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19B1 -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Google Patents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6719B1 KR100736719B1 KR1020050032991A KR20050032991A KR100736719B1 KR 100736719 B1 KR100736719 B1 KR 100736719B1 KR 1020050032991 A KR1020050032991 A KR 1020050032991A KR 20050032991 A KR20050032991 A KR 20050032991A KR 100736719 B1 KR100736719 B1 KR 100736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piston
- crane
- differential pressure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0—Devices for indicating or limiting lifting mo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릭실린더로 유입 및 유출되는 유압의 차를 감지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여 데릭실린더 상부의 허압을 제거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서는,
다단의 부움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각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회로 및 전기회로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유압회로에서 유압펌프와 메인콘트롤밸브의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시 유압펌프에서 메인콘트롤밸브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오일탱크로 변경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유압회로에서 상단면적과 하단면적이 다른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는 제1수용실과 상기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데릭실린더 상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상단포트와, 데릭실린더 하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하단포트와, 상기 피스톤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 양단의 압력차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스위치부가 온 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차압스위치와; 상기 전기회로에서 상기 차압스위치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직렬로 연결되어 크레인의 구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재구동 시키기 위하여 오프(OFF)시 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리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압스위치, 과부하 방지 시스템, 크레인, 데릭실린더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크레인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의 유압회로의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압스위치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방지 시스템 전기회로의 개략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하우징 11 : 제1수용실
13 : 제2수용실 20 : 차압스위치 내의 피스톤
30 : 접촉디스크 40 : 터미널
50 : 탄성스프링 60 : 하단포트
70 : 상단포트 80 : 지지대
90 : 압력조절너트 100 : 크레인
110 :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120 : 데릭실린더
130 : 윈치 210 : 압력스위치
220 : 메인콘트롤밸브 230 : 유압펌프
240 : 오일탱크 250 : 솔레노이드밸브
260 : 하부공급라인 270 : 상부공급라인
280 : 리미트스위치 290 : 리턴스위치
300 : 비상스위치 310 : 경고수단
본 발명은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릭실린더로 유입 및 유출되는 유압의 차를 감지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여 데릭실린더 상부의 허압을 제거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하물을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기계장치인 크레인은 부움(boom)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부움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직진식 및 하나 이상의 부움을 접을 수 있는 굴절식이 있다. 이러한 크레인들 중 직진식 크레인은 다단의 부움이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와 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양되는 하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하물의 인양 능력에 따라 소형으로부터 대형까지 분류되며, 해당 중량 이상의 하물을 인양할 경우 크레인에 설치된 차량이 전복됨은 물론, 부 움이 꺽이거나 데릭실린더가 파손되는 등 크레인의 손상은 물론 귀중한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하물을 인양하는 윈치 작업시 크레인에 작용하는 과부하를 감지하여 장비의 파손 및 인명 사고를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특허 제10-0412769호는 압력스위치를 사용한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크레인에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먼저, 윈치의 구동시 인양되는 하물의 하중에 의해 데릭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압을 압력스위치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감지된 데릭실린더 하부의 유압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어 과부하가 검출되면 압력스위치가 온(ON) 되어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압유는 유압펌프에서 오일탱크로 바로 귀환되어 윈치의 구동이 멈춘다. 따라서 크레인의 운전이 정지되어 크레인의 과부하에 의한 작업이 방지 되도록 하였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압력스위치로 데릭실린더의 하부의 유압만을 측정하여 데릭실린더에 부하되는 하중이 과하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데릭실린더의 하부에는 하물의 중량에 의한 압력 뿐 만 아니라 데릭실린더 상부의 유압까지 같이 작용한다. 그래서 종래의 과부하방지 시스템에서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검출되는 압력은 하물의 중량에 의한 압력 뿐 만 아니라 데릭실린더 상부의 유압까지 같이 포함되므로 실제의 하중에 의한 압력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의 과부하방지 시스템으로는 실제의 하중에 의한 과하중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 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물을 인양하는 윈치 작업시 데릭실린더의 하부의 유압과 상부의 유압의 압력차를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차가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압유를 오일탱크로 유도하여 크레인이 동작하지 않게 함으로써 과부하에 의한 크레인의 전복이나 부움 또는 데릭실린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단의 부움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각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회로 및 전기회로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유압회로에서 유압펌프와 메인콘트롤밸브의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시 유압펌프에서 메인콘트롤밸브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오일탱크로 변경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유압회로에서 상단면적과 하단면적이 다른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는 제1수용실과 상기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데릭실린더 상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상단포트와, 데릭실린더 하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하단포트와, 상기 피스톤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피스 톤 양단의 압력차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스위치부가 온 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차압스위치와; 상기 전기회로에서 상기 차압스위치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직렬로 연결되어 크레인의 구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재구동 시키기 위하여 오프(OFF)시 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리턴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에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의 일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부움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를 지지하는 데릭실린더(120), 하물을 인양하는 윈치(130)와 상기 각 실린더(110,120)와 윈치(130)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 및 전기회로를 구비한다.
