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076A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076A
KR20200019076A KR1020190052766A KR20190052766A KR20200019076A KR 20200019076 A KR20200019076 A KR 20200019076A KR 1020190052766 A KR1020190052766 A KR 1020190052766A KR 20190052766 A KR20190052766 A KR 20190052766A KR 20200019076 A KR20200019076 A KR 2020001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ge
reverse
destination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마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하는 역방향 호출 검출부와,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고, 신규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는 할당 후보 제외부와,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하는 할당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된 2개의 케이지를 갖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있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로서, 더블 운전 및 세미더블 운전이 알려져 있다. 더블 운전은, 승차층 및 행선층에 관하여 2개의 케이지 중 한쪽에 짝수층을 분담시키고, 다른 쪽의 케이지에 홀수층을 분담시키는 운전 제어이다. 한편, 세미더블 운전은, 중간층에서 케이지의 분담을 제한하지 않는 운전 제어이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객은, 승강장에 설치된 행선층 등록 장치에 자신의 행선층을 등록한다. 그러나, 행선 등록 장치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의 할당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세미더블 운전에서는, 승객이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의 승차를 실수하는 오승차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오승차를 회피하기 위해, 이제까지도 케이지의 할당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는,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을 행선층으로 한 새로운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에서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경우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없었다.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을 행선층으로 한 새로운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에서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경우의 오승차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행선층 등록 장치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역방향 호출 검출부와, 할당 후보 제외부와, 할당 제어부를 구비한다. 행선층 등록 장치는,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입력된 행선층을 등록하여 행선 호출을 발생시킨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케이지의 주행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한다. 역방향 호출 검출부는, 복수의 케이지 중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한다. 할당 후보 제외부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에, 복수의 케이지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할당 제어부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부분 또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여,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은,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일례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는, 복수의 케이지의 일례인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와, 행선층 등록 장치(23)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일례인 단체 제어 장치(24)를 구비한다.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는,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1대의 상부 케이지(21)와 1대의 하부 케이지(22)의 세트가 1호기분의 케이지 유닛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에는, A호기 내지 C호기의 3대의 케이지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지 유닛의 대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호기의 동작은, 단체 제어 장치(24)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의 케이지(21, 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은, 앞서 설명한 행선층 등록 장치(23) 및 단체 제어 장치(24)와, 역방향 호출 검출부(31)와, 할당 후보 제외부(32)와, 할당 제어부(33)를 구비한다. 역방향 호출 검출부(31)와, 할당 후보 제외부(32)와, 할당 제어부(33)는, 복수의 케이지 유닛(즉, 호기)을 관리하는 엘리베이터군 관리 장치(3)에 구비되어 있다. 이하, 이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의 구성부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행선층 등록 장치(23)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입력된 행선층을 등록하여 행선 호출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행선층 등록 장치(23)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의 각 층의 승강장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행선층 등록 장치(23)에는, 승객이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23a)이 마련되어 있다. 승객은, 각 층의 등록 버튼(23a)을 사용하여 짝수층 및 홀수층의 양쪽을 등록할 수 있다. 행선층이 등록되면, 그 행선층을 나타내는 행선 호출 신호가 행선층 등록 장치(23)로부터 엘리베이터군 관리 장치(3)를 향하여 발신된다.
단체 제어 장치(24)는, 대응하는 호기의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의 주행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역방향 호출 검출부(31)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를 검출한다. 또한,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어느 케이지를 행선에 할당할까(즉, 응답시킬까)에 대해서는, 할당 제어부(33)가 결정해도 된다. 또한, 역방향 호출 검출부(31)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한다.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에,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한편,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하지 않는다. 또한,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경우라도,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상이한 경우에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경우, 할당 제어부(33)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한다.
할당 제어부(33)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선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할당 제어부(33)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상이한 호기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는, 필요에 따라 반복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군 관리 장치(3)의 역방향 호출 검출부(31)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를 검출한다(스텝 S1).
또한, 역방향 호출 검출부(31)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한다(스텝 S2). 스텝 S2는, 스텝 S1과 전후가 교체되어도 되고, 또는 스텝 S1과 동시에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행선 호출은, 앞서 설명한 행선층 등록 장치(23)에 있어서의 행선층의 입력에 따라 발생한다. 또한,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는, 엘리베이터군 관리 장치(3)의 할당 제어부(33)에서 선정되어도 된다.
