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32B1 -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32B1
KR102041532B1 KR1020190061987A KR20190061987A KR102041532B1 KR 102041532 B1 KR102041532 B1 KR 102041532B1 KR 1020190061987 A KR1020190061987 A KR 1020190061987A KR 20190061987 A KR20190061987 A KR 20190061987A KR 102041532 B1 KR102041532 B1 KR 10204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gelatin film
die roller
di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기
성하창
심형수
곽진배
정택군
Original Assignee
(주)알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피바이오 filed Critical (주)알피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6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7Manufacturing capsul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2Sealing capsules, e.g. rendering them tamp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Package making
    • Y10S53/90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라틴 필름을 접착 및 절단하여 약물이나 영양물을 함유하는 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약물이 공급되는 약물공급부,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가 복수개 형성된 한 쌍의 다이롤러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다이롤러가 서로 맞물리는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첨단부를 갖는 접착면, 상기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위치에 상기 약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의 첨단부에 형성되는 직하 배출홀, 상기 직하 배출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젤라틴 필름의 성형몰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 상에 형성되는 측면 배출홀을 포함하여,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러 사이에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상에 약물을 공급하는 ?지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Wedge Segment for producing medical capsul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dical caps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젤라틴 필름을 접착 및 절단하여 약물이나 영양물을 함유하는 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이나 영양물의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젤라틴 캡슐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캡슐은 젤라틴 필름을 다이 롤러에 공급하고, 다이 롤러에 구비되는 성형 몰드에 의해 젤라틴 필름으로 캡슐을 제조한다. 이때, 약물이나 영양물은 제조되는 캡슐 내에 공급된다.
이러한 캡슐의 제조를 자동화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이롤러와 ?지 세그먼트 등이 구비된다.
시럽형태의 젤라틴이 저장된 젤라틴 탱크로부터 이송호스 등을 통해 상기 젤라틴이 스프레더 박스 세트로 이동하고, 다시 냉각드럼의 방사상 외면상에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냉각드럼에 의해 필름 형태로 형성화된 젤라틴 필름은 이송롤러 등을 거쳐 상기 캡슐 성형 유닛에 쌍으로 배치된 다이롤러의 표면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다이롤러에는 복수개의 성형몰드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몰드의 내부에는 진공 흡착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롤러의 표면으로 공급된 젤라틴 필름은 다이롤러에 흡착되며, 회전되는 다이롤러를 따라 견인된다. 또한, 상기 성형몰드에 흡착된 부분은 진공 흡착공의 흡착력에 의해 성형몰드 내로 흡입되며 성형몰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이 때, 상기 다이롤러는 서로 맞닿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성형몰드 주위가 압착되면서 접합되며, 그 테두리가 절단되어 캡슐이 생성된다.
한편, 연질캡슐의 코어 성분을 이루는 각종 약물이 상기 젤라틴 탱크와 별도로 설치된 원액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다이롤러 상측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약물은 ?지 세그먼트를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지 세그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며, 그 측면은 상기 다이롤러의 외측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 세그먼트의 측면에 약물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다이롤러에 흡착되어 견인되는 젤라틴 필름상의 상기 성형몰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며, 약물이 점적된 젤라틴 필름은 상기 다이롤러의 회전을 따라 견인되어 양 다이롤러 사이를 지나가면서 절단 및 접합되어 캡슐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생산방식은, 약물이 젤라틴 시트상에 점적된 후, 상기 젤라틴 시트가 접합될 때까지 이동거리가 길고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어 다이롤러의 회전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점적된 약물이 점적위치에서 흘러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점적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더블?지 방식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더블?지 방식은 일반적인 표준 ?지보다 ?지 측면의 약물 배출공의 위치가 높아(하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높아) 약물 점적후 젤라틴 시트가 접합될 때 까지 이동거리가 길어 불량율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은 다이롤러의 양 가장자리 끝단부에서 생산되는 캡슐에서 특히 더 많이 발생하는데, 원통형의 다이롤러의 양 끝단부는 젤라틴 시트의 견인력이 약하게 작용되어 캡슐의 젤라틴 시트의 접합두께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점적된 약물이 점적위치에서 흘러나와 젤라틴 시트의 접합부위를 침범하게 되면 접합부 사이에 약물이 위치되어 간섭을 일으켜 생산된 캡슐에 누액을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10-2017-00882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이 점적된 후 캡슐로 접합될 때까지의 이동거리를 줄여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제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약물이 공급되는 약물공급부,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가 복수개 형성된 한 쌍의 다이롤러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다이롤러가 서로 맞물리는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첨단부를 갖는 접착면, 상기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위치에 상기 약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의 첨단부에 형성되는 직하 배출홀, 상기 직하 배출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젤라틴 필름의 성형몰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 상에 형성되는 측면 배출홀을 포함하여,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러 사이에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상에 약물을 공급하는 ?지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상기 접착면 및 첨단부는 상기 다이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은, 상기 다이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성형몰드 중, 상기 다이롤러의 회전축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 측에 배치된 성형몰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은 상기 첨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은 상기 접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은 그 상단이 상기 첨단부의 하단으로부터 2.1mm~10.5mm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은 그 하단이 상기 첨단부 하단으로부터 8.5mm~18.5mm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의 곡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다이롤러 중 어느 하나는 그 회전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그 회전축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접착면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상기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의 회전축의 유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의 곡률반경보다 더 긴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은, 상부측의 곡률 반경보다 하부측의 곡률반경이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접착면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가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가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각각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가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을 외측면에 흡착하여 견인하면서, 서로 맞물리면서 각 젤라틴 필름을 상호 접합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다이롤러, 전술한 ?