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063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063B1
KR102046063B1 KR1020177026235A KR20177026235A KR102046063B1 KR 102046063 B1 KR102046063 B1 KR 102046063B1 KR 1020177026235 A KR1020177026235 A KR 1020177026235A KR 20177026235 A KR20177026235 A KR 20177026235A KR 102046063 B1 KR102046063 B1 KR 10204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loor
call
destination floor
respons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695A (ko
Inventor
미츠토시 이이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에서 발생한 음성의 입력을 받는 음성 입력부(1a)와,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1b)와,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층상에 기초하여 행선지층을 판정하는 행선지층 판정부(1c)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상기 행선지층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와, 상기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1e)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당해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음성 인식을 무효로 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음에 의한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13-52957호 공보
그렇지만, 당해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있어서 음성 인식에 의한 호출을 등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에서 발생한 음성의 입력을 받는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층상에 기초하여 행선지층을 판정하는 행선지층 판정부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상기 행선지층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와, 상기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를 구비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과 제어장치와 그룹 관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승강로는 건축물의 각 층상을 관통한다.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의 내부에 마련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의 내부를 연직 방향으로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과 복수의 알림장치(2)와 복수의 제어장치(3)와 그룹 관리장치(4)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하나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과 하나의 알림장치(2)와 하나의 제어장치(3)가 도시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다. 각 알림장치(2)는 각 승강장에 마련된다. 각 제어장치(3)는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해서 마련된다. 그룹 관리장치(4)는 각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에 접속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은 음성 입력부(1a)와 음성 인식부(1b)와 행선지층 판정부(1c)와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와 호출 등록부(1e)와 응답시간 추정부(1f)와 알림부(1g)를 구비한다.
음성 입력부(1a)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에서 발생한 음성의 입력을 받는다. 음성 인식부(1b)는 음성 입력부(1a)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인식부(1b)는 음성 입력부(1a)에 입력된 음성의 정보와 미리 기억된 층상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한다.
행선지층 판정부(1c)는 음성 인식부(1b)에 의해 인식된 층상에 기초하여 행선지층을 판정한다.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는 제어장치(3)로부터 취득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 등록부(1e)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한다. 이때, 제어장치(3)는 호출 등록부(1e)에 의해 등록된 호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킨다.
응답시간 추정부(1f)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상태가 변화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1 응답시간을 추정한다. 이때, 호출 등록부(1e)는 응답시간 추정부(1f)에 의해 추정된 제1 응답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한다. 알림부(1g)와 알림장치(2)는 응답시간 추정부(1f)에 의해 추정된 제1 응답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호출에 따른 정보를 알린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과 제어장치(3)와 그룹 관리장치(4)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과 제어장치와 그룹 관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은 제1 처리회로(5a)를 구비한다. 제1 처리회로(5a)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6a)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7a)를 구비한다. 음성 인식부(1b)와 행선지층 판정부(1c)와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와 호출 등록부(1e)와 응답시간 추정부(1f)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6a)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7a)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장치(3)는 제2 처리회로(5b)를 구비한다. 제2 처리회로(5b)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6b)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모리(7b)를 구비한다. 제어장치(3)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6b)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모리(7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룹 관리장치(4)는 제3 처리회로(5c)를 구비한다. 제3 처리회로(5c)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6c)와 적어도 하나의 제3 메모리(7c)를 구비한다. 그룹 관리장치(4)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3 프로세서(6c)가 적어도 하나의 제3 메모리(7c)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음성 입력부(1a)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음성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서 음성 입력부(1a)가 음성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이 반복된다. 스텝 S1에서 음성 입력부(1a)가 음성을 접수했을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에서는, 음성 인식부(1b)는 음성 입력부(1a)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음성 인식부(1b)가 층상을 인식하지 않은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2에서 음성 인식부(1b)가 층상을 인식했을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에서는, 행선지층 판정부(1c)는 음성 인식부(1b)에 의해 인식된 층상이 행선지층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서 음성 인식부(1b)에 의해 인식된 층상이 행선지층이 아닌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3에서 음성 인식부(1b)에 의해 인식된 층상이 행선지층인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에서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는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1d)는 제어장치(3)로부터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당해 행선지층이 통과 전의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에서는, 호출 등록부(1e)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스텝 S6에서는, 호출 등록부(1e)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칸은, 반전(反轉)되어 주행을 개시한다. 이때, 행선지층은 통과층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음성 입력이 늦은 경우에도, 음성 입력된 행선지층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을 도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음성 입력이 늦은 이용자를 원하는 층상으로 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2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스텝 S6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3에서는, 스텝 S6 후, 스텝 S7로 진행된다.
