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86B1 -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86B1
KR100979586B1 KR1020060113722A KR20060113722A KR100979586B1 KR 100979586 B1 KR100979586 B1 KR 100979586B1 KR 1020060113722 A KR1020060113722 A KR 1020060113722A KR 20060113722 A KR20060113722 A KR 20060113722A KR 100979586 B1 KR100979586 B1 KR 10097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apsule
sheet
die roll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136A (ko
Inventor
데츠오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마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마타
Publication of KR2007005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23Packaging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7Manufacturing capsule sh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드럼에 밀착되어 있는 젤라틴 시트를 확실히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시트가 감겨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1)의 시트 성형부(2)에 있어서, 젤라틴 시트(13)를 성형하는 드럼 구동 계통(27)과, 젤라틴 시트(13)를 떼어내는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이 서로 독립되어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럼 구동 계통(27)에서는 제1 모터(271)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272)로부터 타이밍 벨트(274)를 개재하여 드럼축에 연결된 성형 드럼(23)을 단독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한편,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에서는 제2 모터(281)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284)를 개재하여 권취 롤러축에 연결된 권취 롤러(24)를 단독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Description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APPARATUS OF MANUFACTURING A SOFT CAPSULE}
도 1은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를 정면 측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장치의 구동 계통을 배면 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동 장치의 히트 시일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동 장치의 웨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동 장치의 다이롤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동 장치의 다이롤에 있어서의 캡슐 포켓의 형상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동 장치의 다이롤에 있어서의 캡슐 포켓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9는 종래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의 시트 성형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동 장치의 구동 계통을 배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11: 용액(젤라틴 용액)
12: 원액 13: 피막 시트(젤라틴 시트)
14: 나머지 시트 15: 소프트 캡슐
2: 시트 성형부 21: 용액 공급부(젤라틴 공급부)
211: 탱크 212: 용액 호스(젤라틴 호스)
22: 스프레더 박스 221: 게이트
222: 히터 23: 성형 드럼
24: 권취 롤러 241: 제1 롤러
242: 제2 롤러 243: 제3 롤러
244: 제4 롤러 25: 시트 가이드
26: 리본 롤러 27: 드럼 구동 계통
271: 제1 모터 272: 감속기
273: 드럼축 입력 풀리 274: 타이밍 벨트
275: 슬리브 28: 권취 롤러 구동 계통
281: 제2 모터 282: 모터용 풀리
283: 권취 롤러 입력 풀리 284: 타이밍 벨트
285: 제1 롤러의 풀리 286: 제3 롤러의 풀리
287: 슬리브 3: 캡슐 성형부
3A: 원액 공급부 31: 호퍼
32: 플런저식 펌프 321: 플런저 핀
33: 튜브 어셈블리 331: 공급용 튜브
332: 리턴 튜브 3B: 세그먼트부
34: 셧오프 밸브 341: 레버
35: 웨지 351: 만곡 볼록부
352: 공급 구멍 353: 노즐 구멍
354: 히터 36: 디스트리뷰터
361: 공급 구멍 362: 홈
3B: 히트 시일부 37: 다이롤
371: 만곡 오목부 372: 캡슐 포켓
373: 칼날부 38: 슈트 어셈블리
381: 스트립 롤러 382: 망글 롤러
41: 다이롤 구동 계통 411: 모터
412: 감속기 42: 기어 기구
43: 슈트 어셈블리 구동 계통 44: 망글 롤러 구동 계통
45: 드럼부 순환 기구 451: 항온액 공급구
452: 항온액 배출구 453a, 453b: 항온액 배관
454: 항온액 파이프 46: 드럼부 송풍 기구
461: 에어 공급구 462: 에어 배관
463: 에어 취출구 464: 덕트 커버
47: 슈트부 송풍 기구 471: 에어 공급구
472: 에어 파이프 473: 에어 취출구
본 발명은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주로 의약품으로서, 젤라틴 등의 동물성 원료나,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로 이루어진 캡슐 피막 내에 약제의 원액을 충전하여 이루어진 소프트 캡슐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 캡슐은 일반적으로 로터리 방식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11-221267호 공보]
상기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리 방식의 제조 장치는, 젤라틴 용액으로 젤라틴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부와, 젤라틴 시트로 캡슐을 성형하는 캡슐 성형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성형부에서 성형한 2장의 젤라틴 시트를 캡슐 성형부의 한 쌍의 다이롤 사이에 끼워넣어 히트 시일함과 동시에, 그때에 젤라틴 시트 사이에 원액을 주입하고, 다이롤 외측 둘레면의 금형에서젤라틴 시트를 캡슐 형상으로 형발함으로써, 젤라틴 피막 내에 원액이 충전된 소프트 캡슐을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시트 성형부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성형부(50)는 스프레더 박스(51), 성형 드럼(52), 및 권취 롤러(5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프레더 박스(51)는 젤라틴 용액(11)을 일정량 저장함과 동시에, 젤라틴 용액(11)을 성형 드럼(52)상에 얇게 넓혀 도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성형 드럼(52)은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드럼 표면에 도포된 젤라틴 용액(11)을 주회(周回)시키면서 건조한 냉풍을 분사함으로 써, 냉각 고화(固化)된 젤라틴 시트(13)를 성형한다. 권취 롤러(53)는 성형 드럼(52)에 밀착되어 있는 젤라틴 시트(13)를 떼어내고, 롤러의 회전에 의해 롤러 외측 둘레에 감겨진 젤라틴 시트(13)를 후단(後段)의 캡슐 성형부로 반송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 성형부(50)는 다이롤의 좌우 양측에 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시트 성형부(50, 50)에서 성형된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가 다이롤로 반송된다.
또, 상기와 같은 시트 성형부(50)에 있어서, 그 구동 계통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계통(60)과 권취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계통(70)이 연동(連動)하여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드럼 구동 계통(60)은 모터(61)에 연결된 감속기(62)의 풀리와 드럼 축심의 드럼축 입력 풀리(63)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64)가 걸어 감겨져 있으며, 이 타이밍 벨트(64)를 통해 모터(61)의 회전을 드럼축 입력 풀리(63)에 전달함으로써 성형 드럼(52)을 회전시킨다.