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캡슐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지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 세그먼트의 직하 배출홀에 의해 다이롤러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므로 약물이 점적된 후 캡슐이 접합될 때까지 이동되는 거리가 극도로 짧아지게 되어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캡슐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제조 장치의 다이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성형몰드의 일부 확대도 및 A-A', B-B'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홈부에 젤라틴 필름이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블레이드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을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다이롤러에 맞물려 접합되는 젤라틴 시트에 웨지 세그먼트를 통해 약물을 점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제조된 캡슐의 접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양 측 다이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지 세그먼트의 곡률 반경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 세그먼트를 구비한 캡슐 제조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세그먼트 (11) 및 다이 롤러(12, 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웨지 세그먼트(11) 및 다이 롤러(12, 13)의 구성 자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나,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조가 다름을 유념해야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시적으로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유념해야 한다.
이와 같은 캡슐 제조 장치(10)는 다이 롤러(12, 13) 양측에서 젤라틴 필름(2)이 공급되어 한 쌍의 다이 롤러(12, 13)에 의해 캡슐(1)을 제조한다. 이때, 약물(3)은 웨지 세그먼트(11)로부터 성형 몰드(12a, 13a)로 공급된다.
본 명세서에서, 약물(3)은 영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물(3)은 과립형 또는 액상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웨지 세그먼트(11)는 캡슐(1) 내부에 함유되는 약물(3)을 분사하는 노즐이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다이 롤러(12, 13)의 성형 몰드(12a, 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사용 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은 한 쌍의 다이 롤러(12, 13)의 성형 몰드(12a, 13a)가 캡슐(1)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이 완료되기 전에, 약물(3)을 분사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 롤러(12, 13)는 ?지 세그먼트(11)의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젤라틴 필름(2)이 그 사이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다이 롤러(12, 13)는 성형 몰드(12a, 13a)에 의해 캡슐(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성형 몰드(12a, 13a)는 캡슐(1)의 절반의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 롤러(12, 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10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이 롤러(100)의 도면부호를 1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웨지 세그먼트 (11)는 성형 몰드(12a, 13a)에 약물(3)을 분사시키는 동시에, 다이 롤러(12, 13)는 공급되는 젤라틴 필름(2)을 접착 및 절단함으로써, 약물(3)이 함유된 캡슐(1)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이 롤러(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본체(110), 성형 몰드(120), 흡착공(130) 및 블레이드(140)를 포함한다.
롤러 본체(110)는 캡슐(1)을 형성하는 젤라틴 필름(2)이 공급되도록 회전한다. 롤러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에 대응하는 중공부는 진공 흡착을 위한 진공흡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성형 몰드(120)는 젤라틴 필름(2)을 흡착하여 성형 몰드(120) 내로 안착시킴으로써 약물(3)을 수용할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젤라틴 필름(2)은 반구 형태로 성형 몰드(12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몰드(120)는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어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성형 몰드(120)는 캡슐(1)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성형 몰드(120)는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몰드(120)는 캡슐(1)의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몰드(120)는 롤러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성형 몰드(120)는 제1열 및 제2열이 롤러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성형 몰드(120)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착공(130)은 젤라틴 필름(2)이 성형 몰드(120) 내부로 흡입되도록 진공 흡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흡착공(130)은 롤러 본체(110)의 중공부를 통하여 진공흡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공(130)은 성형 몰드(120) 내에 진공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성형 몰드(12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블레이드(140)는 젤라틴 필름(2)을 가압하여 접착하거나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40)는 성형 몰드(120)의 반대측에서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 상에 오목하게 홈부(143)가 형성된다. 여기서, 홈부(143)는 블레이드 측벽(141)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143)는 블레이드(1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0)는 도 3에서 성형 몰드(120)의 A-A' 선에 따른 단면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에서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까지의 높이(h1)는 젤라틴 필름(2)의 두께보다 작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112)에 젤라틴 필름(2)이 배치되는 경우,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은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젤라틴 필름(2)의 두께(t1)가 외측면(112)에서 블레이드(140)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증가하므로 캡슐의 봉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보다 높기 때문에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에 의해 젤라틴 필름(2)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한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젤라틴 필름(2)의 두께(t1)가 두꺼우면, 블레이드(140)에 의한 전단력이 감소한다. 즉,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보다 높으면 한 쌍의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100)의 블레이드(14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전단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레이드(140) 부근에서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과 동일하거나 낮게 되도록 블레이드(140)의 외주면을 따라 홈부(143)를 형성한다.