유압회로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압펌프(230), 오일탱크(240), 솔레노이드밸브(250), 메인콘트롤밸브(220), 차압스위치(210)를 구비한다.
전기회로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압스위치(210), 리미트스위치(280), 리턴스위치(290), 비상스위치(300), 경고수단(310) 및 솔레노이드밸브(250)를 구비한다.
도2의 유압회로에서 하물의 인양 작업시 유압펌프(230)에서 공급되는 압유는 메인콘트롤밸브(220)에 의하여 그 흐름 방향이 제어되어서 하부공급라인(260)을 통 해 데릭실린더(120)로 공급되어 데릭실린더(120)의 피스톤을 전진시킨다. 피스톤이 전진됨에 따라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압유는 상부공급라인(270)으로 배출되어 메인콘트롤밸브(220)에 의해 그 흐름 방향이 제어되어서 오일탱크(240)로 유입된 후 다시 유압펌프(230)로 공급된다.
유압펌프(230)는 PTO(Power take off)에 의해 구동되어 메인콘트롤밸브(220)로 압유를 공급한다. 이 때 데릭실린더(120)가 신장할 경우에는 압유는 하부공급라인(260)을 통하여 데릭실린더(120)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전진시키고 상부공급라인(270)을 통하여 유출된다. 데릭실린더(120)가 수축할 경우에는 압유의 방향은 상기와 반대이다.
차압스위치(21)는 상부공급라인(270)과 하부공급라인(260)을 통하여 데릭실린더(120)로 유출ㆍ입 되는 유압의 차이를 측정하여 그 차압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온(ON) 되어 도4의 전기회로를 통전시킨다. 도3에서 차압스위치(210)는 상단면적과 하단면적이 다른 피스톤(20)과, 피스톤(2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부(35)와, 피스톤(20)이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는 제1수용실(13) 및 스위치부(35)를 수용하는 제2수용실(11)을 가지는 하우징(10)과,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작동유체가 제1수용실(13)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20)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상단포트(70)와,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작동유체가 제1수용실(13)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20)의 하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하단포트(60)와, 피스톤(20)의 상단과 하단의 압력차가 작을 경우 피스톤(20)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50)과, 하우징(10)의 외벽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너트(90)를 구비한다.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에 하물을 매달아 들어올리기 위하여 데릭실린더(120)를 신장시키는 경우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압력이 작용한다. 이때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는 하물의 무게 뿐 만 아니라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유압까지 같이 작용한다.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유압만을 측정하게 되면 실제 하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유압을 측정하여 크레인(100)에 작용하는 하중이 과하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데릭실린더(120) 하부에 작용하는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유압의 효과를 제거 하여야 한다. 즉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유압에서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유압을 뺀 차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유압은 데릭실린더(120) 내부 피스톤의 하단 면적에 작용하고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유압은 데릭실린더(120) 내부 피스톤의 상단 면적에 작용하나 데릭실린더(120) 내부의 피스톤의 상단에는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압을 받는 상기 피스톤의 상단과 하단의 면적이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유압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압스위치(210)를 사용하며, 차압스위치(210) 내부에서 유압을 받는 피스톤(20) 상하부의 면적비를 데릭실린더(120) 내부에서 유압을 받는 피스톤 상하부의 면적비와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데릭실린더(120)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공급라인(270)을 차압스위치(210)의 상부포트(70)와 연결하고, 데릭실린더(120)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공급라인(260)을 차압스위치의 하부포트(60)와 연결한다. 따라서 차압스위치(210)를 사용하여 상부공급라인(270)과 하부공급라인(260)의 압력 차를 측정할 경우 데릭실린더(120) 상부의 허압을 제거하여 실제 하물에 의한 하중의 부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치부(35)는 제2수용실(11) 내에서 접촉디스크(30)와 터미널(40) 및 접촉디스크(30)를 제1수용실(13) 내에 있는 피스톤(20)에 지지시키는 지지대(8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내의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은 실링되어 있다. 터미널(40)은 일측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기회로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하우징(10) 내부의 제2수용실(11)에 있다. 접촉디스크(30)는 제2수용실(11) 내에서 지지대(80)의 일측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80)의 타측은 제1수용실(13)에 삽입되어 피스톤(20)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어서 피스톤(20)과 접촉디스크(30)가 함께 운동하게 한다. 따라서 피스톤(20)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접촉디스크(30)와 터미널(40)은 연결 또는 분리된다. 터미널(40)과 접촉디스크(30)가 연결될 경우 도4의 전기회로는 통전된다.