한편, 권취 롤러 구동 계통(70)의 구동원도 성형 드럼(52)과 동일한 모터(61)로서, 드럼축 입력 풀리(63)에 축심을 공통으로 한 드럼축 출력 풀리(71)와 권취 롤러 입력 풀리(72)가 아이들러(7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드럼축 출력 풀리(71)와 소(小) 직경의 아이들러축 입력 풀리(74)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75)가 걸어 감겨지고, 또 권취 롤러 입력 풀리(72)와 대(大) 직경의 아이들러축 출력 풀리(76)의 양자에도 타이밍 벨트(77)가 걸어 감겨져 있다. 따라서 모터(61)로부터 감속기(62)를 통해 드럼축에 전달된 회전력은, 또한 아이들러(73)를 통해 권취 롤러 입력 풀리(72)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권취 롤러(53)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 성형부(50)에서 상기와 같이 드 럼 구동 계통(60)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70)을 연동시킨 연동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소프트 캡슐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면, 다이롤에 공급되는 젤라틴 시트(13)를 고속으로 반송하기 위해 권취 롤러(53)의 회전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구동원인 모터(61)의 회전수를 높여야만 하며, 이에 수반하여 성형 드럼(52)의 회전도 고속화되어 버린다. 그런데 성형 드럼(52)을 고속 회전시킨 경우, 드럼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젤라틴 시트(13)의 건조가 지연되어, 권취 롤러(53)로 다 떼어내지 못한 젤라틴 시트(13)가 스프레더 박스(51)에 감겨 들어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는, 장치의 운전을 일단 정지하여 스프레더 박스(51)에 감겨 들어간 젤라틴 시트(13)를 제거하고, 모터(61)의 회전수를 낮추어 운전을 재개해야만 하므로, 이것이 생산성의 대폭적인 저하를 초래하였었다. 또한, 상기 문제의 요인으로서는, 성형 드럼(52)의 고속 회전에 더하여, 최근 캡슐 피막의 원료가 소, 돼지, 생선에 포함되어 있는 젤라틴 등의 동물성 원료뿐만 아니라,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에도 확대되어 다양화되어지고 있으며, 그 원료의 점성이나 온도의 차이에 따라 피막 시트가 건조될 때까지의 시간이 다르다는 것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성형 드럼에 밀착되어 있는 피막 시트를 확실히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시트가 감겨 들어가는 문제를 해소하고, 고속 운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생산성이 우수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향 배치되어 서로 역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 사이에 2장의 피막 시트를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 상방에 끼워맞춤 시킨 웨지로부터 원액을 사출(射出)하여 상기 피막 시트 사이에 충전하고,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칼날부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상기 피막 시트를 히트 시일함과 동시에 캡슐 형상으로 형발함으로써, 캡슐 피막 내에 원액이 충전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막 시트의 원료인 용액을 저장하고, 그 용액을 소정의 폭 및 두께로 넓혀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와, 상기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된 용액이 드럼 외측 둘레면에 도포되고, 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 외측 둘레면에 도포된 용액을 고화하여 피막 시트를 성형하는 성형 드럼과, 상기 성형 드럼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 외측 둘레면에 상기 피막 시트가 감겨지고, 그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성형 드럼에 밀착되어 있는 피막 시트를 떼어내어 상기 다이롤로 반송하는 권취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계통은, 제1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의 풀리와, 상기 성형 드럼의 축심의 드럼축 입력 풀리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가 걸어 감겨져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권취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계통은, 상기 제1 모터와는 별도로 구동하는 제2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모터용 풀리와, 상기 권취 롤러의 축심의 권취 롤러 입력 풀리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가 걸어 감겨져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성형 드럼과 상기 권취 롤러가 서로 독립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 피막이 되는 피막 시트의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소, 돼지, 생선에 함유되어 있는 젤라틴 등의 동물성 원료를 사용할 수 있고, 또 동물성 원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옥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나 그 외의 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 드럼은, 온도 제어된 항온액을 드럼 내부에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와,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드럼 외부로부터 드럼 외측 둘레면에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을 향해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측면에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복수열 만큼에 대응하는 복수열의 노즐 구멍이 설치되고, 그 복수열의 노즐 구멍으로 상기 다이롤의 복수열 만큼의 캡슐 포켓에 한 번에 원액을 사출 충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다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서 공용되도록 하여도 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를 정면 측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장치의 구동 계통을 배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동 장치의 캡슐 성형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동 장치의 웨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동 장치의 다이롤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동 장치의 다이롤에 있어서의 캡슐 포켓의 형상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동 장치의 다이롤에 있어서의 캡슐 포켓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캡슐 피막이 되는 피막 시트의 원료로서,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동물성 원료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나 그 외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1)는 시트 성형부(2)와 캡슐 성형부(3)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 성형부(2)에서는 용액(젤라틴 용액)(11)으로 2장의 피막 시트(젤라틴 시트)(13, 13)를 성형함과 동시에, 캡슐 성형부(3)에서는 그 젤라틴 시트(13, 13)들을 히트 시일하고, 그와 동시에 시트 사이에 원액(12)을 주입하여 캡슐 형상으로 형발함으로써, 캡슐 피막(젤라틴 피막) 내에 원액(12)이 충전된 소프트 캡슐(15)을 제조하는 것이다.
우선, 시트 성형부(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성형부(2)는 소프트 캡슐(15)의 피막이 되는 젤라틴을 연속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기구부로서, 용액 공급부(젤라틴 공급부)(21), 스프레더 박스(22), 성형 드럼(23), 및 권취 롤러(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젤라틴 공급부(21)는 세분용 탱크(211)와 용액 호스(젤라틴 호스)(212)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소, 돼지, 생선 등의 각종 원료로부터 추출·정제된 젤라틴 용액(11)이 탱크(211) 내에 저장되고, 그 젤라틴 용액(11)을 젤라틴 호스(212)에 의해 스프레더 박스(22)까지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송 도중에 젤라틴 용액(11)이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젤라틴 호스(212)는 히터와 센서(도시 생략)로 온도 조절된다.