이때, 홈부(143)의 바닥면에서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까지의 높이(h1+h2)는 젤라틴 필름(2)의 두께(t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0) 부근에서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은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과 동일하거나 높을 수 있다.
이때, 젤라틴 필름(2)은 하단면이 홈부(143)로 안착되어 상단면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40)에 의한 젤라틴 필름(2)의 전단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캡슐의 품질을 형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에서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까지의 높이(h1)에 대한 홈부의 깊이(h2)의 비율은 1/4 ~1/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h1)에 대한 홈부의 깊이(h2)의 비율이 1/4보다 작은 경우, 홈부(143)에 의해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낮아지는 효과가 작기 때문에 전단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접합부에 흠이 발생하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높이(h1)에 대한 홈부의 깊이(h2)의 비율이 1/2보다 큰 경우, 홈부(143)에서 홈부(143)의 바닥면에서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까지의 높이(h1+h2)는 젤라틴 필름(2)의 두께(t1)보다 크게 된다. 즉, 홈부(143)에서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보다 낮아지므로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100)에 의한 가압력이 감소하여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봉합력이 감소하여 캡슐 내부의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홈부(143)의 깊이(h2)에 대한 홈부(143)의 폭(w1)의 비율은 3~4.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일 수 있다.
여기서, 홈부(143)의 깊이(h2)에 대한 폭(w1)의 비율이 3보다 작은 경우, 젤라틴 필름(2)이 홈부(143)에 충분히 안착되지 못하므로 홈부(143)에 의해 상단면(145)이 낮아지는 효과가 작다. 따라서 전단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홈부(143)의 깊이(h2)에 대한 폭(w1)의 비율이 4.5보다 큰 경우, 젤라틴 필름(2)이 홈부(143)에 안착된 부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접착력이 감소하는 부분이 길어져 제조되는 캡슐의 양단에서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때, 홈부(143)의 깊이(h2)는 0.1~1.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일 수 있다. 여기서, 홈부(143)의 깊이(h2)가 0.1㎜보다 작은 경우, 홈부(143)에 의해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낮아지는 효과가 작기 때문에 전단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접합부에 흠이 발생하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홈부(143)의 깊이(h2)가 1.1㎜보다 큰 경우, 홈부(143)에서 젤라틴 필름(2)의 상단면이 블레이드(140)의 상단면(145)보다 낮아지므로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100)에 의한 가압력이 감소하여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젤라틴 필름(2)의 봉합력이 감소하여 캡슐 내부의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홈부(143)의 폭(w1)은 0.2~1.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일 수 있다. 여기서, 홈부(143)의 폭(w1)이 0.2㎜보다 작은 경우, 젤라틴 필름(2)이 홈부(143)에 충분히 안착되지 못하므로 홈부(143)에 의해 상단면(145)이 낮아지는 효과가 작다. 따라서 전단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홈부(143)의 폭(w1)이 1.2㎜보다 큰 경우, 젤라틴 필름(2)이 홈부(143)에 안착된 부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접착력이 감소하는 부분이 길어져 제조되는 캡슐의 양단에서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캡슐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40)는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 및 전단력을 형상시키기 위해 위치에 따라 상이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40)는 캡슐(1)을 형성하기 위해 젤라틴 필름(2)을 접착 및 절단하는 기능에 따라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젤라틴 필름(2)이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젤라틴 필름(2)은 다이 롤러(12, 13) 사이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하부 블레이드(140a)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 블레이드(140b)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블레이드(140a)는 도면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부 블레이드(140b)는 도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블레이드(140)의 회전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환원하면, 롤러 본체(110)의 회전에 따라 하부 블레이드(140a)가 공급되는 젤라틴 필름(2)에 먼저 접촉된 후 뒤따르는 상부 블레이드(140b)가 젤라틴 필름(2)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블레이드(140a)와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젤라틴 필름(2)과 접촉하는 면(142, 142', 144, 144', 146, 146')의 프로파일이 서로 상이하다. 여기서,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전단력을 향상시키도록 젤라틴 필름(2)과 접촉하는 면(142, 142', 144, 144', 146, 146')의 프로파일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제1면(142, 142'), 제2면(146, 146') 및 제3면(144, 144')의 각각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젤라틴 필름(2)이 처음 접착되는 경우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약물(3)이 투입되어 캡슐(1)이 완성된 후에는 전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캡슐(1)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제1면(142), 제2면(146) 및 제3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42)은 성형 몰드(120)의 내벽면(122)에 대향하는 블레이드 측벽(141)으로부터 성형 몰드(120)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면(142)은 블레이드 측벽(141)으로부터 내벽면(122)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면(142)은 상향 경사지게 제3면(144)과 맞닿을 수 있다.