또한,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의 구체적인 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부 케이지(22)가 승차층(즉, 응답층) 및 행선층으로서 홀수층을 분담하고, 상부 케이지(21)가 승차층 및 행선층으로서 짝수층을 분담하도록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이 각 케이지(21, 22)의 분담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발생층이 짝수층인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상부 케이지(21)를 선정해도 된다. 단,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의 사이에서 짝수/홀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발생층이 짝수층인 경우라도,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하부 케이지(22)를 선정해도 된다. 이 경우, 더블데크 엘리베이터(2)는, 더블 운전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세미더블 운전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어서,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경우(스텝 S3: "예"),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한편,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3: "아니오"), 할당 제어부(33)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스텝 S4: "예"),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한다(스텝 S5). 한편,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상이한 경우(스텝 S4: "아니오"),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이어서, 할당 제어부(33)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한다(스텝 S6).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에 따르면,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에,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지(21, 22)의 진행 방향이 하측 방향일 때, 케이지(21, 22)의 위치보다 하방인 26층에서, 승객(100)이 행선층 등록 장치(23)에 29층을 입력함으로써, 29층을 행선층으로 한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였다고 하자. 또한, 도 3에서는, 기호 「△」는, 상승 시에 승차층을 분담함을 나타내고, 기호 「▽」는, 하강 시에 승차층을 분담함을 나타내고, 기호 「○」는, 행선층을 분담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역방향 호출 발생층인 26층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인 29층에서는, 짝수/홀수가 상이하므로, 할당 제어부(33)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본래는 짝수층을 분담해야 할 상부 케이지(21)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하부 케이지(22)를 선정한다.
이와 같이,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하부 케이지(22)를 선정한 후에, 케이지(21, 22)의 위치보다 하방인 28층에서, 신규 승객(101)이 행선층 등록 장치(23)에 26층을 입력함으로써 26층을 행선층으로 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였다고 하자.
여기서, 신규의 행선 호출의 발생층인 28층과,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인 26층에서는 짝수/홀수가 일치하기 때문에,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본래는 상부 케이지(21)가 선정된다.
그런데, 가령, 도 3과 같이 하부 케이지(22)가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선정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지(21)가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서 선정된 경우, 상부 케이지(21)가 26층에 정차하였을 때, 26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기존의 승객(100)은, 상부 케이지(21)에 오승차해 버린다. 즉,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는 하부 케이지(22)이기 때문에, 행선층인 29층에는 하부 케이지(22)가 정지하게 되고, 승객(100)이 오승차한 상부 케이지(21)는, 29층에 정지할 수 없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인 하부 케이지(22)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인 26층의 사이인 28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26층이기 때문에,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22)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상부 케이지(21)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하부 케이지(22)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8층에서는, 상부 케이지(21)가 아니라 하부 케이지(22)에 신규의 승객(101)을 승차시킬 수 있다. 그리고, 26층에는, 상부 케이지(21)가 아니라 하부 케이지(22)를 정지시켜, 신규의 승객(101)을 하차시킴과 함께 기존의 승객(100)을 승차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존의 승객(100)은, 진행 방향의 반전 후에 본래의 행선층인 29층에 하부 케이지(22)가 정지함으로써, 행선층에서 적절하게 하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을 행선층으로 한 새로운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이미 행선 호출이 발생한 층에서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경우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적어도 하나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 중 적어도 하나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고 있는 경우란,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상부 케이지(21)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인 26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인 25층 이하의 층을 행선층으로 하고 있는 경우, 상부 케이지(21)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으로 하고 있음으로써,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서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해도,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층에서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할당 후보 제외부(32)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의 위치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일정 층수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 케이지(22)의 위치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일정 층수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하였다고 해도, 케이지의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층에서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한다. 즉,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체 제어 장치(24)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도어 개방할 때, 케이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지 않는다.
도 3의 예로 설명하자면, 신규 승객(101)을 태운 상부 케이지(21)가 역방향 호출 발생층인 26층에서 도어 개방될 때, 26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진행 방향의 표시등에는, 케이지의 진행 방향으로서 하측 방향을 표시시킨다. 혹은, 상부 케이지(21) 내의 음성 안내 장치에 의해 하방으로 진행한다는 취지의 음성 알림을 행한다.
