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78Y1 -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78Y1
KR200296778Y1 KR2020020026700U KR20020026700U KR200296778Y1 KR 200296778 Y1 KR200296778 Y1 KR 200296778Y1 KR 2020020026700 U KR2020020026700 U KR 2020020026700U KR 20020026700 U KR20020026700 U KR 20020026700U KR 200296778 Y1 KR200296778 Y1 KR 200296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verload
cylinder
tank
bran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현식
Original Assignee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6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78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크레인의 유압엑츄에이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하중 인양용 와이어가 윈치에 과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 중 어느 하나에 과부하가 걸리면 그 상승측 유압라인(3,6,8)의 과부하 압력에 의해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가 과부하 감지신호를 송출하거나 윈치모터(10)의 과권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9)가 과권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과부하 감지신호나 과권 감지신호는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의 솔레노이드부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를 개방위치로 절환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분기라인(12,13,14)을 개방시켜 과부하가 걸리는 엑츄에이터의 상승측 유압라인(3,6,8)을 개방된 분기라인(12,13,14)을 통하여 탱크(T)에 연통시킴으로써 과부하 엑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를 곧바로 탱크(T)로 배출함으로써 해당 엑츄에이터의 과부하를 해소시키게 된다. 이로써 해당 엑츄에이터는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과부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hydraulic crane}
본 고안은 유압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양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나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작업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거운 중량체를 들어 옮겨 이동시키는 작업장비로서 유압크레인은 산업 여러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유압크레인은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인양작업도중에 와이어가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뿐만아니라 인양와이어를 매달인 하중체의 하중이 지나치게 무거우면 이 와이어가 지지된 붐을 받쳐주는 붐실린더에도 과대한 부하가 걸려서 장비가 전복되거나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통상 유압크레인은 상기 와이어를 권치하는 윈치(winch)나 유압장치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경우 작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크레인 안전장치는 모두 복잡한 전기.전자 제어방식을 채택하여 원가가 비쌀 뿐아니라 고장이 빈발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붐실린더 하부에 로드셀을 장착하여 그 로드셀에서 감지된 하중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콘트롤러가 유압장치를 작동중지시키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 경우 물리적인 변형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고가이면서 복잡한 장치가 필수적이므로 그만큼 장비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크레인 안전장치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하기가 간편하며 고장발생이 적어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아니라 와이어가 파단되거나 유압실린더가 파손되어 일어나는 사고를 미연에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신축작동하면서 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의 압유를 받아서 붐을 신축시키는 붐신축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의 압유를 받아서 윈치모터가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어서 선단에 연결된 후크를 승강시키는 윈치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데릭실린더, 붐신축실린더, 윈치모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데릭실린더, 붐신축실린더, 윈치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콘트롤밸브를 포함하는 유압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윈치에 와이어가 일정 이상 권취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과권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과권감지수단과, 상기 데릭실린더의 상승측 유압라인과 상기 붐신축실린더의 상승측 유압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상승측 압유가 일정한 압력이상인 경우에 과부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과부하감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데릭실린더의 상승측 유압라인은 제1분기라인을 통하여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붐신축실린더의 상승측 유압라인은 제2분기라인을 통하여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윈치모터의 상승측 유압라인은 제3분기라인을 통하여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라인, 제2분기라인 및 제3분기라인의 각 분기라인상에는 항상 압유가 탱크쪽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각각의 체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최하류측 분기라인에는 상기 과권감지수단의 과권감지신호와 상기 과부하감지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그 유로를 개방하여 압유를 탱크로 드레인시키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가 구비된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분기라인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들과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는 하나의 블록안에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유압크레인 안전장치는 몇개의 체크밸브와 1개의 솔레노이드밸브만으로 구성되므로 장치의 설치는 물론 보수유지가 간편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할 뿐아니라 1개의 별도 블록에 모두 설치가능하여 기존 유압크레인에 적용하기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펌프 2,5,9: 하강측 유압라인
3,6,8: 상승측 유압라인 4: 데릭실린더
7: 붐신축실린더 10: 윈치모터
11: 콘트롤밸브 12: 제1분기라인
13: 제2분기라인 14: 제3분기라인
15,16,17: 체크밸브 18: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19: 리미트스위치 20: 압력센서
T: 탱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크레인 안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1)와, 유압펌프(1)의 압유를 상승측 또는 하강측 유압라인(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받아서 신축작동하면서 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릭실린더(4)와, 상기 유압펌프(1)의 압유를 상승측 또는 하강측 유압라인(6,5)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받아서 신축작동하면서 붐을 신축시키는 붐신축실린더(7)와, 유압펌프(1)의 압유를 상승측 또는 하강측 유압라인(8,9)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윈치모터(1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어서 선단에 연결된 후크를 승강시키는 윈치와, 상기 유압펌프(1)에서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콘트롤밸브(11)와, 상기 윈치에 와이어가 일정 이상 권취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과권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스위치(19)와 상기 데릭실린더(4)의 상승측 유압라인(3)과 상기 붐신축실린더(7)의 상승측 유압라인(6)에 각각 연결되어 상승측 압유가 일정한 압력이상인 경우에 과부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를 포함한다.