제2면(146)은 성형 몰드(120)의 내벽면(122)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면(146)은 내벽면(122)으로부터 블레이드 측벽(141)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면(146)은 상향 경사지게 제3면(144)과 맞닿을 수 있다.
제3면(144)은 제1면(142)과 제2면(146)을 연장하되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면(144)을 기준으로 제1면(142)과 제2면(146)은 각각 블레이드 측벽(141) 및 내벽면(122)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14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142'), 제2면(146') 및 제3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42')은 성형 몰드(120)의 내벽면(122')에 대향하는 블레이드 측벽(141')으로부터 성형 몰드(120)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면(142')은 블레이드 측벽(141')으로부터 내벽면(122')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면(142')은 상향 경사지게 제3면(144')과 맞닿을 수 있다.
제2면(146')은 성형 몰드(120)의 내벽면(122')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면(146')은 내벽면(122')으로부터 블레이드 측벽(141')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면(146')은 상향 경사지게 제3면(144')과 맞닿을 수 있다.
제3면(144')은 제1면(142')과 제2면(146')을 연장하되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면(142')과 제2면(146')은 제3면(144')으로부터 각각 블레이드 측벽(141') 및 내벽면(122')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140)를 구비한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100)에 의해 캡슐(1)을 제조할 때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공급되는 젤라틴 필름(2)이 최초로 접촉하는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젤라틴 필름(2)을 먼저 절단한 후에 접착한다. 반대로, 이어서 젤라틴 필름(2)에 접촉하는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젤라틴 필름(2)을 먼저 접착한 후 절단한다.
즉, 하부 블레이드(140a)에서, 블레이드 측벽(141) 측의 제1면(142)은 젤라틴 필름(2)을 절단하는 기능을 하며, 성형 몰드(120) 측의 제3면(144) 및 제2면(146)은 젤라틴 필름(2)을 접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3면(144)은 젤라틴 필름(2)을 직접 가압하여 접착시키며, 제2면(146)은 젤라틴 필름(2)을 지지하면서 젤라틴 필름(2)의 접착 부위가 더 확장되도록 기능을 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 블레이드(140b)에서, 성형 몰드(120) 측의 제2면(146') 및 제3면(144')은 젤라틴 필름(2)을 접착하는 기능을 하며, 블레이드 측벽(141')의 제1면(142')은 젤라틴 필름(2)을 절단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3면(144')은 젤라틴 필름(2)을 직접 가압하여 접착시키며, 제2면(146')은 젤라틴 필름(2)을 지지하면서 젤라틴 필름(2)의 접착 부위가 더 확장되도록 기능을 한다.
이때, 하부 블레이드(140a)는 캡슐(1)의 초기 형성 단계로서 젤라틴 필름(2)을 절단한 후 접착하므로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더 큰 것이 요구된다. 반대로, 상부 블레이드(140b)는 캡슐(1)의 마무리 단계로서 젤라틴 필름(2)을 접착한 후 절단하므로 젤라틴 필름(2)의 전단력이 더 큰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제2면(146)을 제1면(142)에 비하여 증대시켜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제1면(142')을 제2면(146')에 비하여 감소시켜 전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 각각은 젤라틴 필름(2)과 접촉하는 면의 전체 길이가 동일하므로, 각 면은 그 기능에 따라 그 길이가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때,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는 동일한 프로파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블레이드(140a)의 제1경사 길이(L1), 수평 길이(L2) 및 제2경사 길이(L3)의 합은 상부 블레이드(140b)의 제1경사 길이(L4), 수평 길이(L5) 및 제2경사 길이(L6)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절단 기능에 비하여 접착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접착 기능에 비하여 절단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캡슐(1)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 각각은 제1면(142, 142')의 제1경사 길이(L1,L4)가 제2면(146, 146')의 제2경사 길이(L3,L6)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면(142, 142')은 절단 기능을 가지므로 접착 기능을 갖는 제2면(146, 146')보다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면(142, 142')의 제1경사 길이(L1,L4)는 제2면(146, 146')의 제2경사 길이(L3,L6)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하부 블레이드(140a) 및 상부 블레이드(140b) 각각은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의 연장선과 제1면(142, 142')이 이루는 제1각도(θ1)가 롤러 본체(110)의 외측면(112)의 연장선과 제2면(146, 146')이 이루는 제2각도(θ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제3면(144, 144')가 평행한 수평면에 대한 각도일 수 있다.
