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369B1 -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 Google Patents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369B1
KR102040369B1 KR1020170092995A KR20170092995A KR102040369B1 KR 102040369 B1 KR102040369 B1 KR 102040369B1 KR 1020170092995 A KR1020170092995 A KR 1020170092995A KR 20170092995 A KR20170092995 A KR 20170092995A KR 102040369 B1 KR102040369 B1 KR 10204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minutes
mixe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338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17009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방법은 김 원초(原草) 선별 단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넣고 250 내지 300 ℃에서 1 내지 3분 동안 기름 없이 볶아 준비하는 수분 제거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원초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를 주입하고 볶는 혼합유 주입 단계, 상기 혼합유에 원초를 볶으면서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각각 3 내지 5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부재료 투입 단계, 상기 부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 및 상기 주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깨를 더 혼합하고 3 내지 5분 동안 볶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풍미가 좋으면서도 보관과 취식이 편리한 김자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Manufacturing method of salted laver and salted laver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미가 향상되고, 보관 및 취식이 간편한 김자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자반은 김에 양념장을 발라 말려서 구운 밑반찬을 일컫는다. 김 원초(原草)에 따라 돌김으로 만든 것은 돌자반, 파래김으로 만든 것은 파래자반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김은 보라털과의 홍조류로서 해조류이며, 해태라고도 한다. 김은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 자라며 몸은 긴 타원형 또는 줄처럼 생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빛깔은 자주빛 또는 붉은 자줏빛을 띠며, 주산지는 완도, 진도, 신안, 부안, 서산 등이다. 김에는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으며, 헤미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둘시톨 등이 있다. 또한 김에는 단맛과 지미를 가진 글리신과 알아닌 등의 아미노산 때문에 특유의 감칠맛을 낸다. 단백질의 함유량이 30~40%에 달하고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으며, 카로틴,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의 좋은 공급원이다.
자반은 감자, 풋고추, 깻잎, 참죽나무잎 등의 채소와 김, 다시마 등의 해초를 말려두는 저장식품으로 필요할 때 무쳐서 찬이나 술안주로 한다. 자반은 재료에 따라 간장에 절이거나 고추장을 묻혀 그대로 말리거나 찹쌀풀을 발라서 바싹 말린다. 자반은 제철에 나는 식품을 이용하여 밑반찬을 만들어 두었다가 비수기에 식탁에 올리면 별미이다.
김자반은 전라도의 향토음식으로 묵은 김이 많은 때에 만들어 놓으면 좋은 저장음식이다. 김을 양쪽 손바닥에 끼우고 가볍게 비벼서 티나 모래를 털어내고 접은 후 파와 마늘은 손질하여 곱게 다져서 정량의 간장, 고춧가루, 깨소금, 설탕, 참기름, 후춧가루와 한데 섞어 만든 양념장을 발라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요리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입맛이 다양해짐에 때라 기존의 향토 음식 레시피로는 수요자 기호의 다양성 및 고급성에 따른 욕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며, 더 다양한 풍미의 음식과 보관 및 취식이 간편한 음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의 발전 방향에 따라, 새로운 맛의 김자반에 대한 수요가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보존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김자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김자반의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고 김자반의 영양 성분도 강화한 김자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은 김 원초(原草) 선별 단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넣고 250 내지 300 ℃에서 1 내지 3분 동안 기름 없이 볶아 준비하는 수분 제거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원초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를 주입하고 볶는 혼합유 주입 단계, 상기 혼합유에 원초를 볶으면서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각각 3 내지 5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부재료 투입 단계, 상기 부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 및 상기 주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깨를 더 혼합하고 3 내지 5분 동안 볶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 전, 통조림으로 가공된 가공생선을 탈수기에 넣어 기름과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단계, 상기 기름과 수분이 