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627B1 - 크레인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627B1
KR100891627B1 KR1020080071653A KR20080071653A KR100891627B1 KR 100891627 B1 KR100891627 B1 KR 100891627B1 KR 1020080071653 A KR1020080071653 A KR 1020080071653A KR 20080071653 A KR20080071653 A KR 20080071653A KR 100891627 B1 KR100891627 B1 KR 10089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ow
oil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환
Original Assignee
주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환 filed Critical 주정환
Priority to KR102008007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컬럼(1)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되는 박스(1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 방향으로 일방향 차단되는 체크밸브(30a)가 일체화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시퀀스밸브(4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1압력스위치(5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2압력스위치(60)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라인(L1)을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는 제1유로포트(CB)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라인(L2)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는 제2유로포트(CA)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3유로라인(L3)을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는 제3유로포트(PB)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4유로라인(L4)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는 제4유로포트(PA)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오일탱크(OT)와 연결되는 제5유로라인(L5)을 시퀀스밸브(40)와 연결하는 제5유로포트(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안전장치{a crane safe apparatus}
본 발명은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회로를 단순하게 하여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선단에 매달린 인양기구로 하중물을 들어올린 후, 위치를 이동시키는 중장비이다. 이러한 크레인은,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되게 설치되는 컬럼과, 컬럼에 메인샤프트를 힌지축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과, 메인붐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단붐과, 다단붐의 선단에서 하중물을 인양하는 인양기구와, 인양기구를 상하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권취드럼과, 메인붐을 상하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데릭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데릭실린더로 메인붐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게 되고, 권취드럼으로 하중물을 인양하게 된다.
이때, 크레인은 다단붐의 인출정도와 메인붐의 기울기에 따라 작용점에서의 모멘트값이 달라지고 그로 인해 인양할 수있는 정격하중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지 않고 운전을 하다보면 크레인이 전복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크레인에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인양하중이 과다하였을 때 데릭실린더에 인가되는 하중의 과다함을 측정하였다.
그런데, 데릭실린더에 인가되는 과다 하중을 측정하는 안전장치는 복수개의 센서 및 외부로 노출되는 여러개의 오일라인으로 구성된 복잡한 유압회로를 가지며, 이에 따라 고장이 자주 발생되었다. 이 경우, 수톤에서 수십톤 이상의 하중을 지탱하는 크레인에 심각한 위험이 도래되어, 크레인이 전복되는등의 사고가 발생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오일라인의 사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유압회로를 단순화하고, 또한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고장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과부하에 따른 크레인의 전복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장치는,
프레임(F)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프레임(R)에 고정되는 컬럼(1)과; 상기 컬럼(1)에 샤프트(h)를 힌지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2)과; 상기 컬럼(1)과 메인붐(2) 사이에 설치되어 그 메인붐(2)을 상기 샤프트(h)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데릭실린더(3)와; 상기 데릭실린더(3)로 공급되는 유압을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상기 오일에 채워져 있는 오일탱크(OT)와; 상기 오일탱크(OT)의 오일을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로 공급하는 오일펌프(OP)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어 오일을 오일탱크(OT)로 회수하는 오일회수라인(OL);을 포함하는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컬럼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유로라인(L1)이 연결되는 제1유로포트(CB)와,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 제2유로라인(L2)이 연결되는 제2유로포트(CA)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된 제3유로라인(L3)이 연결되는 제3유로포트(PB)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된 제4유로라인(L4)이 연결되는 제4유로포트(PA)와, 오일탱크(OT)와 연결된 제5유로라인(L5)이 연결되는 제5유로포트(T)가 형성된 박스(1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유로포트(CB)로 인가되는 유압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변동방지밸브(2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시퀀스밸브(4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1압력스위치(50); 및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2압력스위치(60);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는, 상기 제4유로포트(PA)에서 제2유로포트(CA) 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30a)와, 상기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 사이에서 