이때,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가 상이하기 때문에, 측벽(141, 141') 또는 내벽면(122, 122')으로부터 경사가 시작되는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측벽(141, 141')에서 제1면(142, 142')의 시작점과 내벽면(122, 122')에서 제2면(146, 146')의 시작점은 외측면(112)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각도(θ1)는 37~5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θ1)가 37°보다 작은 경우, 제1면(142,142')의 경사길이가 길어지므로 전단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절단시 젤라틴 필름(2)의 접합부에 흠이 발생하므로 캡슐(1)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제1각도(θ1)가 52°보다 큰 경우, 제1면(142,142')의 경사길이가 너무 짧아지므로 한 쌍의 몰드(120)가 정확히 맞물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단력이 오히려 감소한다. 더욱이, 한 쌍의 몰드(12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각도(θ2)는 15~29°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일 수 있다. 여기서, 제2각도(θ2)가 15°보다 작은 경우, 제2면(146,146')의 경사길이가 너무 길어지므로, 제3면(144, 144')이 매우 짧아져 오히려 접착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캡슐(1) 내부의 약물(3)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캡슐(1)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제2각도(θ2)가 29°보다 큰 경우, 제2면(146, 146')의 경사길이가 짧아지므로 접합면적이 작아져 접착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캡슐(1) 내부의 약물(3)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캡슐(1)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다이 롤러(12, 13)가 원할하게 맞물리지 않고 회전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제1경사 길이(L1)가 0.1~0.5㎜이고, 제2경사 길이(L3)가 0.2~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블레이드(140a)는 제1경사 길이(L1)가 0.1㎜이고, 제2경사 길이(L3)가 0.7㎜이며, 수평 길이(L2)가 0.5㎜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 길이(L1)가 0.1㎜보다 작은 경우, 한 쌍의 몰드(120)가 정확히 맞물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오히려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전단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더욱이, 한 쌍의 몰드(12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경사 길이(L1)가 0.5㎜보다 큰 경우,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접착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제2경사 길이(L3)가 0.2㎜보다 작은 경우, 젤라틴 필름(2)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접착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제2경사 길이(L3)가 1.0㎜보다 큰 경우, 하부 블레이드(140a)의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가 일정하면 상대적으로 제1경사 길이(L1)가 매우 짧아져 오히려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전단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제1경사 길이(L4)가 0.1~0.9㎜이고, 제2경사 길이(L6)가 0.1~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블레이드(140b)는 제1경사 길이(L4)가 0.2㎜이고, 제2경사 길이(L6)가 0.3㎜이며, 수평 길이(L5)가 0.8㎜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 길이(L4)가 0.1㎜보다 작은 경우, 한 쌍의 몰드(120)가 정확히 맞물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오히려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전단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더욱이, 한 쌍의 몰드(12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경사 길이(L4)가 0.9㎜보다 큰 경우,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접착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제2경사 길이(L6)가 1.0㎜보다 큰 경우, 상부 블레이드(140b)의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가 일정하면 상대적으로 제1경사 길이(L4)가 매우 짧아져 오히려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전단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제2경사 길이(L6)가 1.0㎜보다 큰 경우, 수평 길이(L5)가 매우 짧아져 오히려 젤라틴 필름(2)의 충분한 전단력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는 블레이드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갖는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젤라틴 필름의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블레이드에 의한 전단력을 향상시키므로, 제조된 캡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웨지 세그먼트는 약물이 젤라틴 시트상에 점적된 후, 상기 젤라틴 시트가 접합될 때까지 이동거리가 길고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어 다이롤러의 회전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점적된 약물이 점적위치에서 흘러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웨지 세그먼트를 개시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웨지 세그먼트의 도면부호를 11로 칭하였으나, 이하에서 상기 웨지 세그먼트는 도면부호 200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 세그먼트(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공급부(202), 접착면(220a, 220b) 및 직하 배출홀(232), 측면 배출홀(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 세그먼트(200)는 원통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다이 롤러(100) 사이에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2)상에 약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한 쌍의 다이 롤러(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다이 롤러(100)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양 측면은 접하는 상기 다이 롤러(100)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곡률로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피스톤이 전진할 때 및 후진할 때 약물이 가압되어 상기 직하 배출홀(232) 및 측면 배출홀(234)로부터 분사되는 더블?지 방식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물공급부(202)는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이 상기 ?