제거된 가공생선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가공생선을 분쇄기에 넣어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된 가공생선을 간장과 혼합하는 양념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생선 준비 단계를 더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부재료 투입 단계에서, 상기 콩가루 투입시 호두, 아몬드, 땅콩 캐슈너트, 마카다미아, 헤이즐넛, 밤, 잣, 피스타치오, 피칸, 브라질 넛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견과를 함께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무리 단계에서, 상기 깨 투입시 마요네즈를 함께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유 200 내지 300 중량부, 맛소금 5 내지 7 중량부, 설탕 60 내지 70 중량부, 콩가루 20 내지 30 중량부, 가공생선 20 내지 30 중량부, 및 깨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삭한 식감이 있고, 장기 보존이 가능한 김자반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명이의 풍미와 영양 성분이 더욱 향상된 김자반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관능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관능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관능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을 제조하는 방법은 김 원초(原草) 선별 단계(S1100),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넣고 250 내지 300 ℃에서 1 내지 3분 동안 기름 없이 볶아 준비하는 수분 제거 단계(S1200), 상기 수분이 제거된 원초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를 주입하고 볶는 혼합유 주입 단계(S1300), 상기 혼합유에 원초를 볶으면서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각각 3 내지 5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부재료 투입 단계(S1400), 상기 부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S1500), 및 상기 주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깨를 더 혼합하고 3 내지 5분 동안 볶는 마무리 단계(S1600)를 포함한다.
(S1100) 김 원초(原草) 선별 단계
김 원초는 자연산 김 원초를 이나 양식 김을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김 원초는 바닷가 암초에 붙은 것을 뜯은 돌김, 파래가 포함되는 파래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채취한 김 원초는 민물로 세척한 다음 금속 탐지기 및 이물질 선별기를 이용하여 원초에 포함될 수 있는 중금속, 끈류, 지푸라기, 갑각류의 껍질, 비닐, 깃털, 스티로폼, 페인트 등 식품에 해로울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S1200) 수분 제거 단계
상기 선별된 원초는 기름이나 물을 포함하지 않는 건조한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볶음으로써, 상기 원초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 볶음 기계는 재료를 혼합할 수 있는 볼을 구비하고, 열을 주입하는 가열부와, 볼 자체가 회전 하거나 재료를 섞어줄 수 있는 날개부를 가지는 기기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25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분 동안 볶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온도가 250 ℃ 미만인 경우, 수분을 제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김자반의 식감이 질겨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온도가 3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김 원초가 타거나 눌러붙을 수 있어 300 ℃ 이하에서 볶는 것이 바람직하다.
(S1300) 혼합유 주입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제조방법은 상기 수분이 제거된 원초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를 주입하고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유는 혼합유 전체 중량에 대하여 식용유 90 내지 99 중량%, 참기름 1 내지 10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류를 99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조리된 김자반에서 참기름의 풍미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참기름을 10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조리 중 쉽게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식용유는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콩기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김 원초와의 성분 조화 및 연화점을 고려하여 콩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유는 상기 원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혼합유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원초가 충분히 오일을 흡수하지 못하여 식감이 저하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리한 식감으로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200 내지 300 중량부의 혼합유는 상기 혼합유 주입 단계에서 절반정도의 양을 혼합하고, 이하 부재료 투입 단계, 주재료 투입 단계 및 마무리 단계에 나누어 주입되는 것일 수 있다.
(S1400) 부재료 투입 단계
상기 혼합유에 원초를 볶으면서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각각 3 내지 5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원초에 양념을 추가한다.