탄성스프링(50)은 차압스위치(210) 내부의 피스톤(20) 상단과 하단의 압력차가 일정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접촉디스크(30)와 터미널(40)이 분리되도록 피스톤(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과하중이 부하되어 피스톤(20)의 상단과 하단의 압력차에 의한 힘이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능가하면 피스톤(20)이 전진하여 터미널(40)과 접촉디스크(30)가 연결되어 차압스위치(210)가 온 되나, 압력차가 감소하면 터미널(40)과 접촉디스크(30)가 분리되어 차압스위치(210)가 오프 된다.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은 하우징(10)의 외벽에 설치된 압력조절나사(90)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250)는 유압회로에서 유압펌프(230)와 메인콘트롤밸브(220) 사이에 위치하여 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한다. 즉, 도4의 전기회로도에서 차압스위치(210) 및 리미트스위치(280)가 오프 되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단전될 경우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메인콘트롤밸브(220)로 흐른다. 그러나 차압스위치(210) 또는 리미트스위치(280)가 온 되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는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오일탱크(240)로 흐르고 크레인(100)의 가동이 정지된다.
리미트스위치(280)는 전기회로에서 차압스위치(210)와 병렬연결 되며 데릭실린더(120)가 완전히 수축되기 직전 온(ON) 되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차압스위치(210)가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유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유압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유압이 형성될 공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데릭실린더(120)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의 단부가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단부까지 완전히 후퇴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데릭실린더(120) 내부의 피스톤 단부가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소정의 유압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남이 있는 상태까지 후퇴한 상태에서 데릭실린더(120)의 상단과 피스톤 로드 상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준을 설정한다. 리미트스위치(280)는 데릭실린더(120) 상단과 피스톤 로드 상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 거리가 설정 거리보다 좁아질 경우 리미트스위치(280)를 온 시켜 솔레노이브밸브(2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리턴스위치(290)는 전기회로에서 차압스위치(210)와 리미트스위치(280)의 병 렬회로와 솔레노이드밸브(250) 사이에 위치하여 도4의 전기회로를 통전시킨다. 즉, 리턴스위치(290)는 평상시 온(ON) 되어 있어서 차압스위치(210)나 리미트스위치(280)가 온 될 경우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공급되고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오일탱크(240)로 흐르게 되어 크레인(100)의 가동이 정지된다. 이 때 크레인(100)을 재가동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리턴스위치(290)를 오프(OFF)시키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단전되고 따라서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메인콘트롤밸브(220)를 거쳐 데릭실린더(120)로 공급되어 크레인(100)은 재가동된다.