오일이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2유로부(30b)와, 상기한 제2압력스위치(6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를 상기 제2체크밸브(30a)와 연결하던지 상기 제2유로부(30b)와 연결하는 전원솔레노이드(30C)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압력스위치(50)는, 상기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전기회로를 변환하여 접지전원을 상기 제2압력스위치(60)로 흐르게 하고; 상기 제2압력스위치(60)는, 상기 데릭실린더(3)에 과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유로포트(CB) 및 상기 시퀀스밸브(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여 상기 제1압력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접지전원을 상기 전원솔레노이드(30c)로 흐르게 하며; 상기 시퀀스밸브(40)는, 상기 제1유로포트(CB)에서 제2압력스위치(60)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거나 상기 제2압력스위치(60)에서 제5유로포트(T)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제3유로부(40b)와, 상기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3유로부(40b)의 유로를 변환하여 상기한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환하는 오일솔레노이드(40c)와, 상기 제3유로부(40b)를 흐르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3조절스프링(40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포트(CB)는,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1유로라인(L1)을 상기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며; 상기 제2유로포트(CA)는,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2유로라인(L2)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고; 상기 제3유로포트(PB)는,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상기 제3유로라인(L3)을 상기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며; 상기 제4유로포트(PA)는,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4유로라인(L4)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고; 상기 제5유로포트(T)는, 상기 오일탱크(OT)와 연결되는 제5유로라인(L5)을 상기 시퀀스밸브(40)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따르면, 컬럼에 설치되는 박스에 유압변동방지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시퀀스밸브, 제1압력스위치, 제2압력스위치를 설치하고, 박스 내부에 제1유로포트(CB), 제2유로포트(CA), 제3유로포트(PB), 제4유로포트(PA), 제5유로포트(T)를 포함함으로써, 유압회로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고장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데릭실린더에 인가되는 유압을 정확히 검지하여 데릭실린더로 오일을 적절히 유출입시킬 수 있고, 또한 권취드럼의 동작을 멈춤으로써 과도한 하중에 의한 크레인의 전복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2는 도 1에 채용되는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안전장치의 유압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주요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3에 있어서 두꺼운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의미하고, 얇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크레인은, 프레임(F)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프레임(R)에 고정되는 컬럼(1)과, 컬럼(1)에 샤프트(h)를 힌 지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2)과, 컬럼(1)과 메인붐(2) 사이에 설치되어 그 메인붐(2)을 샤프트(h)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데릭실린더(3)와, 메인붐(2)에서 신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단붐(4)과, 다단붐(4)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르레(5a)가 설치되는 헤드(5)와, 헤드(5)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하중물을 인양하는 인양기구(6)와, 컬럼(1)에 설치되어 상기 인양기구(6)와 연결된 케이블을 권취함으로써 그 인양기구(6)를 들어올리는 권취드럼(7)과, 메인붐(2)에 설치되어 붐의 신장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붐길이센서(8)를 포함한다. 이때 붐길이센서(80)는 로우프(8a)가 권회된 구조를 가지는데, 로우프(8a)의 단부가 헤드(5)에 고정됨으로써 다단붐(4)이 메인붐(2)으로부터 신장될 때 붐길이센서(8)로부터 인출되는 로우프(8a)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단붐의 신장길이가 산출된다.
또한 크레인은, 데릭실린더(3)로 공급되는 유압을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오일에 채워져 있는 오일탱크(OT)와, 오일탱크(OT)의 오일을 매뉴얼콘트롤밸브(MCV)로 공급하는 오일펌프(OP) 및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어 오일을 오일탱크(OT)로 회수하는 오일회수라인(OL);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양기구(6)에 과부하가 인가될 때 이를 검지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안전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안전장치(100)는, 컬럼(1)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되는 박스(1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 방향으로 일방향 차단되는 체크밸브(30a)가 일체화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시퀀스밸브(4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1압력스위치(50)와;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2압력스위치(60)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라인(L1)을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는 제1유로포트(CB)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라인(L2)을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는 제2유로포트(CA)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3유로라인(L3)을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는 제3유로포트(PB)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유로라인(L4)을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는 제4유로포트(PA)와; 박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오일탱크(OT)와 연결되는 제5유로라인(L5)을 시퀀스밸브(40)와 연결하는 제5유로포트(T);를 포함한다.