스프레더 박스(22)는 젤라틴 호스(212)로부터 이송되어 온 젤라틴 용액(11)을 일정량 저장함과 동시에, 그 젤라틴 용액(11)을 성형 드럼(23) 위에 얇게 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스프레더 박스(22)의 내부에 저장된 젤라틴 용액(11)은 박스 바닥부에 개구(開口)된 가늘고 긴 형상의 게이트(221)로 토출되고, 성형 드럼(23)의 표면에 소정의 폭 및 두께로 퍼져 도포된다. 또 스프레더 박스(22)에는 히터(222)와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히터(222)와 박스를 가열하여 소정 온도로 유지하고, 박스 내부에 저장된 젤라틴 용액(11)의 콜로이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성형 드럼(23)은 스프레더 박스(22)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게이트(221)로 토출된 젤라틴 용액(11)을 고화하기 위한 것이다. 성형 드럼(23)은 후술 하는 구동 계통(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드럼 표면에 도포된 젤라틴 용액(11)은 드럼 외측 둘레를 대강 주회하는 동안에 냉각되어 겔화(gelation)되고, 이에 따라 소정의 폭과 두께로 띠 형상으로 연속된 젤라틴 시트(13)가 성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성형 드럼(23)은 이하와 같이 드럼부 순환 기구(45)와 드럼부 송풍 기구(46)의 양 기구를 병용하여 피막 시트(13)를 성형한다.
드럼부 순환 기구(45)는, 항온액 공급구(451)와, 항온액 배출구(452)와, 항온액 배관(453a, 453b)과, 항온액 파이프(454)로 이루어진다. 온도 제어된 기름이나 물 등의 항온액은 항온액 공급구(451)로 일방의 항온액 배관(453a)을 통해 드럼 내부로 끌려 들어온다. 드럼 내부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축 사이에 회전하지 않는 항온액 파이프(454)가 배설되고, 일정한 온도로 제어된 항온액은 이 파이프를 통해 드럼 내부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항온액 파이프(454)를 통과한 항온액은 타방의 항온액 배관(453b)을 통해 항온액 배출구(452)로부터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드럼부 순환 기구(45)에 있어서 성형 드럼(23)의 내부에 온도 제어된 항온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성형 드럼(23)의 온도는 일정 온도로 유지된다.
드럼부 송풍 기구(46)는 에어 공급구(461)와, 에어 배관(462)과, 에어 취출구(463)로 이루어진다. 장치 외부에는 플랜트 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랜트 설비에서 온도 및 습도 제어된 건조풍이 에어 공급구(461)로부터 에어 배관(462)을 통해 흡임됨과 동시에, 드럼 외부에 설치된 에어 취출구(463)로부터 드럼 표면을 향해 분사된다. 또 에어 취출구(463)의 내부에는 가동식의 날개(도시 생략)가 설 치되어 있어 드럼 표면에 분사하는 건조풍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성형 드럼(23)의 외부에는 드럼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덕트 커버(464)가 설치되어 있으며, 건조풍의 방향을 규제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드럼 표면으로의 먼지의 침입을 막고 있다. 이와 같이 드럼부 송풍 기구(461)로 드럼 표면의 젤라틴 시트(13)를 향해 건조풍을 분사함으로써, 젤라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젤라틴 시트(13)의 건조를 촉진하고, 히트 시일 시의 접착력을 높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
피막의 원료로서는 소나 돼지에 함유되어 있는 젤라틴 등의 동물성 원료가 주류이지만, 이 이외의 원료로서, 예를 들면 생선에 함유되어 있는 젤라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나 돼지에 비해 저온으로 제어해야만 하며, 옥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소나 돼지에 비해 고온으로 제어해야만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성형 드럼과 같이 드럼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기만 하는 구조에 의하면, 이러한 특수한 원료로 이루어진 용액은 설령 피막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하더라도 히트 시일이 불완전하게 되어, 소프트 캡슐을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성형 드럼(23)은 상기와 같은 드럼부 순환 기구(45)와 드럼부 송풍 기구(46)를 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성형 드럼(23)에 대해 냉각뿐만 아니라 가열도 가능하며, 피막 원료의 특성에 따라 폭넓은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성형 드럼(23)에 의하면 다양화된 원료로 이루어진 피막 시트(13)의 성형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있다.
권취 롤러(24)는 성형 드럼(23)에서 성형된 젤라틴 시트(13)가 거의 주회를 종료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드럼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있는 젤라틴 시트(13)를 떼어내어 후단의 캡슐 성형부(3)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권취 롤러(24)는 후술하는 구동 계통(28)에 의해 4개의 롤러(241∼244)가 교대로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성형 드럼(23)으로부터 떼어내어진 젤라틴 시트(13)는 롤러에 감기고, 4개의 롤러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시트 가이드(25)에 도달한다. 또한 시트 가이드(25)로 위치 조정된 젤라틴 시트(13)는 리본 롤러(26)를 개재하여 캡슐 성형부(3)의 다이롤(37)에 공급된다.
리본 롤러(26)는 반송되어 온 젤라틴 시트(13)를 다이롤(37)로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이지만, 롤러 외측 둘레면에 테프론(등록상표)의 코팅이 행해져, 젤라틴 시트(13)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개의 권취 롤러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롤러(241)는, 성형 드럼(23)으로부터 젤라틴 시트(13)를 떼어내기 쉽기 하기 위해 롤러 외측 둘레면에 로렛 가공이 행해지고, 젤라틴 시트(13)를 유지하는 그립력이 높아져 있다. 또, 중간에 위치하는 제2 롤러(242)와 제3 롤러(243)는, 캡슐 성형 시에 웨지(35)와 다이롤(37)의 사이에 끼워지는 젤라틴 시트(13)의 미끄럼을 좋게 하기 위해, 롤러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젤라틴 시트(13)의 이면, 이어서 표면으로 오일을 도포한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4 롤러(244)는 제3 롤러(243)에서의 오일의 도포 면적을 제2 롤러(242)의 면적과 동일하게 하기 위한 롤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시트 성형부(2)의 구동 계통을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드럼(23)을 회전시키는 구동 계통(27)과 권취 롤러 (24)를 회전시키는 구동 계통(28)이 서로 독립되어 구동하는 단독 구동 방식을 채용한 것이 특징이다.
드럼 구동 계통(27)에 대해서는, 제1 모터(271)에 연결된 감속기(272)의 풀리와 성형 드럼(23)의 축심의 드럼축 입력 풀리(273)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274)가 걸어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터(271)의 회전 토크는 감속기(272)로 회전수를 낮춤에 따라 커지고, 그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274)를 통해 드럼축 입력 풀리(273)에 전달되어, 성형 드럼(23)을 단독으로 회전 구동한다.
