되면서 덤프 밸브(37)는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된다.
덤프 밸브(37)가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 공급되던 유압이, 탱크(36)방향으로 바뀌게 되면서, 크레인(10)의 동작이 차단되는 것이다.
제1밸브(31) 및 제2밸브(32)의 제2방향(D2)으로의 조작, 제3밸브(33)의 제1방향(D2)으로의 조작을 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작동 스위치(41, 42, 43)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으므로 덤프 밸브(37)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 하게되고, 크레인(10)은 작동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제1밸브(31) 및 제2밸브(32)의 제1방향(D1)조작, 제3밸브(33)의 제2방향(D2)으로의 조작을 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작동 스위치(41, 42, 43)가 전기적으로 도통되므로, 덤프 밸브(37)가 다시 온(ON) 됨으로써,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로 다시 공급되므로, 크레인(10)의 과하중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1밸브(31)를 제2방향(D2)으로 조작하게 되면, 제1작동스위치(41)는 접지되지 않으므로, 데릭 실린더(21)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1밸브(31)가 제2방향(D2)으로 조작되면, 제1작동스위치(31)의 접지가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덤프 밸브(37) 또한 오프(OFF)가 된 상태로 유지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1밸브(31)를 제1방향(D1)으로 조작할 경우, 제1작동스위치(41)는 접지되어 전기적으로 도통 되고, 이에 따라, 덤프 밸브(37)는 다시 온(ON) 됨으로써,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다시 제1밸브(31)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작동스위치(41)가 온(ON)된 상태에서 제1밸브(31)로 유압이 공급되면, 데릭 실린더(21)의 하부로 유압이 공급되고, 데릭 실린더(21)는 상승하게 됨으로써, 지지부(11)와 붐(12)의 사잇각의 각도는 커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모멘트값이 작아지는 조작이므로, 크레인(10)의 과부하는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밸브(32)를 제2방향(D2)으로 조작하게 되면, 제2작동스위치(42)는 접지되지 않으므로,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2밸브(32)가 제2방향(D2)으로 조작되면, 제2작동 스위치(42)의 접지는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덤프 밸브(37) 또한 오프(OFF)가 된 상태로 유지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2밸브(32)를 제1방향(D1)으로 조작할 경우, 제2작동스위치(42)가 접지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이로 인해, 덤프 밸브(37) 또한 다시 온(ON)되게 됨으로써,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다시 제2밸브(3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2작동스위치(42)가 온(ON)된 상태에서 제2밸브(32)로 유압이 공급되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의 상부로 유압이 공급되고, 텔레스코프형 실린더(22)는 축소된다. 이러한 동작은 모멘트값이 작아지는 조작이므로, 크레인(10)의 과부하는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제3밸브(33)가 제1방향(D1)으로 조작이 되면, 제3작동스위치(43)는 접지되지 않으므로, 윈치 모터(23)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3밸브(33)가 제1방향(D1)으로 조작되면, 제3작동스위치(43)의 접지는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덤프 밸브(37) EH한 오프(OFF)가 된 상태로 유지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3밸브(33)를 제2방향(D2)으로 조작하게 되면, 제3작동스위치(43)는 접지되고, 전기적으로 도통 됨으로써 덤프 밸브(37) 또한 온(ON)된다. 따라서, 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다시 제3밸브(33)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3작동스위치(43)가 온(ON)된 상태에서 제3밸브(33)로 유압이 공급되면, 윈치 모터(23)는 시계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와이어(15)는 풀리게 됨으로써 과권이 해소 될 수 있는 것이다.
제4밸브(34), 즉, 스윙 모터(24)에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크레인(10)에 과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제4밸브(34)의 움직임, 즉, 스윙 모터(24)를 작동하게 되면, 그 어느 방향도 크레인(10)에 과하중을 해소할 수 없다.
따라서, 제4밸브(34)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를 생략함으로써, 과하중이 작용하여 덤프 밸브(37)가 오프(OFF)되면, 제4밸브(34)가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의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덤프 밸브(37)의 상태는 변화되지 않는 것이다.
즉, 과부하 신호에 기초하여 덤프 밸브(37)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밸브(31, 32, 33)가 과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가 온(ON)됨으로써, 덤프 밸브(37) 또한 다시 온(ON) 되고, 크레인(10)은 재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의 경우, 과부하 발생 시 즉시 크레인(10)의 작동을 멈추는 방식과, 제1 내지 제4밸브(31, 32, 33, 34)에 제1 내지 제4리미트스위치(410, 420, 430, 440)가 아닌 제1 내지 제3작동스위치(41, 42, 43)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의 리미트 스위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크레인(10)의 전복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밸브(34), 즉, 스윙 모터(24)를 이용하여 크레인(10)에 작용된 과부하를 해소할 수 없으므로, 제4밸브(34)의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으로의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오프(OFF)된 덤프 밸브(37)를 다시 온(ON)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4밸브(34)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의 간소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크레인 11: 지지부
12: 붐 13: 베이스
14: 인양기 15: 와이어
16: 과권 감지 센서
20: 피스톤 21: 데릭 실린더
22: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23: 윈치 모터
24: 스윙 모터
31: 제1밸브 32: 제2밸브
33: 제3밸브 34: 제4밸브
35: 펌프 36: 탱크
37: 덤프 밸브 38: 릴리프 밸브
41: 제1작동스위치 41: 제2작동스위치
43: 제3작동스위치