상기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는 상기 원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맛소금 5 내지 7 중량부, 설탕 60 내지 70 중량부, 콩가루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상기 비율로 조합하는 경우가 김 원초의 비린 맛과 향을 잡아주면서,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활용하는 경우 소비자가 가장 맛있다고 느끼게 되는 맛의 김자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콩가루를 포함함으로써, 고소한 풍미를 추가할 수 있고, 해조류의 영양성분에 콩 단백질의 영양성분을 더욱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에서, 단맛을 내기 위한 재료로 꿀이나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 보다, 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불순물을 방지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제조방법은 상기 콩가루 투입시 견과를 함께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견과는 콩가루와 같이 분말이 아닌 슬라이스나 분태 형태로 첨가함으로써, 색다른 식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견과는 호두, 아몬드, 땅콩 캐슈너트, 마카다미아, 헤이즐넛, 밤, 잣, 피스타치오, 피칸, 브라질 넛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고, 호두 분태나 아몬드 슬라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수급이 용이하고, 김자반과 맛이 조화롭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S1500) 주재료 투입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제조방법은 상기 부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생선은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공생선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가공생선을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 전, 통조림으로 가공된 가공생선을 탈수기에 넣어 기름과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단계, 상기 기름과 수분이 제거된 가공생선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가공생선을 분쇄기에 넣어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된 가공생선을 간장과 혼합하는 양념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생선 준비 단계를 더 포함일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전처리된 가공생선을 김자반과 함께 볶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영양 성분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기름과 수분의 탈수, 건조를 통해 보관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김자반과의 혼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S1600) 마무리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제조방법은 상기 주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깨를 더 혼합하고 3 내지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깨를 마무리 단계에 첨가함으로써, 김자반의 고소한 풍미를 돋울 수 있다. 상기 깨는 상기 원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무리 단계에서, 상기 깨 투입시 마요네즈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마요네즈를 더 첨가하는 경우, 고소한 맛과 음식의 윤기를 부여할 수 있다. 기호에 따라 간장을 더 첨가하여, 짠맛과 단맛의 비율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김자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자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김자반을 진공포장 또는 비닐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의 질감, 색도, 맛, 풍미, 전체적인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혼합 양념액의 함량과 부재료의 함량을 달리하여 3가지 실시예와 2가지 비교예의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원초 3,000 g, 콩기름과 참기름을 2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유 8,000 g, 맛소금 200 g, 설탕 2,000 g, 콩가루 800 g, 호두 분태와 아몬드 슬라이스 혼합 견과 600 g, 참치 800 g, 깨 1,000 g, 마요네즈 1,600 g, 간장 200 g을 준비하였다. 상기 참치는 참치캔에서 분리하여 탈수기에 넣고 기름과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전체 볶음 시간은 25 분으로 한정하였다.
0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 265 ℃에서 기름 없이 볶았다.
3분: 상기 혼합유의 절반인 4,000 g을 주입하고 원초를 볶았다.
10분: 잔여 혼합유와 맛소금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3분: 잔여 혼합유와 설탕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8분: 잔여 혼합유와 콩가루 및 견과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0분: 잔여 혼합유와 참치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2분: 잔여 혼합유와 깨, 마요네즈 및 간장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25분: 김자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원초 3,000 g, 콩기름과 참기름을 2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유 8,000 g, 맛소금 200 g, 설탕 2,000 g, 콩가루 800 g, 호두 분태와 아몬드 슬라이스 혼합 견과 600 g, 연어 800 g, 깨 1,000 g, 마요네즈 1,600 g, 간장 200 g을 준비하였다. 상기 연어는 연어캔에서 분리하여 탈수기에 넣고 기름과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전체 볶음 시간은 25 분으로 한정하였다.
0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 265 ℃에서 기름 없이 볶았다.
3분: 상기 혼합유의 절반인 4,000 g을 주입하고 원초를 볶았다.
10분: 잔여 혼합유와 맛소금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3분: 잔여 혼합유와 설탕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8분: 잔여 혼합유와 콩가루 및 견과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0분: 잔여 혼합유와 연어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2분: 잔여 혼합유와 깨, 마요네즈, 간장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25분: 김자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원초 3,000 g, 콩기름과 참기름을 2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유 8,000 g, 맛소금 200 g, 설탕 2,000 g, 콩가루 800 g, 참치 800 g, 깨 1,000 g을 준비하였다. 상기 참치는 참치캔에서 분리하여 탈수기에 넣고 기름과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전체 볶음 시간은 25 분으로 한정하였다.