한편,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의 구동원은 성형 드럼(23)의 제1 모터(271)와는 별도로 구동하는 제2 모터(281)이다. 이 제2 모터(281)의 출력축에 장착된 모터용 풀리(282)와 권취 롤러 입력 풀리(283)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284)가 걸어 감겨져 있다. 따라서 제2 모터(281)를 구동하면, 그 회전력은 타이밍 벨트(284)를 통해 권취 롤러 입력 풀리(283)에 직접 전달되고, 이에 따라 권취 롤러(24)를 단독으로 회전 구동한다.
권취 롤러 입력 풀리(283)는 제2 롤러(242)의 축심에 장착되어 있어, 그 풀리(283)에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3 롤러의 풀리(285, 286)를 동시에 역회전시킴으로써, 성형 드럼(23)과 제1 롤러(241)는 서로 반전 구동하고, 또한 4개의 롤러(241∼244)가 교대로 반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럼 구동 계통(27)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을 별도로 구동함으로써, 종래 양자를 연결하고 있던 아이들러(73)와 드럼축 출력 풀리(71)는 불필요하게 되고, 드럼축에는 드럼축 출력 풀리(71)의 철거 후의 극간을 막는 슬리브(275)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성형부(2)에 있어서 드럼 구동 계통(27)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을 각각 독립되어 구동시키는 단독 구동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캡슐 성형부(3)에 공급하는 젤라틴 시트(13)를 고속으로 반송할 때에는,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에 있어서 제2 모터(281)의 회전수를 높여 권취 롤러(24), 다이롤(37), 망글 롤러(382)를 고속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드럼 구동 계통(27)에 대해서는 그대로의 속도로 운전하면 되고, 성형 드럼(23)의 회전 속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드럼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젤라틴 시트(13)의 건조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롤러(24)에 의해 성형 드럼(23)으로부터 젤라틴 시트(13)를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고, 시트가 스프레더 박스(22)에 감겨 들어가 버리는 문제가 해소되어 안정된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드럼 구동 계통(27)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이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 다향화되어지고 있는 피막 시트의 원료의 차이에 따른 건조 시간이나, 또는 후술하는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 타이밍이나 다이롤(37)의 회전 속도 등의 각종 조건을 고려한 후에, 성형 드럼(23)의 회전 속도와 권취 롤러(24)의 회전 속도를 각각 개별로 최적인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설정 자유도가 높고, 치밀한 운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젤라틴 공급부(21), 스프레더 박스(22), 성형 드럼(23), 및 권취 롤러(24)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2)와, 드럼 구동 계통(27) 및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과, 드럼부 순환 기구(45) 및 드럼부 송풍 기구(46)는,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성형부(3)를 중심으로 한 좌우 양측에 쌍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 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시트 성형부(2, 2)에서 성형한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를 캡슐 성형부(3)에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캡슐 성형부(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성형부(3)는 상술한 시트 성형부(2)로부터 반송된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 사이에 약제 등의 원액(12)을 주입하여 소프트 캡슐(15)을 성형하기 위한 기구부로서, 원액 공급부(3A), 세그먼트부(3B), 및 히트 시일부(3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액 공급부(3A)는 호퍼(31)와 플런저식 펌프(32)와 튜브 어셈블리(33)로 이루어지고, 호퍼(31)에 저장된 원액(12)을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세그먼트부(3B)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플런저식 펌프(32)는 실린더 내부를 진퇴 동작하는 복수개의 플런저 핀(321, 321,…)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런저 핀(321)의 압력을 받은 밸브가 좌측면에 이착(離着)함으로써 밸브를 개패하여 원액(12)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한다.
튜브 어셈블리(33)는, 상하 2장의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플런저 핀(321)으로 동일 수의 공급용 튜브(331, 331, …)와, 사용하지 않는 튜브의 라인을 호퍼(31)로 되돌리는 리턴 튜브(332)를 갖고 있으며, 플런저식 펌프(32)에 의해 공급 제어된 원액(12)은 호퍼(31)로부터 공급용 튜브(331)를 통해 세그먼트부(3B)에 공급된다.
세그먼트부(3B)는 원액 공급부(3A)로부터 공급된 원액(12)을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 사이에 충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셧오프 밸브(34)와 웨지(35) 양자 사이에 개재하는 디스트리뷰터(36)로 이루어진다.
셧오프 밸브(34)는 레버(341)의 조작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벨브를 개폐함으로써, 원액 공급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튜브 어셈블리(33)로부터 공급된 원액(12)을 모두 리턴 튜브(332)에서 호퍼(31)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웨지(35)는 한 쌍의 다이롤(37, 37) 사이에 공급된 젤라틴 시트(13, 13)의 사이에 원액(12)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롤(37)의 외측 둘레 상방의 만곡 오목부(371)에 끼워맞춤되는 만곡 볼록부(351)를 갖는 쐐기형으로 형성되고, 만곡 볼록부(351)의 표면에는 일렬로 정렬된 공급 구멍(352)이 개구되며, 만곡 볼록부(351)의 측면에는 공급 구멍(352)에 대응하여 원액(12)을 사출하는 노즐 구멍(353)이 개구되어 있다. 웨지(35)의 중심에는 히터(354)와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히터(354)로 웨지(35)를 가열함으로써 젤라틴 시트(13)에 대해 히트 시일 시에 필요한 열의 전달이 행해진다.
디스트리뷰터(36)는 셧오프 밸브(34)를 통과한 원액(12)을 분산하여 웨지(35)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35)의 공급 구멍(352)에 맞추어 분산 배치된 공급 구멍(361)과, 사용되지 않은 원액(12)을 리턴 튜브(332)로 되돌리기 위한 홈(362)이 가공되어 있다.