그리고, 단체 제어 장치(24)는,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의 전체 도어 폐쇄 후에, 케이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킨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 있어서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한다. 즉,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할당 제어부(33)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더미의 케이지 호출 또는 행선 호출을 단체 제어 장치(24)에 통지한다.
이 경우, 단체 제어 장치(24)는,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서 케이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지 않는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 있어서의 오승차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의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마찬가지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의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7)

  1.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입력된 행선층을 등록하여 행선 호출을 발생시키는 행선층 등록 장치와,
    상기 복수의 케이지의 주행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상기 복수의 케이지 중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상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상기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하는 역방향 호출 검출부와,
    상기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케이지 중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상기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는 할당 후보 제외부와,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하는 할당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를,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후보 제외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후보 제외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지의 위치가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일정 층수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에서 상기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도어 개방할 때, 상기 케이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지 않고, 상기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의 전체 도어 폐쇄 후에, 상기 케이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로 선정한 후에,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행선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보다 진행 방향 전방을 행선층으로 하는 더미의 케이지 호출 또는 행선 호출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동일 승강로 내에서 상하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케이지 중 진행 방향 전방의 케이지이며 상기 진행 방향과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할당되어 있는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상기 역방향의 행선 호출이 발생한 역방향 호출 발생층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역방향의 행선 호출의 발생 후에,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와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의 사이의 층에서 신규의 행선 호출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 신규의 행선 호출의 행선층이 상기 역방향 호출 발생층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케이지 중 상기 역방향 호출 할당 케이지에 대한 진행 방향 후방의 케이지를, 상기 신규의 행선 호출에 할당되는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하는 공정과,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의 후보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케이지 중에서, 상기 신규 호출 할당 케이지를 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KR1020190052766A 2018-08-13 2019-05-0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KR20200019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2508 2018-08-13
JP2018152508A JP6737516B2 (ja) 2018-08-13 2018-08-13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76A true KR20200019076A (ko) 2020-02-21

Family

ID=6954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66A KR20200019076A (ko) 2018-08-13 2019-05-0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37516B2 (ko)
KR (1) KR20200019076A (ko)
CN (1) CN110817620B (ko)
MY (1) MY195923A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277A (ja) * 1996-02-16 1997-08-26 Hitachi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345565B2 (ja) * 1997-04-11 2002-11-18 森ビル株式会社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3457873B2 (ja) * 1997-12-26 2003-10-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SG108324A1 (en) * 2002-11-06 2005-01-28 Inventio Ag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lift installation with multiple cage
FI119686B (fi) * 2007-10-11 2009-02-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864539B2 (ja) * 2010-04-12 2016-02-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2140758A1 (ja) * 2011-04-14 2012-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US9663324B2 (en) * 2011-11-28 2017-05-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group-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ars
JP5761454B2 (ja) * 2012-05-01 2015-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5977655B2 (ja) * 2012-11-30 2016-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EP3003942B1 (en) * 2013-08-30 2023-01-11 KONE Corporation Multi-deck elevator allocation control
JP6485314B2 (ja) * 2015-10-14 2019-03-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18797B2 (ja) * 2015-12-09 2017-10-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686986B2 (ja) * 2017-08-04 2020-04-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装置及び運行制御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26346A (ja) 2020-02-20
MY195923A (en) 2023-02-27
CN110817620B (zh) 2021-10-12
CN110817620A (zh) 2020-02-21
JP6737516B2 (ja)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436B1 (ja) 群管理制御装置及び自律移動体への号機割当て方法
JP5477387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
KR101596184B1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JP5761454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3181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8901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308239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JP2013523566A (ja) 乗客の混乱を防止するためのエレベータ配送制御
JP4677458B2 (ja) 一方のかごに強いられる遅れ時間を最小にするように昇降路内にある2基のかごのうちの1基に割当てるかご呼び
JP615603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904626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87978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362561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制御装置、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0001907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JP700172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34130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5665078B2 (ja) エレベータ
WO2015083217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046063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7435719B1 (ja) 割当制御装置、割当方法、割当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119170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5640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6037331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9227350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318478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