0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 265 ℃에서 기름 없이 볶았다.
3분: 상기 혼합유의 절반인 4,000 g을 주입하고 원초를 볶았다.
10분: 잔여 혼합유와 맛소금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3분: 잔여 혼합유와 설탕을 더 주입하고 볶았다.
18분: 잔여 혼합유와 콩가루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0분: 잔여 혼합유와 참치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2분: 잔여 혼합유와 깨를 더 주입하고 볶았다.
25분: 김자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원초 3,000 g, 식용유 8,000 g, 맛소금 200 g, 설탕 2,000 g, 콩가루 800 g, 참치 800 g, 깨 1,000 g을 준비하였다. 상기 참치는 참치캔에서 분리하여 탈수기에 넣고 기름과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원초, 식용유, 맛소금, 설탕, 콩가루, 참치 및 깨를 동시에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265 ℃에서 25분간 볶았다.
비교예2
원초 3,000 g, 식용유 8,000 g, 맛소금 200 g, 설탕 2,000 g, 콩가루 800 g, 참치 800 g, 깨 1,000 g을 준비하였다. 상기 참치는 참치캔에서 분리하여 기름을 살짝 제거하고 준비하였다.
상기 원초, 식용유, 맛소금, 설탕, 콩가루, 참치 및 깨를 동시에 볶음 기계에 투입하고265 ℃에서 25분간 볶았다.
관능실험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김자반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관능 검사 요원은 20명으로 10대~40대의 학생, 직장인으로 구성하였다. 관능 검사 요원들은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1~5점 사이에서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1점으로 갈수록 맛이 나쁘거나 평가가 나쁜 것을 의미하며, 5점으로 갈수록 맛이 좋거나 평가가 좋은 것을 의미한다. 관능실험 결과는 도 2 내지 4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식감 비린맛 기름진맛 풍미 선호도
실시예1 4.2 2 2.2 4.5 4.1
실시예2 4.1 2 2.1 4.5 4.05
실시예3 3.95 2.35 2.3 4.55 4.05
비교예1 2.2 3.4 4.05 2.1 1.65
비교예2 2 3.6 4.05 2.15 1.4
도 2 내지 4 및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식감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3은 3 이상의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2가 제일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순차적인 조리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식감이 더욱 바삭하고, 특히 견과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가 고소하고 식감이 좋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비린맛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참치의 전처리 과정을 생략한 비교예 2의 평가가 가장 혹평을 받았고, 기름진맛에 있어서는, 순차적 조리법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2 모두 지나치게 기름지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풍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3이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김의 맛에 참기름, 깨, 마요네즈 등이 어우러진 고소한 풍미가 나타난다는 의견이 있었고, 비교예 1 및 2에서는 식용류 냄새가 강하게 난다는 의견이 있었다.