히트 시일부(3C)는 좌우 양측의 시트 성형부(2, 2)로부터 반송되어 온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를 히트 시일함과 동시에 캡슐 형상으로 성형하여 소프트 캡슐(15)을 성형하는 부위이다. 여기에는 서로 역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37, 37)이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양 롤러의 외측 둘레 상방에는 웨지(35)를 끼워 넣기 위한 위한 만곡 오목부(371)가 구획 형성된다. 다이롤(37)의 외측 둘레면에는 젤라틴 시트(13)를 캡슐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형으로서 복수개의 캡슐 포켓(372, 372,…)이 정렬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캡슐 포켓(372, 372) 사이에는 젤라틴 시트(13)를 잘라내기 위한 칼날부(3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 시일부(3C)에서는 한 쌍의 다이롤(37, 37) 사이에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가 공급되고, 그 상방 위치에 웨지(35)를 끼워 넣어 측면의 노즐 구멍(353)으로 원액(12)을 사출함으로써, 다이롤(37, 37)에 끼워진 2장의 젤라틴 시트(13, 13) 사이에 원액(12)이 주입된다. 이와 동시에 웨지(35)는 히터(354)로 가열되고 있어, 그 열에 의해 젤라틴 시트(13)를 용해시켜 접착력을 높이고, 롤러간의 최협부(最狹部)를 통과할 때의 압력으로 히트 시일을 행한다. 또한 이때 좌우 양측의 다이롤의 칼날부(373, 373)들이 맞물리게 됨으로써, 젤란틴 시트(13)는 캡슐 형상으로 컷 가공된다.
이렇게 해서 캡슐 성형이 완료된 다이롤(37)의 하방 위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롤러(381)로 이루어진 슈트 어셈블리(38)와 망글 롤러(38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슈트 어셈블리(38)에서는, 망글 롤러(382)를 회전시켜 소프트 캡슐(15)을 잘라낸 후의 나머지의 젤라틴 시트(나머지 시트)(14)가 하방으로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스트립 롤러(381)의 회전에 의해 시트 측에 남은 소프트 캡슐(15)과 나머지 시트(14)가 분리되고, 소프트 캡슐(15)만이 정면에 배치된 슈터를 경유하여 회수된다. 또한, 나머지 시트(14)가 다이롤(37)에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또 나머지 시트(14)가 도중에 찢기지 않도록 망글 롤러(382)의 회전 속도가 조 정된다.
히트 시일부(3C)에는 또한 슈트부 송풍 기구(47)가 설치되어 있다. 슈트부 송풍 기구(47)는, 에어 공급구(471)와, 에어 파이프(472)와, 에어 취출구(473)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드럼부 송풍 기구(46)와 마찬가지로, 장치 외부의 프랜트 설비에서 온도 및 습도 제어된 건조풍이 에어 공급구(471)로부터 에어 파이프(472)를 통해 흡입되고, 다이롤 하방에 설치된 양측의 에어 취출구(473, 473)로 한 쌍의 다이롤(37, 37)의 외측 둘레면을 향해 균등하게 분사된다. 이와 같이 슈트부 송풍 기구(47)에서는 다이롤(37)을 향해 하방으로부터 건조풍을 분사함으로써, 고속 운전 시에 다이롤(37, 37) 사이를 통과한 직후의 소프트 캡슐(15)이나 나머지 시트(14)의 접착력이 순식간에 약해져, 성형 후의 소프트 캡슐(15, 15)들이 서로 재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이롤(37)로부터 떼어내기가 쉬워져, 나머지 시트(14)가 다이롤(37)에 감기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슈트부 송풍 기구(47)는 한 쌍의 다이롤(37, 37)에 대응하여 좌우 양측에 쌍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히트 시일부(3C)의 구동 계통에 대해서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구동 계통(27)이나 권취 롤러 구동 계통(28)으로부터 독립되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히트 시일부(3C)는 드럼 구동 계통(27)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모터(411)와 감속기(412)로 이루어진 구동 계통(41)을 갖고 있으며, 좌우의 다이롤(37)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수동에 의한 기어 기구(42) 등을 끼우고, 다이롤(37), 리본 롤러(26), 및 상부에 배치되는 플런저식 펌프(32)를 구동한다. 또 중앙에 위치 하는 슈트 어셈블리(38)를 구동하는 구동 계통(43)과, 망글 롤러(382)를 구동하는 구동 계통(44)이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이 장치에는 (1)드럼 구동 계통(27), (2)권취 롤러 구동 계통(28), (3)다이롤 구동 계통(41), (4)슈트 어셈블리 구동 계통(43), (5)망글 롤러 구동 계통(44)의 합계 5계통의 구동 계통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젤라틴 시트(13)가 통과하는 각 부위의 구동 계통을 나눔으로써, 각 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젤라틴 시트(13)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이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1)의 기본적인 구조이지만, 특히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부(3B)를 구성하는 웨지(35)에 노즐 구멍(353)을 복수열 설치한 더블 인젝션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즉,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웨지(35)에 있어서의 만곡 볼록부(351)의 우측면에는 상하 2열의 노즐 구멍(353)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 열에는 2개의 노즐 구멍(353a, 353b)이, 또 하측 열에는 3개의 노즐 구멍(353c, 353d, 353e)이 각각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하 2열의 노즐 구멍(353a∼353e)은 반대측의 좌측면에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1회의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에 의해, 웨지(35)의 일측 2열의 노즐 구멍(353)으로 한 번에 다이롤(37)의 2열분의 캡슐 포켓(372) 속으로 원액(12)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 스피드가 느린 상태에서도 결과적으로 다이롤(37)의 회전 속도가 2배가 되어, 단위시간당 2배 수의 소프트 캡 슐(15)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폭적인 증산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 스피드가 느린 상태이어도 되기 때문에, 원액(12)의 충전 정밀도가 높아져 소프트 캡슐(15)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장치의 기계적인 부담이 감소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이롤(37)에 대해서도 서로 이웃하는 캡슐 포켓(372, 372) 사이에서 칼날부(373)를 공용(共用)함으로써, 고밀도의 포켓 수를 갖는 롤러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다이롤(37)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웨지(35)에 형성된 노즐 구멍(353a∼353e)의 위치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개 배열한 타원형의 캡슐 포켓(372a, 372b)과, 축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배열한 타원형의 캡슐 포켓(372c, 372d, 372e)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 조합이 다이롤(37)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웨지(35)의 노즐 구멍(353a∼353e)으로 사출되는 원액(12)에 대해, 다이롤(37)의 캡슐 포켓(372a∼372e)이 회전하면서 점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인접하는 캡슐 포켓(372, 372) 사이에서 칼날부(373)가 공용되고 있기 때문에, 캡슐 포켓(372, 372) 사이에서 불필요한 극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 고밀도의 캡슐 포켓(372)은 좌측의 다이롤(37)에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롤(37) 전체의 캡슐 포켓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다이롤(37)의 1회전당 제조되는 소프트 캡슐(15)의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다 이롤(37)의 길이나 지름을 크게 하지 않아도 증산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장치 전체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캡슐 포켓(372, 372) 사이에 불필요한 극간이 없기 때문에, 소프트 캡슐(15)을 잘라낸 후의 나머지 시트(14)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재료 비용의 절약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나머지 시트(14)가 그물코로 되어 다이롤(37)에 감기는 문제도 해소되어 안정된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이롤(37)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하는 캡슐 포켓(372)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한 타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의 육각형의 포켓을 배열하여도 되고, 이들 육각형 이외에도 도 8에 도시한 사다리꼴, 삼각형,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포켓을 배열할 수도 있으며, 캡슐 포켓(372)의 형상은 성형하는 소프트 캡슐(15)의 제품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면, 이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1)에서는 하기 (1)∼(4)에 게시하는 특징적인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장치에 비해 대폭적인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그 결과 소프트 캡슐(15)의 비약적인 증산을 실현할 수 있다.