스텝 S7에서는, 그룹 관리장치(4)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의 신규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에 당해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의 신규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에 당해 신규 승강장 호출이 할당된다. 이 때문에, 신규 승강장 호출의 발생에 의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되돌아가서 행선지층에 응답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성 입력이 늦은 이용자를 원활하게 원하는 층상으로 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3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스텝 S7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스텝 S7 후, 스텝 S8로 진행된다.
스텝 S8에 있어서는, 알림장치(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 중 최종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당해 최종 호출에 대응한 층상에 있어서 알린다. 예를 들면, 알림장치(2)가 홀 랜턴(hall lantern)인 경우, 알림장치(2)는 방향등의 표시를 반전시킨다. 예를 들면, 알림장치(2)가 스피커인 경우, 알림장치(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알림장치(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최종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알린다. 이 때문에, 최종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응한 층상의 승강장에 있는 이용자가 실수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4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는, 스텝 S4에서 행선지층 판정부(1c)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닌 경우는, 스텝 S11로 진행된다.
스텝 S11에서는, 응답시간 추정부(1f)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1 응답시간을 추정한다. 이때, 그룹 관리장치(4)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이용자가 당해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탔을 경우에 있어서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2 응답시간을 추정한다.
응답시간 추정부(1f)는 제2 응답시간보다도 제1 응답시간이 긴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응답시간이 제2 응답시간보다도 짧은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제1 응답시간이 제2 응답시간보다도 긴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된다.
스텝 S12에서는, 호출 등록부(1e)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의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제2 응답시간보다도 제1 응답시간이 긴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의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음성 입력이 늦은 이용자를 보다 빨리 원하는 층상으로 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5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는, 스텝 S12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6에 있어서는, 스텝 S12 후,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에서는, 그룹 관리장치(4)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스텝 S14로 진행된다. 스텝 S14에서는, 그룹 관리장치(4)는 당해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제2 응답시간보다도 제1 응답시간이 긴 경우에,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가장 가까운 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다. 그 후,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음성 입력이 늦은 이용자를 보다 빠르고 보다 확실하게 원하는 층상으로 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6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6에 있어서는, 스텝 S11 후, 스텝 S12로 진행된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 7에 있어서는, 스텝 S11 후, 스텝 S21로 진행된다.
스텝 S21에서는, 알림부(1g)는 당해 행선지층에 가는 것을 희망하는 이용자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타는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알린다. 예를 들면, 알림부(1g)는 당해 정보를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 알린다. 그 후, 스텝 S12로 진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7에 의하면, 알림부(1g)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타는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알린다. 이 때문에, 당해 행선지층에 가는 것을 희망하는 이용자에 대해서 환승을 보다 확실하게 촉구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하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 1a 음성 입력부, 1b 음성 인식부, 1c 행선지층 판정부, 1d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 1e 호출 등록부, 1f 응답시간 추정부, 1g 알림부, 2 알림장치, 3 제어장치, 4 그룹 관리장치, 5a 제1 처리회로, 5b 제2 처리회로, 5c 제3 처리회로, 6a 제1 프로세서, 6b 제2 프로세서, 6c 제3 프로세서, 7a 제1 메모리, 7b 제2 메모리, 7c 제3 메모리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에서 발생한 음성의 입력을 받는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층상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층상에 기초하여 행선지층을 판정하는 행선지층 판정부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상기 행선지층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와,
    상기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등록부는 상기 정지가능 층상 판정부에 의해 당해 행선지층이 정지가능 층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의 신규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에 당해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하는 그룹 관리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 중 최종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당해 최종 호출에 대응한 층상의 승강장에 있어서 알리는 알림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응답한 후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행선지층에 대응한 호출이 등록된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1 응답시간을 추정하는 응답시간 추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등록부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이용자가 당해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탔을 경우에 있어서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2 응답시간보다도 상기 응답시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제1 응답시간이 긴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의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장치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이용자가 당해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탔을 경우에 있어서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2 응답시간보다도 상기 응답시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제1 응답시간이 긴 경우에, 당해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당해 가장 가까운 층의 호출과 당해 행선지층의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이용자가 당해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려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탔을 경우에 있어서 당해 행선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2 응답시간보다도 상기 응답시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제1 응답시간이 긴 경우에, 당해 행선지층에 가는 것을 희망하는 이용자에 대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려 당해 다른 엘리베이터 칸으로 갈아타는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7. 삭제