박스(10)는 컬럼(1)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되는데, 박스(10)를 컬럼(1)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스(10)를 컬럼(1) 또는 데릭실린더(3)에 용접에 의하여 설치되던지, 박스(10)의 일부분을 볼트가 관통한 후 컬럼(1) 또는 데릭실린저(3)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장치(100)의 박스(10)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유압변동방지밸브(20)는, 제1유로포트(CB)에서 제3유로포트(PB) 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크밸브(20a)와, 제1유로포트(CB)에서 유입되는 오일이 제3유로포트(PB)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1유로부(20b)와, 제1유로부(20b)로 흐르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1조절스프링(20c)을 포함한다. 제1조절스프링(20c)은 조작에 의하여 제1유로부(20b)를 흐르 는 오일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격한 오일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어 급격한 유압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변동방지밸브(20)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솔레노이드밸브(30)는, 제4유로포트(PA)에서 제2유로포트(CA) 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30a)와,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 사이에서 오일이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2유로부(30b)와, 상기한 제2압력스위치(6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어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를 제2체크밸브(30a)와 연결하던지 제2유로부(30b)와 연결하는 전원솔레노이드(30C)를 포함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30)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퀀스밸브(40)는, 제1유로포트(CB)에서 제2압력스위치(60)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거나 제2압력스위치(60)에서 제5유로포트(T)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제3유로부(40b)와,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3유로부(40b)의 유로를 변환하여 상기한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환하는 오일솔레노이드(40c)와, 제3유로부(40b)를 흐르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3조절스프링(40a)을 포함한다. 이때 제3조절스프링(40a)은 조작에 의하여 제3유로부(40b)를 흐르는 오일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격한 오일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어 급격한 유압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밸브(40)에 관련된 기술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압력스위치(50)는,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한다. 즉, 제1압력스위치(50)는, 데릭실린더(3)에 인가되는 하중이 기준값 이하일 때 작동되어, 접지된 제1단자와 후술할 제2압력스위치(60)의 제1단자와 연결된 제2단자를 연결한다.
제2압력스위치(60)는, 데릭실린더(3)에 과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어 전기회로를 변환한다. 즉, 데릭실린더(3)에 과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대응되는 유압은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시퀀스밸브(40)의 오일솔레노이드(40b)로 인가되고, 오일솔레노이드(40b)는 제3유로부(40a)의 유로를 변환하여 제1유로포트(CB)와 제2압력스위치(60)의 유로를 연결하며, 이에 따라 제2압력스위치(60)에는 데릭실린더(3)의 과부하에 대응되는 유압이 인가되어 전기회로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안전장치는, 유압변동방지밸브(20), 솔레노이드밸브(30), 시퀀스밸브(40), 제1압력스위치(50), 제2압력스위치(60)가 박스(10)에 설치되고, 박스(10) 내부에 제1유로포트(CB), 제2유로포트(CA)와, 제3유로포트(PB), 제4유로포트(PA) 및 제5유로포트(T)가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압회로가 매우 심플하게 구현됨과 동시에 종래의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사용되었던 많은 오일라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장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크레인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크레인이 정격하중을 인양하고자 메인붐(2)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 조작자가 매뉴얼콘트롤밸브(MCV)를 조작한다. 그러면 오일탱크(OT)의 오일은 오일펌프(OP) -> 매뉴얼콘트롤밸브(MCV) -> 제3유로라인(L3) -> 유압변동방지밸브(20)의 제1체크밸브(20a) -> 데릭실린더(3)로 유입되고, 데릭실린더(3)는 그 내부의 피스톤을 올려서 메인붐(2)을 상승시킨다.
크레인이 메인붐(2)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 조작자가 매뉴얼콘트롤밸브(MCV)를 조작한다. 그러면 데릭실린더(3)의 오일은 유압변동방지밸브(20)의 제1유로부(20b) -> 제3유로라인(L3) -> 매뉴얼콘트롤밸브(MCV) -> 오일회수라인(OL)을 통하여 오일탱크(OT)로 회수된다.