(1)더블 인젝션 기구
웨지(35)의 측면에 있는 복수열의 노즐 구멍(353)으로부터 다이롤(37)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열의 캡슐 포켓(372)에 한 번에 원액(12)을 사출 충전함으로써, 기계적 구조상 한계가 있었던 플런저식 펌프(32)의 구동 스피드가 느린 상태 에서도 다이롤(37)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소프트 캡슐(15)의 제조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2)드럼 구동 계통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의 독립 구동
다이롤(37)에 공급하는 피막 시트(13)를 고속으로 반송할 때에 성형 드럼(23)의 회전 속도를 높이지 않고 권취 롤러(24), 다이롤(37), 망글 롤러(382)의 회전 속도를 높이면, 단독으로 고속 회전하는 권취 롤러(24)에 의해 성형 드럼(23)에 밀착되어 있는 피막 시트(13)를 확실히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피막 시트(13)가 스프레더 박스(22)에 감겨 들어가는 문제가 해소되어, 고속 운전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3)드럼부 순환 기구와 드럼부 송풍 기구의 병용
성형 드럼(23)의 내부에 온도 제어된 항온액을 순환시켜 성형 드럼(23)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성형 드럼(23)의 외측 둘레면에 온도 및 습도 제어된 건조풍을 분사하여 피막 시트(13)의 건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막 시트(13)의 원료의 특성에 따라 폭넓은 온도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화된 원료로 이루어진 피막 시트의 성형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4)슈트부 송풍 기구
다이롤(37)의 하부로부터 다이롤(37)의 외측 둘레면을 향해 온도 및 습도 제어된 건조풍을 균등하게 분사함으로써, 고속 성형 시에 다이롤(37, 37) 사이를 통과한 직후의 소프트 캡슐(15)이나 나머지 시트(14)의 접착력이 순식간에 약해져, 성형 후, 소프트 캡슐(15, 15)들이 서로 재부착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 과 동시에, 다이롤(37)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지고, 나머지 시트(14)가 다이롤(37)에 감기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어, 다이롤(37)의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의하면, 시트 성형부에 있어서 드럼 구동 계통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을 각각 단독으로 구동하는 단독 구동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다이롤에 공급하는 피막 시트를 고속으로 반송하기 위해 성형 드럼의 회전 속도는 그대로 하고 권취 롤러의 회전 속도나 다이롤 속도, 망글 롤러 속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권취 롤러에 의해 성형 드럼으로부터 피막 시트를 확실히 떼어낼 수 있어, 시트가 스프레더 박스에 감겨 들어가는 문제가 해소되어 안정된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드럼 구동 계통과 권취 롤러 구동 계통이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 다양화되고 있는 피막 시트의 원료의 차이에 따른 점성도, 온도, 건조도의 문제나, 원액을 공급하는 플런저식 펌프의 구동 타이밍이나 다이롤의 회전 속도 등의 각종 조건을 고려한 후에, 성형 드럼과 권취 롤러의 회전 속도를 각각 개별로 최적인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설정 자유도가 높고, 치밀한 운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드럼 내부에 온도 제어된 항온액을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와, 드럼 외부로부터 드럼 외측 둘레면을 향해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하고, 성형 드럼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성형 드럼의 외측 둘레면에 도포된 피막 시트의 건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막 시트의 원료의 특성에 따라 폭넓은 온도 컨트롤이 가능해져, 다양화된 원료로 이루어진 피막 시트의 성형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이롤의 하방으로부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을 향해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하고, 다이롤을 통과한 직후의 소프트 캡슐이나 나머지 시트에 바람을 분사하여 순식간에 그 접착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히트 시일 온도를 높게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형발 후의 소프트 캡슐들이 서로 재부착되어 버리는 현상, 이른바 아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이롤로부터의 박리성이 우수하여, 나머지 시트가 다이롤에 감기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다이롤의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웨지의 측면에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복수열 만큼에 대응하는 복수열의 노즐 구멍을 설치하고, 그 복수열의 노즐 구멍으로 다이롤의 복수열 만큼 캡슐 포켓에 한 번에 원액을 사출 충전하는 더블 인젝션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원액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는 플런저식 펌프의 구동 스피드가 느린 상태에서도 다이롤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소프트 캡슐의 대폭적인 증산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플런저식 펌프의 구동 스피드가 느린 상태이어도 되기 때문에 원액의 충전 정밀도가 높아져 소프트 캡슐의 품질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장치의 기계적인 부담이 감소되기 때문에 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다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 공용되도록 함으로써, 다이롤 전체의 캡슐 포켓 수가 증가하고, 다이 롤의 1회전당 제조되는 소프트 캡슐의 개수를 대폭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이롤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아도 증산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치 전체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캡슐 포켓 사이에 불필요한 극간이 없기 때문에, 소프트 캡슐을 잘라낸 후의 나머지 시트의 양을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재료 비용의 절약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나머지 시트가 다이롤에 감기는 문제도 해소되어 안정된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대향 배치되어 서로 역회전하는 한 쌍의 다이롤 사이에 2장의 피막 시트를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 상방에 끼워맞춤 시킨 웨지로부터 원액을 사출하여 상기 피막 시트 사이에 충전하고,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칼날부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상기 피막 시트를 히트 시일함과 동시에 캡슐 형상으로 형발함으로써, 캡슐 피막 내에 원액이 충전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막 시트의 원료인 용액을 저장하고, 그 용액을 소정의 폭 및 두께로 확장하여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와,
    상기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된 용액이 드럼 외측 둘레면에 도포되고, 그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 외측 둘레면에 도포된 용액을 고화하여 피막 시트를 성형하는 성형 드럼과,