지 세그먼트(200)로 인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약물공급부(202)는 도시되지 아니한 약물저장부로부터 약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접착면(220a, 220b)은 상기 한 쌍의 다이 롤러(100)의 표면인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이 롤러(100)가 서로 맞물리는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다이 롤러(100)가 서로 맞물리는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첨단부(210)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상기 접착면(220a, 220b)의 첨단부(21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2)이 캡슐(1)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위치에 상기 약물공급부(202)로부터 공급된 약물을 점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상기 첨단부(210)의 끝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약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첨단부(210)의 끝단에서 측면 양 측을 향하여 약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대응하는 성형몰드(120)의 위치 및 간격상호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234)은 상기 직하 배출홀(23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접착면(220a, 220b)상에 구비되며, 상기 각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2)이 상호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젤라틴 필름(2)의 상기 성형몰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234) 또한 대응하는 성형몰드(120)의 위치 및 간격에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232)과 측면 배출홀(234)은 상기 약물공급부(202)와 연통되며,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내부에는 상기 직하 배출홀(232)과 측면 배출홀(234)로 약물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피스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 세그먼트(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 롤러(100)의 회전축 길이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하 배출홀(232) 및 측면 배출홀(234)은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하 배출홀(232)의 상단이 상기 첨단부(210)의 하단으로부터 2.1mm ~ 10.5mm(h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배출홀(234)은 그 하단이 상기 첨단부(210)의 하단으로부터 8.5mm~10.5mm(h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지 세그먼트(200)는 ?지 세그먼트(200)의 하단부에 최근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1열 배출홀이 ?지 세그먼트(200)의 하단부로부터 10.5mm이상의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었고, 2열 배출홀이 ?지 세그먼트(200)의 하단부로부터 17mm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었으므로, 본 실시예의 직하 배출홀(232) 및 측면 배출홀(234)의 위치가 종래에 비하여 ?지 하단부에 보다 더 근접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측면 배출홀(234)은 상기 직하 배출홀(232)의 상측에 1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속도의 향상을 위해 복수열 형성될 수 도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첨단부(210) 끝단에 직하 배출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2)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상태 일 때 상기 약물공급부(202)로부터 공급된 약물이 점적(Dropping)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2)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상태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합되어 캡슐(1)을 이루는 젤라틴 필름(2)의 하측은 맞닿아 접합이 시작되고 있고, 그 상측은 아직 접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개방된 상태일 때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측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그 상측을 통해 약물을 투하할 수 있으며, 하측은 이미 맞닿아 접합이 시작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도 1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하된 약물이 젤라틴 필름(2)의 상호 접합된 접합부(4) 사이에 끼여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배제되며, 도 1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접합부(4)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하 배출홀(232)에 의해 약물의 점적이 이루어진 후, 상기 다이 롤러(100)의 회전에 따라 캡슐(1)을 이루는 젤라틴 필름(2)의 상측 또한 접합된 후 절단되어 캡슐(1)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배출홀(234)은 상기 각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2)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젤라틴 필름(2)의 성형몰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234)에 의해 점적된 약물이 점적된 젤라틴 필름(2)은 상기 다이 롤러(100)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회전되면서 접합 및 절단되어 캡슐(1)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 세그먼트(200)의 변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예를 들자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상기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형성된 성형몰드(120) 중, 상기 다이 롤러(100)의 회전축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 측에 배치된 성형몰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의 첨단부(21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젤라틴 필름(2)이 캡슐(1)로 접합될 때, 상기 다이 롤러(100)의 원통형상의 외주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성형몰드(120)에서 젤라틴 필름(2)에 가해지는 힘이 가장자리 안쪽의 성형몰드(120)에서 가해지는 힘보다 작고, 상기 젤라틴 필름(2) 또한 가장자리 부분이므로 안쪽 부분보다 젤라틴 필름(2)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 또한 약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다이 롤러(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성형몰드(120)에서 생산된 캡슐(1)의 접합부(4)의 접합두께가 안쪽에 위치된 성형몰드(120)에서 생산된 캡슐(1)보다 얇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문제는 충진된 약물의 누액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직하 배출홀(232)은 캡슐(1)로 접합되는 젤라틴 필름(2)의 하단부가 접합을 위해 접촉되고 있고, 상측은 아직 접촉되지 아니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약물을 점적하므로 캡슐(1)의 접합부(4)위에 약물이 위치되어 접합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차단되어 다이 롤러(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성형몰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직하 배출홀(232)이 상기 첨단부(210) 상에서, 상기 다이 롤러(100)의 표면에 형성된 성형몰드(120) 중 상기 다이 롤러(100)의 회전축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 측에 배치된 성형몰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 롤러(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성형몰드(120)에서 생산된 캡슐(1)의 접합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1) 제조 장치의 어느 한 측의 다이 롤러(100a)는 그 회전축이 소폭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다이 롤러(100b)는 그 회전축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 롤러(100b)또한, 유격 범위 내에서는 움직일 수 있지만, 상기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 롤러(100a)보다는 유격 범위가 작다.