전체적인 선호도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3이 고르게 높았으며,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각각 평균값 1.65 및 평균값 1.4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원초, 식용유, 맛소금, 설탕, 콩가루, 참치 및 깨를 혼합한 김자반 제조시, 재료의 혼합 순서 및 가공 방법에 따라 풍미나 맛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참치 및 연어는 전처리 과정이 선행되어야 풍미가 더욱 향상되어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김 원초(原草) 선별 단계,
    상기 원초를 볶음 기계에 넣고 250 내지 300 ℃에서 1 내지 3분 동안 기름 없이 볶아 준비하는 수분 제거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원초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혼합한 혼합유를 주입하고 볶는 혼합유 주입 단계,
    상기 혼합유에 원초를 볶으면서 맛소금, 설탕 및 콩가루를 각각 3 내지 5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부재료 투입 단계,
    상기 부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혼합하는 주재료 투입 단계, 및
    상기 주재료가 투입된 원초에 깨를 더 혼합하고 3 내지 5분 동안 볶는 마무리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원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유 200 내지 300 중량부, 맛소금 5 내지 7 중량부, 설탕 60 내지 70 중량부, 콩가루 20 내지 30 중량부,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 20 내지 30 중량부, 및 깨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자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 투입 단계 전,
    상기 참치와 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통조림으로 가공된 가공생선을 탈수기에 넣어 기름과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단계,
    상기 기름과 수분이 제거된 가공생선을 건조기에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가공생선을 분쇄기에 넣어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된 가공생선을 간장과 혼합하는 양념 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생선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김자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 투입 단계에서, 상기 콩가루 투입시 호두, 아몬드, 땅콩 캐슈너트, 마카다미아, 헤이즐넛, 밤, 잣, 피스타치오, 피칸, 브라질 넛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견과를 함께 투입하는 것인
    김자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김자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김자반.
KR1020170092995A 2017-07-21 2017-07-21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KR10204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95A KR102040369B1 (ko) 2017-07-21 2017-07-21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95A KR102040369B1 (ko) 2017-07-21 2017-07-21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38A KR20190010338A (ko) 2019-01-30
KR102040369B1 true KR102040369B1 (ko) 2019-11-04

Family

ID=6527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95A KR102040369B1 (ko) 2017-07-21 2017-07-21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77B1 (ko) * 2020-07-17 2020-10-21 이희택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가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546B1 (ko) * 2019-04-02 2021-04-01 김경수 김자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김자반
KR102309502B1 (ko) * 2019-08-28 2021-10-07 김경수 김 숙성방법, 그 숙성방법으로 숙성된 김을 이용한 김자반 및 조미김 제조방법
KR102279638B1 (ko) * 2021-03-02 2021-07-21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오션 황칠 해초 김 자반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80B1 (ko) * 2013-08-23 2015-02-16 삼해상사주식회사 김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KR101727075B1 (ko) * 2016-11-08 2017-04-14 백창현 조미 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893A (ko) * 1991-12-31 1993-07-20 허곤 생선김의 제조방법
KR101343008B1 (ko) * 2011-12-31 2013-12-1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씨앗과 견과류가 혼합된 파래김 자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80B1 (ko) * 2013-08-23 2015-02-16 삼해상사주식회사 김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KR101727075B1 (ko) * 2016-11-08 2017-04-14 백창현 조미 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77B1 (ko) * 2020-07-17 2020-10-21 이희택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가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38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369B1 (ko) 김자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자반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816822B1 (ko) 피쉬 소스를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KR102471834B1 (ko)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480B1 (ko) 김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KR20200006339A (ko) 액젓을 이용한 조미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67742A (zh) 一种川味粉蒸肉粽子的制作方法
CN103637129A (zh) 一种保健酱大蒜及其制备方法
CN114052196A (zh) 一种风味独特的脆皮鸭及其制备工艺
KR20200062941A (ko) 떡볶이용 간편식 분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234546B1 (ko) 김자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김자반
KR20180066727A (ko) 부각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각
KR101506938B1 (ko) 건과일을 이용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485174B1 (ko) 매실을 이용한 김의 제조방법
KR102006548B1 (ko) 콩나물 잡채의 제조방법
KR100381543B1 (ko) 사과고추장
KR101814032B1 (ko) 로즈힙 유자 고추장 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9642B1 (ko) 식품용 다용도 견과류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US20190166892A1 (en) Methods to produce Plant protein lectin eliminated legumes,and or nuts, and or seeds, and products therefrom
JP5781784B2 (ja) 魚肉の調味食品とその製造方法
CN103584004A (zh) 一种美味酱豌豆及其制备方法
KR101523473B1 (ko) 고수분말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1503426B1 (ko) 실치 함유 파래김 자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치 함유 파래김 자반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