    상기 성형 드럼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 외측 둘레면에 상기 피막 시트가 감기고, 그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성형 드럼에 밀착되어 있는 피막 시트를 떼어내 상기 다이롤로 반송하는 권취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계통은 제1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의 풀리와, 상기 성형 드럼의 축심의 드럼축 입력 풀리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가 걸어 감겨져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권취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계통은, 상기 제1 모터와는 별도로 구동하는 제2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모터용 풀리와, 상기 권취 롤러의 축심의 권취 롤러 입력 풀리의 양자에 타이밍 벨트가 걸어 감겨져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성형 드럼과 상기 권취 롤러가 서로 독립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드럼은, 온도 제어된 항온액을 드럼 내부에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와,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드럼 외부로부터 드럼 외측 둘레면에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을 향해 온도 및 습도 제어된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측면에,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복수열 만큼에 대응하는 복수열의 노즐 구멍이 설치되고, 그 복수열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상기 다이롤의 복수열 만큼 캡슐 포켓에 한 번에 원액을 사출 충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서 공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측면에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캡슐 포켓의 복수열 만큼에 대응하는 복수열의 노즐 구멍이 설치되고, 그 복수열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상기 다이롤의 복수열 만큼 캡슐 포켓에 한 번에 원액을 사출 충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서 공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서 공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이롤의 외측 둘레면에 배열된 복수의 캡슐 포켓의 칼날부가, 인접하는 캡슐 포켓 사이에서 공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KR1020060113722A 2005-11-18 2006-11-17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KR100979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4806A JP3836494B1 (ja) 2005-11-18 2005-11-18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
JPJP-P-2005-00334806 2005-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36A KR20070053136A (ko) 2007-05-23
KR100979586B1 true KR100979586B1 (ko) 2010-09-01

Family

ID=3741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22A KR100979586B1 (ko) 2005-11-18 2006-11-17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7760B2 (ko)
EP (1) EP1787622B1 (ko)
JP (1) JP3836494B1 (ko)
KR (1) KR100979586B1 (ko)
CN (1) CN1965779B (ko)
AT (1) ATE462398T1 (ko)
DE (1) DE602006013253D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5B1 (ko) 2009-11-17 2012-04-2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식물성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슬롯다이
KR20150136709A (ko)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WO2017126949A1 (ko) * 2016-01-22 2017-07-27 최인규 고속성형이 가능한 약 캡슐 성형장치
KR101821587B1 (ko) * 2017-01-23 2018-01-25 최인규 고속 연질캡슐 성형기
WO2018135910A1 (ko) * 2017-01-23 2018-07-26 최인규 고속 연질캡슐 성형기
KR102041532B1 (ko) * 2019-05-27 2019-11-27 (주)알피바이오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KR102667451B1 (ko) 2024-01-24 2024-05-20 (주)유일팜텍 소프트캡슐약 제조시스템용 약액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2268A1 (en) * 2007-09-21 2010-08-26 Cho Rang Kim Automatic device for wrapping drug and food in capsule
KR100900825B1 (ko) * 2007-09-21 2009-06-04 김초랑 약제 및 식품을 캡슐에 포장하는 자동장치
KR101126778B1 (ko) 2011-10-24 2012-03-29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CN103211706A (zh) * 2012-01-18 2013-07-24 北京鑫航成科技发展有限公司 软胶囊机
US10427810B2 (en) *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0427809B2 (en)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KR101358002B1 (ko) 2013-10-31 2014-02-04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1358001B1 (ko) 2013-11-01 2014-02-11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FR3018268B1 (fr) * 2014-03-07 2016-03-11 Polytek Innovations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capsule
EP3122387B1 (en) 2014-03-26 2018-06-06 Icos Pharma S.p.A. Device to introduce and extract containers with respect to a sterilization machine and sterilization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CN104706535A (zh) * 2015-04-03 2015-06-17 无锡市中谊药化机械有限公司 一种软胶囊制造器
KR101563251B1 (ko) 2015-06-09 2015-10-27 정수영 알약용 캡슐제조장치
TR201720008T1 (tr) * 2015-08-06 2018-04-24 Kt & G Corp Tütün koku kapsülü üretmeye yöneli̇k yöntem ve ci̇haz
PT3373917T (pt) 2015-11-09 2021-04-20 Scherer Technologies Llc R P Processo de recuperação de massa de gel de resíduos a partir do processo de fabricação de softgel
CN107007468B (zh) * 2017-06-05 2023-07-25 青岛宏达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空心胶囊自动机的主机装置
US11793724B2 (en) 2018-08-16 2023-10-24 Soo-Yeong Jung Gelatin supply device for softgel encapsulation machine
KR101951301B1 (ko) * 2018-08-16 2019-02-22 정수영 연질 캡슐 성형기의 젤라틴 공급장치
JP2020074836A (ja) * 2018-11-06 2020-05-21 株式会社カマタ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
CN111516212A (zh) * 2019-02-02 2020-08-11 北京长征天民高科技有限公司 一种软胶囊机及其喷注系统
CN213964377U (zh) * 2020-10-22 2021-08-17 吕国超 一种软胶囊制造机
CN112934913A (zh) * 2021-01-27 2021-06-11 淄博高新区成大机械设计研究所 一种胶皮回收再利用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76916B (zh) * 2021-09-02 2023-06-16 江苏鸿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灵芝孢子油透明胶囊胶封制粒机
CN114129531B (zh) * 2021-12-10 2023-08-25 安徽唐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淀粉软胶囊制备工艺及设备
CN114081836B (zh) * 2022-01-21 2022-04-12 江苏如东高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胶囊智能生产设备
CN115042360B (zh) * 2022-06-01 2023-04-07 江苏商贸职业学院 一种基于机电控制的软胶囊的包装送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460A (ja) 1986-03-07 1987-09-11 株式会社三協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装置におけるゼラチンシ−ト成型装置
JPH11221268A (ja)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用ダイロ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2003040768A (ja) 2001-07-31 2003-02-13 Sankyo:Kk ゼラチンカプセ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9286A (en) * 1939-07-25 1944-01-18 Moule Lab Inc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capsules