이는, 상기 캡슐(1) 제조 장치를 설치할 때, 어느 한 측의 다이 롤러(100a)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장비를 준비한 뒤, 상기 다이 롤러(100a)을 이동시켜 한 쌍의 다이 롤러(100a, 100b)가 서로 맞물리도록 조작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한 측의 다이 롤러(100a)는 그 회전축이 소폭(0.01~0.2mm)정도 움직일 수 있는데, 캡슐(1) 제작시 회전되는 다이 롤러(100)는 그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축의 유격만큼 미세하게 흔들리는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회전축이 움직이는 다이 롤러(100a)의 회전축의 유격범위는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 롤러(100b)의 유격범위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면(220)은 마주보는 다이 롤러(100)의 직경(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되는데, 상기 접착면(220)의 좌측과 우측이 모두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면, 회전축이 움직이는 다이 롤러(100a)의 유격에 의해 상기 접착면(220a)과 다이 롤러(100a)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질 수 있어, 젤라틴 필름(2)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 필름(2)이 상기 다이 롤러(100a)와 접착면(220a)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젤라틴 필름(2)의 형성이 불균일해질 수 있으며, 상기 다이 롤러(100a)와 접착면(220a) 간의 간격이 불안정해져, 젤라틴 필름(2)상에 점적이 이루어질 때 점적된 약물이 역류하여 캡슐(1)에 충진되는 약물의 양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거나 캡슐(1)의 접합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양 접착면(220a, 220b)은 서로 다를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접착면(220a, 220b)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 롤러(100a)에 마주한 접착면(220a)은,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 롤러(100)에 마주한 접착면(220a, 220b)의 곡률반경보다 더 긴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 롤러(100a)의 회전시 유격에 대응되도록 해당 다이 롤러(100a)에 마주한 접착면(220a)의 곡률반경이 더 길게 형성되므로, 다이 롤러(100a)의 유격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다이 롤러(100a)와 접착면(220a)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각 접착면(220a, 220b)은 상부측의 곡률반경보다 하부측의 곡률반경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 롤러(100a)에 마주한 접착면(220a)의 상부측 곡률반경은 74.5mm 일 수 있고, 해당 접착면(220a)의 하부측 곡률반경은 75.6mm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 롤러(100b)에 마주한 접착면(220b)의 상부측 곡률반경은 73.8mm일 수 있고, 해당 접착면(220b)의 하부측 곡률반경은 74.57mm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일 예일 뿐이며, 장비의 크기 등에 따라 충분히 변할 수 있는 수치이다.
또한, 상기 ?지 세그먼트(200)의 각 접착면(220a, 220b)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 롤러(100a)에 마주한 접착면(220a)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L5)가 해당 접착면(220a)의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L6)보다 작고,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 롤러(100b)에 마주한 접착면(220b)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L8)가 해당 접착면(220b)의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L7)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 롤러(100a)의 유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다이 롤러(100a)와 접착면(220a)간의 최소간격이 유지되므로, 캡슐(1)의 균일한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캡슐 2: 젤라틴 필름
3: 약물 4: 접합부
100: 다이 롤러
110: 롤러 본체 112: 외주면
120: 성형 몰드 122, 122': 내벽면
130: 흡착공 140: 블레이드
140a: 하부 블레이드 140b: 상부 블레이드
141, 141': 블레이드 측벽 142, 142': 제1면
143, 143': 홈부 144, 144': 제3면
145: 상단면 146, 146': 제2면
200: ?지 세그먼트 202: 약물공급부
210: 첨단부 220: 접착면
232: 직하 배출홀 234: 측면 배출홀

Claims (12)

  1. 약물이 공급되는 약물공급부;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가 복수개 형성된 한 쌍의 다이롤러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다이롤러가 서로 맞물리는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첨단부를 갖는 접착면;
    상기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서로 접합되고 있는 위치에 상기 약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의 첨단부에 형성되는 직하 배출홀;
    상기 직하 배출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다이롤러의 표면에 흡착된 젤라틴 필름이 접합되기 전에 상기 젤라틴 필름의 성형몰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물을 점적하도록 상기 접착면 상에 형성되는 측면 배출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의 곡률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러 사이에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상에 약물을 공급하는 ?지 세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및 첨단부는 상기 다이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 배출홀은,
    상기 다이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성형몰드 중, 상기 다이롤러의 회전축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 측에 배치된 성형몰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 배출홀은 상기 첨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출홀은 상기 접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 배출홀은 그 상단이 상기 첨단부의 하단으로부터 2.1mm~10.5mm 사이에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출홀은 그 하단이 상기 첨단부 하단으로부터 8.5mm~18.5mm에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이롤러 중 어느 하나는 그 회전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그 회전축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접착면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상기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의 회전축의 유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의 곡률반경보다 더 긴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은, 상부측의 곡률 반경보다 하부측의 곡률반경이 더 길도록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접착면 중, 회전축이 이동되는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가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다이롤러에 마주한 접착면은,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호의 길이가 곡률반경이 큰 부분의 호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지 세그먼트.