KR1020177026235A 2015-03-11 2015-03-11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2046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149 WO2016143091A1 (ja) 2015-03-11 2015-03-11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95A KR20170119695A (ko) 2017-10-27
KR102046063B1 true KR102046063B1 (ko) 2019-11-18

Family

ID=5687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235A KR102046063B1 (ko) 2015-03-11 2015-03-11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5979B2 (ko)
JP (1) JP6292343B2 (ko)
KR (1) KR102046063B1 (ko)
CN (1) CN107250017B (ko)
DE (1) DE112015006293B4 (ko)
WO (1) WO2016143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2343B2 (ja) * 2015-03-11 2018-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461A (ja) * 2009-04-28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636B2 (ja) * 1978-11-02 1984-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S57126366A (en) * 1981-01-28 1982-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Cage calling register for elevator
US4365694A (en) * 1981-02-13 1982-12-28 Otis Elevator Company Preventing elevator car calls behind car
JP2624821B2 (ja) 1989-03-09 1997-06-25 株式会社東芝 群管理制御エレベータ装置
JPH03243573A (ja) * 1990-02-19 1991-10-30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呼び登録装置
JPH04345479A (ja) * 1991-05-21 1992-12-0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呼び登録装置
MY154394A (en) * 1995-10-24 2015-06-15 Toshiba Kk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EP0870717B1 (en) * 1996-10-29 2003-03-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JP2001310876A (ja) * 2000-04-19 2001-11-06 Otis Elevator Co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6905003B2 (en) * 2002-04-10 2005-06-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JP5014790B2 (ja) 2005-09-30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2171124B (zh) 2008-10-03 2013-06-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目的地楼层登记装置
US9079752B2 (en) * 2009-11-19 2015-07-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park floor cancellation
JP2013052957A (ja) * 2011-09-02 2013-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10000362B2 (en) * 2013-08-21 201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JP6292343B2 (ja) * 2015-03-11 2018-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WO2018142603A1 (ja) * 2017-02-06 2018-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1708240B2 (en) * 2018-07-25 2023-07-25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method of detecting visually impaired, pregnant, or disabled elevator passeng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461A (ja) * 2009-04-28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0017B (zh) 2019-04-09
JPWO2016143091A1 (ja) 2017-06-22
DE112015006293T5 (de) 2017-11-23
JP6292343B2 (ja) 2018-03-14
KR20170119695A (ko) 2017-10-27
DE112015006293B4 (de) 2019-11-21
WO2016143091A1 (ja) 2016-09-15
US20180265329A1 (en) 2018-09-20
US10625979B2 (en) 2020-04-21
CN107250017A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436B1 (ja) 群管理制御装置及び自律移動体への号機割当て方法
US7487860B2 (en) Controller of one-shaft multi-car system elevator
US9079752B2 (e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park floor cancellation
JP2007191263A (ja) エレベータ表示装置
JP6202213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63842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615603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270748B2 (ja) エレベータ設備計画支援装置
KR102046063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WO200512100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73538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4999275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6213408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109403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方法
KR10055241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JP670197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5083217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21340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CN110902510A (zh) 通过提供多个电梯之间的乘客移交实现运输的系统和方法
JP2012056700A (ja) エレベータ
JP201700180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517472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201610201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20001907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JP2023176330A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