비상스위치(3000)는 전기회로에서 차압스위치(210), 리미트스위치(280) 및 리턴스위치(290)와 병렬로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비상스위치(300)가 오프 되어 있으나, 크레인(100)을 중단시킬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비상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솔레노이브밸브(250)에 전원이 공급되고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오일탱크(240)로 흐르게 되어 크레인(100)의 운전은 정지된다. 비상스위치(300)는 갑작스런 돌발상황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크레인(100)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경고수단(310)은 전기회로에서 차압스위치(210) 또는 리미트스위치(280)가 온 되거나 비상스위치(300)가 온 되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작용하도록 전원과 솔레노이드밸브(250) 사이에 위치한다. 경고수단(310)은 데릭실린더(120)의 과도한 수축이나 데릭실린더(120)에 과도한 압력이 걸렸음을 알리는 수단으로 램프와 같은 조명수단이나, 벨 등의 음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압스위치(210)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 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에 하물을 매달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 데릭실린더(120)를 신장시켜야 한다. 데릭실린더(120)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공급되어 메인콘트롤밸브(220)를 통하여 하부공급라인(260)을 거쳐서 데릭실린더(120)의 하부로 유입된다. 압유에 의하여 데릭실린더(120) 내부의 피스톤은 전진하여 데릭실린더(120)는 신장되고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는 하물을 매단 채 상승한다. 데릭실린더(120) 내의 피스톤 상부의 압유는 상부공급라인(270)으로 유출되어 메인콘트롤밸브(220)를 거쳐서 오일탱크(240)로 유입된다. 이 때 하물의 중량이 무거워 과부하가 작용할 경우 하부공급라인(260)과 상부공급라인(270)의 압력차가 탄성스프링(50)의 설정치를 초과한다. 따라서 하부공급라인(260)과 연결되어 있는 하부포트(60)를 통하여 압유가 차압스위치(210)로 유입되어 피스톤(20)을 전진시키다. 이에 의하여 접촉디스크(30)가 터미널(40)에 연결되어 차압스위치(210)가 온 된다.
차압스위치(210)가 온 되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오일탱크(240)로 공급된다. 따라서 압유가 데릭실린더(120)에 공급되지 아니하여 크레인(100)의 작동은 정지되며, 경고수단(310)이 작동한다. 상기 경고수단(310)이 작동하면 운전자는 윈치(130) 작동스위치를 하강으로 변환시킨 후 리턴스위치(290)를 오프 시킨다. 리턴스위치(290)가 오프 되면 솔레노이드밸브(250)는 작동을 멈추게 되어 압유는 다시 유압펌프(230)에서 메인콘드롤밸브(220) 로 공급된다. 따라서 압유는 상부공급라인(270)을 통하여 데릭실린더(120) 상부에 공급되어 데릭실린더(120) 내의 피스톤을 후퇴시키며 데릭실린더(120) 하부의 압유는 메인콘트롤밸브(220)를 통하여 오일탱크(240)로 유입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프형 실린더(110)가 하강하여 하물의 양을 줄여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다시 인양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리미트스위치(280)의 작용을 설명한다. 데릭실린더(120)의 수축시 데릭실린더(120) 내의 피스톤의 단부가 데릭실린더(120)의 하부에 완전히 후퇴하기 직전, 리미트스위치(280)는 온 된다. 리미트스위치(280)가 온 되면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압유는 다시 유압펌프(230)에서 오일펌프(240)로 공급되므로 크레인(100)의 운전은 정지되고 경고수단(310)이 작동한다. 이때 운전자는 데릭실린더(120)의 작동스위치를 신장으로 변환한 후 리턴스위치(290)를 오프 시킨다. 리턴스위치(290)가 오프 되면, 다시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은 단전되어 압유는 유압펌프(230)에서 데릭실린더(120)의 하부로 공급되어 데릭실린더(120)가 다시 신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압스위치를 사용하여 데릭실린더의 상부와 하부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은 데릭실린더 상부의 허압을 제거하여 실제적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보다 정밀한 하중 범위까지 작업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 다단의 부움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 실린더와, 상기 텔레스코프형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각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회로 및 전기회로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상기 유압회로에서 유압펌프와 메인콘트롤밸브의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시 유압펌프에서 메인콘트롤밸브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오일탱크로 변경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상기 유압회로에서 상단면적과 하단면적이 다른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는 제1수용실과 상기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데릭실린더 상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상단포트와, 데릭실린더 하부의 작동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하단포트와, 상기 피스톤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 양단의 압력차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스위치부가 온 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차압스위치와;상기 전기회로에서 상기 차압스위치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직렬로 연결되어 크레인의 구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재구동 시키기 위하여 오프(OFF)시 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리턴스위치와;상기 전기회로에서 상기 차압스위치 및 리턴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온(ON) 