  12. 원통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각각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가 복수개 형성되고 각각 인입되는 젤라틴 필름을 외측면에 흡착하여 견인하면서, 서로 맞물리면서 각 젤라틴 필름을 상호 접합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다이롤러;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 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지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캡슐 제조 장치.
KR1020190061987A 2019-05-27 2019-05-27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KR10204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87A KR102041532B1 (ko) 2019-05-27 2019-05-27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87A KR102041532B1 (ko) 2019-05-27 2019-05-27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32B1 true KR102041532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987A KR102041532B1 (ko) 2019-05-27 2019-05-27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451B1 (ko) 2024-01-24 2024-05-20 (주)유일팜텍 소프트캡슐약 제조시스템용 약액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267A (ja) *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9586B1 (ko) * 2005-11-18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가마타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JP2015512945A (ja) * 2012-04-13 2015-04-30 バナー ファーマキャップ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錠剤と液体または半固体の充填剤とを含む軟質弾性カプセル、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70088283A (ko) 2016-01-22 2017-08-01 최인규 고속성형이 가능한 약 캡슐 성형장치
KR101812034B1 (ko) * 2016-08-08 2017-12-27 (주)태성파마텍 연질캡슐 제조장치의 인젝션 세그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267A (ja) *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9586B1 (ko) * 2005-11-18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가마타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JP2015512945A (ja) * 2012-04-13 2015-04-30 バナー ファーマキャップ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錠剤と液体または半固体の充填剤とを含む軟質弾性カプセル、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70088283A (ko) 2016-01-22 2017-08-01 최인규 고속성형이 가능한 약 캡슐 성형장치
KR101812034B1 (ko) * 2016-08-08 2017-12-27 (주)태성파마텍 연질캡슐 제조장치의 인젝션 세그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451B1 (ko) 2024-01-24 2024-05-20 (주)유일팜텍 소프트캡슐약 제조시스템용 약액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451C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е ротационное формование
JP6178848B2 (ja) 可溶性のパウチの回転可能な連続成型動作の改良
KR101640514B1 (ko) 약캡슐 제조롤러
KR200462191Y1 (ko) 약캡슐 제조롤러
KR102041534B1 (ko) 롤러의 직경이 서로 다른 캡슐 제조 장치
KR102041532B1 (ko)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CN107416278B (zh) 水平拉出型泡罩辊式热封机
KR102230891B1 (ko) 슬롯다이를 이용한 줄형상 코팅형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063676B1 (ko) 견인 엣지를 구비한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KR101927148B1 (ko) 다겹의 시트로 성형되는 연질 캡슐 제조 장치
KR102041535B1 (ko) 상이한 프로파일을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KR102041533B1 (ko) 홈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캡슐 제조용 다이 롤러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TWI590768B (zh) Forming plate
CN106475239A (zh) 高压喷射用分配器喷嘴
CN103832045B (zh) 将丝线引导并粘结到基底的方法
CN112789966B (zh) 一种同步成型上浆装置
JP6754208B2 (ja) 可食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116639A (zh) 一种软胶囊机
CN211334342U (zh) 一种用于制作可溶性微针贴片的模具
KR101821587B1 (ko) 고속 연질캡슐 성형기
JP2005021838A (ja) 吐出器のニードル及び吐出口部材
KR200322314Y1 (ko) 소프트젤라틴캡슐제조기의 젤라틴시트 오일공급장치
CN215039598U (zh) 覆膜胶塞成型模具
CN219483180U (zh) 一种薄膜涂覆装置
KR102204306B1 (ko) 능동형 슬롯다이 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