US2355329A (en) * 1940-01-11 1944-08-08 Abbott Lab Capsule making method and machine
US2309545A (en) * 1940-05-20 1943-01-26 Robert P Scherer Capsulating machine
US2275654A (en) * 1940-06-10 1942-03-10 Abbott Lab Capsule machine
US2323581A (en) * 1940-08-12 1943-07-06 C E Jamieson &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psulating liquids
US2390337A (en) * 1941-05-13 1945-12-04 Chester A Spotz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capsules, particularly gelatin capsules
US2387747A (en) * 1944-03-04 1945-10-30 Benjamin C Cowley Machine for and a method of making filled capsules
US2497212A (en) * 1945-10-31 1950-02-14 Alfonso M Donofrio Method of manufacturing capsules
US2568094A (en) * 1947-11-12 1951-09-18 Carl S Smith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lled capsules
US2774988A (en) * 1948-03-23 1956-12-25 American Cyanamid Co Capsule forming gelatin film stripping
GB962029A (en) * 1962-03-24 1964-06-24 Sydney Alexander Chasma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capsules
US4253812A (en) * 1977-02-01 1981-03-03 Mackal Glenn H Apparatus for heading plastic safety pins for inflation manifolds
JPS59140860A (ja) * 1983-01-28 1984-08-13 Nippon Suisan Kaisha Ltd 魚翅類似食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5672300A (en) * 1992-08-10 1997-09-30 R. P. Scherer Corporation Method for striping or marbleizing capsules
GB9226238D0 (en) * 1992-12-16 1993-02-10 Scherer Ltd R P Encapsulation apparatus and process
US5761886A (en) * 1996-02-09 1998-06-09 Parkhideh; Shahrooz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ncapsulated products
JPH11221267A (ja) *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187250B1 (en) * 1998-08-19 2001-02-13 James Champagne Continuous gel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6238616B1 (en) * 1998-12-14 2001-05-29 Timecap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gelatin capsule containing powder or time release pellets
CN2421249Y (zh) * 2000-01-26 2001-02-28 依钟康 软胶囊的制造设备
EP1151844B1 (de) * 2000-05-03 2003-11-26 Swiss Caps Rechte und Lizenz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lexiblen Bandes aus wenigstens zwei verchiedenen, bei Wärmezufuhr fliessfähigen Massen
US7247010B2 (en) * 2003-10-01 2007-07-24 Technophar Equipment & Service Limited Servo control for capsule ma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460A (ja) 1986-03-07 1987-09-11 株式会社三協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装置におけるゼラチンシ−ト成型装置
JPH11221268A (ja)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用ダイロ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2003040768A (ja) 2001-07-31 2003-02-13 Sankyo:Kk ゼラチンカプセ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5B1 (ko) 2009-11-17 2012-04-2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식물성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슬롯다이
KR20150136709A (ko)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KR101639800B1 (ko) 2014-05-27 2016-07-1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WO2017126949A1 (ko) * 2016-01-22 2017-07-27 최인규 고속성형이 가능한 약 캡슐 성형장치
KR101821587B1 (ko) * 2017-01-23 2018-01-25 최인규 고속 연질캡슐 성형기
WO2018135910A1 (ko) * 2017-01-23 2018-07-26 최인규 고속 연질캡슐 성형기
AU2018210712B2 (en) * 2017-01-23 2020-05-14 In-Gyu Choi High-speed soft capsule forming machine
KR102041532B1 (ko) * 2019-05-27 2019-11-27 (주)알피바이오 ?지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캡슐 제조 장치
KR102667451B1 (ko) 2024-01-24 2024-05-20 (주)유일팜텍 소프트캡슐약 제조시스템용 약액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35924A (ja) 2007-06-07
US7377760B2 (en) 2008-05-27
EP1787622B1 (en) 2010-03-31
EP1787622A3 (en) 2007-08-29
CN1965779B (zh) 2012-04-18
KR20070053136A (ko) 2007-05-23
DE602006013253D1 (de) 2010-05-12
ATE462398T1 (de) 2010-04-15
US20070116790A1 (en) 2007-05-24
JP3836494B1 (ja) 2006-10-25
CN1965779A (zh) 2007-05-23
EP1787622A2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86B1 (ko)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JP2020074836A (ja)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
EP1317184B1 (en) System for continuously forming center filled gum
US3981663A (en) Apparatus for making high speed corrugated plastic tubing
US10966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softgels
US50572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continuous products
EP115184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lexiblen Bandes aus wenigstens zwei verchiedenen, bei Wärmezufuhr fliessfähigen Massen
US50782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nfectionary products
JP2020025874A (ja) 軟質カプセル成形機のゼラチン供給装置
KR102230896B1 (ko) 슬롯 다이를 이용한 전면코팅용 odf 제조장치
JP3461794B2 (ja) 潤滑被膜形成装置
JPH0233580B2 (ko)
US10349620B2 (en) Method for forming and cooling an initially hot and therefore flowable melted cheese
CN111991235A (zh) 一种胶囊封口机
KR102230895B1 (ko) 토출기를 이용한 전면코팅용 odf 제조장치
JP4673334B2 (ja)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及びソフトカプセル製造方法
US2775447A (en) Capsule forming gelatin strip handling
EP1273240B1 (en) Tobacco processing machine
CN213642168U (zh) 一种胶囊封口机的封口机构
CN220654652U (zh) 一种滚筒式滴浇机构
CN219558097U (zh) 球壳蜡封装置
CN212833418U (zh) 用于污泥处理的微波干燥装置
KR20200023256A (ko) 식물성 젤라틴 이송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연 질캡슐 성형기
CN219743346U (zh) 一种全自动软胶囊机
CN209972966U (zh) 全自动棉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