한편, 크레인에 과도한 하중이 인가될 경우, 데릭실린더(3)의 유압이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시퀀스밸브(40)의 오일솔레노이드(40c)로 인가되고, 오일솔레노이드(40c)는 제3유로부(40a)의 유로를 변환한다. 그러면 제1유로포트(CB)를 경유하는 오일은 제3유로부(40a)를 통하여 하여 제2압력스위치(60)로 흐르게 되고, 이에 유압이 제2압력스위치(60)에 인가되어 제2압력스위치(60)의 제1,3단자 연결회로에서 제1,2단자 연결회로로 변환된다. 한편 제1유로포트(CB)의 유압은 제1압력스위치(50)로 인가되어 제1,3단자 연결회로에서 제1,2단자 연결회로로 변환된다. 그러면, 접지전원은 제1압력스위치(50)의 제1,2단자를 통하여 제2압력스위치(60)의 제1,2단자로 흐르게 되고, 제2압력스위치(60)의 제2단자로 흐르는 전원은 솔레노이드밸브(30)의 전원솔레노이드(30c)로 인가되어 제2유로부(30b)를 변환하여 제2유로포트(CA)를 데릭실린더(3) 방향으로 일방향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30a)와 연결한다. 그러면 데릭실린더(3)의 제2라인(L2)은 차단되어 제1유로라인(L1)으로 오일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결국 데릭실린더(3)의 작동은 멈추게 되어 과도한 하중을 인양할 수 없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제1,2압력스위치(50)(60)과 권취드럼(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에, 과부하가 인가될 때 데릭실린더(3) 뿐만 아니라 권취드럼(70)의 작동 역시 멈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채용되는 안전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안전장치의 유압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주요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컬럼 2 ... 메인붐
3 ... 데릭실린더 4 ... 다단붐
5 ... 헤드 6 ... 인양기구
7 ... 권취드럼 8 ... 붐길이센서
MCV ... 매뉴얼콘트롤밸브 OT ... 오일탱크
OP ... 오일펌프 OL ... 오일회수라인
10 ... 박스 20 ... 유압변동방지밸브
20a ... 제1체크밸브 20b ... 제1전원부
20c ... 제1조절스프링 30 ... 솔레노이드밸브
30a ... 제2체크밸브 30b ... 유로부
30c ... 전원솔레노이드 40 ... 시퀀스밸브
40a ... 제3조절스프링 40b ... 제3유로부
40c ... 오일솔레노이드 50 ... 제1압력스위치
60 ... 제2압력스위치 L1 ... 제1유로라인
L2 ... 제2유로라인 L3 ... 제3유로라인
L4 ... 제4유로라인 CB ... 제1유로포트
CA ... 제2유로포트 PB ... 제3유로포트
PA ... 제4유로포트 T ... 제5유로포트

Claims (6)

  1. 프레임(F)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동프레임(R)에 고정되는 컬럼(1)과; 상기 컬럼(1)에 샤프트(h)를 힌지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2)과; 상기 컬럼(1)과 메인붐(2) 사이에 설치되어 그 메인붐(2)을 상기 샤프트(h)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데릭실린더(3)와; 상기 데릭실린더(3)로 공급되는 유압을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상기 오일에 채워져 있는 오일탱크(OT)와; 상기 오일탱크(OT)의 오일을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로 공급하는 오일펌프(OP)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어 오일을 오일탱크(OT)로 회수하는 오일회수라인(OL);을 포함하는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컬럼 또는 데릭실린더(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유로라인(L1)이 연결되는 제1유로포트(CB)와,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 제2유로라인(L2)이 연결되는 제2유로포트(CA)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된 제3유로라인(L3)이 연결되는 제3유로포트(PB)와,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된 제4유로라인(L4)이 연결되는 제4유로포트(PA)와, 오일탱크(OT)와 연결된 제5유로라인(L5)이 연결되는 제5유로포트(T)가 형성된 박스(1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유로포트(CB)로 인가되는 유압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변동방지밸브(2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시퀀스밸브(40);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1압력스위치(50); 및
    상기 박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는 제2압력스위치(60);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는, 상기 제4유로포트(PA)에서 제2유로포트(CA) 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30a)와, 상기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 사이에서 오일이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2유로부(30b)와, 상기한 제2압력스위치(6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제2유로포트(CA)와 제4유로포트(PA)를 상기 제2체크밸브(30a)와 연결하던지 상기 제2유로부(30b)와 연결하는 전원솔레노이드(30C)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압력스위치(50)는, 상기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전기회로를 변환하여 접지전원을 상기 제2압력스위치(60)로 흐르게 하고;
    상기 제2압력스위치(60)는, 상기 데릭실린더(3)에 과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유로포트(CB) 및 상기 시퀀스밸브(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전기회로를 변환하여 상기 제1압력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접지전원을 상기 전원솔레노이드(30c)로 흐르게 하며;