될 경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비상스위치를 포함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그 일단이 제1 수용실로 삽입되어 피스톤의 일단에 연결되는 지지대와, 제2수용실 내에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지지되어 있는 접촉디스크와, 상기 하우징의 외벽을 통하여 제2수용실로 인입되어 상기 접촉디스크와 연결시 전기회로를 통전시키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스위치 내부 피스톤의 상단과 하단의 면적비가 상기 데릭실린더 내부 피스톤의 상단과 하단 면적비와 동일한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에서 상기 차압스위치 및 상기 비상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리턴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데릭실린더가 완전히 수축되기 직전에 온(ON) 되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스위치, 리미트스위치, 비상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온(ON) 되었을 경우 경고를 알리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991A KR100736719B1 (ko) | 2005-04-21 | 2005-04-21 |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991A KR100736719B1 (ko) | 2005-04-21 | 2005-04-21 |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0594A KR20060110594A (ko) | 2006-10-25 |
KR100736719B1 true KR100736719B1 (ko) | 2007-07-09 |
Family
ID=3761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2991A KR100736719B1 (ko) | 2005-04-21 | 2005-04-21 |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67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34912A4 (en) * | 2016-03-24 | 2019-11-27 | Tadano Ltd. | FAULT DIAGNOST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595B1 (ko) * | 2013-08-21 | 2013-11-06 | 국방과학연구소 | 배선라인을 갖는 중량물 이동 위험경고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8997A (ja) | 1981-10-30 | 1983-05-12 | 新明和工業株式会社 | クレ−ンの過負荷安全装置 |
KR20030045483A (ko) * | 2001-12-04 | 2003-06-11 | 주식회사 광림 |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
KR100412769B1 (en) | 2003-02-24 | 2004-01-07 | Soosan Heavy Ind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
-
2005
- 2005-04-21 KR KR1020050032991A patent/KR1007367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8997A (ja) | 1981-10-30 | 1983-05-12 | 新明和工業株式会社 | クレ−ンの過負荷安全装置 |
KR20030045483A (ko) * | 2001-12-04 | 2003-06-11 | 주식회사 광림 |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
KR100412769B1 (en) | 2003-02-24 | 2004-01-07 | Soosan Heavy Ind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34912A4 (en) * | 2016-03-24 | 2019-11-27 | Tadano Ltd. | FAULT DIAGNOSTIC DEVICE |
US10801531B2 (en) | 2016-03-24 | 2020-10-13 | Tadano Ltd. | Unload circu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0594A (ko) | 2006-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30563A (en) | Multi-condition responsive vehicle restraining apparatus | |
EP3789619B1 (en) | Control valve, derricking cylind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aerial work platform | |
CA2686808C (en) | Hydraulic load control valve device | |
GB2440610A (en) | Component failure protection valve with overpressure opening | |
KR100736719B1 (ko) | 차압스위치를 이용하는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
CA2419734C (en) | Thermal contraction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ylinders | |
US3396852A (en) | Derrick units | |
KR101809618B1 (ko) |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
JP2006298524A (ja) | 伸縮ブーム式クローラクレーン | |
CN108883914B (zh) | 起重机 | |
KR100416395B1 (ko) |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 |
KR10041276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 |
US4227679A (en) | Hoist with two or more hoisting units | |
JPH11263588A (ja) | 移動式クレーンおよびその支持方法 | |
JP6747238B2 (ja) | 作業機械用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動作制御装置 | |
KR102049810B1 (ko) |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 |
JPS6147799B2 (ko) | ||
JP3203457U (ja) | 作業機の油漏れ検知装置 | |
JP2014069914A (ja) | アウトリガジャッキの伸長状態監視装置 | |
JP7088418B2 (ja) | 過負荷防止装置 | |
JP7156752B1 (ja) | 油圧リバースブースター | |
CN218174596U (zh) | 一种伸缩臂叉车负载限制检测阀总成及报警系统 | |
JPH11286391A (ja) | 作業車のジャッキ支持力検出装置 | |
EP1641702A1 (en) | Hoisting mechanism | |
JP3724980B2 (ja) | リーダ式杭打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