Claims (4)

  1.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데릭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1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제1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 되는 제1작동스위치;를 포함하고,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과부하 신호에 의해 상기 덤프 밸브가 오프(OFF) 되면 상기 제1밸브가 제2방향으로 조작될 경우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모멘트 값이 작아지는 상기 제1밸브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작동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됨으로써 과부하를 해소하는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2.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밸브;
    상기 제2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2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제1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되는 제2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과부하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과부하 신호에 의해 상기 덤프 밸브가 오프(OFF) 되면 상기 제2밸브가 제2방향으로 조작될 경우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모멘트 값이 작아지는 상기 제2밸브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작동스위치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됨으로써 과부하를 해소하는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3. 지지부에 연결되는 붐;
    다단의 상기 붐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윙 모터;
    상기 붐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 실린더;
    상기 붐에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윈치 모터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인양기;
    펌프에서 탱크로 유동하는 유압을 상기 윈치 모터로 공급하는 제3밸브;
    상기 제3밸브와 상기 탱크 사이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덤프 밸브; 및
    상기 제3밸브가 모멘트가 작아지는 방향(제2방향)으로 작동되면 온(ON) 되는 제3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과권 신호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되고,
    과권 신호에 의해 상기 덤프 밸브가 오프 되면 상기 제3밸브가 제1방향으로 조작될 경우 상기 덤프 밸브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모멘트 값이 작아지는 상기 제3밸브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3작동스위치가 온(ON) 되면 상기 덤프 밸브가 다시 온(ON) 됨으로써 과권을 해소하는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4. 삭제
KR1020180069157A 2018-06-15 2018-06-15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KR10204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57A KR102049810B1 (ko) 2018-06-15 2018-06-15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57A KR102049810B1 (ko) 2018-06-15 2018-06-15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810B1 true KR102049810B1 (ko) 2019-11-28

Family

ID=6873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57A KR102049810B1 (ko) 2018-06-15 2018-06-15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18B1 (ko) 2016-03-11 2017-12-18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18B1 (ko) 2016-03-11 2017-12-18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8541B2 (en) Safety device against overturning of crane
US3265220A (en) Safety control for extensible boom cranes
KR101809618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JP2798355B2 (ja) 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GB2078197A (en) Load limiting device
KR102049810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JP2001139280A (ja) 建設機械の過負荷防止装置
JP4939701B2 (ja) ブーム式クレーンを用いた荷物の地切り方法、および、装置
JP2008105817A (ja) 車載式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
JPH09216786A (ja) 油圧クレーンのブーム伸縮停止保持装置
CN108883914B (zh) 起重机
KR200296778Y1 (ko)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JP2019156579A (ja) 積載形トラッククレーン
KR100416395B1 (ko)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KR100891627B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JP7342548B2 (ja) 積載形トラッククレーン
KR100736719B1 (ko)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JP5384813B2 (ja) 作業機の安全装置
JP7151908B2 (ja) 過負荷防止装置
JP3724980B2 (ja) リーダ式杭打機
JP3258471B2 (ja) クレーンまたはタワー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JP340146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安全装置
KR970010746B1 (ko) 직진식 유압크레인의 과부하 방지장치
JP2555425Y2 (ja) 自走式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装置
JP3336364B2 (ja) ブーム式作業車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