    상기 시퀀스밸브(40)는, 상기 제1유로포트(CB)에서 제2압력스위치(60)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거나 상기 제2압력스위치(60)에서 제5유로포트(T) 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제3유로부(40b)와, 상기 제1유로포트(CB)를 통하여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3유로부(40b)의 유로를 변환하여 상기한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환하는 오일솔레노이드(40c)와, 상기 제3유로부(40b)를 흐르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3조절스프링(40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포트(CB)는,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1유로라인(L1)을 상기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며;
    상기 제2유로포트(CA)는, 상기 데릭실린더(3)의 입출력단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2유로라인(L2)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고;
    상기 제3유로포트(PB)는,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상기 제3유로라인(L3)을 상기 유압변동방지밸브(20)와 연결하며;
    상기 제4유로포트(PA)는, 상기 매뉴얼콘트롤밸브(MCV)와 연결되는 제4유로라인(L4)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와 연결하고;
    상기 제5유로포트(T)는, 상기 오일탱크(OT)와 연결되는 제5유로라인(L5)을 상기 시퀀스밸브(40)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변동방지밸브(20)는,
    상기 제1유로포트(CB)에서 제3유로포트(PB) 방향으로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크밸브(20a)와, 상기 제1유로포트(CB)에서 유입되는 오일이 상기 제3유로포트(PB)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1유로부(20b)와, 상기 제1유로부(20b)로 흐르는 오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1조절스프링(2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안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71653A 2008-07-23 2008-07-23 크레인의 안전장치 KR10089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53A KR100891627B1 (ko) 2008-07-23 2008-07-23 크레인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53A KR100891627B1 (ko) 2008-07-23 2008-07-23 크레인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627B1 true KR100891627B1 (ko) 2009-04-02

Family

ID=4075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53A KR100891627B1 (ko) 2008-07-23 2008-07-23 크레인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1129A (zh) * 2013-11-26 2015-06-03 株式会社多田野 起重机的吊臂伸缩装置
CN105984811A (zh) * 2015-02-03 2016-10-05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防起重机超载抖动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746B1 (ko) * 1994-11-09 1997-06-30 광림기계 주식회사 직진식 유압크레인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0412769B1 (en) 2003-02-24 2004-01-07 Soosan Heavy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JP2004028264A (ja) * 2002-06-27 2004-01-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746B1 (ko) * 1994-11-09 1997-06-30 광림기계 주식회사 직진식 유압크레인의 과부하 방지장치
JP2004028264A (ja) * 2002-06-27 2004-01-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KR100412769B1 (en) 2003-02-24 2004-01-07 Soosan Heavy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1129A (zh) * 2013-11-26 2015-06-03 株式会社多田野 起重机的吊臂伸缩装置
CN105984811A (zh) * 2015-02-03 2016-10-05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防起重机超载抖动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2288B (zh) 履带起重机桅杆起落同步控制系统
JP7433100B2 (ja)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0891627B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US11192762B2 (en) Crane with overload safety device
KR101809618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KR20110057855A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US3315820A (en) Crane with winch releasing means
US3612294A (en) Load control apparatus for cranes
US10787345B2 (en) Crane
JPH09216786A (ja) 油圧クレーンのブーム伸縮停止保持装置
KR100416395B1 (ko)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US20060124571A1 (en) Hoisting mechanism
JPH03284598A (ja) クレーンにおける吊荷の鉛直地切り制御装置
KR102049810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KR200296778Y1 (ko)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JPH03267298A (ja)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操作装置
JP2021014345A (ja) 移動式クレーン
JP3262422B2 (ja) クレーン
JP2023146314A (ja) クレーンの制御システム
JP7342548B2 (ja) 積載形トラッククレーン
CN112814058B (zh) 矿用挖掘机及其绷绳拉力检测装置和起重臂保护方法
JPH11263589A (ja) ラフィングジブ付きクレーン
KR100576351B1 (ko) 크레인 아웃트리거의 유압 평형 시스템
JP5384813B2 (ja) 作業機の安全装置
JP2809308B2 (ja) 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ジブ起伏速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