상기 데릭실린더(4)의 상승측 유압라인(3)은 제1분기라인(12)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붐신축실린더(7)의 상승측 유압라인(6)은 제2분기라인(13)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윈치모터(10)의 상승측 유압라인(8)은 제3분기라인(14)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라인(12), 제2분기라인(13) 및 제3분기라인(14)에는 각각 체크밸브(15,16,17)가 연결되어 항상 압유가 탱크(T)쪽으로만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5,16,17)들의 최하류측 분기라인에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가 연결되고, 이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9)의 과권감지신호 또는 상기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에 의해 그 유로를 개방하여 압유를 탱크로 드레인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분기라인(12,13,14)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5,16,17)들과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는 별도의 블록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 중 어느 하나의 엑츄에이터에 과부하가 걸리면 그 엑츄에이터에 상승측 유압라인(12,13)의 과부하 압력에 의해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가 과부하 감지신호를 송출하거나윈치모터(10)의 과권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9)가 과권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과부하 감지신호나 과권 감지신호는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의 솔레노이드부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를 개방위치로 절환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분기라인(12,13,14)을 개방시켜 과부하가 걸리는 엑츄에이터의 상승측 유압라인(3,6,8)을 개방된 분기라인(12,13,14)을 통하여 탱크(T)에 연통시킴으로써 과부하 엑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를 곧바로 탱크(T)로 배출함으로써 해당 엑츄에이터의 과부하를 해소시키게 된다. 이로써 해당 엑츄에이터는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과부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유압크레인 안전장치는 3개의 체크밸브와 1개의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만으로 크레인에 과부하가 작용되거나 윈치가 과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할 뿐아니라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구성부품을 모두 1개의 별도 블록안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 할 뿐아니라 기존의 크레인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유압펌프(1)와, 상기 유압펌프(1)의 압유에 의해 신축작동하면서 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릭실린더(4)와, 상기 유압펌프(1)의 압유를 공급받아서 붐을 신축시키는 붐신축실린더(7)와, 상기 유압펌프(1)의 압유를 공급받아서 윈치모터(1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아들이거나 풀어서 선단에 연결된 후크를 승강시키는 윈치와, 상기 유압펌프(1)에서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데릭실린더(4), 붐신축실린더(7), 윈치모터(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콘트롤밸브(11)를 포함하는 유압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윈치에 와이어가 일정 이상 권취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과권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스위치(19)과, 상기 데릭실린더(4)의 상승측 유압라인(3)과 상기 붐신축실린더(7)의 상승측 유압라인(8)에 각각 연결되어 상승측 압유가 일정한 압력이상인 경우에 과부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를 포함하고, 상기 데릭실린더(4)의 상승측 유압라인(3)은 제1분기라인(12)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붐신축실린더(7)의 상승측 유압라인(8)은 제2분기라인(13)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윈치모터(10)의 상승측 유압라인(8)은 제3분기라인(14)을 통하여 탱크(T)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라인(12), 제2분기라인(13) 및 제3분기라인(14)상에는 항상 압유가 탱크쪽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각각의 체크밸브(15,16,17)가 구비되며, 상기 체크밸브(15,16,17)의 최하류측 분기라인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9)의 과권감지신호와 상기 과부하감지 압력센서(20)의 감지신호에 의해 그 유로를 개방하여 압유를 탱크(T)로 드레인시키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5,16,17)들과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11)는 1개의 별도의 밸브블록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KR2020020026700U 2002-09-06 2002-09-06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KR200296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700U KR200296778Y1 (ko) 2002-09-06 2002-09-06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700U KR200296778Y1 (ko) 2002-09-06 2002-09-06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78Y1 true KR200296778Y1 (ko) 2002-12-02

Family

ID=7312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700U KR200296778Y1 (ko) 2002-09-06 2002-09-06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7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50B1 (ko) * 2010-04-30 2010-12-14 주식회사 광림 유압 크레인의 로드 홀딩 밸브장치
KR101383895B1 (ko) 2008-11-28 2014-04-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복수 개의 액추에이터들을 구동하는 유압 시스템
KR101809618B1 (ko) * 2016-03-11 2017-12-18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KR102073955B1 (ko) * 2019-07-08 2020-03-1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선박 크레인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210144091A (ko) * 2020-05-21 2021-11-30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895B1 (ko) 2008-11-28 2014-04-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복수 개의 액추에이터들을 구동하는 유압 시스템
KR101001350B1 (ko) * 2010-04-30 2010-12-14 주식회사 광림 유압 크레인의 로드 홀딩 밸브장치
KR101809618B1 (ko) * 2016-03-11 2017-12-18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KR102073955B1 (ko) * 2019-07-08 2020-03-1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선박 크레인의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210144091A (ko) * 2020-05-21 2021-11-30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KR102372010B1 (ko) * 2020-05-21 2022-03-08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912B2 (en) Vehicle crane
JP5543741B2 (ja) 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
KR200296778Y1 (ko) 유압크레인의 안전장치
KR0182823B1 (ko) 이동식크레인의 윈치 과다감김시의 와이어로프 난권방지장치
GB2078197A (en) Load limiting device
KR101809618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JPH09216786A (ja) 油圧クレーンのブーム伸縮停止保持装置
KR19980018952A (ko) 크레인의 과도 감기 방지장치 (prevention system for overhoist of crane)
JPH03284598A (ja) クレーンにおける吊荷の鉛直地切り制御装置
KR102049810B1 (ko) 과부하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크레인
CN116425067A (zh) 一种揽风机构及其液压控制系统
JP3652435B2 (ja) ウインチの過巻き防止装置
KR1004127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crane
KR100891627B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JP2801835B2 (ja) バランスアーム機能を持つタワークレーン
KR101921196B1 (ko) 크레인 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84813B2 (ja) 作業機の安全装置
JPH1017277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安全装置
KR101190054B1 (ko) 출력 조절형 카고 크레인 및 그의 출력 조절 방법
JP4302360B2 (ja) クレーンの警報装置
KR20160150556A (ko) 크레인 장치
JP7342548B2 (ja) 積載形トラッククレーン
WO2016092719A1 (ja) クレーンの操作装置
JPH09151081A (ja) タワークレーン
JP6131065B2 (ja) クレーン作業機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